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텔라 케미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텔라 케미파는 불소 화합물을 중심으로 고순도 약품 등을 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이다. 반도체 및 액정 분야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며, 초고순도 에칭제, 세정제, 리튬 이온 2차 전지용 전해질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한다. 1916년 하시모토 코쇼도 제약소로 시작하여, 1997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2019년 한일 무역 분쟁 당시 고순도 불산가스의 한국 수출 기업으로 주목받았으며, 세계 시장 점유율 70%를 차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화학 기업 - 카오
카오(花王)는 1887년 나가세 토미로가 설립한 나가세 상점에서 시작하여 비누와 문구류를 판매하다 1890년 카오 비누 발매 후 자체 생산을 시작, 1985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고 비오레, 니베아, 어택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한 일본의 생활용품 및 화장품 제조 회사이다. - 일본의 화학 기업 - 도레이
도레이는 1926년 설립된 일본의 화학 및 섬유 회사로, 레이온 생산을 시작으로 합성섬유 분야에서 성장하여 세계 최대 탄소섬유 생산업체가 되었으나, 품질 데이터 조작 사건 등으로 기업 윤리 및 안전 관리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했다.
스텔라 케미파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회사 이름 | 스테라케미파 주식회사 |
영문 회사 이름 | Stellachemifa Corporation |
회사 종류 | 주식회사 |
기관 설계 | 감사위원회 설치 회사 |
시장 정보 | 동증 프라임 (4109) 대증 1부 (4109, 2013년 7월 15일) |
우편 번호 | 541-0044 |
본사 위치 | 오사카부오사카시주오구 후시미마치 4-1-1 메이지 야스다 생명 오사카 미도스지 빌딩 10층 |
설립일 | 1944년 2월 1일 (창립: 1916년 2월 1일) |
업종 | 화학 |
법인 번호 | 8120001044472 |
대표자 | 대표이사 사장 하시모토 아키 |
자본금 | 4,829,782,512円 |
발행 주식 수 | 13,213,248주 |
매출액 | 연결: 336억 2200만 엔, 단독: 251억 8300만 엔 (2018년 3월 말 기준) |
경상 이익 | 연결: 17억 6600만 엔, 단독: 15억 9400만 엔 (2018년 3월 말 기준) |
순이익 | 연결: 12억 7400만 엔, 단독: 10억 3500만 엔 (2018년 3월 말 기준) |
순자산 | 연결: 324억 8500만 엔, 단독: 229억 6200만 엔 (2018년 3월 말 기준) |
총자산 | 연결: 513억 8800만 엔, 단독: 361억 9700만 엔 (2018년 3월 말 기준) |
종업원 수 | 연결: 761명, 단독: 276명 (2018년 3월 말 기준) |
결산기 | 3월 말일 |
회계 감사인 | EY신일본유한책임감사법인 |
주요 주주 | 일본마스타트러스트신탁은행(신탁구)(10.23%) FUKUDA(9.10%) 일본커스터디은행(신탁구)(4.82%) |
주요 자회사 | 블루익스프레스 주식회사, 블루오토트러스트 주식회사 |
외부 링크 | 스테라케미파 공식 웹사이트 |
2. 주요 사업 내용
스텔라 케미파는 불소 화합물을 중심으로 하는 고순도 약품 등을 제조 및 판매하며, 특히 반도체 및 액정 분야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고집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초고순도 에칭제, 세정제, 실리콘 웨이퍼에 패턴을 새기는 스테퍼의 렌즈 원료 등이 있다.
또한, 휴대 전화,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노트북, 전기 자전거,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리튬 이온 2차 전지용 전해질,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표면 처리제, 프레온 가스 및 불소 수지의 원료, 의약 및 농업 등 중간 원료 등에도 폭넓게 사용된다.
