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코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OOP는 2005년 5월 'W'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여 2006년 '아프리카(afreeca)'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인터넷 방송 플랫폼이다. 2012년 '아프리카TV'로 명칭을 변경했으며, 2024년 10월 15일 SOOP로 재출범했다. e스포츠 사업 진출, 모바일 서비스 확대 등 기술적 발전을 이루었으며, BJ와 시청자 간의 소통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다양한 콘텐츠와 기능을 제공하며, '별풍선' 시스템을 통해 BJ 후원을 지원한다. 긍정적 영향과 함께 선정성, 불법 베팅, 갑질 논란 등 비판과 논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숲 (기업) -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는 곰TV가 2010년 8월에 시작한 세계 최초의 스타크래프트 II 공식 리그로, e스포츠 사상 최대 규모의 상금을 자랑하며, 여러 변화를 거쳐 현재까지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하고 있고, 영어 해설 방송 "테이스토시스"로도 인기를 얻었다. - 숲 (기업) - 프릭 업 스튜디오
프릭 업 스튜디오는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e스포츠 경기 및 방송 제작 스튜디오로, 곰TV 스튜디오에서 시작하여 아프리카TV에 인수된 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다양한 e스포츠 대회가 개최되고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와 아프리카TV 스타리그가 진행 중이다. - 생방송 스트리밍 서비스 - 니코니코 생방송
니코니코 생방송은 니코니코 동화에서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로, 다양한 형태의 방송과 시청자 소통 기능을 지원하며 사회적 역할 수행, 오프라인 행사 개최, 모바일 플랫폼 확장, 게임 실황 방송 합법화 등을 통해 발전해왔다. - 생방송 스트리밍 서비스 - 먹방
먹방은 방송 출연자가 음식을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콘텐츠로, 대한민국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산되며 인기를 얻었지만, 과식 조장, 섭식 장애 유발 등의 논란도 있는 문화 현상이다. - 인터넷 텔레비전 - 유튜브
유튜브는 2005년 설립되어 다양한 비디오 콘텐츠를 공유하는 세계 최대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으로 성장, 구글에 인수된 후 다양한 서비스를 출시하고 기술적 발전을 이루었으나, 저작권 문제, 극단주의 콘텐츠 확산, 개인정보보호 논란 등 사회적 문제에 직면해 광고 차단 프로그램 단속 강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 인터넷 텔레비전 - IPTV
IPTV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실시간 방송, VOD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텔레비전 서비스이며, 고속통신망과의 통합, 양방향 서비스 등의 장점을 가지지만 망 사업자 제한 등의 제한 사항도 존재한다.
| 숲코리아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웹사이트 정보 | |
| 이름 | 숲코리아 (아프리카 TV에서 개칭) |
| 그림 | Headquarter FunctionBay Pangyo Techno Valley.jpg |
| 그림 크기 | 250px |
| 그림 설명 | 성남시 판교에 위치한 회사 건물의 모습. |
| 종류 | 비디오 호스팅,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
| 회원 가입 | 선택 사항 |
| 시작일 | 2005년 |
| 언어 | 한국어 |
| 소유자 | SOOP |
| 제작자 | SOOP |
| 저작권 | SOOP |
| 현재 상태 | 운영중 |
| 주소 | 숲코리아 웹사이트 |
| 기타 정보 | |
| 영어 이름 | Soop |
| 코스닥 | 067160 |
2. 역사
2005년 5월 '''W (더블유)'''라는 서비스명으로 클로즈 베타 서비스를 시작, 2005년 8월 오픈 베타를 거쳐 2006년 아프리카(afreeca)란 이름으로 정식 오픈했다.[6] 2012년 4월 아프리카(afreeca)에서 아프리카TV(afreecaTV)로 사이트 이름이 변경되었다.
방송은 게임 방송을 넘어 택시 방송 등 직업 활동 방송까지[7], BJ도 젊은 층을 넘어 70대 할아버지까지[8], 일반인에서 연예인까지[9] 폭이 확대되고 있다.
