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63년 선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763년 선언은 1763년 파리 조약 이후 영국이 북미 대륙에서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표한 선언이다. 이 선언은 대서양 연안의 영국 식민지와 애팔래치아 산맥 서쪽의 아메리카 원주민 소유 토지 사이의 경계선을 설정하고, 원주민과의 토지 거래 방식을 규정했다. 또한, 퀘벡, 서플로리다, 동플로리다, 그레나다 등 새로운 식민지의 정부를 구성하고 통치 방식을 정했다. 이 선언은 식민지인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으며,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1763년 선언은 미국 독립 전쟁과 미국 및 캐나다의 원주민 토지 소유권 문제에 영향을 미쳤으며, 캐나다의 헌법에도 언급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63년 13개 식민지 - 사제의 소송
죄송합니다. 페이지 개요가 충분하지 않아 요약문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 1763년 13개 식민지 - 7년 전쟁
7년 전쟁은 1756년부터 1763년까지 유럽, 북아메리카, 인도, 필리핀 등 전 세계에서 벌어진 대규모 전쟁으로, 영국-프로이센 동맹과 프랑스-오스트리아 동맹 간의 갈등, 슐레지엔 영유권 분쟁, 북미 식민지 영토 분쟁, 외교 혁명 등이 원인이 되어 영국-프로이센 동맹의 승리로 끝나 영국은 북미와 인도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프로이센은 슐레지엔을 지켰으나 프랑스는 식민지 상실과 영향력 약화로 타격을 입어 유럽 세력 균형과 세계 질서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조지 3세 - 섭정시대
섭정 시대는 조지 3세의 정신 질환으로 섭정 왕세자 조지 4세가 1811년부터 1820년까지 섭정으로 통치한 시기로, 나폴레옹 전쟁, 사회 변화, 산업 혁명, 예술과 건축의 발전을 특징으로 하며 리젠시 양식이 유행했다. - 조지 3세 - 조피 샤를로테 추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공녀
조피 샤를로테 추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공녀는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공국의 공녀로, 조지 3세와 결혼하여 영국 왕비가 되었으며, 15명의 자녀를 두고 예술과 과학을 후원하고 큐 가든 설립에 기여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친 인물이다.
1763년 선언 | |
---|---|
선언 개요 | |
이름 | 1763년 왕실 선언 |
다른 이름 | 대선언 |
제정 | 조지 3세 |
날짜 | 1763년 10월 7일 |
위치 | 영국 |
적용 대상 | 북아메리카의 영국 식민지 |
주요 내용 | |
목적 | 프랑스-인디언 전쟁 이후 북아메리카의 영토 조직 원주민의 권리 선언 |
주요 조항 | 애팔래치아 산맥 서쪽의 토지 구매 및 정착 금지 원주민 보호 구역 설정 새로운 식민지 정부 수립 |
결과 | 식민지 주민들의 불만 야기 미국 독립 혁명의 원인 중 하나 |
역사적 배경 | |
전쟁 종결 | 파리 조약으로 프랑스-인디언 전쟁 종결 |
영토 획득 | 영국, 프랑스로부터 광대한 북아메리카 영토 획득 |
원주민 문제 | 폰티액의 봉기 등 원주민과의 갈등 심화 |
선언의 영향 | |
식민지 확장 제한 | 식민지 주민들의 서부 개척 제한 |
원주민 권리 인정 | 원주민의 토지 소유권 인정 및 보호 |
미국 독립 혁명 | 식민지 주민들의 불만 누적으로 미국 독립 혁명에 영향 |
논쟁과 해석 | |
원주민 권리 | 현대 캐나다 토지 권리 주장의 법적 근거로 해석 |
식민지 주민 | 식민지 주민들의 반발과 저항 |
추가 정보 | |
관련 법률 | 퀘벡법 |
관련 인물 | 폰티액, 조지 3세 |
관련 사건 | 폰티액의 봉기, 미국 독립 혁명 |
2. 배경: 파리 조약
7년 전쟁과 북아메리카에서의 프랑스·인디언 전쟁은 1763년 파리 조약 체결로 마무리되었다. 이 조약에 따라 프랑스는 미시시피강 서쪽에 위치한 모든 식민지 영토를 스페인에게 넘겨주었다. 반면, 미시시피 강 동쪽과 루퍼트 랜드 남쪽에 있는 프랑스 영토는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에 할양되었다. 다만, 프랑스는 생피에르 미클롱은 계속 보유했다. 카리브해에서는 스페인과 영국이 프랑스로부터 일부 섬을 받았으며, 프랑스는 아이티와 과들루프를 유지했다.
