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의 윤씨 (연산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의 윤씨는 해평 윤씨 출신으로, 조선 연산군의 후궁이다. 1501년 연산군의 명으로 숙의에 봉해졌으나,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폐위된 후에는 자녀가 없어 조카를 양녀로 삼았다. 1519년에는 다른 숙의 곽씨와 함께 중종의 혜양을 받았으며, 1568년에 8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에는 그녀의 일대기를 기록한 백자청화 숙의윤씨 묘지가 소장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81년 출생 - 아시카가 요시즈미
아시카가 요시즈미는 호리고에 구보의 아들로 태어나 덴류지 가겐인의 후계자였으나 메이오 정변으로 쇼군이 되었고, 실권은 호소카와 마사모토에게 있었으며, 폐위 후 쇼군 복위에 실패하고 사망했다. - 1481년 출생 - 회산군
회산군은 조선 성종의 서자이며, 숙의 홍씨의 아들로 봉사 안방언의 딸과 혼인했으나 자녀는 없었고, 중종 재위 기간에 김안로의 간언을 물리쳤으며, 후사가 없어 계산군 이수계가 대를 잇고 시호는 정간이다. - 1568년 사망 - 발루아의 엘리자베트
프랑스 공주이자 스페인 왕비였던 발루아의 엘리자베트는 프랑스 왕 앙리 2세와 카트린 드 메디치의 딸로, 카토-캉브레지 조약으로 펠리페 2세와 결혼하여 두 딸을 두었으며, 예술 작품에서 돈 카를로스와 비극적 관계로 묘사된다. - 1568년 사망 - 엔히크 1세
- 조선 연산군 - 중종반정
중종반정은 1506년 박원종, 성희안, 유순정 등이 연산군의 폭정에 반발하여 일으킨 정변으로, 연산군을 폐위하고 진성대군(중종)을 왕으로 추대했으나, 왕권 약화, 붕당 정치 심화 등 조선 정치에 여러 문제점을 야기했다. - 조선 연산군 - 폐비 윤씨
조선 성종의 왕비였던 폐비 윤씨는 질투심과 후궁을 해하려 했다는 의혹 등으로 폐위되어 사사되었으며, 그녀의 죽음은 갑자사화의 원인이 되어 조선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숙의 윤씨 (연산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숙의 윤씨 |
작위 | 후궁 (숙의) |
배우자 | 연산군 |
자녀 | 없음 |
왕조 | 조선 |
아버지 | 윤훤(尹萱) |
어머니 | 부안 김씨 |
친척 | 오빠 윤은보, 윤은필, 동생 윤은좌 |
출생일 | 1481년 |
출생지 | 조선 |
사망지 | 조선 |
사망일 | 1568년 |
국적 | 조선 |
2. 생애
조선 제10대 임금인 연산군의 후궁이다. 본관은 해평(海平)으로[1], 1481년(성종 12년) 사섬시와 군기시 첨정을 지낸[2] 윤훤(尹萱)의 딸로 태어났다.
1501년(연산군 7년) 종2품 숙의(淑儀)로 입궁하였으나[3], 1506년(중종 원년)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폐위되면서 어려운 처지에 놓였다.[4] 이후 선조 대까지 생존하여 1568년(선조 원년) 향년 88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5]
2. 1. 입궁과 후궁 생활
1501년(연산군 7년) 음력 8월 1일, 연산군의 명으로 종2품 숙의(淑儀)에 봉해져 입궁하였다.[3] 그러나 1506년(중종 원년) 중종반정이 일어나 연산군이 폐위되면서, 윤씨는 의지할 곳을 잃게 되었다. 연산군과의 사이에서 자녀를 두지 못하여 조카 윤씨를 양녀로 삼아 후사를 이었다. 1519년(중종 14년) 음력 12월 17일에는 당시 생존해 있던 연산군의 숙의인 윤씨와 곽씨에게 중종이 혜양(惠養, 혜택을 베풀어 보살핌)하도록 명하였다는 기록이 있다.[4]2. 2. 중종반정 이후
1506년(중종 원년) 중종반정이 일어나 연산군이 폐위되면서, 윤씨는 의지할 곳을 잃었다. 연산군과의 사이에서 자녀를 두지 못했기 때문에 조카 윤씨를 양녀로 삼아 대를 이었다. 1519년(중종 14년) 음력 12월 17일에는 연산군의 숙의 중 윤씨와 숙의 곽씨만이 생존해 있었으며, 중종은 이들을 자비롭게 돌보라는 명을 내렸다.[4] 윤씨는 1568년(선조 원년)에 8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5]2. 3. 사망
윤씨는 1568년(선조 원년) 향년 88세를 일기로 사망했다[5].3. 관련 유물
숙의 윤씨의 생애를 기록한 백자청화 숙의윤씨 묘지가 전해진다.
