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탠자는 이탈리아어 'stanza'에서 유래한 용어로, 여러 행이 묶여 운율을 이루는 시의 한 연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4행 이상으로 구성되며, 행과 행 사이의 공백이나 들여쓰기로 구분된다. 소네트와 같이 반드시 각 스탠자 사이에 공백이 있는 것은 아니다. 스탠자는 문학 작품뿐만 아니라, 가사에서도 사용되며, 비틀즈의 '헤이 주드'와 같은 곡에서 벌스를 스탠자로 간주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스탠자 | |
---|---|
스탄차 (Stanza) | |
어원 | 이탈리아어 "stanza" (방) |
의미 | 시에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된 여러 줄의 묶음, 즉 시의 단락 |
특징 | 각 스탄차는 운율, 리듬, 그리고 때로는 반복구를 통해 통일성을 유지하며, 시 전체의 구조를 형성함 |
다양한 스탄차 형태 | |
쿠플렛 (couplet) | 2행으로 이루어진 스탄차 |
터셋 (tercet) | 3행으로 이루어진 스탄차 |
쿼트레인 (quatrain) | 4행으로 이루어진 스탄차 |
라임 로열 (rhyme royal) | 7행으로 이루어진 스탄차 (ababbcc) |
오타바 리마 (ottava rima) | 8행으로 이루어진 스탄차 (abababcc) |
스펜서리안 스탄자 (Spenserian stanza) | 9행으로 이루어진 스탄차 (ababbcbcc) |
스탄차의 기능 | |
내용 분할 | 시의 내용을 논리적으로 구분하고, 각 스탄차는 독립적인 생각이나 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음 |
리듬 및 운율 강조 | 스탄차의 구조는 시의 리듬과 운율을 강조하여, 시의 음악성을 높임 |
주제 강조 | 특정 스탄차를 통해 시의 주제를 부각시키거나, 스탄차 간의 관계를 통해 주제를 발전시킬 수 있음 |
2. 어원 및 개념
스탠자는 이탈리아어로 "방"을 의미하는 "stanza"가 어원이다.[9] 일본에서는 '''연'''(連)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또한, 여러 연을 묶은 것을 '''절'''(節) 또는 '''시절'''(詩節)이라고도 한다. 가사의 절은 일반적으로 "번"이라고 불리며, "이 노래의 가사는 3번까지 있다." 등으로 표현한다.
스탠자는 이탈리아어로 "방"을 의미하는 "stanza"가 어원이다.[9] 일본에서는 '''연'''(連, 렌)으로 번역되기도 하며, 여러 연을 묶은 것을 '''절'''(節, 세츠) 또는 '''시절'''(詩節, 시세츠)이라고도 한다. 가사의 절은 일반적으로 "번"이라고 불린다.
영어 등 언어에서는 언어가 내포하는 음절에서 발생하는 리듬, 즉 운율을 활용하여 만들어지는 운문에 대한 용어이다.[8] 통설로는 "운을 맞추는" 어구, 즉 압운을 포함하는 4행 이상으로 구성된 시에 사용한다.[9] 행과 행 사이에 공백이나 들여쓰기가 있는 경우, 그 앞뒤의 묶음은 각각 다른 스탠자로 간주한다.[8] 공백 행이나 구두점으로 스탠자를 구분하는 것이 인쇄상의 관습이므로, 현대 시의 대부분은 인쇄된 페이지에서 스탠자를 임의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문학에서의 스탠자
영어 등에서는 언어가 내포하는 음절에서 발생하는 리듬, 즉 운율을 활용하여 만들어지는 운문에 대한 용어이다.[8] 통설로는 "운을 맞추는" 어구, 즉 압운을 포함하는 4행 이상으로 구성된 시에 사용한다.[9] 행과 행 사이에 공백이나 들여쓰기가 있는 경우, 그 앞뒤의 묶음은 각각 다른 스탠자로 간주한다.[8] 공백 행이나 구두점으로 스탠자를 구분하는 것이 인쇄상의 관습이므로, 현대 시의 대부분은 인쇄된 페이지에서 스탠자를 임의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3. 1. 다양한 스탠자 형식
에밀리 디킨슨의 짧은 시는 각 4행으로 구성된 두 개의 스탠자로 이루어져 있다.[5]
:미워할 시간 없었으니,
:무덤이 방해하리라.