1763년 선언은 프랑스 인디언 전쟁(7년 전쟁)에서 영국이 승리한 후 프랑스로부터 획득한 북아메리카 영토를 관리하고, 영국 식민지 개척자들의 서부 확장을 통제하기 위해 발표되었다. 이 선언은 새로 얻은 영토에 대한 영국의 행정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3. 주요 내용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이 선언은 이미 애팔래치아산맥 서쪽으로 진출했거나 토지를 할당받았던 식민지 주민들과 토지 투기꾼들의 강한 반발에 부딪혔다.[15][16] 조지 워싱턴과 같은 인물들도 영향을 받았으며, 이들의 로비와 압력으로 인해 영국 정부는 결국 원주민들과의 새로운 조약을 통해 경계선을 서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17] 포트 스탠윅스 조약(1768), 하드 레이버 조약(1768), 로커버 조약(1770) 등이 체결되면서 현재의 켄터키와 웨스트버지니아 지역이 정착지로 개방되었다.[18][19][20][21]
3. 1. 새로운 식민지 설립
1763년 선언은 프랑스 인디언 전쟁에서 영국이 승리한 후 프랑스로부터 획득한 북아메리카 영토를 관리하고, 기존 식민지 개척자들의 서부 확장을 규제하는 문제를 다루었다.[7] 이 선언은 새로 획득한 옛 프랑스령 지역에 대한 관리 방안을 마련하며, 네 곳에 새로운 정부를 수립했다. 해당 지역은 퀘벡 주, 서플로리다, 동플로리다[7] 및 그레나다이다. 또한 카리브해의 여러 섬들, 즉 그레나다, 토바고, 세인트빈센트, 도미니카를 포함하는 영국 양도 섬에도 정부가 세워졌다.[8]
이들 새로운 식민지에서는 영국 정부가 임명한 총독 또는 평의회 아래에서 의회 의원을 선출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이를 통해 영국 본국법과 기존 식민지 법에 따라 각 지역 고유의 법률과 조례를 제정할 수 있었다. 새로운 식민지 주민들은 영국 본토 태생 주민과 동일한 권리를 누리게 되었는데, 이는 아메리카 대륙의 영국 식민지 주민들이 수년간 투쟁하여 얻고자 했던 권리이기도 했다.
그러나 기존 영국 식민지 주민들에게는 오히려 모욕적인 조치도 포함되었다. 새로운 식민지에 민사 및 형사 재판소가 항소권까지 갖추어 설립된 것이다. 특히 1764년의 설탕법이나 1765년 인지세법을 위반하여 기소된 식민지 주민은 해사 법원으로 넘겨졌는데, 이곳에서는 피고인이 스스로 무죄를 증명하기 전까지는 유죄로 취급되었다.
3. 2. 선언 경계선 (Proclamation Line)
1763년 당시 대영 제국이 직면한 주요 과제 중 하나는 1763년 파리 조약으로 프랑스로부터 획득한 영토에 거주하는 북미 원주민과의 평화를 유지하는 것이었다.[9] 특히 오대호 주변 지역의 많은 원주민 부족은 프랑스와 오랜 관계를 맺어왔기에 영국의 지배를 받아들이는 데 혼란을 겪었다. 폰티액 전쟁 (1763–1766)은 이러한 배경 속에서 원주민들이 영국의 영토 점유를 막기 위해 일으킨 전쟁이었으나 결국 실패로 끝났다. 〈1763년 선언〉 자체는 이 전쟁 이전에 발효되었지만, 전쟁 발발로 인해 그 시행이 더욱 시급해졌다. 영국 정부는 이 선언을 통해 원주민들이 영국의 통치를 인정하고 더 이상의 충돌을 억제하기를 기대했다.
이 선언은 대서양 연안의 영국 식민지와 애팔래치아산맥 서쪽의 원주민 보유지 사이에 선언 경계선(Proclamation Lineeng)이라는 경계를 설정했다.[10] 이 경계선은 애팔래치아 산맥의 분수계(대서양으로 흐르는 강과 미시시피 강으로 흐르는 강을 나누는 지점)를 따라 설정되었다. 대서양 방향의 땅은 식민지를 위해, 미시시피강 방향의 땅은 원주민을 위해 지정되었다.