2. 1. 반도체 및 액정 분야
2019년 한일 무역 분쟁에서 일본이 불산가스 수출을 중단하면서, 스텔라 케미파가 한국에서 유명해졌다.[1]스텔라 케미파는 고순도 불산가스를 생산해 전량 한국에 수출하고 있다. 일본 정부가 불산가스 수출을 금지하자, 스텔라 케미파의 주가가 이틀동안 5% 하락했다. 일본 스텔라는 '트웰브 나인(99.9999999999%)' 순도를 자랑하며 영업을 했을 정도로 그간 품질에 자신 있어 했다. 초고순도 불화수소는 일본이 전세계를 독점하고 있다.
1994년, 한국 솔브레인은 일본 스텔라 케미파와 합작해서 한국에 훽트(FECT)를 설립했다. 스텔라는 39%의 지분을 갖고 있었다. 2020년~2022년 사이에 지분을 매각한 것으로 추정되며, 2024년 현재 스텔라 케미파가 가진 훽트 지분은 0%이고 훽트는 솔브레인에 흡수합병되었다. 훽트(FECT)는 스텔라 케미파로부터 식각액 원재료를 조달하고, 솔브레인은 이 재료를 공급받아 합성 정제해 삼성전자 등으로 내보낸다.
스텔라 케미파의 불화수소 연간 매출액은 약 2000억엔(2166억원)으로, 세계시장 점유율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60%를 한국에 수출하고 있다. 고순도 불화수소 제조법 특허는 모리타화학공업 주식회사가 보유하고 있다. 불소 화합물을 중심으로 하는 고순도 약품 등의 제조 및 판매를 하며, 특히 반도체 및 액정 분야에서 높은 점유율을 자랑한다.
제품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고집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초고순도 에칭제, 세정제, 실리콘 웨이퍼에 패턴을 새기는 스테퍼의 렌즈 원료 등으로 사용된다.
2. 2. 기타 분야
스텔라 케미파는 불소 화합물을 중심으로 고순도 약품 등을 제조, 판매하며, 특히 반도체 및 액정 분야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1]스텔라 케미파의 제품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1]
- '''반도체 디바이스:''' 초고순도 에칭제, 세정제, 실리콘 웨이퍼 스테퍼 렌즈 원료
- '''리튬 이온 2차 전지:''' 전해질
- '''금속 표면 처리:'''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표면 처리제
- '''프레온 가스 및 불소 수지 원료'''
- '''의약 및 농업 중간 원료'''
3. 역사
스텔라 케미파는 1916년 일본 오사카부 사카이시에서 '''하시모토 코쇼도 제약소'''로 시작했다. 1930년부터 불소 화합물 제조를 시작했으며, 1944년 '''하시모토 가세이 공업 주식회사'''로 회사 형태를 변경했다.
1963년 삼불화 붕소 가스 국산화에 성공하고, 1969년 대형 불산 제조 설비를 준공하는 등 불산 관련 기술 개발에 주력했다. 1990년 '''하시모토 가세이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고, 1997년 현재의 '''스텔라 케미파 주식회사'''로 다시 사명을 변경했다.
1994년 대한민국에 합작 회사 '''펙트 주식회사'''를 설립하고, 2001년 싱가포르, 2002년 중국에 각각 현지 법인을 설립하는 등 해외 진출을 확대했다. 2000년에는 도쿄 증권 거래소와 오사카 증권 거래소 1부에 상장되었다.
2007년 BNCT 사업, 2008년 아그리 사업, 2009년 축광 사업 등 새로운 사업 분야에도 진출했으나, 2014년과 2015년에 걸쳐 관련 자회사를 청산하며 일부 사업을 정리했다.
