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탠윅스 요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탠윅스 요새는 1758년, 주요 수로를 방어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1768년에는 영국군과 이로쿼이 연방 간 조약 회담이 열렸으며, 미국 독립 전쟁 중에는 식민지군이 재점령하여 포트 스카일러로 개칭되었다. 1777년 영국군의 포위 공격을 받았으나, 요새는 함락되지 않았고, 1781년 소실된 후 재건되지 않았다. 1784년에는 미국과 아메리카 원주민 간의 조약이 체결되었다. 1935년 국립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1970년대 재건되어 현재 국립공원관리청에서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욕주의 요새 - 윌리엄 헨리 요새
    윌리엄 헨리 요새는 프랑스-인디언 전쟁 중 영국군이 건설한 뉴욕주 조지 호수 남쪽 요새로, 프랑스 요새 공격 전초기지이자 뉴욕-몬트리올 수로 요충지였으나, 프랑스군 공격, 항복, 학살 사건으로 알려졌으며, 복제 요새 재건 후 영화 배경으로도 등장했다.
  • 뉴욕주의 요새 - 미국 육군사관학교
    미국 육군사관학교는 1802년 설립된 뉴욕주 웨스트포인트 소재의 육군 사관학교로, 4년제 학사 학위 과정을 통해 육군 소위 임관 자격을 부여하며, 역사적으로 저명한 지도자들을 배출하고 "의무, 명예, 국가"라는 모토로 대표되는 강한 전통을 지닌다.
  • 뉴욕주의 국립역사기념물 - 미국 육군사관학교
    미국 육군사관학교는 1802년 설립된 뉴욕주 웨스트포인트 소재의 육군 사관학교로, 4년제 학사 학위 과정을 통해 육군 소위 임관 자격을 부여하며, 역사적으로 저명한 지도자들을 배출하고 "의무, 명예, 국가"라는 모토로 대표되는 강한 전통을 지닌다.
  • 뉴욕주의 국립역사기념물 - 나이아가라 요새
    나이아가라 요새는 프랑스에 의해 건설된 후 프랑스, 영국, 미국의 지배를 거치며 주요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전략적 요충지로서, 현재는 역사적 재연 행사와 전시를 통해 일반에 공개된 주립공원 및 박물관이며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국립 역사 랜드마크 등으로 지정되었다.
스탠윅스 요새
지도
스탠윅스 요새 재건의 항공 뷰
스탠윅스 요새 재건의 항공 뷰
기본 정보
이름스탠윅스 요새
NRHP 유형국립 역사 랜드마크 (nhl)
국립 기념물 (nmon)
위치뉴욕주 로마 북쪽 제임스 거리 100번지
좌표43°12′38″N 75°27′19″W
면적16 에이커 (약 64,750 제곱미터)
건설1758년
지정 NRHP 유형1962년 11월 23일 (국립 역사 랜드마크)
1935년 8월 21일 (국립 기념물)
추가1966년 10월 15일
방문객 수84,933명 (2002년)
웹사이트Fort Stanwix National Monument
참조 번호66000057
추가 정보
관련 웹사이트Fort Stanwix National Monument (U.S. National Park Service)
Willet Center

2. 역사적 배경

스탠윅스 요새는 1758년 영국군에 의해 건설되었다. 이 요새는 오나이다 캐리로 알려진, 대서양 해안으로 이어지는 주요 수로(모호크강)와 온타리오호로 이어지는 중요한 내륙 수로(우드 크릭과 오나이다 호) 사이의 육로 운송로를 방어하기 위한 전략적 요충지였다.[6]

1768년에는 이 요새에서 영국과 이로쿼이 연방 간의 중요한 조약 회담이 열렸다. 그러나 이 무렵 요새는 이미 낡아 사용되지 않는 상태였으며, 같은 해 공식적으로 폐기되어 이후 폐허로 남게 되었다.[6]

2. 1. 1768년 스탠윅스 요새 조약

1768년 스탠윅스 요새는 영국이로쿼이 연맹 간의 중요한 조약 회담이 열린 장소였으며, 윌리엄 존슨이 이를 주선했다.[6] 이 조약이 체결될 당시 요새는 이미 낡아 사용되지 않는 상태였다. 회담의 주요 목적은 1763년 선언으로 설정된 아메리카 원주민의 토지와 백인 정착지 사이의 경계선을 재협상하는 것이었다. 영국 정부는 이를 통해 비용이 많이 들고 골치 아픈 국경 지역의 분쟁을 종식시키기를 기대했다. 반면,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새롭고 영구적인 경계선이 백인들의 식민지 확장을 막아줄 것이라고 희망했다.

최종 조약은 1768년 11월 5일에 서명되었으며, 기존 1763년 선언에서 정한 경계선을 훨씬 더 서쪽으로 확장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 조약을 통해 이로쿼이 연맹은 사실상 켄터키 지역에 대한 권리를 영국 측에 넘겨주었다. 그러나 정작 켄터키 땅을 실제로 사용하고 있던 쇼니 족, 델라웨어 족, 체로키 족 등 다른 부족들은 이 협상 과정에 전혀 참여하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1768년 스탠윅스 요새 조약은 진정한 평화를 가져오기보다는, 관련 당사자들의 이해관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함으로써 오히려 이후 벌어질 더 큰 갈등의 씨앗을 뿌린 셈이 되었다.

2. 2. 미국 독립 전쟁과 스탠윅스 요새

1776년 7월 12일, 엘라이어스 데이턴 대령이 이끄는 대륙군은 요새를 다시 점령했다. 그들은 요새를 재건하고 이름을 '''포트 스카일러'''(Fort Schuyler)로 바꾸었지만,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포트 스탠윅스'''(Fort Stanwix)라고 불렀다. 1777년 5월 3일에는 피터 간세부르트 대령이 요새의 지휘를 맡게 되었다.