하지만 이 선언 경계선은 백인 정착민과 원주민 사이의 영구적인 경계선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었다.[11][12] 영국 정부는 이를 질서 있고 합법적인 방식으로 서부 영토를 점진적으로 확장하기 위한 임시적인 조치로 간주했다. 따라서 사람들은 경계선을 넘을 수는 있었지만, 그 너머에 정착하는 것은 금지되었다.[13] 또한, 과거 빈번한 문제를 일으켰던 사적인 원주민 토지 매입을 금지하고, 앞으로 모든 토지 거래는 영국 왕실 관리들이 "해당 인디언들의 공개 회의 또는 의회에서" 진행하도록 규정했다. 이는 사실상 영국 왕실에게 원주민 토지에 대한 독점적 구매권을 부여하는 것이었다.[14] 식민지 관리들 역시 본국의 승인 없이는 경계선 너머의 토지를 개인이나 회사에게 불하할 수 없었다.
역사학자 콜린 캘러웨이(Colin G. Calloway)는 이 선언이 "원주민의 주권을 인정한 것인지, 아니면 [영국이] 조금씩 [영토를] 침식해 가기로 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모두 부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선언의 문맥상 모든 토지가 궁극적으로 영국에 속한다는 인식이 깔려 있었음은 분명하지만, 동시에 원주민이 과거 점유했던 토지에 대한 일정한 권리를 인정하는 형태를 취했다. 이는 향후 영국이 원주민의 주장에 관계없이 토지 소유권을 주장하는 중요한 선례가 되었다.
선언 직후, 많은 영국 식민지 주민들과 토지 투기자들은 이 경계선에 강하게 반발했다. 이미 경계선 너머에 많은 정착민이 살고 있었고(폰티액 전쟁 중 일시적으로 대피했던 이들도 포함),[16] 해결되지 않은 토지 소유권 주장도 많았다. 특히 7년 전쟁에 참전했던 영국군 병사들에게 약속된 토지 보상 문제와도 충돌했다. 조지 워싱턴과 같은 저명한 식민지 인사들과 버지니아의 오하이오 회사(Ohio Company) 같은 부유한 토지 투기 회사들은 영국 정부에 경계선을 서쪽으로 이동시켜 달라고 강력하게 로비했다.[15][17]
결국 식민지 주민들의 요구는 받아들여져, 영국 정부는 원주민 부족들과의 협상을 통해 경계선을 조정했다. 1768년에는 이로쿼이 연맹과 포트 스탠윅스 조약을, 체로키 족과는 하드 레이버 조약을 체결하여 경계선을 서쪽으로 옮겼다.[18][19] 이어 1770년에는 로커버 조약을 통해 버지니아와 체로키족 사이의 경계를 추가로 조정했다.[20] 이러한 조약들을 통해 현재의 웨스트버지니아주와 켄터키주 대부분 지역이 영국인들의 정착지로 개방되었다.[21] 그러나 이러한 토지 개방은 주로 부유한 후원자를 가진 토지 회사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여, 서부 정착을 통해 부를 얻으려 했던 가난한 정착민들과의 갈등 요인이 되기도 했다.[22]
3. 3. 원주민 토지 소유권
1763년 시점에서 대영 제국은 파리 조약을 통해 프랑스로부터 획득한 북아메리카 영토의 원주민들과 평화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였다. 특히 오대호 주변의 많은 원주민 부족은 프랑스와 오랜 유대 관계를 맺고 있었기에 영국의 지배를 받아들이는 데 혼란을 겪었다. 폰티액 전쟁(1763-1766)은 이러한 배경 속에서 원주민들이 과거 프랑스 영토였던 지역에 대한 영국의 점유를 막기 위해 일으킨 전쟁이었으나,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1763년 선언 자체는 폰티액 전쟁 이전에 이미 발효되었지만, 전쟁 발발로 인해 그 시행이 더욱 시급해졌다. 영국 정부는 이 선언을 통해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영국의 통치를 인정하고 적대 행위를 중단하기를 기대했다.
이 선언은 대서양 연안의 영국 식민지와 애팔래치아산맥 서쪽의 원주민 소유지 사이에 선언선(proclamation line)이라는 경계를 설정했다. 이 경계선은 백인 정착민과 원주민 사이의 영구적인 분리를 의도한 것이 아니라, 향후 합법적인 절차를 통해 서쪽으로 영토를 점진적으로 확장하기 위한 임시적인 조치였다. 선언은 과거 많은 문제를 야기했던 원주민 토지에 대한 사적인 거래를 금지하고, 대신 영국 관리들이 "해당 인디언과의 공적인 집회 또는 의회에서" 공식적으로 토지 거래를 하도록 규정했다. 또한, 식민지 주민들이 허가 없이 선언선을 넘어 서쪽으로 이동하거나 정착하는 것을 금지했으며, 식민지 관리들 역시 영국 본국의 승인 없이는 토지 소유권을 인정할 수 없도록 했다. 이는 사실상 영국 왕실이 원주민으로부터 토지를 구매할 수 있는 독점적인 권리를 확보한 것이었다.