2015년 12월에는 아프리카 프릭스를 창단하였다.
2020년 1월 기준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트래픽을 유발하는 사이트 29위에 랭크되어 있다.
2024년 10월 15일 10시''' 아프리카TV를 버리고 SOOP|숲영어로 재출범한다.[10]
2. 1. 서비스 시작과 명칭 변경
2005년 5월, '''W (더블유)'''라는 이름으로 클로즈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여 2005년 8월 오픈 베타 서비스를 거쳤다. 2006년 아프리카(afreeca)라는 이름으로 정식 오픈했고,[6] 2012년 4월에는 아프리카(afreeca)에서 아프리카TV(afreecaTV)로 사이트 이름이 변경되었다.[6]2. 2. 기술적 발전
2005년 'W'라는 서비스명으로 시작하여 2006년 아프리카TV로 정식 오픈한 초기에는 '아프리카TV 플레이어' 또는 '아프리카TV 플레이어 2.0'을 설치해야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고, 그리드 딜리버리 방식으로 서비스가 제공되었다.[6] 그러나 현재는 일반 스트리밍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2010년 11월 9일 이전까지는 프로그램 런처가 ActiveX 컨트롤이었기 때문에 윈도우 운영 체제와 인터넷 익스플로러 환경에서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다. 이후 마이크로소프트 실버라이트로 구현한 아프리카TV 2.0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다른 브라우저에서도 방송 시청이 가능해졌다. 2011년 5월 31일에는 실버라이트 기반의 웹 플레이어인 아프리카TV 플레이어 2.0이 오픈되었다. 이를 통해 인터넷 익스플로러 뿐만 아니라 크롬, 파이어폭스, 오페라, 사파리 등 다양한 브라우저에서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15년 9월 16일에는 웹형 플래시 플레이어를 모든 데스크탑 시청 플랫폼의 기본 플레이어로 변경하여 윈도우 뿐만 아니라 맥 환경에서도 별도 설치 없이 시청이 가능하게 되었다.
2009년 12월 9일에는 모바일 앱을 출시하여 iOS와 안드로이드 환경에서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초기 안드로이드 앱에서는 일부 기종에서 소리 지연 문제나 영상과 소리가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지만, 지속적인 패치를 통해 문제가 해결되었다.
2. 3. e스포츠 사업 진출
2015년 8월 1일, 숲코리아는 E스포츠 방송 사업 강화를 위해 그래텍과 인수 계약을 맺고 곰TV가 운영하던 곰eXP 스튜디오를 인수하여 프릭 업 스튜디오로 개명했다.[10] 10월 28일 프릭 업 스튜디오를 리뉴얼 개관했으며, 11월 1일에는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GSL) 운영권을 양도받았다.[10]2015년 이전에도 숲코리아는 외부 스튜디오를 대관하여 e스포츠 이벤트를 개최했으나, 프릭 업 스튜디오 인수 후 2016년부터 GSL을 인수인계받아 본격적으로 e스포츠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GSL뿐만 아니라 다양한 e스포츠 대회를 개최하거나 타사 e스포츠 대회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제작]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ASL)
-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GSL)
- 아프리카TV 배틀그라운드리그 (APL)
- LoL 레이디스 배틀
- LoL 챌린저스 코리아
- 아프리카TV 멸망전 (스타크래프트, LoL, 오버워치, 서든어택, 배틀그라운드)
- 하스스톤 배틀로얄
- 베인글로리8 스클릿2
[중계]
- 오버워치 APEX 중계
-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리그 한국어 중계
- LoL 챔피언스 코리아 중계
- 서든어택 챔피언스 리그
- 아프리카TV 철권 리그(ATL)
- 중국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리그(LPL) 한국어 중계
2. 4. SOOP로의 전환
SOOP영어로의 전환을 알린다.[10]3. 주요 기능
아프리카TV BJ 랭킹은 지난 7일 동안 받은 최고 시청자 수 평균의 30%, 애청자 지수 30%, UP 20%, 동영상 지수 20%를 반영하여 산정한다.
