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네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네트는 14행으로 구성된 정형시의 한 형태이다.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언어로 퍼져나갔으며, 이탈리아 소네트, 셰익스피어 소네트 등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소네트는 16세기 영어권 시에 도입되었고, 17세기에는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데 사용되었다. 19세기에는 낭만주의 시인들에 의해 부활했으며, 20세기에도 많은 시인들이 소네트 형식을 활용했다. 한국 문학에서는 개화기 이후 서구 문학의 영향을 받아 소네트 형식을 차용한 시들이 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형 - 시조
    시조는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에 다양한 주제로 확장되었고, 3장 6구의 형식을 갖춘 한국의 전통적인 시가이다.
  • 시형 - 고체시
    고체시는 2세기에 등장하여 당나라 시대에 부흥기를 맞이한 중국 전통 시의 한 형식으로, 5음절 또는 7음절의 구절로 구성되며 압운과 평측에서 자유로운 특징을 보인다.
  • 이탈리아의 발명품 - 라디오
    라디오는 전파를 이용해 음성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기술 및 장치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과 인터넷 라디오 등으로 발전했으며, 방송, 통신, 위치 측정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주파수 대역과 변조 방식에 따라 구분되며 국제적으로 주파수 관리를 받는다.
  • 이탈리아의 발명품 - 율리우스력
    율리우스력은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제정한 역법으로, 365일의 평년과 366일의 윤년으로 구성되며, 태양년과의 오차로 인해 그레고리력으로 대체되었으나, 현재는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소네트
소네트 정보
소네트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소네트 첫 페이지
정의
유형시의 한 형식
라인 수14행
운율정해진 운율 체계 (다양한 형태 존재)
구조옥타브(8행)와 세스테트(6행) (페트라르카풍)
3개의 4행연구(quatrrains)와 1개의 2행연구(couplet) (셰익스피어풍)
기원
어원이탈리아어 "sonetto" (작은 노래)에서 유래
기원13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
역사
발전페트라르카에 의해 형식 확립
16세기 영국에서 셰익스피어에 의해 발전
주요 작가페트라르카
셰익스피어
존 밀턴
워즈워스
엘리자베스 배럿 브라우닝
제라드 맨리 홉킨스
에드나 세인트 빈센트 밀레이
특징
주제사랑
아름다움
시간의 흐름
죽음
예술
철학적 사색 등
운율 형태페트라르카풍 (이탈리아풍): abbaabba cdecde 또는 abbaabba cdcdcd
셰익스피어풍 (영국풍): abab cdcd efef gg
각운각 행의 마지막 단어의 소리가 일치하는 운율 형태 사용
변형
밀턴풍셰익스피어풍 소네트를 약간 변형한 형태
테르자 리마3행 연구를 사용한 소네트
커탈 소네트10.5행의 짧은 소네트
소네트 시퀀스주제별로 연결된 소네트 모음
현대의 소네트
영향현대 시에도 영감 부여
사용다양한 주제와 형식으로 사용
추가 정보
로마자 표기sonetto (소네토)

2. 이탈리아 소네트

페트라르카의 ''칸초니에레''의 첫 다섯 소네트


이탈리아 소네트는 소네트의 원형으로, 페트라르카에 의해 완성되었다. 전형적인 이탈리아 소네트는 옥타브와 세스테트(두 개의 테르체트)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옥타브는 "문제" 또는 "질문"을 제기하고, 세스테트는 "해결책"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아홉 번째 줄은 "전환" 또는 "볼타"라고 불리는 지점으로, 제기에서 해결책으로의 이동을 알린다.

이탈리아 소네트의 표준 운율 패턴은 ABBA ABBA이며, 세스테트는 CDE CDE 또는 CDC CDC의 두 가지 가능성이 있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CDC DCD 또는 CDE DCE와 같은 다른 운율 구성표의 변형이 도입되었다.

14세기 말, 폴고레 다 산 제미니아노는 1년의 달과 요일을 주제로 한 소네트 연작을 썼다.[9][10] 단테는 베아트리체에 대한 사랑을 중심으로 소네트와 다른 서정적 형태가 나타나는 서술적 해설인 ''신생''을 출판했다.[11]

조토, 미켈란젤로, 갈릴레오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도 소네트를 썼으며, 학자 조반니 마리오 크레심베니는 16세기에만 661명의 소네트 시인을 열거했다.[13]

2. 1. 시칠리아 학파

자코모 다 렌티니는 프리드리히 2세의 궁정에서 소네트를 발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렌티니 주변의 시인들로 구성된 시칠리아파는 이 형식을 본토로 전파했다.[2] 그러나 가장 초기의 소네트는 원래 시칠리아어로는 남아 있지 않고, 토스카나 방언으로 번역된 형태로만 남아 있다.

윌리엄 베어는 가장 초기의 시칠리아 소네트의 첫 여덟 줄은 '스트람보토'로 알려진 8행 시칠리아 민요절과 동일하다고 제안한다. 렌티니(혹은 다른 발명가)는 새로운 14행 소네트 형식을 만들기 위해 스트람보토에 두 개의 3행절을 추가했다.[3]

반면, 하사날리 라다는 시칠리아 소네트의 구조와 내용이 아랍 시를 바탕으로 했으며, 시칠리아파 시인들의 "발명"으로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라다는 "시칠리아 초기의 소네트는 ''카시다''와 문학적, 인식론적으로 접촉했음을 보여준다"고 언급[5]하며, 소네트가 14행 구조라는 그 정의와 동시에 등장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라다의 견해에 따르면, 소네트는 지중해 세계 전역의 더 광범위한 연애시 전통의 연속으로 등장하며, 시칠리아의 스트람보토, 프로방스어의 칸소, 안달루시아 아랍어의 무와샤와 자잘, 그리고 카시다와 같은 다른 형식과 관련이 있다.[7]

2. 2. 토스카나 파

귀토네 다레초는 소네트 형식을 재발견하여 토스카나로 가져와 토스카나 방언에 맞춰 변형했다.[8] 단테 알리기에리와 귀도 카발칸티도 소네트를 썼다.[8]

2. 3. 페트라르카

페트라르카는 소네트 연작을 통해 자신의 사랑을 노래하고, 이탈리아 소네트를 완성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의 소네트는 옥타브(8행)와 세스테트(6행)로 구성되며, ABBA ABBA CDE CDE 또는 CDC CDC 등의 운율 구조를 가진다.[12]

페트라르카는 그의 작품 ''칸초니에레''에서 366편의 소네트를 통해 라우라에 대한 평생의 사랑을 기록했다.[12]

3. 로망스어군 소네트

자코모 다 렌티니는 시칠리아파를 이끌며 소네트를 발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시칠리아파는 이 형식을 이탈리아 본토로 전파했다. 초기 소네트들은 시칠리아어 원본 대신 토스카나 방언 번역본으로만 남아있다. 소네트는 두 개의 4행절과 두 개의 3행절로 구성되며, ABABABAB CDCDCD의 운율 구조를 가진다. 내용상 중간 지점(전환점) 이후 새로운 방향으로 전개된다.[3]

피터 드롱크는 소네트 형식의 유연성이 널리 퍼지는 데 기여했다고 언급했다. 윌리엄 베어는 초기 시칠리아 소네트의 첫 8행이 '스트람보토'라는 8행 시칠리아 민요와 같으며, 여기에 3행절 2개를 추가하여 14행 소네트가 되었다고 주장한다.[4] 반면, 하사날리 라다는 소네트의 구조와 내용이 아랍 시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시칠리아파 시인들의 "발명"으로만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는 소네트가 14행 구조라는 정의와 함께 등장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초기 소네트는 지중해 연애시 전통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본다.[5][6][7]

이후 소네트는 다른 로망스어군 언어로 퍼져나갔다.


  • 오크어: 파올로 란프란키 다 피스토이아가 1284년에 오크어로 된 소네트를 썼다.(하위 섹션과 내용 중복으로 인한 간략화)
  • 카탈루냐어: 페레 토로엘라가 초기 카탈루냐어 소네트 중 하나를 썼다.(하위 섹션과 내용 중복으로 인한 간략화)
  • 포르투갈어: 사 드 미란다가 이탈리아에서 소네트 형식을 도입했다.(하위 섹션과 내용 중복으로 인한 간략화)
  • 프랑스어: 클레망 마로가 페트라르카 모방을 처음 소개했다.(하위 섹션과 내용 중복으로 인한 간략화)

3. 1. 오크어

파올로 란프란키 다 피스토이아가 1284년에 오크어로 된 소네트를 썼다.[15] 이 소네트는 ABAB ABAB CDCDCD의 운율 방식을 사용하며 정치적 주제를 다루고 있다. "알마리키의 윌리엄"과 단테 다 마이아노에게 돌려지는 진위 여부 또는 가치가 불확실한 다른 작품들도 마찬가지다.