역사학자 콜린 캘러웨이(Colin Calloway)는 "이 선언이 (원주민) 민족의 주권을 인정한 것인지, 아니면 조금씩 (주권을) 침식해 가기로 했었는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고 지적한다. 선언문의 맥락을 보면, 모든 토지가 궁극적으로는 영국에 속한다는 전제가 깔려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선언은 원주민들이 자신들이 점유해 온 토지에 대해 일정한 권리를 가지고 있음을 인정하는 동시에, 원주민의 주장과는 별개로 영국 왕실이 토지를 분배하고 소유권을 부여할 수 있다는 중요한 선례를 남겼다.
선언 발표 직후, 많은 영국 식민지 주민들과 토지 투기자들은 선언선에 강하게 반발했다. 이미 많은 정착민들이 선언선을 넘어 거주하고 있었고(폰티액 전쟁 중 일시적으로 철수한 이들도 있었다), 토지 소유권과 관련된 많은 소송들이 계류 중이었다. 심지어 선언 자체도 7년 전쟁에 참전했던 영국군 병사들에게는 서부 토지를 하사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저명한 미국 식민지 개척자들과 영국의 토지 투기꾼들은 연합하여 영국 정부에 선언선을 더 서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압력을 가했다. 결국 영국 정부는 원주민들과의 일련의 협상을 통해 경계선을 조정하게 되었다. 1768년 체결된 스탠윅스 요새 조약과 하드 워크 조약(Treaty of Hard Labour), 그리고 1770년의 로커버 조약(Treaty of Lochaber) 등을 통해 현재의 웨스트버지니아와 켄터키 대부분 지역이 영국인들의 정착지로 개방되었다.
왕립 선언은 특히 어퍼 캐나다와 루퍼트 랜드 지역에서 원주민 토지 양도 과정을 규율하는 중요한 법적 근거가 되었다. 어퍼 캐나다는 이 선언을 바탕으로 원주민과의 조약 체결 시스템을 구축했다. 미국 독립 전쟁에서 영국이 패배한 후, 왕당파 지지자들이 캐나다로 이주하면서 토지 수요가 증가했고, 이는 원주민과의 조약을 통한 토지 확보를 더욱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25]
콜린 캘러웨이에 따르면, "학자들은 선언이 부족의 주권을 인정했는지 훼손했는지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일부 사람들은 1763년 왕립 선언을 퍼스트 네이션 토지 청구 및 자치를 위한 "기본 문서"로 본다. 이는 "영국 왕실이 원주민 권리를 처음으로 법적으로 인정한 것"이며, 왕실에 수탁자의 의무를 부과한다. 선언에서 원주민에게 한 의도와 약속은 일시적인 것으로, "정착민들의 토지 침해"에 점점 더 불만을 품고 영국 식민지 정착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었던 원주민을 달래기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되었다.[27] 북미 인디언 문제 관리관인 윌리엄 존슨 경이 1764년 8월 30일 무역 위원회에 보낸 조언은 다음과 같다.
"인디언들은 광대한 숲이 우거진 나라에서 우리가 그들을 이길 수 없다는 것을 모두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우리의 거점, 무역 등을 안전하게 소유하기로 결정했다면, 수많은 인디언 주민들의 호의를 사는 것 외에는 백년 동안 다른 방법이 없을 것이라고 추론합니다."[28]
애니시나베 법학자 존 보로우스는 "선언은 영국 정부가 퍼스트 네이션에 대한 주권을 행사하려는 시도와 동시에 퍼스트 네이션이 유럽 정착민과 분리된 채 관할권을 유지할 것이라고 설득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고 썼다. 보로우스는 왕립 선언과 그 후의 나이아가라 조약이 "퍼스트 네이션에 대한 주권을 행사하려는 왕실의 주장을 폄하"하고 원주민의 "토지 할당 등 자기 결정권"을 확인하는 주장을 제공한다고 덧붙여 썼다.
4. 선언에 대한 반응과 결과
1763년 선언은 식민지 확장을 제한하는 것 외에도, 새롭게 획득한 옛 프랑스령 영토의 관리 방식을 규정했다. 영국 정부는 퀘벡, 서부 플로리다, 동부 플로리다, 그레나다 등 4개 지역에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고 특정 권리를 부여했지만[23], 이는 기존 영국계 식민지 주민들에게는 불만과 모욕감을 안겨주었다. 특히 1764년의 《설탕법》이나 1765년의 《인지세법》 위반 혐의자에 대한 해사 법원의 불합리한 재판 절차는 반발을 더욱 키웠다.