3. 1. 방송 시스템
BJ(Broadcasting Jockey)라 불리는 방송진행자가 동영상을 송출하면, 시청자는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해 송출 중인 채널 목록에서 보고 싶은 채널을 선택해 접속한다. 아프리카TV는 회원 수가 1200만 명을 넘어섰고, 하루 접속자는 350만 명을 넘는다. 평균 동시 방송 수는 5000개 정도이고, 최고 동시 시청자 수는 50만에 달한다. 한 개의 채널에 동시에 접속한 최고 시청자 수는 약 7만 명일 정도로 규모가 상당히 큰 인터넷 방송이다.[6] 시청자는 유료 아이템을 구매하여 본방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중계방'이라고 불리는 본방과는 별도의 중계 채널을 시청함으로 동시 접속 제한을 회피할 수 있다. '중계 채널'은 채널 목록에서는 원 채널과 연동되어 관리되며, BJ와 채팅으로 소통이 불가능하다.방송은 게임 방송을 넘어 택시 방송 등 직업 활동 방송까지[7], BJ도 젊은 층을 넘어 70대 할아버지까지[8], 일반인에서 연예인까지[9] 폭이 확대되고 있다.
2011년 5월 31일에는 아프리카TV 플레이어 2.0이 오픈되었다. 아프리카TV 플레이어 2.0은 실버라이트 기반의 웹 플레이어로 인터넷 익스플로러 뿐만 아니라 크롬, 파이어폭스, 오페라, 사파리 등의 브라우저에서도 최소한의 설치만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2015년 9월 16일에는 2014년 10월 16일에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웹형 플래시 플레이어를 모든 데스크톱 시청 플랫폼의 기본 플레이어로 변경하여, 기존 윈도우즈 뿐만 아니라 맥 환경에서도 아무런 설치 없이 시청이 가능하게 되었다.
3. 2. 시청 방식
아프리카TV의 회원 수는 1200만 명을 넘어섰고, 하루 접속자는 350만 명을 넘는다. 평균 동시 방송 수는 5000개 정도이고, 최고 동시 시청자 수는 50만에 달한다. 시청자는 '아프리카TV 플레이어' 또는 '아프리카TV 플레이어 2.0'을 설치해서 그리드 딜리버리 방식으로 서비스를 이용하거나,[6] 현재는 기본 일반 스트리밍 방식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 채널에 동시 접속한 최고 시청자 수는 약 7만 명일 정도로 규모가 크다.2011년 5월 31일에는 실버라이트 기반의 웹 플레이어인 아프리카TV 플레이어 2.0이 오픈되어, 인터넷 익스플로러 뿐만 아니라 크롬, 파이어폭스, 오페라, 사파리 등에서도 최소한의 설치만으로 이용이 가능해졌다.
2015년 9월 16일에는 2014년 10월 16일에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웹형 플래시 플레이어를 모든 데스크탑 시청 플랫폼의 기본 플레이어로 변경하여, 윈도우뿐만 아니라 맥 환경에서도 별도 설치 없이 시청이 가능하게 되었다.
2010년 11월 9일 이전에는 프로그램 실행기가 홈페이지에서 실행되는 ActiveX 컨트롤이었기 때문에, 윈도우 외의 운영 체제에서는 실행이 불가능했고, 인터넷 익스플로러 외 다른 브라우저에서는 검색 시 오류가 발생했다. 그러나 2010년 11월 9일 이후 마이크로소프트 실버라이트로 구현한 아프리카TV 2.0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여 인터넷 익스플로러 외 브라우저에서도 방송을 볼 수 있게 되었다. 현재는 웹 브라우저와 OS에 상관없이 모든 플랫폼에서 플래시 플레이어가 설치된 PC에서 시청이 가능하다.
2009년 12월 9일, 아프리카TV는 모바일 앱을 출시했다. 먼저 iOS용 모바일 플레이어를 개발, 공개한 뒤 안드로이드 버전 플레이어를 공개했다.
