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니스와프 미코와이치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타니스와프 미코와이치크는 폴란드의 정치인으로, 1930년부터 1935년까지 세임 의원을 역임하고, 1931년부터 1939년까지 농민당 좌파 최고 평의회 멤버로 활동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망명 정부의 내무 장관과 총리를 지냈으며, 전후 폴란드로 돌아와 부총리 겸 농업·농지 개혁 장관을 역임했다. 그는 공산주의 세력에 대항하여 농민당을 재건했으나, 탄압을 피해 1947년 미국으로 망명했다. 이후 폴란드의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활동을 펼치다 1966년 사망했으며, 2000년 유해가 폴란드로 반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관련자 - 알렉산데르 프리스토르
폴란드의 정치인이자 군인인 알렉산데르 프리스토르는 폴란드 사회당에서 활동하며 유제프 피우수트스키의 측근으로, 제2차 폴란드 공화국 시기에 장관과 총리를 역임하고 상원 의장을 지냈으나, 폴란드 침공 후 소련 NKVD에 체포되어 사망했다. - 폴란드의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관련자 - 보이시에흐 나이사레크
보이시에흐 나이사레크는 폴란드 군인이자 철도 관리자로,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참전 후 폴란드 국영 철도에서 근무하다가 그단스크-베스터플라테 역 역장으로 임명되어 베스터플라테 전투에서 전사, 제2차 세계 대전의 첫 희생자 중 한 명으로 기록되었다. - 폴란드의 각료 - 펠리치안 스와보이 스크와트코프스키
폴란드의 군인이자 정치인인 펠리치안 스와보이 스크와트코프스키는 의사 출신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폴란드-소비에트 전쟁에 참전한 후 내무부 장관을 거쳐 폴란드 총리를 역임하며 국가 행정 체제 개선에 힘썼으나 반유대주의적 태도로 비판받았고, 폴란드 침공 후 망명하여 런던에서 생을 마감했다. - 폴란드의 각료 - 바츠와프 시에로셰프스키
바츠와프 시에로셰프스키는 폴란드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작가로, 시베리아 유형 중 야쿠트족을 연구하여 ≪야쿠트인≫을 저술했으며, 폴란드 제2공화국에서 상원의원과 작가협회장을 역임하고 조선에 대한 여행기를 남기기도 했다.
스타니스와프 미코와이치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스타니스와프 미코와이치크 |
출생일 | 1901년 7월 18일 |
출생지 | 도르스텐, 독일 제국 |
사망일 | 1966년 12월 13일 (향년 65세) |
사망지 | 워싱턴 D.C., 미국 |
정치 경력 | |
망명 중인 폴란드 총리 | 임기 시작: 1943년 7월 14일 임기 종료: 1944년 11월 24일 |
대통령 | 브와디스와프 라치키에비치 |
부통령 | 얀 크바핀스키 얀 스타니스와프 얀코프스키 |
이전 | 브와디스와프 시코르스키 |
이후 | 토마시 아르치셰프스키 (폴란드 망명 정부) 에드바르트 오숩카-모랍스키 (국내) |
폴란드 부총리 | 임기 시작: 1945년 6월 28일 임기 종료: 1947년 2월 6일 |
대통령 | 볼레스와프 비에루트 |
총리 | 에드바르트 오숩카-모랍스키 |
이전 | 스타니스와프 야누시 |
이후 | 안토니 코지츠키 알렉산데르 자바츠키 힐라리 민츠 힐라리 헤우호프스키 스테판 옌드리호프스키 타데우시 게데 |
농업농촌개발부 장관 | 임기 시작: 1945년 6월 28일 임기 종료: 1947년 2월 6일 |
대통령 | 볼레스와프 비에루트 |
총리 | 에드바르트 오숩카-모랍스키 |
이전 | 에드바르트 베르톨트 |
이후 | 얀 동프-코치오우 |
폴란드 인민당 대표 | 임기 시작: 1945년 10월 31일 임기 종료: 1947년 10월 27일 |
이전 | 빈첸티 비토스 |
이후 | 유제프 니에치코 |
소속 정당 | |
정당 | 인민당 폴란드 인민당 |
2. 생애
1931년부터 1939년까지 농민당 좌파 최고 평의회 멤버였으며, 1930년부터 1935년까지 폴란드 하원 의원을 역임했다. 1939년 9월,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런던으로 망명하여 폴란드 망명 정부의 내무장관이 되었다. 1943년 7월, 망명 정부 총리 브와디스와프 시코르스키가 사망하자, 그 뒤를 이어 1944년 11월까지 망명 정부 총리를 역임했다.[1][2][3][4]
1945년 6월, 폴란드로 귀국하여 폴란드 국민해방위원회(루블린 정권)와 망명 정부 일부 정치인들에 의해 발족된 거국 일치 임시 정부에 부총리 겸 농업·농지 개혁 장관으로 입각했다. 그해 8월, 소련의 지원을 받아 세력을 확대하던 폴란드 노동자당에 대항하여 농민당을 재건하고 당수로서 공산주의 세력에 대항했다.[4]