결과적으로 많은 식민지 주민들은 선언에서 정한 서부 정착 금지선을 무시하고 서쪽으로 이주했으며, 이는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23] 이러한 갈등은 폰티악의 반란(1763–1766)으로 이어졌다. 이 반란은 오대호 지역, 일리노이 컨트리, 오하이오 컨트리 등지의 원주민 부족들이 7년 전쟁 이후 영국의 정책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것이었다.[24] 선언 자체는 폰티악의 반란 이전에 구상되었으나, 이 분쟁의 발발은 선언의 법제화를 더욱 서두르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16]
4. 1. 식민지인들의 반발
1763년 선언은 식민지 확장을 제한하는 것 외에도, 새롭게 획득한 옛 프랑스령 영토의 관리 방식을 결정했다. 영국 정부는 퀘벡, 서부 플로리다, 동부 플로리다, 그레나다 등 4개 지역에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고, 이 지역 주민들에게는 영국 본국 태생민과 동일한 권리를 보장한다고 명시했다. 그러나 이는 이미 정착해 있던 영국계 식민지 주민들이 수년간 투쟁을 통해 얻고자 했던 권리였기에, 기존 식민지인들에게는 차별적이고 모욕적인 조치로 받아들여졌다.또한, 영국 정부는 민사 및 형사 법원을 설립하면서 항소 권한까지 부여했지만, 1764년의 《설탕법》이나 1765년의 《인지세법》을 위반하여 기소된 식민지 주민들은 해사 법원으로 넘겨졌다. 이 법원에서는 피고인이 스스로 결백을 증명하기 전까지 유죄로 간주되는 불합리한 절차가 적용되어 식민지인들의 불만을 샀다.
이러한 조치들에 대한 반발로 많은 식민지 주민들은 선언에서 정한 서부 정착 금지선을 무시하고 서쪽으로 이주했으며, 이는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23] 실제로 선언 발표 직후인 1763년부터 1766년까지 폰티악의 반란이 일어났다. 이 전쟁은 오대호 지역, 일리노이 컨트리, 오하이오 컨트리 등지의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이 7년 전쟁 이후 영국의 정책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것이었다. 원주민들은 이 지역 내 무역과 영국 수출에 관여하는 수로를 관할하는 많은 요새를 점령하는 등 강력하게 저항했다.[24] 비록 선언선 자체는 폰티악의 반란 이전에 구상되었지만, 이 분쟁의 발발은 선언의 법제화를 더욱 서두르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16]
4. 2. 원주민과의 갈등
1763년 파리 조약으로 프랑스로부터 북미 영토를 획득한 대영 제국은 새로운 영토에 거주하는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평화 유지가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특히 오대호 지역의 많은 원주민 부족은 오랫동안 프랑스와 긴밀한 관계를 맺어왔기에, 갑작스러운 영국의 지배를 받아들이기 어려워했다.[24] 이러한 상황에서 폰티액 전쟁(1763–1766)이 발발했다. 이는 오대호 지역, 일리노이 컨트리, 오하이오 컨트리 등지의 원주민들이 영국의 점유와 전후 정책에 반발하여 일으킨 저항이었지만 결국 실패했다.[24][16]〈1763년 선언〉은 폰티액 전쟁 발발 이전에 이미 구상되었지만, 전쟁의 발발로 인해 서둘러 시행되었다.[16] 영국 정부는 이 선언으로 원주민들이 영국의 통치를 수용하고 적대 행위를 멈추기를 기대했다. 선언의 핵심 내용은 대서양 연안의 영국 식민지와 애팔래치아산맥 서쪽의 원주민 보유지 사이에 '선언선'(proclamation line)이라는 경계를 설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선언선은 백인 정착민과 원주민 사이의 영구적인 경계를 의도한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영국 정부가 단계적인 법적 절차를 통해 서부 영토를 확보해 나가기 위한 임시적인 방편이었다. 선언은 과거 원주민 토지를 둘러싸고 빈번하게 발생했던 사적인 토지 거래를 금지하고, 대신 영국 관리들이 "해당 인디언과의 공적인 집회 또는 의회에서" 토지 거래를 주관하도록 규정했다. 또한, 식민지 주민들이 허가 없이 선언선을 넘어 이동하거나 정착하는 것을 금지했으며, 식민지 관리들 역시 본국의 승인 없이는 토지 소유권을 인정할 수 없도록 제한했다. 이는 영국 왕실에 원주민 토지에 대한 독점적 구매권을 부여한 것이었다.
