숙의 곽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의 곽씨는 현풍 곽씨 곽인의 딸로, 조선 성종의 명으로 세자궁의 후궁이 된 인물이다. 1491년 세자궁의 양원으로 책봉되어 이듬해 입궁하였으며, 연산군 즉위 후에는 종2품 숙의에 봉해졌다. 연산군 폐위 후에는 정업원으로 출가하였으며, 중종 14년 중종의 명으로 혜양되었다. 곽씨의 사망 시기는 기록에 남아있지 않으며, 연산군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종반정 - 김개 (조선 중기의 문신)
김개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연산군 시절 언관으로 활동하다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 안정에 기여했으며 사후 수산사에 제향되었다. - 중종반정 - 연산군일기
연산군일기는 조선 10대 왕 연산군 시대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1509년 완성되었으며 대외 관계, 사론, 연산군과 신하들의 시를 담고 있으나, 내용 부실과 객관성 결여의 한계도 존재한다. - 16세기 사망 - 경숙옹주 (성종)
성종의 딸인 경숙옹주는 숙용 윤씨(후일 폐비 윤씨) 소생으로, 여천위 민자방에게 하가하여 군수를 지낸 민희열을 낳았고, 그의 후손 중 정빈 민씨는 선조의 후궁이 되었다. - 16세기 사망 - 귀인 남씨
의령 남씨 출신인 귀인 남씨는 성종의 후궁으로, 성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사후 연산군과의 간통, 사헌부의 탄핵 등의 물의를 빚었으며, 월산대군의 며느리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 조선의 불교 신자 - 허균
허균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정치가로서, 홍길동전, 교산시화, 도문대작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으나, 진보적인 사상과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조선의 불교 신자 - 김옥균
김옥균은 1851년 충청도 공주에서 태어나 갑신정변을 일으킨 조선의 개화 운동가이며, 일본 망명 후 상하이에서 암살당했고, 사후 복권되어 규장각 대제학에 추증되었다.
숙의 곽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별칭 | 양원 곽씨 |
이름 | 숙의 곽씨 |
작위 | 후궁 (숙의) |
배우자 | 연산군 |
자녀 | 없음 |
왕조 | 조선 |
가계 | |
아버지 | 곽인 |
어머니 | 권치중의 딸 |
생애 |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조선 |
사망지 | 조선 |
사망일 | 미상 |
국적 | 조선 |
2. 생애
2. 1. 가계와 후궁 책봉
현풍 곽씨[1] 곽인의 딸로, 어머니는 권치중의 딸이며 곽인에게는 계실이다. 곽인의 본처는 유수의 딸로, 그 소생으로는 아들 곽임종이 있다. 곽씨의 외할머니 이씨는 양녕대군과 그 첩의 딸이다[2][3].곽씨는 간택에서 탈락하여 이세좌 집안과 정혼하고 납채까지 마쳤으나, 성종의 명으로 금혼해야 했다[4]. 1491년(성종 22년) 음력 10월 16일부터 수 일에 걸쳐 곽씨를 금혼하지 말라는 상소가 올라왔으나, 성종은 이를 모두 윤허하지 않았다[5][6]. 결국 곽씨는 이 해 음력 11월 4일 세자궁의 종3품 후궁 양원에 책봉되어 이듬해 음력 1월에 입궁하였다. 사관은 곽씨 책봉 사실과 함께 곽씨 친족들의 좋지 않은 행실들을 자세히 기록하였다[2].
2. 2. 후궁 시절
연산군 즉위 후 곽씨는 종2품 숙의에 봉해졌다. 1505년(연산군 11년) 음력 6월 27일 죄인 이유녕의 집을 하사받았다.[7] 1506년(연산군 12년) 음력 2월 18일에는 곽씨의 아버지 곽인이 연산군의 다른 숙의들의 아버지와 함께 당상에 제수되었으며,[8] 음력 3월 5일에는 곽씨가 정세량의 집을 사고자 하여 연산군이 직접 집의 시가를 아뢰라는 명을 내렸다.[9] 곽인의 벼슬 제수와 집 구매 등의 기록으로 미루어 곽씨가 연산군의 총애를 받았을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10]2. 3. 폐위 후
중종반정이 일어나 연산군이 폐위되자, 아버지 곽인은 탄핵을 받고[11] 곽씨는 출가하여 정업원으로 들어갔다.[10] 1519년(중종 14년) 음력 12월 17일 당시 연산군의 숙의 중에는 윤씨와 곽씨만이 생존해 있었으며, 중종의 명으로 혜양하게 하였다.[12] 1522년(중종 17년)에는 정업원의 주지 자리에 있었는데[13], 곽씨는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에 마지막으로 등장하는 정업원의 주지이다.[10]곽씨가 언제 사망했는지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연산군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3. 가족 관계
아버지 곽인(郭璘, 생몰년 미상)과 권치중(權致中)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시아버지는 성종(1457~1494, 재위:1469~1494)이며, 정현왕후 윤씨가 시어머니이고 친정 시어머니는 폐비 윤씨(1455~1482)이다. 남편은 연산군(1476~1506, 재위:1494~1506)이다.
참조
[1]
서적
조선왕실 왕비와 후궁의 생활
국립고궁박물관
2017-07-06
[2]
실록
성종실록 259권, 성종 22년 11월 4일 병자 1번째기사
[3]
실록
성종실록 221권, 성종 19년 10월 4일 갑오 4번째기사
[4]
실록
성종실록 258권, 성종 22년 10월 19일 임술 5번째기사
[5]
실록
성종실록 258권, 성종 22년 10월 16일 기미 4번째기사
[6]
실록
성종실록 258권, 성종 22년 10월 20일 계해 2번째기사
[7]
실록
연산군일기 58권, 연산 11년 6월 27일 경진 2번째기사
[8]
실록
연산군일기 61권, 연산 12년 2월 18일 무진 1번째기사
[9]
실록
연산군일기 61권, 연산 12년 3월 5일 을유 2번째기사
[10]
뉴스
여복(女福) 하나 만큼은 제대로 타고난 연산군
https://web.archive.[...]
2016-12-15
[11]
실록
중종실록 1권, 중종 1년 9월 6일 임오 2번째기사
[12]
실록
중종실록 37권, 중종 14년 12월 17일 정축 4번째기사
[13]
실록
중종실록 44권, 중종 17년 3월 3일 경술 2번째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