:삶은 그리 넉넉지 못하여
:원한을 끝낼 수 없었네.
:
:사랑할 시간도 없었지만,
:어떤 노력은 있어야 하니,
:사랑의 작은 수고는, 내 생각에,
:내게 충분히 컸네.[5]
앤드루 존 영의 시는 각 6행으로 구성된 3개의 스탠자로 구성되어 있다.
:서리가 물에게 멈추라고 외쳐
:촉촉한 눈을 반짝이는 소금으로 덮었네;
:시냇물은 그들의 유일한 다리를 멈추고,
:고드름은 긴 종유석처럼 떨어진다.
:그리고 물웅덩이 속의 잉어들은
:접착제와 같은 유리 그릇 속의 물고기 아래 숨어 있다.
:
:단단하게 패인 길에서
:모든 발걸음마다 부서지는 판이 깨지고,
:딸랑거리는 나무들은 얼어붙어,
:흐느끼는 버들가지로 변해 땅을 쓸고 있다;
:죽은 나뭇가지들은 연못에 뿌리를 내리고
:창문에 양치류는 유령 같은 잎을 낸다.
:
:그러나 격렬한 서리는 헛되이
:불쌍한 물고기를 가두고, 나무들을 무장한 군대로 배치하고,
:집 처마에 단검을 걸고
:창문에 양치류의 수풀을 엮는다;
:오랜 전쟁에서 더 따뜻해지면
:태양은 그를 쳐 죽이고 그의 갑옷을 벗길 것이다.
14행으로 구성된 소네트처럼, 반드시 스탠자와 스탠자 사이에 공백이나 들여쓰기가 있는 것은 아니다.
잉글랜드 왕국의 시인 셰익스피어의 『소네트집』에서 "소네트 18번"(소네트 18번 참조).
:Shall I compare thee to a summer's day?
:Thou art more lovely and more temperate:br>
:Rough winds do shake the darling buds of May,br>
:And summer's lease hath all too short a date:br>
:Sometime too hot the eye of heaven shines.br>
:And often is his gold complexion dimm'd,br>
:And every fair from fair sometime declines,br>
:By chance, or nature's changing course untrimm'd.br>
:But thy eternal summer shall not fade,br>
:Nor lose possession of that fair thou ow'st;br>
:Nor shall death brag thou wander'st in his shade,br>
:When in eternal lines to time thou grow'st;br>
:So long as men can breathe, or eyes can see.br>
:So long lives this, and this gives life to thee.
각운 부분을 보면, 4행 연구에 의한 3개의 스탠자, 즉 ABAB 형식(ABAB CDCD EFEF)과, 2행 연구에 의한 1개의 스탠자(GG)를 조합한, 총 4개의 스탠자로 이루어진 소네트이다.[8]
3. 2. 예시
에밀리 디킨슨의 짧은 시는 각 4행으로 구성된 두 개의 스탠자로 이루어져 있다.
미워할 시간 없었으니,
무덤이 방해하리라.
삶은 그리 넉넉지 못하여
원한을 끝낼 수 없었네.
사랑할 시간도 없었지만,
어떤 노력은 있어야 하니,
사랑의 작은 수고는, 내 생각에,
내게 충분히 컸네.[5]
앤드루 존 영의 시는 각 6행으로 구성된 3개의 스탠자로 구성되어 있다.
서리가 물에게 멈추라고 외쳐
촉촉한 눈을 반짝이는 소금으로 덮었네;
시냇물은 그들의 유일한 다리를 멈추고,
고드름은 긴 종유석처럼 떨어진다.
그리고 물웅덩이 속의 잉어들은
접착제와 같은 유리 그릇 속의 물고기 아래 숨어 있다.
단단하게 패인 길에서
모든 발걸음마다 부서지는 판이 깨지고,
딸랑거리는 나무들은 얼어붙어,
흐느끼는 버들가지로 변해 땅을 쓸고 있다;
죽은 나뭇가지들은 연못에 뿌리를 내리고
창문에 양치류는 유령 같은 잎을 낸다.