3. 2. 카탈루냐어

카탈루냐어로 쓰인 가장 초기의 소네트 중 하나는 페레 토로엘라(1436~1486)가 쓴 것이다.[16] 16세기에는 페레 세라피가 소네트를 가장 많이 썼으며, 가장 섬세한 카탈루냐어 소네트 작가로 꼽히는데, 그는 1560년부터 1565년 사이에 60편이 넘는 작품을 발표했다.[17]

3. 3. 스페인어

15세기 중반, 이니고 로페스 데 멘도사(Íñigo López de Mendoza), 산티야나 후작 1세는 "이탈리아 방식으로 쓰여진 소네트"(sonetos fechos al itálico modo)를 시도한 최초의 시인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당시 카스티야어와 운율이 변화하는 과정에 있었기 때문에 성공적이지 못했다.[18] 1526년 이후 후안 보스칸(Juan Boscán)에 의해 소네트 형식이 재도입되었다. 그는 그 해에 베네치아 대사인 안드레아 나바제로(Andrea Navagero)를 만났고, 나바제로는 시인에게 자신의 언어로 소네트와 다른 이탈리아 형식을 시도해 볼 것을 제안했다.[19]

보스칸은 베네치아 대사의 조언을 받아들여, 가르실라소 데 라 베가와 함께 소네트를 썼다. 보스칸의 몇몇 소네트는 가르실라소에게 보내졌고, 그의 요절은 다른 소네트에서 애도되었다. 두 시인의 시들은 모두 페트라르카 양식을 따랐고, 11음절시를 사용했으며, 신플라톤적 이상을 바탕으로 했다. 페르난도 데 에레라(Fernando de Herrera)는 가르실라소를 "최초의 주요 스페인 소네트 작가"로 여겼다.[20]

바로크 시대에는 루이스 데 곤고라(Luis de Góngora)의 쿨테라니스모(culteranismo)와 프란시스코 데 케베도(Francisco de Quevedo)의 콘셉티스모(conceptismo)가 대립했다. 이 시대의 또 다른 중요한 인물은 로페 데 베가(Lope de Vega)였는데, 그는 약 3,000편의 소네트를 썼고, 그중 상당수가 그의 희곡에 포함되었다.

소네트 형식은 스페인 식민지 사업 초기에 대서양을 건너갔는데, 프란시스코 데 테라사스(Francisco de Terrazas)가 멕시코의 개척자 중 한 명이었다. 후에 후아나 이네스 데 라 크루스(Juana Inés de la Cruz)가 등장했다. 19세기에는 마누엘 호세 오톤(Manuel José Othón)이 멕시코 풍경에 헌정된 소네트를 썼다.[25] 남아메리카에서는 훌리오 에레라 이 레이시그(Julio Herrera y Reissig)가 풍경을 소네트로 묘사했다.[26][27]

아르헨티나 시인 알폰시나 스토르니(Alfonsina Storni)는 ''Mascarilla y trébol''(가면과 클로버, 1938)에서 "반소네트"라는 제목으로 운율이 없는 시를 제시했다.[29]

3. 4. 포르투갈어

사 드 미란다(Sá de Miranda)는 이탈리아에서 5년간 머문 후 포르투갈로 돌아와 소네트와 다른 이탈리아 형식들을 소개했다.[31] 루이스 드 카몽이스(Luís de Camões)는 이 시대 최고의 포르투갈어 소네트 작가였다.[32][33]

브라질 문학에서는 클라우디오 마누엘 다 코스타(Cláudio Manuel da Costa)가 소네트 형식을 도입했다.[36] 프랑스 파르나스주의의 영향으로 브라질에서도 유사한 운동이 일어났는데, 알베르투 드 올리베이라(Alberto de Oliveira), 라이문두 코레이아(Raimundo Correia), 올라부 비락(Olavo Bilac) 등이 파르나스파 소네트를 썼다.[37]

3. 5. 프랑스어

프랑스 운율학에서 소네트는 전통적으로 12음절로 구성되고 중간에 끊어지는 구절(프랑스 알렉산드린)으로 작곡된다. 클레망 마로(Clément Marot)는 페트라르카의 모방을 처음으로 소개했으며, 멜랭 드 생젤레(Mellin de Saint-Gelais)도 16세기 초에 이 형식을 사용했다.[39] 이후 피에르 드 롱사르(Pierre de Ronsard), 조아킴 뒤 벨레(Joachim du Bellay), 장 앙투안 드 바이프(Jean Antoine de Baïf) 등이 뒤를 이었는데, 이들은 플레이아드(La Pléiade)로 알려진 궁정의 급진적인 젊은 귀족 시인들이다. 그들은 다른 시 형식들 중에서도 연애적 만남이나 이상화된 여성을 중심으로 발전된 페트라르카식 소네트 연작(sonnet cycle)을 사용했다. 뒤 벨레의 선언문인 "프랑스어의 방어와 묘사"(1549)는 프랑스어가 문학적 표현에 적합한 언어이며, 언어 및 문학적 생산과 정화 프로그램을 공표했다.[40]

종교 전쟁 이후 프랑스 가톨릭 법률가이자 시인인 장 드 라 세페드(Jean de La Ceppède)는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부활에 관한 비전통적인 운율 구성표를 가진 515편의 소네트로 구성된 "정리"(Theorems)를 출판했다. 복음서, 그리스 신화, 로마 신화 그리고 교부들을 활용하여 라 세페드의 시는 "이교의 뮤즈들을 그리스도교의 것으로 변형시켰다"는 프란시스코 드 살레스 성인(Saint Francis de Sales)의 칭찬을 받았다. 라 세페드의 소네트는 종종 인류에 대한 그리스도의 열정적인 사랑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심판하고 용서하지 않는 하나님이라는 칼뱅주의 교리를 공격한다. 그 후 이 작품은 오랫동안 잊혀졌지만, 20세기에 이르러 시인에 대한 관심이 다시 살아났고, 그의 소네트는 현재 프랑스 시의 고전으로 여겨지고 있다.[41]

17세기 후반까지 소네트는 유행에서 벗어났지만 19세기에 낭만주의자들에 의해 부활했다. 샤를 오귀스탱 생트뵈브(Charles Augustin Sainte-Beuve)는 윌리엄 워즈워스(William Wordsworth)의 "소네트를 경멸하지 마라"를 모방하여 출판했는데, 여기서 영어 원문에 열거된 시인들 외에도 뒤 벨레와 롱사르의 이름을 추가했다.[42] 그러나 파르나스파가 소네트를 다시 유행시키고, 그 뒤를 이어 상징주의 시인들이 사용하기 전까지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19세기 후반에는 전통적인 소네트 형식에서 많은 변형이 있었다. 샤를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는 ''악의 꽃(Les Fleurs du mal)''에 포함된 시에서 운율 구성표와 행 길이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44]

4. 영어 소네트

16세기 초, 토머스 와이엇(Thomas Wyatt)이 영국에 소네트를 소개했다. 와이엇과 그의 동시대인 서리 백작의 소네트는 주로 이탈리아어 페트라르카와 프랑스어 피에르 드 롱사르의 번역이었다. 와이엇이 영국에 소네트를 소개한 반면, 서리 백작은 영어 소네트의 특징이 되는 운율 구성, 운율, 4행절로의 분할 등을 확립했다.[50] 필립 시드니의 『아스트로펠과 스텔라』(1591년)는 소네트 연작을 유행시켰다. 이후 20년 동안 셰익스피어, 에드먼드 스펜서, 마이클 드레이턴, 사뮤엘 다니엘, 풀크 그레빌, 윌리엄 드럼몬드 오브 호손덴 등 많은 시인들이 소네트 연작을 발표했다. 이 소네트들은 페트라르카의 전통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시인의 여성에 대한 애정을 다루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셰익스피어의 소네트 연작은 남성과 여성 모두를 대상으로 하여 예외였다.[51] 17세기에는 존 던조지 허버트가 종교적인 소네트를, 존 밀턴은 명상적인 시로 소네트를 사용했다. 셰익스피어와 페트라르카 등의 운율 구성은 이 시대를 통해 인기를 누렸다.

소네트는 왕정복고 시대에 시대에 뒤떨어지게 되었고, 1670년부터 워즈워스 시대까지 거의 쓰이지 않았다. 프랑스 혁명 시대에 소네트가 부활했고, 워즈워스는 『세상은 우리와 너무 함께 있다』와 밀턴에게 바친 소네트 등 여러 편의 소네트를 썼다. 워즈워스의 소네트는 기본적으로 밀턴의 것을 본보기로 했다. 존 키츠퍼시 비시 셸리도 소네트를 썼는데, 키츠는 셰익스피어에게 영감을 받은 형식적이고 수사적인 패턴을 사용했고, 셸리는 『오지맨디아스』에서 자신만의 운율 구성("ABABACDCEDEFEF")을 창조하며 급진적으로 혁신했다. 19세기에는 엘리자베스 배럿 브라우닝의 『포르투갈에서 온 소네트』와 단테 가브리엘 로세티의 소네트를 제외하고는 성공적인 전통 소네트가 많지 않았다. 제럴드 매너리 홉킨스는 스프렁 리듬을 사용한 소네트 『윈드호버』를 썼고, 10-1/2행의 단축 소네트인 『피드 뷰티』와 24행의 미주 소네트인 『자연은 헤라클레이토스의 불이다』 등 변형된 소네트를 썼다. 19세기 말, 소네트는 유연성 있는 다목적 형식으로 응용되고 있었다.