3. 1. 백자청화 숙의윤씨 묘지
백자청화 숙의윤씨 묘지는 숙의 윤씨의 출생부터 사망까지의 주요 일대기를 백자 도판 3장에 나누어 기록한 것으로, 숙의 윤씨가 사망한 해인 1568년에 제작되었다. 크기는 가로 24.5cm, 세로 18.5cm이며, 두께는 1cm이다. 해당 유물은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으며, 2015년 5월 박물관 개관 80주년 기념 소장품 특별전 “조선백자”에서 전시된 바 있다.[6][7]4. 가족 관계
숙의 윤씨는 해평 윤씨 가문 출신으로, 아버지는 군기시첨정을 지낸 윤훤(尹萱)[2]이고 어머니는 부안 김씨[8]이다. 오빠로는 영의정을 지낸 윤은보(尹殷輔)[1]와 이조참판을 지낸 윤은필(尹殷弼)[11] 등이 있다. 연산군의 후궁이 되어 왕가인 전주 이씨와 인척 관계를 맺었다.
4. 1. 본가 (해평 윤씨)
- 증조부 : 수원부사 윤처성(水原府使 尹處誠)
- 증조모 : 미상
- * 조부 : 사헌부장령 윤면(司憲府掌令 尹沔, 생물년 미상)
- * 조모 : 정부인 인천 이씨(貞夫人 仁川 李氏, 생몰년 미상)
- ** 아버지 : 군기시첨정 윤훤(軍器寺僉正 尹萱, 1444~1504)[2]
- ** 어머니 : 정부인 부안 김씨(貞夫人 扶安 金氏, 생몰년 미상)[8]
오빠 : 의정부 영의정 윤은보(議政府 領議政 尹殷輔, 1468~1544)[1]
올케 : 정경부인 여산 송씨(貞敬夫人 礪山 宋氏, 생몰년 미상)[9]
올케 : 정경부인 양성 이씨(貞敬夫人 陽城 李氏, 생몰년 미상)[10]
오빠 : 이조참판 증 의정부 영의정 윤은필(吏曹參判 贈 領議政 尹殷弼, 생몰년 미상)[11]
올케 : 증 정경부인 평강 채씨(贈 貞敬夫人 平康 蔡氏, 생몰년 미상)[12]
동생 : 윤은좌(尹殷佐)
4. 2. 왕가 (전주 이씨)
참조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윤은보
https://terms.naver.[...]
[2]
두산백과
윤훤 묘 및 신도비
https://terms.naver.[...]
[3]
역사기록
연산군일기 41권, 연산 7년 8월 1일 병오 1번째기사
[4]
역사기록
중종실록 37권, 중종 14년 12월 17일 정축 4번째기사
[5]
기타
2015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개관 80주년 기념 소장품 특별전 <조선백자> 청소년 활동지 교사용 해설
http://search.naver.[...]
[6]
웹사이트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홈페이지 - 전시 - 지난 전시
http://cms.ewha.ac.k[...]
[7]
뉴스
단 한 점으로도 전시실을 꽉 채우는 백자
https://news.naver.c[...]
2015-06-11
[8]
인물
김모의 딸
[9]
인물
송거의 딸
[10]
인물
이원정의 딸
[1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윤은필
https://terms.naver.[...]
[12]
인물
채자연의 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