역사학자 콜린 캘러웨이(Colin Calloway)는 이 선언이 원주민의 주권을 인정한 것인지, 아니면 점진적인 영토 침식을 의도한 것인지 명확히 규정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선언의 문맥상 모든 토지가 궁극적으로 영국에 속한다는 인식이 깔려 있었음은 분명해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선언은 원주민이 점유해 온 토지에 대한 일정한 권리를 인정한 동시에, 원주민의 주장과 무관하게 영국이 토지 소유권을 부여할 수 있다는 선례를 남겼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선언이 발표된 직후, 많은 영국 식민지 주민들과 토지 투기자들은 선언선에 반발했다. 이미 많은 정착민들이 선언선을 넘어 서쪽으로 이주해 있었고(폰티액 전쟁 중 일시적으로 퇴거했던 이들도 포함), 미해결 토지 소유권 분쟁도 많았다.[23] 심지어 선언 자체에 7년 전쟁에 참전한 영국군 병사들에게 토지를 보상으로 주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기도 했다. 저명한 미국 식민지 출신 인사들과 영국의 토지 투기자들은 연합하여 영국 정부에 선언선을 더 서쪽으로 이동시켜 달라고 압력을 가했다.
결국 이러한 압력에 따라 영국 정부는 원주민과의 일련의 협상을 통해 경계선을 조정하게 되었다. 스탠윅스 요새 조약(1768년), 하드 워크 조약(Hard Labour Treaty, 1768년), 그리고 롯하바 조약(Treaty of Lochaber, 1770년) 등을 통해 현재의 웨스트버지니아주와 켄터키주 대부분 지역에서 영국인의 정착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많은 식민지 주민들은 이러한 조약과 무관하게 선언선을 무시하고 서쪽으로 계속 이동했으며, 이는 원주민과의 긴장과 갈등을 심화시켰다.[23]
5. 유산
1763년 선언이 이후 미국 독립 전쟁 (1775-1783) 발발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많은 역사가들은 1768년 이후 여러 조약을 통해 정착 가능한 토지가 넓어졌기 때문에, 이 선언이 식민지와 영국 본국 간 긴장의 주요 원인이 되지는 않았다고 주장한다.[25] 반면, 선언에 대한 식민지 주민들의 불만이 쌓여 본국과의 관계 악화에 기여했다는 주장도 있다.[31]
미국에서는 1783년 파리 조약으로 해당 지역 영토가 미국에 할양되면서 1763년 선언은 효력을 상실했다. 그러나 독립 이후 미국 정부 역시 서부 변경 지역에서의 정착민과 원주민 간 갈등 및 폭력 사태를 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결과적으로 1763년 선언과 유사한 정책, 즉 정부만이 원주민으로부터 토지를 구매할 수 있다는 원칙을 인디언 교류법과 존슨 대 맥킨토시 판결 등을 통해 법제화하게 된다.[34]
반면, 캐나다에서는 영국령 북아메리카, 특히 어퍼 캐나다와 루퍼트 랜드의 원주민 고유 영토에 대해 선언이 계속 유효했다. 이 선언은 캐나다의 퍼스트 네이션, 이누이트, 메티스 등 원주민들이 토지 소유권과 자치권을 주장하는 중요한 법적 근거가 되고 있으며, "캐나다 권리 자유 헌장" 제25조에도 그 중요성이 언급되어 있다. 왕립 선언은 캐나다에서 원주민과의 조약 체결 과정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25]
역사학자 콜린 캘러웨이(Colin G. Calloway)에 따르면, 선언이 원주민 부족의 주권을 인정한 것인지 오히려 훼손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린다. 일부는 이 선언을 원주민의 권리를 영국 왕실이 법적으로 처음 인정한 "기본 문서"로 간주하며, 왕실에 원주민 보호를 위한 수탁자적 의무를 부과한다고 본다.[27]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선언의 의도와 약속이 본질적으로 일시적이었으며, 서부로 확장하려는 정착민들의 압력에 불만을 품고 있던 원주민들을 달래기 위한 정치적 수단에 불과했다는 비판적 해석도 존재한다.[27][28] 애니시나베 법학자 존 보로우스(John Borrows)는 선언이 영국 정부의 주권 행사 시도와 원주민의 자치권 유지 설득이라는 이중적인 성격을 지녔다고 분석하며, 선언과 이후 나이아가라 조약이 원주민의 자기 결정권을 확인하는 근거를 제공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2013년 10월, 오타와에서는 원주민 지도자들과 데이비드 존스턴 당시 캐나다 총독이 참석한 가운데 선언 반포 250주년 기념 행사가 열렸으며,[29] 원주민 권리 운동인 아이들 노 모어(Idle No More) 역시 캐나다 전역에서 이를 기념하는 행사를 개최했다.[30]
5. 1. 미국

1763년 선언이 미국 독립 전쟁(1775-1783) 발발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많은 역사가들은 1768년 이후 여러 조약을 통해 정착 가능한 토지가 넓어졌기 때문에, 이 선언이 식민지와 영국 본국 간 긴장의 주요 원인이 되지는 않았다고 주장한다. 반면, 선언에 대한 식민지 주민들의 불만이 쌓여 본국과의 관계 악화에 기여했다는 주장도 있다. 일부 역사가들은 영국 정부가 미국 원주민과의 전쟁 발발을 우려하여 새로운 식민지 정착을 허용하지 않자, 서부 토지 확장에 이해관계를 가진 식민지 토지 투기꾼들이 크게 반발했다고 지적한다.[31] 다른 학자들은 이 선언이 영국 왕실에게 원주민의 권리를 보호해야 할 신탁 의무를 부과했다고 해석하기도 한다.[32]