20세기에 들어 소네트의 유연성은 더욱 확장되었다. 로버트 프로스트, 에드나 세인트 빈센트 밀레이, E. E. 커밍스 등 모더니스트 시인들이 소네트를 썼다.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는 반운(半韻)을 사용한 소네트 『레다와 백조』를 썼다.[81] 윌프리드 오웬의 소네트 『죽어야 할 젊은이를 위한 찬가』도 20세기 초의 소네트이다.[81] W. H. 오든은 운율 구성의 폭을 넓힌 소네트와 소네트 연작을 썼으며, 그의 『비밀 요원』(1928년)은 영어로 쓰인 최초의 무운 소네트이다.[80] 1950년 이후 반운, 무운, 무율 소네트가 인기를 얻었다. 시머스 히니의 『글랜모어 소네트』와 『클리어런스』(둘 다 반운 사용), 제프리 힐의 『영국에서 기독교 건축의 부흥을 위한 사과』 등이 대표적이다. 1990년대에는 형식주의자들이 부활한 것처럼 보였고, 지난 10년 동안 몇몇 전통적인 소네트가 쓰여졌다.

4. 1. 초기 (튜더 왕조와 스튜어트 왕조 시대)

토머스 와이엇(Sir Thomas Wyatt)과 서리 백작은 영어로 소네트 형식을 개척하여 "최초의 영국 페트라르카주의자"로 불린다.[47] 토머스 와이엇은 영국에 소네트를 소개했고, 서리 백작은 영어 소네트의 특징이 되는 운율 구성과 4행절로의 분할 등을 확립했다.[50] 와이엇의 시 약 25편은 페트라르카의 시를 번역하거나 모방한 것이고, 서리의 시 5편 중 3편은 번역, 2편은 모방한 것이다.[47] 두 시인 모두 페트라르카의 "Rime" 140을 번역했다.[48]

필립 시드니의 ''아스트로펠과 스텔라(Astrophel and Stella)''(1591)는 소네트 연작을 유행시켰다.[51] 이후 20년 동안 셰익스피어, 에드먼드 스펜서, 마이클 드레이턴, 사뮤엘 다니엘 등 많은 시인들이 소네트 연작을 발표했다.

셰익스피어의 ''소네트'' 초판 표지


셰익스피어의 154편의 소네트 연작은 남성과 여성 모두를 대상으로 하여 일반적인 틀에서 벗어났다. 17세기에는 존 던조지 허버트가 종교적인 소네트를 썼고, 존 밀턴은 소네트를 명상적인 시로 사용했다. 존 밀턴의 소네트는 특별한 경우이며 또 다른 양식적 변화를 보여준다. 영어로 된 두 편의 젊은 시절 작품과 이탈리아어로 된 다섯 편은 페트라르카의 정신을 담고 있다. 그러나 그의 성숙기에 나온 17편의 소네트는 개인적이고 정치적인 주제를 다룬다. 그는 또한 "장의회 아래 양심의 새로운 강제자들에 관하여"를 연장하여 이탈리아식 변형인 꼬리 소네트(caudate sonnet)을 영어로 처음 도입했다.[54]

4. 2. 18-19세기

토머스 와튼 등은 존 밀턴의 소네트를 모범으로 삼아 소네트를 부활시켰다. 샬럿 스미스, 윌리엄 리즐 볼즈 등은 감상적인 소네트를 썼다. 윌리엄 워즈워스는 다양한 주제의 소네트를 썼고, 소네트 연작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워즈워스는 1803년에 밀턴의 소네트를 "내가 아는 어떤 다른 종류의 운문보다도 운율과 흰 운문의 결합 효과를 좁은 공간에 더 많이 담고 있는 활기차고 다양한 소리의 흐름"이라고 묘사했다.[60] 워즈워스는 압축성이 다양한 주제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결국 약 523편의 소네트를 썼다.[61] 존 키츠퍼시 비시 셸리는 소네트 형식에 혁신을 시도했다. 엘리자베스 배럿 브라우닝은 자전적인 소네트 연작을 썼다. 조지 메러디스는 16행 소네트 연작을 썼다.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소네트는 주로 긴 연작으로 출판되는 것에 대해 흥미로워졌다. 이 기간 동안 형식을 새롭게 하려는 시도가 계속되었다. 예를 들어 엘리자베스 배럿 브라우닝의 자전적인 ''포르투갈에서 온 소네트''(1845–50)[71]는 엘리자베스 시대 이후로 성공적인 구애를 묘사한 최초의 작품으로 묘사된다.[72] ''포르투갈에서 온 소네트''는 극화된 1인칭 서술의 44개의 소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안의 행연결된 줄은 종종 시상 전환에서 멈추는 것을 피한다. 이러한 수단을 통해 이 작품은 "운율이 논리와 사고와 말의 리듬에 유연하게 적용되는 유연성과 통제력"으로 구별된다.[73]

1862년 조지 메러디스의 ''현대 사랑''[74]은 그의 첫 번째 결혼 생활의 파탄에 부분적으로 기반을 두고 있다. ''''현대 사랑''은 16행 형식을 사용하는데, 소네트로 묘사되고(그리고 그처럼 작동하며) 작품의 50개의 서술적 에피소드를 연결한다. 본질적으로 그 연은 포괄 운율의 네 개의 4행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리듬감 있게 이러한 분할을 넘어 전진하여 더 큰 통사적 복잡성을 허용하며, "서정시보다는 사실주의 소설과 더 쉽게 관련된다".[75]

4. 3. 20세기 이후

제라드 맨리 홉킨스는 실험적인 스프렁 리듬을 소네트에 적용하고, 단축 소네트인 "얼룩말의 아름다움(Pied Beauty)"과 24행의 미주 소네트인 "That Nature is a Heraclitean Fire" 등을 통해 소네트 형식에 변화를 주었다.[79]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는 반운을 사용한 소네트 『레다와 백조』를 썼고,[81] 윌프리드 오언은 소네트 『죽어야 할 젊은이를 위한 찬가』를 통해 시대상을 반영했다.[81] W. H. 오든은 운율 구성의 폭을 넓힌 여러 편의 소네트와 소네트 연작을 썼으며, 『비밀 요원』(1928)은 영어로 쓰인 최초의 무운 소네트이다.[80]

1950년 이후에는 반운, 무운, 무율 소네트가 인기를 얻었으며, 시머스 히니의 『글랜모어 소네트』와 『클리어런스』는 반운을 사용한 대표적인 예이다.[85][86]

4. 4. 북미

북미 지역에서 소네트는 대서양을 건너 전파되었으며, 초기에는 멕시코에서 16세기 정복자의 아들인 프란시스코 데 테라사스가 소네트를 썼다. 이후 성직자 시인 미겔 데 게바라와 수녀 후아나 이네스 데 라 크루스가 주목할 만한 소네트 작가로 활동했다.

19세기 멕시코에서는 호아킨 아카디오 파가자 이 오르도네스가 남부 열대 지방을, 마누엘 호세 오톤이 황량한 북부 풍경을 묘사하는 소네트를 썼다. 남아메리카에서는 훌리오 에레라 이 레이시그가 ''Los Parques Abandonados''(버려진 공원)과 ''Los éxtasis de la montaña''(산의 황홀경)에서 풍경을 묘사하는 소네트를 썼으며, 이는 세사르 바예호가 안데스 페루를 묘사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이후 소네트 형식은 근대주의적 의문의 일환으로 해체되기도 했다. 아르헨티나 시인 알폰시나 스토르니는 ''Mascarilla y trébol''(가면과 클로버)에서 전통적인 운율 구조를 사용하는 운율이 없는 시를 "반소네트"라는 제목으로 제시했다.[29]

미국과 캐나다의 소네트에 대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 미국
  • 캐나다

4. 4. 1. 미국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는 미켈란젤로의 소네트를 번역했다.[92] 엠마 라자러스는 자유의 여신상에 대한 소네트인 "새로운 거인(The New Colossus)"을 썼다.[93] 폴 로렌스 던바, 카운티 컬렌, 클로드 매케이 등 아프리카계 미국인 시인들은 소네트를 통해 인종차별 문제를 다루었다. 예를 들어 컬렌의 "예루살렘의 통곡의 벽에서(At the Wailing Wall in Jerusalem)"(1927)는 그의 인종의 역사와 유대인 디아스포라의 역사 사이의 유사성을 시사한다.[98] 매케이의 1921년 소네트는 2년 전 치명적인 붉은 여름(Red Summer) 폭동에 대한 반항적인 반응을 보여준다.[99]