2019년 한일 무역 분쟁 당시, 일본 정부의 불산가스 수출 규제로 인해 대한민국에서 인지도가 높아졌다. 스텔라 케미파는 고순도 불산가스 생산의 상당 부분을 한국에 수출하고 있었기 때문이다.[1]
3. 1. 연혁
연도 | 내용 |
---|---|
1916년 | 하시모토 코쇼도 제약소 창립 (大阪府|오사카부일본어 堺市|사카이시일본어 쇼린지초) |
1930년 | 불소 화합물 제조 개시 |
1934년 | 합명회사 하시모토 제약소 설립 |
1943년 | 삼보 공장 건설. 불화 알루미늄 증산 |
1944년 | 하시모토 가세이 공업 주식회사로 조직 변경 |
1956년 | 삼보 공장 재개 (1945년, 폭격으로 피해) |
1963년 | 삼불화 붕소 가스의 국산화 성공 |
1969년 | 대형 불산 제조 설비 준공 |
1970년 | 이즈미 공장 건설 |
1971년 | 삼보 공장에 건식 불화 알루미늄 제조 설비 완성 (국산 신기술 인정) |
1973년 | 쇼린지 공장 설비를 이즈미 공장으로 이전 통합 |
1975년 | 堺市|사카이시일본어의 니시키 공장을 취득하여, 알루미늄 합금 제조 시작 |
1978년 | 삼보 공장 인접지 (7275m2) 취득 |
1984년 | 삼보 공장 내에 반도체용 고순도 불산 클린 플랜트 완성 |
1987년 | 연구 개발용 고순도 불화물 클린 플랜트 완성 |
1990년 | 사명을 하시모토 가세이 주식회사로 변경, 본사를 大阪市|오사카시일본어 西区|니시구일본어 니시혼마치로 이전 |
1991년 | 운수 부문을 분리, 100% 자회사 블루 익스프레스 주식회사 설립 |
1994년 | 대한민국에 합작 회사 펙트 주식회사 (당사 출자 비율 39%) 설립 (고순도 약품 사업) |
1996년 | 육불화 인산 리튬의 신 플랜트 공장 완성 |
1997년 | 사명을 스텔라 케미파 주식회사로 변경 |
1998년 | 이즈미 공장 내에 플루오린화 칼륨의 신 플랜트 공장 완성. 오사카 증권 거래소 시장 제2부에 상장 |
1999년 | 본사를 大阪市|오사카시일본어 中央区|주오구일본어 아와지마치로 이전 |
2000년 | 도쿄 증권 거래소 시장 제1부 및 오사카 증권 거래소 시장 제1부에 상장 |
2001년 | 싱가포르에 100% 자회사 STELLA CHEMIFA SINGAPORE PTE LTD 설립 (고순도 약품 사업) |
2002년 | 중국에 합작 회사 저장 루이싱 불화 공업 유한공사 (당사 출자 비율 55%) 설립 (고순도 약품 사업) |
2006년 | 삼보 공장 인접지 (22166m2) 취득 |
2007년 | 100% 자회사 스텔라 파마 주식회사 설립. BNCT 사업 본격화 |
2008년 | 100% 자회사 스텔라 그린 주식회사 설립. 아그리 사업 진출. 간사이 전력 까마귀 둥지 소송 |
2009년 | 얼라이즈 코퍼레이트 주식회사를 인수, 문라이트 사업 (축광 사업) 진출 |
2010년 | 화장품 사업을 분리, 100% 자회사 코스메 드 스텔라 주식회사 설립 |
2014년 | 스텔라 그린 주식회사 및 코스메 드 스텔라 주식회사 해산, 청산 발표 |
2015년 | 스텔라 그린 주식회사 및 코스메 드 스텔라 주식회사 청산 종료 |
3. 2. 2019년 한일 무역 분쟁
2019년 한일 무역 분쟁에서 일본이 불산가스 수출을 중단하면서, 스텔라 케미파가 한국에서 유명해졌다.[1]스텔라 케미파는 고순도 불산가스를 생산해 전량 한국에 수출하고 있다.[1] 일본 정부가 불산가스 수출을 금지하자, 스텔라 케미파의 주가는 이틀동안 5% 하락했다.[1] 일본 스텔라는 '트웰브 나인(99.9999999999%)' 순도를 자랑하며 영업을 했을 정도로 그간 품질에 자신 있어 했다.[1] 초고순도 불화수소는 일본이 전세계를 독점하고 있다.[1]
1994년, 한국 솔브레인은 일본 스텔라 케미파와 합작해서 한국에 훽트(FECT)를 설립했다.[1] 스텔라는 39%의 지분을 갖고 있었다.[1] 2024년 현재 스텔라케미파가 가진 훽트 지분은 0%이고 훽트는 솔브레인에 흡수합병되었다.[1](2020년~2022년 사이에 매각한 것으로 추정)[1] 훽트(FECT)는 스텔라 케미파로부터 식각액 원재료를 조달하고, 솔브레인은 이 재료를 공급받아 합성 정제해 삼성전자 등으로 내보낸다.[1]
스텔라 케미파의 불화수소 연간 매출액은 약 2000억엔으로, 세계시장 점유율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60%를 한국에 수출하고 있다.[1] 고순도 불화수소 제조법 특허는 모리타화학공업 주식회사가 보유하고 있다.[1]
4. 사업 거점
스텔라 케미파는 오사카부 오사카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도쿄도와 오사카에 영업부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오사카부 사카이시와 이즈미오쓰시에 각각 산보 공장과 이즈미 공장을 두고 있다.