1777년 8월 3일, 배리 세인트 레저 준장이 지휘하는 영국군(왕립 제8보병연대, 왕당파, 그리고 원주민 동맹군)이 요새를 포위했다. 이는 미국 식민지를 분할하려는 영국군의 세 갈래 사라토가 작전 중 하나였다. 간세부르트 대령은 영국군의 항복 제안을 단호히 거부했고, 이로써 스탠윅스 요새 포위전이 시작되었다.

민간 전승에 따르면, 1777년 8월 3일 식민지군이 요새에 깃발을 게양한 것이 미국의 국기가 전투에서 처음 사용된 사례라고 전해진다. 그러나 실제로 포트 스카일러에 게양된 깃발은 별 대신 13개의 줄무늬만 있는 깃발, 뉴욕 주의 기 초기 형태, 혹은 그랜드 유니언 기였을 가능성이 더 높다.

요새 포위 중, 니콜라스 허키머 장군이 이끄는 미군 구원대가 요새로 향하다가 몇 마일 떨어진 곳에서 토리와 원주민 동맹군의 매복 공격을 받아 오리스카니 전투가 벌어졌다. 포위군의 상당수가 이 전투에 투입된 틈을 타, 요새 안의 수비대는 밖으로 나가 비어있는 적의 야영지를 급습하여 물자를 약탈하고 파괴했다. 이 전투와 기습 공격으로 사기가 떨어진 영국군은 베네딕트 아놀드 장군이 이끄는 또 다른 미군 구원대가 접근하고 있다는 소식에 결국 포위를 풀고 철수했다. 영국군은 캐나다를 거쳐 타이컨더로가 요새에 있는 존 버고인 장군의 부대에 합류하기 위해 물러났다.

영국군이 스탠윅스 요새를 점령하지 못하고 모호크 계곡으로 진격하는 데 실패한 것은 영국군에게 큰 타격이었으며, 이는 이후 존 버고인 장군이 사라토가 전투에서 패배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1779년 4월, 거스 밴 스하이크 대령이 이끄는 대륙군은 포트 스카일러를 거점으로 삼아 이로쿼이 연맹의 일부인 오논다가 족에 대한 원정을 시작했다.

1781년 5월 13일, 요새는 큰 화재로 완전히 불탔고 다시 재건되지 않았다. 결국 요새는 버려졌고, 수비대는 인근의 허키머 요새로 이동했다.

2. 3. 1784년 스탠윅스 요새 조약

두 번째 스탠윅스 요새 조약은 1784년 미국인과 아메리카 원주민 간에 스탠윅스 요새에서 체결되었다.

3. 스탠윅스 요새 국립 기념물

재건된 도개교와 커튼 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1935년 8월 21일 스탠윅스 요새를 국립 기념물로 지정하는 법안에 서명했다.[9] 그러나 당시 기념물 부지에는 로마 시내의 상업 시설과 주거지가 들어서 있었다. 1960년대에 로마 시 지도자들은 도시 활성화를 위한 도시 재개발 계획의 하나로 요새 재건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뉴욕주 북부에서 지지를 얻고자 했던 로버트 F. 케네디 상원의원의 정치적 영향력으로, 국립공원관리청은 다소 소극적이었으나 결국 혁명 전쟁 시대의 요새를 재건하는 데 동의했다.[10]

국립공원관리청은 1967년에 스탠윅스 요새 복원을 위한 기본 계획을 수립했고, 1970년부터 3년간 고고학 조사를 진행했다. 본격적인 요새 재건 공사는 1974년에 시작되었으며, 부분적으로 완성된 요새는 미국 독립 200주년 기념 행사가 열린 1976년에 대중에게 처음 공개되었다.[11] 현재의 요새 구조물은 흙과 목재로 덮인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내부에 3개의 독립된 건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1978년에 최종 완공되었다.[12]

1976년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국립 기념물은 방문객들에게 미국 독립 전쟁 당시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해, 요새 포위 공격 직후(1777–1778년) 상황을 중심으로 1인칭 해석(living history) 방식을 사용했다. 최근에는 3인칭 시점의 해설을 통해 프랑스-인디언 전쟁 시기부터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여러 조약 협상 장소로서 요새가 했던 역할까지 설명하며 방문객의 이해를 넓히고 있다.[13] 2005년에는 새로운 방문자 센터가 문을 열었다. 현재 이 기념물은 연중 개방되며, 국립공원관리청에서 운영한다.

참조

[1] 웹사이트 Fort Stanwix http://tps.cr.nps.go[...] National Park Service 2007-09-13
[2] 간행물 NRISref
[3] 웹사이트 Fort Stanwix National Monument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4] 웹사이트 Willet Center http://www.nps.gov/a[...] 2021-09-18
[5] 웹사이트 I. THE ONEIDA CARRING[sic] PLACE AND ITS EARLY FORTS https://www.nps.gov/[...] 2020-08-30
[6] 웹사이트 Treaties of Fort Stanwix {{!}} North America [1768 and 1784]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6-25
[7] 웹사이트 Fort Stanwix National Monument; Red, White, Blue – and Gold http://www.nps.gov/f[...]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2015-02-26
[8] 서적 Casemates and Cannonballs.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at Fort Stanwix https://archive.org/[...]
[9] 웹사이트 75 Years – Thank You to The People who Refused to Forget: 1935–2010 http://www.nps.gov/f[...]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2017-01-31
[10] 서적 Fort Stanwix National Monument: reconstructing the past and partnering for the futur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