존 앨런 와이어스는 제1차 세계 대전미국 원정군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 사람의 군대: 50여 편의 소네트로 보는 전쟁(This Man's Army: A War in Fifty-Odd Sonnets)''(1928)이라는 소네트 연작을 썼다.[102] H. P. 러브크래프트는 유고스의 균류(Fungi from Yuggoth)라는 소네트 연작을 통해 꿈과 초현실적인 시나리오를 묘사했다.[106]

존 베리먼은 1940년대에 약 100편의 현대적인 연애 소네트를 썼고, 1967년에 ''베리먼의 소네트(Berryman’s Sonnets)''로 출판했다.[109] 테드 베리건의 ''소네트(The Sonnets)''(1964)는 운율과 각운을 버리고 14행 구조를 유지했다.[110] 로버트 로웰은 1969년부터 무운시 소네트 모음집을 발표했다.[112]

4. 4. 2. 캐나다

아치볼드 램프먼은 주로 목가적인 주제의 소네트를 썼다.[113] 세이무어 메인은 단어 소네트 작품집을 출판했으며, 한 줄에 단어 하나만 사용하여 세련된 인식을 포착하는 형식의 주요 혁신가 중 한 명이다.[114]

5. 게르만어파 소네트

게르만어파 언어에서도 소네트가 창작되었다. 독일어권에서는 마르틴 오피츠(Martin Opitz)가 소네트를 도입하고 규칙을 정립하는데 크게 기여했으며, 요한 볼프강 폰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는 이탈리아 시의 운율 체계를 사용한 연애 소네트를 썼다. 아우구스트 빌헬름 폰 슐레겔(August Wilhelm von Schlegel), 파울 폰 하이제(Paul von Heyse) 등이 소네트 전통을 이어나갔고, 라이너 마리아 릴케(Rainer Maria Rilke)의 오르페우스에게 보내는 소네트(Sonnets to Orpheus)에서 정점을 맞이한다. 프리드리히 뤼케르트(Friedrich Rückert)는 "갑옷을 입은 소네트"를 통해 저항을 고취시켰고, 에마누엘 가이벨(Emanuel Geibel)은 혁명과 전쟁 동안 소네트를 썼으며, 제1차 세계 대전(First World War) 이후 안톤 슈낙(Anton Schnack)은 소네트 연작을 발표했다.

네덜란드어권에서는 피터르 코르넬리손 호프트(Pieter Corneliszoon Hooft)가 바로크 양식의 소네트를 도입했으며, 그의 작품 중에는 음운과 단어 놀이가 뛰어난 예시와 휴고 드 그로티우스(Hugo Grotius)에게 헌정된 소네트가 있다. 이후 소네트 형식은 사라졌다가 혁신가들에 의해 다시 등장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방가르드 시인들은 모든 형식주의에 맞서 싸웠다. 20세기 말에는 게릿 콤라이(Gerrit Komrij)와 얀 칼(Jan Kal)과 같은 형식주의 시인들이 소네트를 다시 쓰고 있었다.

5. 1. 독일어

마르틴 오피츠(Martin Opitz)는 독일 시에 소네트를 도입하고, 독립된 장르로 확립하는데 크게 기여했다.[115] 그는 자신의 저서 『독일 시론(Buch von der deutschen Poeterey)』(1624)과 『8권의 독일시집(Acht Bücher Deutscher Poematum)』(1625)을 통해 소네트 작법 규칙을 정립했다. 오피츠가 제시한 규칙에 따르면, 소네트는 양음보 이행시로 쓰여야 하며, 8행시(octave)에서는 남성시와 여성시의 운이 교차하고, 6행시(sestet)에서는 3개의 운을 사용하는 유연성을 가진다.[116] 페트라르카(Petrarch), 롱사르(Ronsard), 다니엘 하인시우스(Daniel Heinsius)의 번역 작품들은 이러한 규칙을 더욱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116]

18세기에 요한 볼프강 폰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는 이탈리아 시의 운율 체계를 사용하여 여러 편의 연애 소네트를 썼다. 괴테 사후, 그의 추종자들은 ABBA BCCB CDD CDD의 운율 체계를 따르는 보다 자유로운 '독일식 소네트'를 창작했다.

아우구스트 빌헬름 폰 슐레겔(August Wilhelm von Schlegel), 파울 폰 하이제(Paul von Heyse) 등이 소네트 전통을 이어나갔으며, 라이너 마리아 릴케(Rainer Maria Rilke)의 『오르페우스에게 보내는 소네트(Sonnets to Orpheus)』에서 그 정점을 맞이한다.[117] 55편의 소네트로 구성된 이 연작은 1922년 릴케가 두이노의 비가(Duino Elegies)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두 부분으로 나뉘어 쓰여졌다. 원래 제목은 『오르페우스에게 보내는 소네트: 베라 우카마 크누프를 위한 묘비명(Die Sonette an Orpheus: Geschrieben als ein Grab-Mal für Wera Ouckama Knoop)』으로, 백혈병으로 사망한 젊은 무용수를 기리기 위한 작품이다. 릴케의 소네트는 젊은 무용수의 춤을 연상시키는 유려한 구조를 가지며, 삶과 죽음, 그리고 예술과의 관계를 탐구한다. 이 작품은 다양한 운율 체계와 불규칙한 행의 길이를 사용하며, 심지어 같은 소네트 내에서도 운율이 불규칙하게 나타난다.[118]

프리드리히 뤼케르트(Friedrich Rückert)의 72편으로 구성된 "갑옷을 입은 소네트"(Geharnischte Sonneten, 1814)는 제6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War of the Sixth Coalition)에 대한 저항을 고취시켰다. 에마누엘 가이벨(Emanuel Geibel)은 1848~1849년 독일 혁명(German revolutions of 1848–1849)과 제1차 슐레스비히 전쟁(First Schleswig War) 동안 소네트를 썼다.[119] 제1차 세계 대전(First World War) 이후, 안톤 슈낙(Anton Schnack)은 소네트 연작 『짐승이 짐승과 맹렬히 싸웠네(Tier rang gewaltig mit Tier)』(1920)를 발표했다. 60편의 시로 구성된 이 연작은 전형적인 독일 소네트 형식을 따르지만, 에른스트 슈타들러(Ernst Stadler)가 개발한 장행의 자유 운율로 쓰여졌다.[120]

5. 2. 네덜란드어

피터르 코르넬리손 호프트(Pieter Corneliszoon Hooft)는 바로크 양식의 소네트를 도입했는데, 그중 "Mijn lief, mijn lief, mijn lief: soo sprack mijn lief mij toe"는 음운과 단어 놀이가 뛰어난 주목할 만한 예시이다.[122] 그의 또 다른 소네트는 휴고 드 그로티우스(Hugo Grotius)에게 헌정되었으며, 나중에 에드먼드 고세(Edmund Gosse)에 의해 번역되었다.[123] 이후 소네트 형식은 사라졌다가, 네덜란드 시가 길을 잃었다고 여겨질 때 혁신가들에 의해 다시 등장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방가르드 시인들은 모든 형식주의에 맞서 싸웠는데, 특히 1880년대 스타일 대표자였던 빌렘 클로스(Willem Kloos)의 극단적인 주관성과 자기 과시에 반발했다. (그는 "나의 가장 깊은 내면에서 나는 신이다"라는 소네트를 썼다.) 20세기 말에는 게릿 콤라이(Gerrit Komrij)와 얀 칼(Jan Kal)과 같은 형식주의 시인들이 이전 수십 년간의 실험주의에 대한 반응으로 소네트를 다시 쓰고 있었다.[126]

6. 유대어 소네트

유대인 공동체는 3천 년 동안 다양한 언어를 사용해 왔으며, 각 언어별로 문학 작품이 존재한다. 소네트는 주로 유럽 지역에서 사용되던 언어를 중심으로 발달했으며, 이민자들을 통해 세계 각지로 퍼져나갔다.

6. 1. 히브리어

중세 히브리 시에서 최초의 소네트는 1300년경 로마에서 임마누엘 로마누스(Immanuel the Roman)에 의해 작곡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이탈리아 소네트의 등장 이후 1세기가 채 되지 않은 시점이다.[128][129] 그의 마카마(maqama) 작품집인 ''마흐베로트 임마누엘(Mahberot Immanuel)''에는 38편의 소네트가 포함되어 있으며, 히브리어아랍어 운문의 전통적인 양적 운율과 이탈리아어의 음절 운율을 결합했다. 주로 사랑을 다루는 이 소네트들은 ABBA ABBA CDE CDE의 운율을 사용했다.[129]

임마누엘의 작품은 이탈리아-히브리 소네트 작가들의 기반을 마련했다. ''마흐베로트 임마누엘''의 초판은 1492년 브레시아(Brescia)에서 출판되었고, 그 뒤 1535년 콘스탄티노플에서 두 번째 판이 출판되었다.