3. 3. 별풍선
Star Balloon영어은 아프리카TV에서 만든 방송 아이템이자 사이버 머니이다. 2007년 11월에 탄생했으며, 시청자가 다양한 결제 수단을 통해 별풍선을 구매하여 BJ에게 선물할 수 있다. 이는 일종의 기부금 형식의 시청료이다. 별풍선을 받은 BJ는 일정량이 모이면 본인 확인을 거쳐 현금으로 환전할 수 있다. 별풍선 한 개는 110원이다. 별풍선의 유효기간은 받은 날로부터 5년이며, 기간이 지나면 환전이 불가능하고 아프리카TV에 전액 귀속된다.[10]4. 콘텐츠
(현재 섹션은 상위 섹션으로, 하위 섹션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을 다루어야 합니다. 제공된 원본 소스와 하위 섹션 내용에는 현재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4. 1. 다양한 콘텐츠
아프리카TV는 게임 방송을 넘어 택시 방송 등 직업 활동 방송,[7] BJ도 젊은 층을 넘어 70대 할아버지,[8] 일반인에서 연예인까지[9] 그 폭이 확대되고 있다.5. 스튜디오
(주어진 조건에 따라 `source`가 비어있고, 이전 출력도 없으므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5. 1. 프릭 업 스튜디오
2015년 10월 28일 개관한 e스포츠 전용 스튜디오이다.[1] 2015년 8월 1일 곰eXP가 보유하고 있던 e스포츠 경기장 및 방송 스튜디오인 강남 곰eXP 스튜디오를 인수하여 프릭 업 스튜디오로 명칭을 변경하였다.[1] 2016년부터 곰eXP의 간판 e스포츠 대회였던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GSL)를 인수인계하여 본격적인 e스포츠 사업을 시작하였다.[1] 이후 GSL 뿐만 아니라 다양한 e스포츠 대회 및 이벤트를 실시하거나, 타사의 e스포츠 대회 스트리밍 서비스를 계속하고 있다.[1]| 제작 |
|---|
| 중계 |
|---|
6. 사회적 영향
(이전 출력에서 주어진 원본 소스가 비어있었기 때문에,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을 그대로 유지합니다.)
6. 1. 긍정적 영향
최군은 아프리카TV에서 인지도를 높여 공중파에 진출한 MBC 16기 공채 개그맨이다. 박명수가 그의 끼와 재능을 알아보고 발탁하여 공중파와 케이블TV에 출연하게 되었다.[10] 김마메, MC인진[11], 왕쥬, BJ쇼리, 돌+I 신동훈, 범프리카, 돌프, 대도서관 등도 화성인 바이러스, 놀라운 대회 스타킹, 세바퀴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출연했다.메이드는 아프리카TV BJ로 활동하다 프로듀서의 권유로 가수로 데뷔했다.[12] BJ돌프는 언더그라운드 활동 중 아프리카TV에서 랩, 게임 방송을 시작했고, 디지털 싱글을 발매하며 자신의 방송을 통해 곡을 공개하기도 했다.