그러나 1947년, 소련군과 노동자당의 농민당 탄압으로 미코와이치크는 신변에 위협을 느껴 10월 17일 망명을 결심했다. 10월 20일 밤, 영국과 미국 대사관의 도움으로 바르샤바를 탈출, 다음 날 21일 오전에 해로로 런던으로 향했다. 1966년, 미국 워싱턴 D.C.에서 사망했다.[4]
2. 1. 초기 생애와 정치 입문 (1901-1939)
스타니스와프 미코와이치크는 1901년 독일 제국 포젠 주의 포즈난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서부 독일 베스트팔렌으로 이주해 광산 지역에서 일했는데, 당시 많은 폴란드인들이 이주했던 것처럼 미코와이치크도 그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이들은 루르 폴란드인으로 알려짐) 10세 때 포즈난으로 돌아왔다.[1]10대 시절, 미코와이치크는 사탕무 정제소에서 일하며 폴란드 애국 단체에서 활동했다. 1920년 폴란드가 독립을 되찾자 폴란드군에 입대하여 폴란드-소련 전쟁에 참전했다. 바르샤바 근처에서 부상을 입고 제대한 후, 포즈난 인근 아버지의 농장을 물려받았다.[1]
1920년대 미코와이치크는 폴란드 인민당 "피아스트"(PSL)에서 활동하며 포즈난 지방 정부에서 여러 직책을 맡았다. 1929년 세임 (폴란드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935년에는 PSL 집행위원회 부위원장, 1937년에는 당 대표가 되었다. 그는 1935년 유제프 피우수트스키 사망 이후 폴란드에 수립된 권위주의 정권에 적극적으로 반대했다.[1]
2. 2. 제2차 세계대전과 망명 정부 (1939-1945)
1939년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 당시, 미코와이치크는 폴란드 군대에 사병으로 참전하여 바르샤바 방어전에서 싸웠다.[1] 바르샤바 함락 후 헝가리를 거쳐 유고슬라비아 왕국과 이탈리아를 지나 프랑스로 탈출, 폴란드 망명 정부에 합류하여 폴란드 국민 의회 부의장을 맡았다.[2][3] 1941년에는 망명 정부 내무부 장관 및 부총리를 역임했다.1943년 4월, 독일군은 카틴 학살을 통해 소련이 살해한 폴란드 장교들의 무덤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미코와이치크 정부는 소련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요시프 스탈린은 망명 정부와의 관계를 단절했다. 같은 해 7월, 브와디스와프 시코르스키 총리가 비행기 사고로 사망하자 미코와이치크가 총리직을 승계했다.[4]
총리 재임 기간 동안, 미코와이치크는 연합국과 소련 사이에서 폴란드의 독립과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취임 연설에서 "정치적, 종교적, 개인적 자유뿐만 아니라 사회적 및 경제적 자유,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훌륭하게 이야기한 4가지 자유를 실천하는 사회 민주주의"를 원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스탈린은 폴란드 동부 영토(크레시) 합병과 공산주의 정부 수립을 시도했고, 미코와이치크는 이에 강력히 반대했다. 윈스턴 처칠은 미코와이치크와 스탈린 간의 회담을 중재하려 했으나, 카틴 학살과 폴란드의 전후 국경 문제 등으로 인해 실패했다.
2. 3. 전후 폴란드에서의 활동과 망명 (1945-1966)
1945년 6월, 미코와이치크는 폴란드로 귀국하여 국민 통합 임시 정부(TRJN)에 부총리 겸 농업부 장관으로 참여했다.[4] 귀국 후, PSL을 재건하여 당 대표가 되었고, PSL은 곧 폴란드에서 가장 큰 정당이 되었다. 공산주의자들은 얄타 회담에서의 약속에도 불구하고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막으려 했다.1946년 6월, '3xTAK'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PSL은 공산주의 세력에 대한 시험으로 상원 폐지안에 반대했지만, 공산주의 통제 하의 내무부는 조작된 결과를 발표했다.[4] 1947년 폴란드 총선까지 PSL은 심한 박해를 받았고, 수백 명의 후보가 선거 운동을 할 수 없었다.
1946년부터 1948년까지 군사 법원은 32,477명(대부분 민주당 당원)에게 '국가에 대한 범죄' 혐의로 유죄를 선고했다. 1947년 폴란드 총선 결과는 공산주의 통제 하의 "민주 블록(폴란드)"에 394석, PSL에 28석을 배분했는데, 이는 대규모 선거 사기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결과였다. 야당은 공정한 선거였다면 80%의 득표율을 얻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코와이치크는 항의의 표시로 정부에서 사임했고, 체포 위협을 느껴 1947년 10월 영국과 미국의 도움으로 폴란드를 탈출했다. 런던에서 망명 폴란드 정부는 그를 배신자로 여겼다. 그는 미국으로 이민을 갔고, 1966년 워싱턴 D.C.에서 사망했다. 2000년 6월, 그의 유해는 폴란드로 반환되어 안장되었다. 그의 문서들은 스탠퍼드 대학교의 후버 전쟁·혁명·평화 연구소에 보관되어 있다.