조지 워싱턴은 프랑스-인디언 전쟁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오하이오 지역에 20000acre의 토지를 약속받았다. 1770년, 워싱턴은 자신과 함께 싸웠던 병사들의 토지 권리를 확보하기 위해 직접 서부 지역을 방문하여 토지를 물색하고 측량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러한 노력 끝에 그는 해당 지역 토지에 대한 권리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이 토지는 1770년 로커버 조약에 따라 버지니아 주민들에게 개방되었지만, 현재의 피츠버그 시 경계에서 약 3.22km 이내에 위치한 땅은 제외되었다.[33]
미국에서는 1783년 파리 조약 체결로 영국이 선언의 대상이었던 영토를 미국에 양도하면서 1763년 선언은 효력을 상실했다. 그러나 독립 이후 미국 정부 역시 서부 변경 지역에서의 폭력 사태와 무분별한 정착 시도를 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결과적으로 1763년 선언과 유사한 정책을 채택하게 되었다. 1790년에는 일련의 인디언 교류법 중 첫 번째 법안이 제정되어, 미국 원주민의 토지 내에서 정부의 허가 없는 거래나 통행을 금지했다. 더 나아가 1823년 대법원은 존슨 대 맥킨토시 사건 판결을 통해, 원주민으로부터 토지를 구매할 수 있는 권리는 개인이나 주 정부가 아닌 오직 연방 정부에게만 있음을 명확히 했다.[34] 이는 사실상 1763년 선언의 핵심 원칙, 즉 원주민 토지에 대한 권리를 정부가 통제한다는 내용을 미국 국내법 체계 안으로 가져온 것으로 평가받는다.
5. 2. 캐나다
미국에서는 1783년의 파리 조약으로 문제의 땅이 미국에 위임되면서 〈1763년 선언〉은 효력을 잃었지만, 영국령 북아메리카, 특히 어퍼 캐나다와 루퍼트 랜드의 원주민 고유 영토에 대해서는 계속 유효했다. 이 선언은 캐나다의 원주민인 퍼스트 네이션, 이누이트 및 메티스의 토지에 관한 소유권 주장의 기초가 되고 있으며, "캐나다 권리 자유 헌장" 제 25장에도 언급되어 있다.왕립 선언은 특히 어퍼 캐나다와 루퍼트 랜드에서 원주민 토지 양도를 계속해서 규율했으며, 어퍼 캐나다는 이를 기반으로 조약 체결을 위한 플랫폼을 만들었다. 미국 독립 전쟁에서 영국이 패배한 후 왕당파들이 이주하면서 이러한 조약 체결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25]
일부에서는 1763년 왕립 선언을 퍼스트 네이션의 토지 청구 및 자치를 위한 "기본 문서"로 보기도 한다. 이는 영국 왕실이 원주민 권리를 처음으로 법적으로 인정한 것이며, 왕실에 수탁자의 의무를 부과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선언에서 원주민에게 약속된 의도와 약속은 일시적이며, 정착민의 토지 침해에 대한 불만이 커져 영국 식민 지배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원주민을 달래기 위한 방편이었다는 주장도 있다.[27] 북미 인디언 문제 관리관이었던 윌리엄 존슨 경은 1764년 무역 위원회에 보낸 서신에서 "인디언들은 광대한 숲이 우거진 나라에서 우리가 그들을 이길 수 없다는 것을 모두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우리의 거점, 무역 등을 안전하게 소유하기로 결정했다면, 수많은 인디언 주민들의 호의를 사는 것 외에는 백년 동안 다른 방법이 없을 것이라고 추론합니다."라고 언급하며 이러한 시각을 뒷받침한다.[28]
역사학자 콜린 캘러웨이에 따르면, 선언이 부족의 주권을 인정한 것인지 훼손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애니시나베 법학자 존 보로우스는 선언이 영국 정부의 주권 행사 시도와 동시에 퍼스트 네이션의 자치권 유지를 설득하려는 이중적 성격을 가졌다고 분석했다. 그는 왕립 선언과 이후의 나이아가라 조약이 원주민의 토지 할당 등 자기 결정권을 확인하는 근거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2013년 10월에는 오타와에서 원주민 지도자들과 데이비드 존스턴 총독이 참석한 가운데 선언 반포 250주년 기념 행사가 열렸다.[29] 원주민 운동 아이들 노 모어(Idle No More)는 캐나다 전역에서 이 문서의 기념 행사를 열기도 했다.[30]
참조
[1]
서적
Keeping promises : the Royal Proclamation of 1763, aboriginal rights, and treaties in Canada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15
[2]
서적
The Glorious Cause: The American Revolution, 1763–1789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3]
웹사이트
Constitution Express
https://indigenousfo[...]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n.d.