모세 하임 루자토(Moshe Chaim Luzzatto)는 현대 히브리 문학의 창시자로 여겨진다.[131]

샤울 체르니호프스키(Shaul Tchernichovsky)는 ''마흐베레트 하-소네토트(Maḥberet ha-Sonetot, 베를린 1923)''에서 로마의 임마누엘 시대 이후 소네트 형식의 지속성을 기념하는 소네트 "당신은 나에게 소중합니다, 얼마나 소중한지, ''소네토트, 오 시르 자하브''"를 실었다.[132] 그는 소네트 관(crown of sonnets)을 히브리 시에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2. 이디시어

프라들 슈톡[134] 등은 이디시어로 소네트를 썼다. 아론 글란츠-레이엘레스는 15편의 소네트로 이루어진 화관을 썼다.[140] 마니 라이브(Mani Leib)의 "소네트(Sonetn)"(1961)는 "이디시 시의 마지막 걸작 중 하나"로 여겨진다.[144]

7. 슬라브어파 소네트

슬라브어파 언어권에서는 여러 작가들이 소네트 연작을 쓰는 경향이 있었다. 체코어에서는 얀 콜라르(Ján Kollár)가 '''슬라비 디체라(Slávy Dcera)'''(Slávy Dcera|슬라바의 딸/명성의 딸cs)[148]라는 소네트 연작을 썼다. 콜라르는 슬로바키아인이었지만, 팬슬라비즘을 지지했고 슬로바키아어가 별개의 언어여야 한다는 데 동의하지 않았기에 체코어로 글을 썼다. 콜라르의 대표작은 단테의 '''신곡'''처럼 위대한 슬라브 서사시로 기획되었으며, 양적 육보(hexameter)로 쓰인 서곡과 소네트로 구성되어 있고, 후속 판본에서는 시의 수가 645편까지 증가했다.[149] 체코의 낭만주의 시인 카렐 히네크 마하(Karel Hynek Mácha) 또한 많은 소네트를 썼으며, 19세기 후반 야로슬라프 브르흘리츠키(Jaroslav Vrchlický)는 '''사색가의 소네트(Sonety samotáře)'''를 출판했다.

카렐 히네크 마하


폴란드어에서는 얀 코하노프스키[151], 미콜라이 셉-샤르진스키[152]가 16세기에 폴란드 문학에 소네트를 도입했다. 1826년, 폴란드의 국민 시인 아담 미츠키에비치는 차르에게 크림 반도로 유배형을 선고받은 후, ''크림 소네트''로 알려진 소네트 연작을 썼는데, 이 연작은 크림 타타르족의 문화와 이슬람교에 크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153]

러시아어에서는 알렉산드르 푸시킨이 그의 운문 소설 ''예브게니 오네긴''에서 오네긴 연이라는 독특한 형식을 창안했다. 오네긴 연은 14행으로 구성되어 '오네긴 소네트'라고도 불리지만, 운율과 각 행의 강세 수가 기존 소네트와는 달라 소네트와의 유사성은 적다고 할 수 있다.[154] 이 형식은 미하일 레르몬토프의 서사시 "탐보프 재무관의 아내" 등 다른 작품에도 채택되었다.[155]

슬로베니아어에서는 프란체 프레셰렌[157]이 여러 소네트 연작을 썼으며, 특히 소네트 화관 ''Sonetni venec''으로 유명하다.[158]

7. 1. 체코어

얀 콜라르(Ján Kollár)는 '''슬라비 디체라(Slávy Dcera)'''('''슬라바의 딸'''/'''명성의 딸''')[148]라는 소네트 연작을 썼다. 콜라르는 슬로바키아인이었지만, 팬슬라비즘을 지지했고 슬로바키아어가 별개의 언어여야 한다는 데 동의하지 않았기에 체코어로 글을 썼다. 콜라르의 대표작은 단테의 '''신곡'''처럼 위대한 슬라브 서사시로 기획되었다. 이는 양적 육보(hexameter)로 쓰인 서곡과 소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속 판본에서는 시의 수가 645편까지 증가했다.[149] 체코의 낭만주의 시인 카렐 히네크 마하(Karel Hynek Mácha) 또한 많은 소네트를 썼다. 19세기 후반 야로슬라프 브르흘리츠키(Jaroslav Vrchlický)는 '''사색가의 소네트(Sonety samotáře)'''를 출판했다.

7. 2. 폴란드어

얀 코하노프스키[151], 미콜라이 셉-샤르진스키[152]는 16세기에 폴란드 문학에 소네트를 도입했다.

1826년, 폴란드의 국민 시인 아담 미츠키에비치는 차르에게 크림 반도로 유배형을 선고받은 후, ''크림 소네트''로 알려진 소네트 연작을 썼다. 미츠키에비치의 소네트 연작은 크림 타타르족의 문화와 이슬람교에 크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153]

7. 3. 러시아어

알렉산드르 푸시킨은 그의 운문 소설 ''예브게니 오네긴''에서 오네긴 연이라는 독특한 형식을 창안했다. 오네긴 연은 14행으로 구성되어 '오네긴 소네트'라고도 불리지만, 운율과 각 행의 강세 수가 기존 소네트와는 달라 소네트와의 유사성은 적다고 할 수 있다.[154] 이 형식은 미하일 레르몬토프의 서사시 "탐보프 재무관의 아내" 등 다른 작품에도 채택되었다.[155]

7. 4. 슬로베니아어

프란체 프레셰렌[157]은 여러 소네트 연작을 썼으며, 특히 소네트 화관 ''Sonetni venec''으로 유명하다.[158]

8. 켈트어파 소네트

켈트어파 지역에서는 소네트 형식이 자리 잡지 못했다. 그러나 게일 부흥 기간에 더블린 출신의 리암 고건이 아일랜드어로 소네트를 쓰기 시작하면서 변화가 생겼다. 2009년에는 무이리스 시오노이드가 셰익스피어의 소네트 154편을 아일랜드어로 완역한 ''Rotha Mór an Ghrá'' (Rotha Mór an Ghrá|사랑의 거대한 수레바퀴ga)를 출판했다.[161]

웨일스어 시인들도 소네트를 썼는데, 웨일스 민족주의자이자 전통주의 가톨릭 시인인 사운더스 루이스[164]극좌 시인인 토마스 에반 니콜라스[165]가 대표적이다.

8. 1. 아일랜드어

아일랜드 시에는 소네트 형식이 자리 잡지 못했지만, 게일 부흥 기간에 더블린 출신의 리암 고건(Liam Gógan, 1891~1979)이 부활절 봉기 이후 아일랜드 국립 박물관 직책에서 해임되고 프롱고치 수용소에 수감되면서 이러한 상황이 바뀌었다. 그는 그곳에서 아일랜드어로 소네트를 쓴 최초의 시인이 되었다.[160]

2009년, 무이리스 시오노이드(Muiris Sionóid) 시인은 셰익스피어의 소네트 154편을 아일랜드어로 완역한 ''Rotha Mór an Ghrá'' (Rotha Mór an Ghrá|사랑의 거대한 수레바퀴ga)를 출판했다.[161] 시오노이드는 자신의 번역에 관한 글에서 아일랜드 시의 형식은 다른 언어의 형식과 완전히 다르며, 소네트 형식과 5음보격 암시체는 오랫동안 아일랜드어로 시를 짓는 데 "전혀 적합하지 않다"고 썼다. 시오노이드는 자신의 번역에서 셰익스피어의 운율과 리듬을 충실하게 재현하면서 아일랜드어로 옮기는 것을 선택했다.[162]

8. 2. 웨일스어

얀 모리스에 따르면, 웨일스 시인들이 자유시에 대해 말할 때, 그들은 소네트나 송시와 같은 영어 시와 같은 규칙을 따르는 형식을 의미하는데, 엄격한 운율의 시는 600년 전에 정립된 복잡한 규칙을 여전히 존중한다.[163]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몇몇 가장 위대한 웨일스어 시인들은 소네트를 썼는데, 여기에는 웨일스 민족주의자이자 전통주의 가톨릭 시인인 사운더스 루이스[164]극좌 시인인 토마스 에반 니콜라스[165]가 포함된다.

9. 인도어 소네트

인도 아대륙에서는 아삼어, 벵골어, 도그리어, 영어, 구자라트어, 힌디어, 칸나다어, 카슈미르어, 말라얄람어, 마니푸리어, 마라티어, 네팔어, 오리야어, 신드어, 우르두어 등 다양한 언어로 소네트가 창작되었다.[166]

9. 1. 우르두어

우르두어 시인들은 영어와 다른 유럽 시인들의 영향을 받아 우르두어 시에 소네트를 도입하는 데 상당히 늦었다.[167] 20세기 초, 아즈마툴라 칸(Azmatullah Khan, 1887~1923)이 이 형식을 우르두어 문학에 도입한 것으로 여겨진다.[168] 소네트를 쓴 다른 저명한 우르두어 시인들로는 악타르 주나가리(Akhtar Junagarhi), 악타르 시라니(Akhtar Sheerani), 눈 밈 라시드(Noon Meem Rashid), 메흐르랄 소니 지아 파테하바디(Mehr Lal Soni Zia Fatehabadi), 살람 마찰리샤하리(Salaam Machhalishahari), 와지르 아가(Wazir Agha)가 있다.[168]

10. 소네트의 변형

스페인어 시에서 소네트는 15세기 중반 이니고 로페스 데 멘도사(Íñigo López de Mendoza), 산티야나 후작 1세가 처음 시도했지만, 카스티야어와 운율의 변화로 성공하지 못했다.[18] 1526년 후안 보스칸(Juan Boscán)이 베네치아 대사 안드레아 나바제로(Andrea Navagero)와의 만남에서 영감을 받아 소네트 형식을 재도입했다.[19]

보스칸은 가르실라소 데 라 베가와 함께 페트라르카 양식을 따르고 11음절시를 사용하며 신플라톤적 이상을 바탕으로 소네트를 썼다. 페르난도 데 에레라(Fernando de Herrera)는 가르실라소 이후 "최초의 주요 스페인 소네트 작가"로 평가받았다.[20] 바로크 시대에는 루이스 데 곤고라(Luis de Góngora)의 쿨테라니스모(culteranismo)와 프란시스코 데 케베도(Francisco de Quevedo)의 콘셉티스모(conceptismo)가 대립했다.