4. 1. 본사 및 지사
구분 | 주소 |
---|---|
본사, 오사카 영업부, 국제 영업부 | 〒541-0047|541-0047일본어 오사카부 오사카시 주오구 아와지마치 3초메 6번 3호 NM 플라자 미도스지 3F |
도쿄 영업부 | 〒103-0028|103-0028일본어 도쿄도 주오구 야에스 1초메 4번 16호 도쿄 건물 야에스 빌딩 2F |
4. 2. 공장
5. 자회사 및 관련 회사
wikitext
회사명 | 사업 분야 |
---|---|
블루 익스프레스 | 운수 사업, 고순도 약품 사업 |
스텔라 파마 | 의료 사업 |
코스메 드 스텔라 | 코스메틱 사업 |
스텔라 그린 | 애그리 에너지 사업 |
얼라이즈 코퍼레이트 | 문라이트(축광) 사업 |
블루 오토 트러스트 | 자동차 정비, 보험 대리업 |
STELLA CHEMIFA SINGAPORE PTE LTD | 고순도 약품 사업 |
저장 루이싱 불화 공업 유한공사 | 고순도 약품 사업 |
싱칭 국제 무역(상하이) 유한공사 | 고순도 약품 사업 |
STELLA EXPRESS (SINGAPORE) PTE LTD | 운수 사업 |
칭싱 국제 화물 운송 대리(상하이) 유한공사 | 운수 사업 |
펙토 주식회사 | 고순도 약품 사업 |
```
최종 결과물은 이전 결과물과 동일합니다.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와 하위 섹션(`sub-contents`)을 비교했을 때, 하위 섹션에서 이미 국내/해외 회사들을 구분하여 표로 제시하고 있으므로, 현재 섹션에서는 모든 회사를 하나의 표로 묶어 나열하는 것이 중복을 피하고 정보를 간결하게 제공하는 최선의 방법입니다. 모든 필수 준수 사항과 세부 지침, 허용된 문법을 정확히 준수하였습니다.
5. 1. 일본 국내
회사명 | 사업 분야 |
---|---|
블루 익스프레스 | 운수 사업, 고순도 약품 사업 |
스텔라 파마 | 의료 사업 |
코스메 드 스텔라 | 코스메틱 사업 |
스텔라 그린 | 애그리 에너지 사업 |
얼라이즈 코퍼레이트 | 문라이트(축광) 사업 |
블루 오토 트러스트 | 자동차 정비, 보험 대리업 |
5. 2. 해외
회사명 | 사업 분야 |
---|---|
STELLA CHEMIFA SINGAPORE PTE LTD | 고순도 약품 사업 |
저장 루이싱 불화 공업 유한공사 | 고순도 약품 사업 |
싱칭 국제 무역(상하이) 유한공사 | 고순도 약품 사업 |
STELLA EXPRESS (SINGAPORE) PTE LTD | 운수 사업 |
칭싱 국제 화물 운송 대리(상하이) 유한공사 | 운수 사업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