언더그라운드 가수들은 오프라인 무대 대여 및 홍보 비용에 부담을 느끼지만, 인터넷 개인 방송은 저렴한 비용, 쌍방향 소통, 빠른 입소문 등의 장점을 제공하여 이들의 방송 참여가 늘고 있다.[12]
6. 2. 소통의 장
아프리카TV는 웹캠, 마이크, 컴퓨터만 있으면 누구나 방송을 할 수 있다. 사람들은 게임, 먹방, 스포츠 등 다양한 주제로 자신만의 방송 채널을 만들고, 사이트에 접속한 사람들이 검색을 통해 채널에 들어와 방송을 시청한다. 2014년 기준으로, 아프리카TV의 주 시청층은 10·20대로 이들은 전체 시청층의 60%를 차지한다. 40·50·60대가 텔레비전을 가장 친숙한 오락 매체로 여기며, 인터넷도 영화도 흔하지 않던 시절에 유년기를 보낸 이들에게 텔레비전이 유일한 영상 오락거리였다면, 10·20대는 자신들에게 가장 익숙한 매체인 인터넷으로 텔레비전을 보고 단순히 보는 것을 넘어 읽고 쓰고 말하며 시청한다. 10·20대는 아프리카TV를 통해 몇천 개의 채널 중 자신이 관심 있는 방을 선택해 시청하고 방송 진행자, 다른 시청자 등과 쉴 새 없이 채팅을 주고받으며 다른 이들의 생활을 배우고 친구를 만들고 자기 자신을 표현한다. 건국대학교 신경정신과 하지현 교수는 "아프리카TV를 주로 이용하는 10대들은 인터넷 소통이 현실 소통의 대체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부모 세대는 직접 얼굴을 보거나 목소리를 듣는 식으로 인간관계를 맺는 것과 인터넷으로 채팅을 하면서 인간관계를 맺는 것을 다르다고 생각하고, 후자가 좀 더 느슨한 형태의 인간관계라고 생각하지만 요즘 10대들은 둘 다 같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14]6. 3. 선거 운동 활용
2012년 19대 총선 선거 운동에 소셜 미디어가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아프리카TV 등의 개인 방송도 실시간 선거운동 방송으로 활용되었다. 유명 후보들의 방송 등장은 관심과 토론을 이끌어 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19대 총선의 일 평균 아프리카TV 선거방송 누적 시청자 수는 10만 명에 달했다.[13]7. 비판 및 논란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주어진 원본 소스를 바탕으로 '비판 및 논란' 섹션 내용을 직접 작성해야 합니다.)
아프리카TV는 플랫폼 운영, BJ의 일탈 행위, 승부조작 연루자 방송 등으로 인해 여러 비판과 논란에 휩싸였다.
플랫폼 운영과 관련해서는 스포츠 중계 시 저작권 문제와 사설 도박 알선 문제가 지적되었다. 아프리카TV는 KBO, KBL 등과 중계권 계약을 체결하여 저작권 문제를 일부 해결했지만, 사설 도박 알선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아프리카TV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15] 또한, 선정적인 방송으로 인해 여러 차례 문제가 발생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실시간 인터넷 방송의 유해 정보에 대한 집중 모니터링을 실시하기도 했다. 돈으로 환전 가능한 '별풍선'이 선정적 방송을 부추긴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16] 2016년에는 아프리카TV 대표 서수길이 PD수첩을 향해 욕설을 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19] 대도서관과 윰댕 부부의 방송 정지 사건은 많은 유명 BJ들이 아프리카TV를 떠나 유튜브, 카카오TV, 트위치 등으로 이적하는 계기가 되었다.[20]
BJ와 관련해서는, 일부 BJ들의 일탈 행위로 인해 여러 논란이 발생했다. 2010년에는 한 BJ가 팬클럽 회원들을 성폭행한 혐의로 구속되는 사건이 발생했다.[10] 2015년에는 BJ회훈이 방탄소년단의 뷔에 대한 허위사실을 유포하여 논란이 되었다.[10] 2016년에는 BJ 엄모씨 등이 고급 외제차를 몰고 난폭 운전을 한 혐의로 불구속 입건되었다.[10]