로페 데 베가(Lope de Vega)는 약 3,000편의 소네트를 썼으며, 그중 ''Un soneto me manda hacer Violante''[21] (비올란테는 내게 소네트를 쓰라고 명령한다)는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 시는 디에고 우르타도 데 멘도사와 피렌체 시인 피에라치오 테달디(Pieraccio Tedaldi)의 작품을 선례로 하며,[22] 이후 잠바티스타 마리노(Giambattista Marino), 프랑수아-세라팡 레니에-데마레(François-Séraphin Régnier-Desmarais), 뱅상 부아르(Vincent Voiture) 등에 의해 모방되었다.[23]

소네트 형식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아메리카 대륙으로 건너갔고, 멕시코의 프란시스코 데 테라사스, 미구엘 데 게베라, 후아나 이네스 데 라 크루스(Juana Inés de la Cruz) 등이 소네트를 썼다. 19세기 멕시코에서는 호아킨 아카디오 파가자 이 오르도네스(Joaquín Acadio Pagaza y Ordóñez)와 마누엘 호세 오톤(Manuel José Othón)이, 남아메리카에서는 훌리오 에레라 이 레이시그(Julio Herrera y Reissig)와 세사르 바예호(César Vallejo)가 풍경을 소네트에 담았다.[25][26][27][28] 아르헨티나 시인 알폰시나 스토르니(Alfonsina Storni)는 ''Mascarilla y trébol''(가면과 클로버, 1938)에서 운율이 없는 "반소네트"를 제시했다.[29]

이 외에도 꼬리 소네트(Caudate sonnet), 단축 소네트(Curtal sonnet), 소네트 관(Crown of sonnets), 오네긴 연(Onegin stanza) 등 다양한 소네트 변형이 있다.

전통적으로 영어시에서는 5음보격을, 로망스어에서는 11음절시행과 알렉산드린을 사용하여 소네트를 쓴다.

10. 1. 꼬리 소네트 (Caudate sonnet)

꼬리 소네트는 표준 소네트 형식인 14행에 코다(coda)를 추가하여 확장한 형태이다. 코다는 라틴어 'cauda'에서 유래했는데, '꼬리'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형식은 이탈리아의 프란체스코 베르니(Francesco Berni)가 처음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린스턴 시(詩) 백과사전에 따르면, 꼬리 소네트는 주로 풍자적인 내용을 담는 데 사용되었다. 존 밀턴은 '장의회 시대 양심의 새로운 강제자들에 관하여'라는 꼬리 소네트를 통해 당시 종교적 억압을 풍자했다.[170]

제라드 맨리 홉킨스는 '자연은 헤라클레이토스의 불이다'라는 시에서 꼬리 소네트 형식을 사용했지만, 풍자적인 분위기는 덜했다.[171] 이 시는 홉킨스가 소네트 형식의 변형을 다양하게 시도한 작품 중 하나이다. 홉킨스의 꼬리 소네트는 코다 부분에 6행을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기존 소네트 형식을 그대로 유지했다. 특히 14행과 15행을 행간 걸침으로 연결하여 확장된 느낌을 더욱 강조했다.

홉킨스는 로버트 브리지스와의 편지를 통해 코다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브리지스는 홉킨스에게 밀턴이 꼬리 소네트 형식을 사용한 예를 알려주었다.[172] 홉킨스는 밀턴의 풍자적 용도와는 다르게 시의 끝에 안정감을 주는 코다의 효과에 주목했다.[173]

10. 2. 단축 소네트 (Curtal sonnet)

'''단축 소네트'''(Curtal sonnet)는 제라드 맨리 홉킨스가 고안한 시 형식으로, 이탈리아 소네트를 3/4로 축소한 것이다.[174] 홉킨스는 이 형식으로 세 편의 시를 썼다.

단축 소네트는 10행 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존 소네트 전반부의 8행은 단축 소네트에서 6행으로, 후반부의 6행은 4행과 1/2행의 "꼬리 조각(tail piece)"으로 변환된다. 홉킨스는 마지막 행을 1/2행이라고 했지만, 실제로는 홉킨스가 즐겨 사용하던 스프렁 리듬의 절반보다 짧을 수도 있다. 홉킨스는 《시》(1876년-1889년) 서문에서 이탈리아 소네트와 단축 소네트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수학적으로 표현했다.

:{12\over2}+{9\over2}={21\over2}=10{1\over2}

홉킨스가 이 형식으로 지은 시는 『얼룩말의 아름다움(Pied Beauty)』, 『Peace』, 『Ash Boughs』이다.

『얼룩말의 아름다움(Pied Beauty)』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숫자 부분은 이탈리아 소네트의 비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원래 시에는 없다)

{12\over2}=6
{9\over2}=4{1\over2}



문학 비평가들은 일반적으로 단축 소네트가 홉킨스가 생각했던 것만큼 새로운 시 형식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엘리자베스 W. 슈나이더(Elizabeth W. Schneider)는 단축 소네트가 모든 소네트의 수학적 비율에 대한 홉킨스의 진지한 관심을 나타낸다고 말했다.[175] 이후 단축 소네트는 가끔 사용되기도 했지만, 주로 참신함 때문이었고, 홉킨스의 진지한 사용법과는 대조적이다.

10. 3. 소네트 관 (Crown of sonnets)

'''소네트 관'''(crown of sonnets) 또는 '''소네트 코로나'''(sonnet corona)는 여러 소네트가 연결된 형태이다. 보통 하나의 주제를 다루거나 특정 인물에게 바쳐진다.

각 소네트는 주제의 한 측면을 다루며, 앞 소네트의 마지막 행이 다음 소네트의 첫 행으로 반복되면서 연결된다.[177] 또한, 마지막 소네트의 마지막 행은 첫 소네트의 첫 행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둥근 형태를 이룬다. 소네트는 총 7개로 구성된다.

이 형식의 이름은 존 던의 "왕관(La Corona)"[177]에서 유래했다. 메리 로스의 "사랑에 헌정하는 소네트 관(A Crown of Sonnets Dedicated to Love)"도 유명하다.

소네트 관의 발전된 형태로 '''소네트 레두블레'''(sonnet redoublé) 또는 '''영웅적 왕관'''(heroic crown)이 있다. 이는 15개의 소네트로 구성되며, 연결 방식은 위와 같다. 마지막 소네트는 바로 앞 소네트의 마지막 행을 첫 행으로 반복한 후, 다른 소네트들의 첫 행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결합하는 형태이다.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프라하에 대한 서정시 "Věnec sonetů"에서 이 형식을 사용했다.[178] 마릴린 넬슨의 동화 "에멧 틸을 위한 화환(A Wreath for Emmett Till)"(2005)도 같은 형식이다.[179]

10. 4. 오네긴 연 (Onegin stanza)

알렉산드르 푸시킨이 『예브게니 오네긴』에서 창안한 시형이다.[180] 『예브게니 오네긴』은 소설이지만, (거의) 전부 4음보격 양운시로 쓰여 있다. 운율 구성은 “aBaBccDDeFFeGG”이며, 소문자는 여성 운율, 대문자는 남성 운율을 나타낸다.

이탈리아풍 소네트(페트라르카풍 소네트)나 셰익스피어풍 소네트와 같은 전통적인 시형과 달리, 오네긴 연은 4행 연이나 2행 연으로 세분하여 명확하게 나눌 수 없다. 나누는 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처음 4행은 4행 연이 될 수도 있고, 뒤이은 2행과 합쳐 6행 연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연성은 작가에게 정해진 운율 구성으로 인한 통일감을 유지하면서도, 소네트에서 소네트로 의미상의 구절을 어떻게 나눌지를 이전보다 더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또한 4음보격으로 쓰는 것은 소네트에서 많이 사용되는 5음보격보다 더 강한 움직임을 연에 부여한다.

존 스톨워시(en:Jon Stallworthy)의 『The Nutcracker』(1987년)와 비크람 세스(en:Vikram Seth)의 소설 『The Golden Gate』(1986년, en:The Golden Gate (novel))는 오네긴 연을 전면적으로 사용하여 쓰여졌다.