[4]
뉴스
Seventy Indian bands demand hearing
https://www.newspape[...]
Southam News
1980-11-27
[5]
서적
Crucible of War: The Seven Years' War and the Fate of Empire in British North America, 1754–1766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6]
서적
Empire's Crossroads: A History of the Caribbean from Columbus to the Present Day
Open Road + Grove/Atlantic
[7]
서적
The History of Florid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Florida
2013
[8]
간행물
Eighteenth-Century Settlement in the British Caribbean
1966-12
[9]
서적
France in America
https://books.google[...]
Harper & Row
[10]
서적
Whitehall and the wilderness: the Middle West in British colonial policy, 1760–177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1]
서적
American Indians
https://books.google[...]
Salem Press
[12]
서적
The Indian Boundary in the Southern Colonies, 1763–177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3]
서적
American Revolutions: A Continental History, 1750–1804
https://books.google[...]
W. W. Norton
[14]
간행물
The Royal Proclamation of 1763: Its Effects Upon Virginia Land Companies
[15]
간행물
The Royal Proclamation of 1763: Its Effect upon Virginia Land Companies
1975
[16]
서적
The American Revolution: A History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17]
서적
Pontiac's War: Its Causes, Course and Consequenc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8]
웹사이트
Treaty of Fort Stanwix (1768)
https://ohiohistoryc[...]
Ohio Historical Society
2019-12-06
[19]
웹사이트
Treaty of Hard Labor with Cherokees
http://jeffersonswes[...]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2019-12-06
[20]
웹사이트
Treaty of Lochaber 1770
http://jeffersonswes[...]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2019-12-06
[21]
서적
Speculators in Empire: Iroquoia and the 1768 Treaty of Fort Stanwix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2]
간행물
Liberty Is Pioneering: An American Birthright
2005
[23]
웹사이트
Proclamation Line of 1763, Quebec Act of 1774 and Westward Expansion
https://www.histor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20-03-05
[24]
서적
Masters of Empire: Great Lakes Indians and the Making of America
https://books.google[...]
Farrar, Straus and Giroux
[25]
서적
Compact, Contract, Covenant: Aboriginal Treaty-making in Canad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6]
서적
Origins: Canadian History to Confederation
Nelson Education
2009
[27]
간행물
Anglo-Indian Relations In North America to 1763 and An Analysis of the Royal Proclamation of 7 October 1763
Indian and Northern Affairs Canada, Research Branch
1981
[28]
서적
Native Liberty, Crown Sovereignty: The Existing Aboriginal Right of Self-Government in Canada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9]
뉴스
Royal Proclamation of 1763, Canada's 'Indian Magna Carta,' turns 250
http://www.cbc.ca/ne[...]
2013-10-06
[30]
뉴스
Royal Proclamation's 250th anniversary has First Nations reflecting on their rights
https://www.theglobe[...]
2013-10-07
[31]
간행물
The Ohio Indians and the Coming of the American Revolution in Virginia
1994-08
[32]
웹사이트
Royal Proclamation of 1763: Relationships, Rights and Treaties – Poster
https://www.aadnc-aa[...]
Indigenous and Northern Affairs Canada
2013-11-27
[33]
웹사이트
Letter from George Washington to George Mercer dated November 7, 1771, at Williamsburg
http://etext.virgini[...]
[34]
문서
ussc|21|543|1823|Wheat.|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