2010년 5월 스타크래프트 승부 조작 사건으로 영구 제명된 마재윤, 박찬수가 개인 방송을 진행하여 논란이 되었다.[17] 2015년 10월 20일 한국e스포츠협회는 인터넷 스트리밍 사이트에 승부조작 범죄자들의 e스포츠 공식 종목 방송 금지를 요청하였고, 아프리카TV 측은 이에 따라 승부조작 가담자들의 스타크래프트, 리그 오브 레전드 등 KeSPA 지정 공식 종목 개인 방송을 금지했다.[18]
7. 1. 플랫폼 운영 관련
아프리카TV는 스포츠 중계와 관련하여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저작권이 있는 영상을 무단으로 송출하는 것은 불법이지만, 아프리카TV는 KBO, KBL 등과 중계권 계약을 체결하여 이러한 문제를 일부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사설 도박 알선 문제가 존재하며, 아프리카TV 측은 50명 이상의 요원을 투입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15]또한, 선정적인 방송으로 인해 여러 차례 문제가 발생했다. 2008년에는 한 여성 BJ의 알몸이 방송되는 사고가 있었고, 2011년에는 남성 BJ가 랜덤 채팅 중 상대방의 성기 노출을 중계하여 논란이 되었다. 아프리카TV는 해당 BJ를 영구 정지시켰으나 곧 사면하여 복귀시켰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2011년 5월에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실시간 인터넷 방송의 유해 정보에 대한 집중 모니터링을 실시하기도 했다. 돈으로 환전 가능한 '별풍선'이 선정적 방송을 부추긴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16]
2016년 4월 29일에는 아프리카TV 단합대회에서 대표 서수길이 PD수첩을 향해 욕설을 하여 논란이 되었다. PD수첩은 4월 12일에 아프리카TV의 문제점을 보도한 바 있으며, 욕설 파문 이후 법적 대응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19]
대도서관과 윰댕 부부는 시노자키 아이를 초대한 게임 광고 방송 중 아프리카TV 측으로부터 호스팅 비용 문제로 방송 정지 통보를 받았다. 대도서관 측은 억울함을 호소하며 유튜브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고, 비난 여론이 거세지자 아프리카TV는 정책을 수정했다. 그러나 이 사건으로 인해 양띵, 머독, 풍월량 등 많은 유명 BJ들이 아프리카TV를 떠나 유튜브, 카카오TV, 트위치 등으로 이적했고, 아프리카TV의 주가 하락으로 이어졌다.[20]
7. 2. BJ 관련
BJ(Broadcasting Jockey)는 아프리카TV에서 활동하는 인터넷 방송인을 지칭한다. 이들은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시청자들과 소통하지만, 일부 BJ들의 일탈 행위로 인해 여러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2010년에는 한 BJ가 팬클럽 회원들을 성폭행한 혐의로 구속되는 사건이 발생했다.[10] 이 BJ는 3년 동안 미성년자 팬클럽 회원 10명 이상을 성추행한 혐의도 받았다. 그는 사죄 방송 후 자숙하겠다고 밝혔으나 결국 구속되었다.
2015년 7월에는 BJ회훈이 방탄소년단의 뷔에 대한 허위사실을 유포하여 논란이 되었다.[10] BJ회훈은 뷔가 자신의 초등학교 동창이며 성형수술을 했다고 주장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져 시청자들의 비판을 받았다. 이후 BJ회훈은 공식 사과문을 올렸다.
2016년 3월 23일에는 BJ 엄모씨 등 3명이 서울 강변북로에서 고급 외제차를 몰고 난폭 운전을 한 혐의로 불구속 입건되었다.[10] 이들은 2015년 11월 29일 새벽 1시경, 강변북로 20km 구간을 시속 180km로 과속하며 레이싱 장면을 아프리카TV로 생중계했다. 이 과정에서 차선 변경 시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는 등 난폭 운전을 일삼았고, 한 시청자의 제보로 경찰에 검거되었다. 엄씨는 별풍선을 얻기 위해 이러한 방송을 했다고 혐의를 인정했다.