11. 현대의 소네트

자유시의 등장으로 소네트는 다소 쇠퇴했지만, 윌프리드 오웬, 존 베리먼, 에드윈 모건, 로버트 프로스트, 에드나 세인트 빈센트 밀레이, E. E. 커밍스,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파블로 네루다, 조안 브로사, 라이너 마리아 릴케, 시머스 히니 등 많은 20세기 시인들이 여전히 소네트를 쓰고 있다. 미국의 신형식주의(New Formalism) 운동은 현대 소네트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근대 일본에서는 가마하라 아리아케가 처음으로 소개했지만, 음운 체계가 완전히 다른 일본어와는 잘 어울리지 않아 타치하라 미치조 등이 행 수만을 도입하는 데 그쳤다. 그 후 후쿠나가 타케히코 등의 마티네 포에티크가 본격적인 일본어 소네트 창작을 시도했지만, 미요시 타츠지의 혹독한 비판을 받아 일본어 소네트의 시도는 중단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Sonnet {{!}} Definition, Example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6-27
[2] 서적 The Medieval Lyric Hutchinson University Library 1968
[3] 서적 Sonnets: 150 Contemporary Sonnets University of Evansville Press 2005
[4] 웹사이트 Hassanaly Ladha's profile at University of Connecticut https://languages.uc[...] 2016-01-22
[5] 학술지 From Bayt to Stanza: Arabic Khayāl and the Advent of Italian Vernacular Poetry https://www.tandfonl[...] 2021-07-07
[6] 학술지 Ladha, p. 15. https://www.tandfonl[...] 2020-01-02
[7] 학술지 Ladha, p. 26, n. 80. https://www.tandfonl[...] 2020-01-02
[8] 서적 Medieval Italy: an encyclopedia, Volume 2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
[9] 웹사이트 Of the months http://www.sonnets.o[...]
[10] 웹사이트 Rossetti Archive http://www.rossettia[...]
[11] 웹사이트 La Vita Nuova (The New Life) https://www.poetryin[...] 2000-2002
[12] 웹사이트 Petrarch: The Canzonieri https://www.poetryin[...] 2002
[13] 학술지 Critical History of the Sonnet https://books.google[...] 1876
[14] 서적 The History of the English Sonnet https://archive.org/[...] London 1884
[15] 서적
[16] 웹사이트 Pere Torroella http://www.biografia[...]
[17] 서적 Humanism and Christian Letters in Early Modern Iberia (1480–1630)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2010-05-11
[18] 서적 The Spanish Golden Age Sonne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les Press 2016
[19] 서적 Epístola a la duquesa de Soma https://dugi-doc.udg[...] Girona University 2017
[20] 서적 2016
[21] 웹사이트 Un soneto me manda hacer Violante - Wikisource https://es.wikisourc[...]
[22] 웹사이트 Historia de un poema https://www.lasnueve[...] 2021-08-17
[23] 학술지 Sonnets on the Sonnet https://www.jstor.or[...] 1898-10
[24] 학술지 English Translations of Lope de Vega's Soneto de repente https://www.jstor.or[...] 1995-겨울
[25] 서적 An Anthology of Mexican Poetry Indiana University 1958
[26] 웹사이트 LOS PARQUES ABANDONADOSE http://www.los-poeta[...]
[27] 웹사이트 Los éxtasis de la montaña http://www.los-poeta[...]
[28] 서적 The Dissonant Legacy of Modernismo https://publishing.c[...] University of California 1989
[29] 학술지 The Politics of Form: Three Twentieth-Century Spanish American Poets and the Sonnet https://kuscholarwor[...] 2008-가을
[30] 서적 History of Spanish and Portuguese Literature https://books.google[...] London 1823
[31] 웹사이트 Portuguese Literature https://www.britanni[...]
[32] 서적 A literatura portuguesa https://books.google[...] Editora Cultrix 1997
[33] 웹사이트 Camões laureado: Legitimación y uso poético de Camões durante el bilingüismo ibérico en el "período filipino" https://webs.ucm.es/[...] Espéculo — Revista de estudios literarios
[34] 웹사이트 Luís de Camões e Ausias March http://74.125.155.13[...] Península — Revista de Estudos Ibéricos 2003
[35] 서적 History of Spanish and Portuguese Literature https://books.google[...] London 1823
[36] 서적 Bouterwek 1823
[37] 서적 Anthologie de la Poésie Ibéro-Américaine Editions Nagel 1956
[38] 서적 Latin American Women Writers: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39] 서적 A book of French prosody https://archive.org/[...] 1904
[40] 웹사이트 World Digital Library https://www.wdl.org/[...]
[41] 웹사이트 Larousse online https://www.larousse[...]
[42] 서적 A book of French prosody https://archive.org/[...]
[43] 웹사이트 Nelligan, Emile Representative Poetry Online http://rpo.library.u[...] 2016-05-06
[44] 간행물 Sorcellerie Évocatoire and the Sonnet in Les Fleurs Du Mal http://www.jstor.org[...] Dalhousie University 1980
[45] 서적 A book of French prosody https://archive.org/[...]
[46] 서적 A book of French prosody https://archive.org/[...]
[47] 서적 Sir Thomas Wyatt and his Background Routledge 1964
[48] 웹사이트 Petrarch, Rime 140: Two translations by Thomas Wyatt and Henry Howard, Earl of Surrey https://www.dorthoni[...]
[49] 간행물 Finding his Feet: Wyatt and the Founding of English Pentameter https://www.academia[...] 2005
[50] 서적 Thomson 1964
[51] 서적 The Art of the Sonnet 2010
[52] 웹사이트 Gulling Sonnets by Mr Davyes https://www.pseudopo[...]
[53] 간행물 Milton and Horace: A Study of Milton's Sonnets https://www.jstor.or[...] 1937
[54] 서적 Caudate sonne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55] 서적 Charlotte Smith and the Sonnet https://books.google[...] OUP 2019
[56] 서적 Cambridge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https://books.google[...] 2005
[57] 웹사이트 Poetry Explorer- Classic Contemporary Poetry, ELEGIAC SONNET TO A MOPSTICK, by WILLIAM BECKFORD https://www.poetryex[...]
[58] 서적 Poems https://books.google[...] 1796
[59] 서적 Sappho and Phaon: in a series of legitimate sonnets, with thoughts on poetical subjects https://books.google[...] 1796
[60] 웹사이트 Chaos in the Convent's Narrow Room: Milton and the Sonnet https://scholarlycom[...] 1993
[61] 간행물 The Influence of Milton and Wordsworth on the Early Victorians https://www.jstor.or[...] 1938
[62] 웹사이트 The River Duddon : a series of sonnets : Vaudracour and Julia: and other poems. To which is annexed, a topographical description of the country of the lakes, in the north of England http://archive.org/d[...] London : Printed for Longman, Hurst, Rees, Orme, and Brown 2020-04-17
[63] 웹사이트 Sonnet Series and Itinerary Poems, 1820-1845, by William Wordsworth, ed. Geoffrey Jackson http://www.wordswort[...]
[64]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The Poetical Works Of William Wordsworth (7 of 8), by William Wordsworth. https://www.gutenber[...]
[65] 서적 Sanderlin 1938
[66] 서적 A Moment's Monument: Revisionary Poetics and the Nineteenth-century English Sonnet https://books.google[...] Fairleigh Dickinson Univ Press 1996
[67] 웹사이트 William Wordsworth http://www.sonnets.o[...]
[68] 웹사이트 John Keats http://www.sonnets.o[...]
[69] 웹사이트 Poetry Foundation https://www.poetryfo[...] 2024-04-26
[70] 웹사이트 Austerity of Poetry https://www.bartleby[...] 2022-06-16
[71] 웹사이트 Sonnets from the Portuguese, by Elizabeth Barrett Browning https://www.gutenber[...]
[72] 서적 The art of the sonnet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
[73] 논문 The Female Poet and the Embarrassed Reader: Elizabeth Barrett Browning's Sonnets From the Portuguese https://www.jstor.or[...] Johns Hopkins University 1981
[74] 서적 undefined https://books.google[...]
[75] 간행물 The Victorian Sonnet, from George Meredith to Gerard Manley Hopkins https://www.jstor.or[...] The Yearbook of English Studies 2006
[76] 웹사이트 Echoes From Theocritus by Edward Cracroft Lefroy and John Austen http://archive.org/d[...] 1922-04-17
[77] 웹사이트 Imaginary Sonnets https://books.google[...] E. Stock 1888-04-17
[78] 서적 The Art of the Sonnet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2016
[79] 백과사전 Hopkins, Gerard Manley (1844–1889) Oxford University Press
[80] 간행물 W. H. Auden's "The Secret Agent" https://www.tandfonl[...] ANQ: A Quarterly Journal of Short Articles, Notes and Reviews 2020-11-08
[81] 서적 A Defence of Wandering and Poetry https://books.google[...] 2019
[82] 간행물 undefined Agenda 1998
[83] 서적 One Another https://waywiser-pre[...] The Waywiser Press 2002