3. 유산 및 평가
미코와이치크는 선거가 정직하게 치러졌다면 총리가 되었을 것이 분명했지만, 항의의 표시로 즉시 정부에서 사임했다. 체포를 피해 그는 10월에 국외로 탈출했다. 런던에서 그를 만난 윈스턴 처칠은 "자네가 살아남아 나올 줄은 몰랐네"라고 말했다. 런던에서 망명 폴란드 정부는 그가 공산주의자들과 협력했다는 이유로 그를 배신자로 여겼다. 그는 미국으로 이민을 갔고, 1966년에 사망했다. 2000년 6월에 그의 유해는 폴란드로 반환되어 안장되었다. 그의 문서들은 스탠퍼드 대학교의 후버 전쟁·혁명·평화 연구소에 보관되어 있다.[1]
야누시 페텔스키가 감독하고 아담 페렌치가 미코와이치크 역을 맡은 영화, ''투표할 권리'' (''O Prawo Głosu'', 2008)는 미코와이치크의 투쟁을 그리고 있다.[2]
그의 저서는 다음과 같다.
제목 | 출판 정보 | 비고 |
---|---|---|
폴란드의 강간: 소련의 침략 패턴 | 런던, Sampson Low, Martson & Co., LTD, 1948. 뉴욕, Whittlesey House, McGraw-Hill Book Company, 1948 https://www.questia.com/PM.qst?a=o&d=77426438 | |
『빼앗긴 조국 폴란드 - 미코와이치크 회고록』 | 주오코론 신샤(일본어판), 2001년 | 영제: The Rape of Poland |
스타니스와프 미코와이치크, 현실주의자의 쇠퇴 | 바르샤바, Agencja Omnipress, 1991 | |
스타니스와프 미코와이치크 | 토론토, Century Publ. Co., 1996 | |
스타니스와프 미코와이치크: 어려운 귀환 | 바르샤바, Muzeum Historii Polskiego Ruchu Ludowego, 2002 |
4. 저서
- The Rape of Poland: Pattern of Soviet Aggression|빼앗긴 조국 폴란드: 소련 침략의 패턴영어, Sampson Low, Marston & Co., 1948. (영어판)
- The Rape of Poland: Pattern of Soviet Aggression|빼앗긴 조국 폴란드: 소련 침략의 패턴영어, Whittlesey House, McGraw-Hill Book Company, 1948. (영어판)
- Stanisław Mikołajczyk, czyli, Porażka realisty|스타니스와프 미코와이치크, 즉 현실주의자의 패배pl, Agencja Omnipress, 1991. (폴란드어판)
- Stanisław Mikołajczyk|스타니스와프 미코와이치크영어, Century Publ. Co., 1996. (영어판)
- Stanisław Mikołajczyk: trudny powrót|스타니스와프 미코와이치크: 어려운 귀환pl, Muzeum Historii Polskiego Ruchu Ludowego, 2002. (폴란드어판)
- The Rape of Poland|빼앗긴 조국 폴란드일본어, 주오코론 신샤, 2001. (일본어판)
5. 참고 문헌
- Stanisław Mikołajczyk|스타니스와프 미코와이치크영어, ''The Rape of Poland: Pattern of Soviet Aggression'' (폴란드의 강간: 소련의 침략 패턴). Sampson Low, Martson & Co., 1948. McGraw-Hill Book Company, 1948. https://www.questia.com/PM.qst?a=o&d=77426438
- Andrzej Paczkowski|안제이 파치코프스키pl, ''Stanisław Mikołajczyk, czyli klęska realisty'' (스타니스와프 미코와이치크, 현실주의자의 쇠퇴). Agencja Omnipress, 1991.
- Roman Buczek|로만 부체크영어, ''Stanisław Mikołajczyk''. Century Publ. Co., 1996.
- Janusz Zmitruk|야누시 즈미트루크pl, ''Stanisław Mikołajczyk : trudny powrót'' (스타니스와프 미코와이치크: 어려운 귀환). Muzeum Historii Polskiego Ruchu Ludowego, 2002.
참조
[1]
서적
The Pattern of Soviet Domination
Sampson Low, Marston & Co
1948
[2]
서적
The Pattern of Soviet Domination
Sampson Low, Marston & Co
1948
[3]
서적
The Pattern of Soviet Domination
Sampson Low, Marston & Co
1948
[4]
서적
The Poles in Britain 1940–2000
[5]
서적
A handbook of the communist security apparatus in East Central Europe 1944–1989
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 Warsaw
2005
[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poweroffr[...]
Centre for European Studies
2012-04-05
[7]
웹사이트
Wprost 24 – Demokracja urn
http://www.wprost.pl[...]
Wprost.pl
2009-08-22
[8]
서적
あの時、世界は… 磯村尚徳・戦後史の旅 (1)
日本放送出版協会
197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