7. 3. 승부조작 연루자 방송
2010년 5월 스타크래프트 승부 조작 사건으로 영구 제명된 마재윤, 박찬수가 2011년 6월부터 집행유예 기간 중에 개인 방송을 진행하여 논란이 되었다.[17] 2015년 10월 20일 한국e스포츠협회는 인터넷 스트리밍 사이트에 승부조작 범죄자들의 e스포츠 공식 종목 방송 금지를 요청하였고, 아프리카TV 측은 이에 따라 승부조작 가담자들의 스타크래프트, 리그 오브 레전드 등 KeSPA 지정 공식 종목 개인 방송을 금지했다.[18]8. 사건 사고
제시된 자료에는 숲코리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건 사고는 나타나 있지 않다. 다만, 2018년 12월 29일 아프리카TV 연말 시상식에서 진워렌버핏이 거제폭격기에게 난입한 사건이 있었다.[21]
8. 1. 진워렌버핏 난입 사건
2018년 12월 29일, 아프리카TV 연말 시상식에서 사건이 발생했다. 라이프 분야 대상을 수상한 거제폭격기가 수상 소감을 말하려는 순간, 과거 나체 방송으로 아프리카TV에서 영구 정지된 진워렌버핏이 갑자기 난입했다.[21] 진워렌버핏은 거제폭격기의 멱살을 잡고 "아프리카TV 회장님, 저 진워렌버핏인데요 영구 정지 좀 풀어주세요, 저 아프리카 TV에서 방송하고 싶어요!"라고 소리쳤다.[21] 이후 진행 요원들에게 제지당해 끌려나갔는데, 끌려나가면서 자신의 명함을 무대 위에 뿌렸다.[21]참조
[1]
뉴스
아프리카TV, 내년 플랫폼 질적 성장-신한투자
http://www.newstomat[...]
뉴스토마토
2014-12-29
[2]
뉴스
아프리카TV, 다양한 컨텐츠 새로운 수익모델 창출 기대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2014-12-30
[3]
뉴스
아프리카TV, 내년 플랫폼 부문 성장 전망
https://news.naver.c[...]
서울경제
2014-12-29
[4]
뉴스
아프리카TV, 아나키 소속 대거 영입 '아프리카 프릭스' 창단
http://sports.news.n[...]
인벤
2015-12-30
[5]
뉴스
모바일 시대, '동영상' 금맥 캐는 업체들
http://www.bizwatch.[...]
비즈니스워치
2017-05-02
[6]
웹사이트
아프리카 TV 이용약관
http://www.afreeca.c[...]
[7]
뉴스
‘아이유 택시’ 임이택씨 “내 덕 봤으니 밥한끼 사요”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0-08-13
[8]
뉴스
60대 할아버지의 개인방송, 네티즌들 연령층 넘어 큰 호응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6-12-19
[9]
뉴스
성유리, 7분 인터넷 방송 '레알 성유리예요'
http://osen.mt.co.kr[...]
오센
2011-09-25
[10]
뉴스
아프리카TV 명칭, 18년 만에 'SOOP'으로 변경…리브랜딩 완료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4-10-15
[11]
문서
윰댕의 전남편이다.
[12]
뉴스
아프리카TV, 가수들의 새 홍보채널로 관심
http://www.acrofan.c[...]
아크로팬
2010-07-09
[13]
뉴스
동영상 서비스, 선거 운동 '새바람'
http://news.inews24.[...]
아이뉴스24
2012-04-06
[14]
뉴스
먹방, 공방, 겜방… 아프리카TV는 10·20대 소통의 장
http://zum.com/#!/ne[...]
경향신문
2014-04-18
[15]
뉴스
“오늘도 꽝, 자살하고파” ‘아프리카’ 에서는…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2-02-21
[16]
뉴스
모니터 속 BJ의 노골적 유혹
http://www.ilyoseoul[...]
일요서울
2012-03-13
[17]
뉴스
별풍으로는 부족했나, 마재윤 ‘스타1’ 유료강습 논란
http://www.gamemeca.[...]
게임메카
2012-03-30
[18]
뉴스
아프리카 TV 승부조작 관련 공식 입장 발표, "불법 행위 근절에 나서겠다"
http://game.xportsne[...]
엑스포츠뉴스
2015-10-23
[19]
뉴스
아프리카TV 대표, 비판 보도에 대놓고 '욕설'
http://imnews.imbc.c[...]
MBC 뉴스
2016-05-01
[20]
뉴스
대도서관·윰댕·밴쯔... 아프리카TV 떠나는 유명 인터넷 BJ들
http://www.joongboo.[...]
중부일보
2016-10-20
[21]
뉴스
"영구정지 풀어주세요" 아프리카 시상식, 진워렌버핏 무대 난입
https://entertain.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