[84] 웹사이트 Poetry Foundation https://www.poetryfo[...] 2024-04-26
[85] 웹사이트 Seamus Heaney - "Glanmore Sonnets" https://www.brinkerh[...]
[86] 웹사이트 Clearances by Seamus Heaney https://www.poetryfo[...] 2024-04-17
[87] 백과사전 Sonne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2
[88] 웹사이트 Sonnets.org http://www.sonnets.o[...]
[89] 웹사이트 Forms of Contention: Influence and the African American Sonnet Tradition https://www.ugapress[...]
[90] 서적 The Sonnet in American Literature http://www.sonnets.o[...] 1930
[91] 서적 The book of the sonnet 1866
[92] 웹사이트 Online Literature http://www.online-li[...]
[93] 웹사이트 Emma Lazarus http://www.sonnets.o[...]
[94] 서적 The Book of the Sonnet https://babel.hathit[...] Hathi Trust
[95] 웹사이트 Internet Archive https://archive.org/[...] 1889
[96] 서적 Representative sonnets by American poets https://babel.hathit[...] Hathi Trust
[97] 웹사이트 Sonnets and Seeds by Hollis Robbins https://blog.bestame[...]
[98] 서적 The Art of the Sonnet
[99] 서적 The Art of the Sonnet
[100] 서적 African American Sonnet: A Literary Tradition https://mississippi.[...]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018
[101] 서적 Exile as Home: The Cosmopolitan Poetics of Leyb Naydus https://books.google[...] Hebrew Union College Press 2017
[102] 서적 This Man's Army: A War in Fifty-odd Sonne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2008
[103] 웹사이트 The Obscurity of John Allan Wyeth https://danagioia.co[...] 2008
[104] 간행물 John Allan Wyeth: Soldier Poet St Austin Review 2020
[105] 서적 An H.P. Lovecraft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1
[106] 서적 The internal continuity of Lovecraft’s Fungi from Yuggoth https://books.google[...] McFarland
[107] 서적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Fairleigh Dickinson Univ Press
[108] 웹사이트 'Alone Before Eternity': A Review of H. P. Lovecraft’s ''Fungi from Yuggoth'' https://christandpop[...] 2017-06-27
[109] 웹사이트 Berryman's Sonnets https://www.poetryfo[...]
[110] 웹사이트 Berrigan's talk at the Poetry Project Workshop https://www.2009-201[...] 1979-02-27
[111] 웹사이트 "Time And Time Again": The Strategy of Simultaneity in Ted Berrigan's ''The Sonnets'' http://jacketmagazin[...]
[112] 웹사이트 Robert Lowell 1917–1977 https://www.poetryfo[...]
[113] 서적 Introduction McClelland and Stewart
[114] 웹사이트 Ricochet: ''Word Sonnets / Sonnets d'un mot'' http://www.ruor.uott[...]
[115] 간행물 Melissus, Paul Schede
[116] 웹사이트 Martin Opitz, Father of German Poetry: Translation and the Sonnet https://www.michaelh[...] 2005
[117] 서적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Wesleyan University
[118] 서적 Die Sonnette an Orpheus https://books.google[...] OUP
[119] 간행물 Critical History of the Sonnet https://books.google[...]
[120] 서적 The German Poets of the First World War
[121] 서적 The German Poets of the First World War
[122] 서적 The Baroque Poem New York
[123] 웹사이트 To Hugo Grotius http://www.bartleby.[...] 2022-10-04
[124] 서적 Literature of the Low Countries Martinus Nijhoff
[125] 웹사이트 Mijn oorlog of de jouwe: over 'sonnet' van Lucebert https://www.tijdschr[...] 2019-07
[126] 서적 Turning Tides Story Line Press
[127] 서적 Gardens and Ghettos: The Art of Jewish Life in Ital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128] 학술지 The Emergence of the Hebrew Sonnet https://www.jstor.or[...] 2022-05-09
[129] 웹사이트 Immanuel of Rome and Dante https://digitaldante[...] Columbia University Libraries 2022-05-09
[130] 서적 The Golden Way The Hebrew Sonnet during The Renaissance and Baroque Periods https://www.academia[...] Arizona Center for Medieval and Renaissance Studies
[131] 학술지 The Emergence of the Hebrew Sonnet https://www.jstor.or[...] 1991-09
[132] 웹사이트 Bregman 2006 https://www.academia[...]
[133] 웹사이트 Kenigsberg-Dovid https://congressforj[...]
[134] 웹사이트 Shtok-Fradl-1888-1952 https://congressforj[...]
[135] 서적 Exile as Home: The Cosmopolitan Poetics of Leyb Naydus https://books.google[...] Hebrew Union College Press
[136] 웹사이트 Vayland-Gershon-Peysekh-1869-1942 https://congressforj[...]
[137] 웹사이트 Gotlib-Yankev-October-1911-May-27-1945 https://congressforj[...]
[138] 웹사이트 Shtentsl-Avrom-Nokhum-Abraham-Nahum-Stencl https://congressforj[...]
[139] 웹사이트 Minkov-Nokhum-Borekh-November-18-1893-March-14-1958 https://congressforj[...]
[140] 서적 American Yiddish Poetr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141] 웹사이트 Kalushiner-Yoysef-Leyzer-June-29-1893-1968 https://congressforj[...]
[142] 웹사이트 The Yiddish sonnets of M. Freed http://eprints.zu.ed[...]
[143] 웹사이트 Hesheles-Yirmye-February-27-1910-October-16-2010 https://congressforj[...]
[144] 간행물 To organize beauty: the sonnets of Mani Leyb https://go.gale.com/[...] 2015-03-01
[145] 웹사이트 Ustri-Dan-Yeshayahu-Oystriak-Austridan-December-23-1911-1992 https://congressforj[...]
[146] 웹사이트 Toybish-Yankev-Shmuel-Jacob-Samuel-Taubes-August-13-1898-February-2-1975 https://congressforj[...]
[147] 웹사이트 Roytman-Shloyme-February-1-1913-January-15-1985 https://congressforj[...]
[148] 기타
[149] 웹사이트 Full text at Slovak digital library http://zlatyfond.sme[...]
[150] 논문 Český sonet v první polovině 20. Století (Czech Sonnet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https://www.academia[...]
[151] 서적 Wiersz polski. zarys historyczny Wrocław 1997
[152] 서적 Świat podzielony. O poezji Sebastiana Grabowieckiego Lublin 1994
[153] 서적 Sonnets from the Crimea https://www.gutenber[...] Paul Elder and Company 1917
[154] 서적 Alexander Pushkin: A Critical Stud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983
[155] 서적 The Development of Russian Verse: Meter and Its Meanings https://books.google[...] CUP 1998
[156] 논문 Kosovel, a great poet but a poor prosodist https://OJSAdmin,+1-[...]
[157] 웹사이트 Biography at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4-02
[158] 웹사이트 English Translation on-line http://www.preseren.[...]
[159] 논문 The Mystery of the Subject https://litteraeslov[...]
[160] 서적 Leabhar na hAthghabhála, Poems of Repossession Bloodaxe Books
[161] 뉴스 Shakespeare's work has been translated into Irish – and it sounds amazing https://www.irishpos[...] 2018-03-14
[162] 웹사이트 Aistriú na Soinéad go Gaeilge: Saothar Grá! Translating the Sonnets to Irish: A Labour of Love https://www.shakespe[...]
[163] 서적 The Matter of Wales: Epic Views of a Small Country Oxford University Press 1984
[164] 서적 Saunders Lewis: Selected Poems University of Wales Press 1993
[165] 웹사이트 Canu'r carchar': The Prison Sonnets of T. E. Nicholas https://www.library.[...]
[166]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Volume Five) https://books.google[...] 1992
[167] 서적 Encyclopedic Dictionary of Urdu literature https://books.google[...] 2007
[168] 서적 Budha Darakhat Bazm – e – Seemab 1979
[169] 서적 The invention of the sonnet, and other studies in Italian literature Edizioni di Storia e letteratura 1959
[170] 백과사전 Caudate sonnet Princeton UP 1993
[171] 서적 The Poems of Gerard Manley Hopkins Oxford UP 1967
[172] 간행물 The Allegory of Form in Hopkins's Religious Sonnets 1992-06-01
[173] 기타
[174] 서적 The Poems of Gerard Manley Hopkins Oxford UP 1967
[175] 간행물 The Wreck of the Deutschland: A New Reading 1966-03-01
[176] 논문 The Curtal Sonnets of Gerard Manley Hopkins 1952-03-00 # Month only available
[177] 웹사이트 La Corona http://www.luminariu[...]
[178] 웹사이트 a Wreath of Sonnets http://kresadlo.cz/s[...]
[179] 웹사이트 Marilyn Nelson Poetic Justice by Katherine Pierpont Senior Editor http://www.teachingk[...]
[180] 웹사이트 Pushkin Sonnets (추정) http://www.thepoets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