그러나 격렬한 서리는 헛되이
불쌍한 물고기를 가두고, 나무들을 무장한 군대로 배치하고,
집 처마에 단검을 걸고
창문에 양치류의 수풀을 엮는다;
오랜 전쟁에서 더 따뜻해지면
태양은 그를 쳐 죽이고 그의 갑옷을 벗길 것이다.
14행으로 구성된 소네트처럼, 반드시 스탠자와 스탠자 사이에 공백이나 들여쓰기가 있는 것은 아니다.
잉글랜드 왕국의 시인 셰익스피어의 『소네트집』에서 "소네트 18번"은 다음과 같다(원전은 위키소스의 "소네트 18번" 참조).
Shall I compare thee to a summer's day?
Thou art more lovely and more temperate:
Rough winds do shake the darling buds of May,
And summer's lease hath all too short a date:
Sometime too hot the eye of heaven shines.
And often is his gold complexion dimm'd,
And every fair from fair sometime declines,
By chance, or nature's changing course untrimm'd.
But thy eternal summer shall not fade,
Nor lose possession of that fair thou ow'st;
Nor shall death brag thou wander'st in his shade,
When in eternal lines to time thou grow'st;
So long as men can breathe, or eyes can see.
So long lives this, and this gives life to thee.
위 시는 각운을 보면, 4행 연구에 의한 3개의 스탠자(ABAB CDCD EFEF)와 2행 연구에 의한 1개의 스탠자(GG)를 조합한 총 4개의 스탠자로 이루어진 소네트이다.[8]
4. 음악에서의 스탠자
스탠자는 이탈리아어로 "방"을 의미하는 "stanza"가 어원이다[9]. 일본에서는 '''연'''(連)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여러 연을 묶은 것을 '''절'''(節) 또는 '''시절'''(詩節)이라고도 한다. 가사의 절은 일반적으로 "번"이라고 불리며, "이 노래의 가사는 3번까지 있다." 등으로 표현한다.
영어 등에서는 언어가 내포하는 음절의 리듬, 즉 운율을 활용하여 만들어지는 운문에 대한 용어이다[8]. 통설로는 "운을 맞추는" 어구, 즉 압운을 포함하는 4행 이상으로 구성된 시에 사용한다[9]. 행 사이에 공백이나 들여쓰기가 있으면, 그 앞뒤의 묶음은 각각 다른 스탠자로 간주한다[8]. 공백 행이나 구두점으로 스탠자를 구분하는 것이 인쇄상의 관습이므로, 현대 시의 대부분은 인쇄된 페이지에서 스탠자를 임의로 표현할 수 있다.
스탠자는 노래 가사에서도 성립한다.
4. 1. 예시
영국의 록 밴드 비틀즈의 곡 「헤이 주드」에서 벌스 1은 제1 스탠자, 벌스 2는 제2 스탠자로 볼 수 있다.제1 스탠자 | 제2 스탠자 |
---|---|
| |
참조
[1]
서적
The Bedford Glossary of Critical and Literary Terms
[2]
서적
A Dictionary of Literary Terms and Literary Theory
[3]
서적
The Bedford Glossary of Critical and Literary Terms
[4]
서적
Literature Reading, Writing, Reacting
[5]
웹사이트
Poems: Three Series, Complete
http://www.gutenberg[...]
2013-10-27
[6]
웹사이트
poem: Hard Frost
https://allpoetry.co[...]
2018-04-08
[7]
웹사이트
Difference Between Stanza and Verse
http://pediaa.com/di[...]
Pediaa.com
2016-10-25
[8]
웹사이트
Common Examples of Stanza
http://www.literaryd[...]
LiteraryDevices.com
2016-10-25
[9]
웹사이트
stanza
https://kotobank.jp/[...]
小学館
2021-02-28
[10]
서적
The Bedford Glossary of Critical and Literary Terms
[11]
서적
A Dictionary of Literary Terms and Literary Theory
[12]
서적
The Bedford Glossary of Critical and Literary Terms
[13]
서적
Literature Reading, Writing, React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