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루센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루센 역은 스톡홀름 지하철의 뢰다 선, 그뢰나 선, 그리고 살트셰 선이 지나는 역이다. 1933년 노면 전차역으로 개업하여 1950년 도시 철도 기준으로 개축되었으며, 현재는 뢰다 선과 그뢰나 선의 환승역으로, 뤼스고르덴, 예트가탄, 살트셰 선 및 버스 터미널로 연결된다. 1936년부터 살트셰 선의 종착역이 되었으며, 4개의 승강장이 있다. 역 내에는 여러 예술 작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뢰다 선, 그뢰나 선, 살트셰 선의 노선이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뢰다선 - T-센트랄렌역
스톡홀름 센트랄 역의 주요 환승역인 T-센트랄렌역은 뢰다 선과 그뢰나 선이 지나며 두 개의 지하 층에 섬식 승강장이 설치되어 환승이 편리하고, 바사가탄, 드로트닝가탄, 세르옐스 토리 방면으로 출입구가 있으며, 다양한 예술 작품으로 장식되어 있다. - 뢰다선 - 감라스탄역
감라스탄역은 스톡홀름 지하철의 뢰다 선과 그뢰나 선이 지나는 역으로, 뢰다 선에서는 토르스뷔 역과 뢰다 역 사이에, 그뢰나 선에서는 그뢰나 역과 감라스탄 역 사이에 위치한다. - 그뢰나선 - T-센트랄렌역
스톡홀름 센트랄 역의 주요 환승역인 T-센트랄렌역은 뢰다 선과 그뢰나 선이 지나며 두 개의 지하 층에 섬식 승강장이 설치되어 환승이 편리하고, 바사가탄, 드로트닝가탄, 세르옐스 토리 방면으로 출입구가 있으며, 다양한 예술 작품으로 장식되어 있다. - 그뢰나선 - 감라스탄역
감라스탄역은 스톡홀름 지하철의 뢰다 선과 그뢰나 선이 지나는 역으로, 뢰다 선에서는 토르스뷔 역과 뢰다 역 사이에, 그뢰나 선에서는 그뢰나 역과 감라스탄 역 사이에 위치한다. - 스톡홀름 지하철역 - T-센트랄렌역
스톡홀름 센트랄 역의 주요 환승역인 T-센트랄렌역은 뢰다 선과 그뢰나 선이 지나며 두 개의 지하 층에 섬식 승강장이 설치되어 환승이 편리하고, 바사가탄, 드로트닝가탄, 세르옐스 토리 방면으로 출입구가 있으며, 다양한 예술 작품으로 장식되어 있다. - 스톡홀름 지하철역 - 감라스탄역
감라스탄역은 스톡홀름 지하철의 뢰다 선과 그뢰나 선이 지나는 역으로, 뢰다 선에서는 토르스뷔 역과 뢰다 역 사이에, 그뢰나 선에서는 그뢰나 역과 감라스탄 역 사이에 위치한다.
슬루센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명 | 슬루센 |
원어 역명 | Slussen |
위치 | 스톡홀름 쇠데르말름 |
해발 고도 | 8m |
심도 | 7-24m |
개업일 | 1933년 10월 1일 |
재건축 | 1957년 |
접근성 | 가능 |
역 코드 | SLU |
소유주 | 스토르스톡홀름스 로칼트라피크 |
구역 | 해당사항 없음 |
이전 역명 | 해당사항 없음 |
일일 승객 수 | 79,000명 (2019년 기준) |
연간 승객 수 | 해당사항 없음 |
연간 승객 증가율 | 해당사항 없음 |
총 승객 수 | 지하철 총합 |
녹색선 승객 수 (2019년) | 39,450명 |
적색선 승객 수 (2019년) | 39,550명 |
![]() | |
노선 정보 | |
지하철 노선 | 뢰다 선 (T13, T14) 그뢰나 선 (T17, T18, T19) |
인접 역 | 뢰다 선: 감라스탄 역 - 슬루센 - 마리아토르에트 그뢰나 선: 감라스탄 역 - 슬루센 - 메드보리아르플라첸 |
기타 노선 | 살트셰 선 (25번) |
기타 인접 역 | 살트셰 선: (기점) - 슬루센 - 헨릭스달 |
승강장 | 2개 |
선로 | 4개 |
![]() | |
![]() |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urbanrail www.kynerd.net gleisplanweb.eu |
추가 정보 | |
마지막 운행 (살트셰 선) | 슬루센으로의 마지막 운행 (살트셰 선)은 2016년 6월 13일이었음. 10년 후 슬루센에 다시 도착 예정. |
논란 | 2017년, 스톡홀름 지하철의 예술 작품이 논란을 일으킴 (가디언 기사) |
2. 역사
2. 1. 초기 역사 (1933-1950)
슬루센 역은 감라스탄 및 마리아토르에트 사이에 있으며, 지하 7-24m 뤼스고르덴 지역에 승강장이 있다. 서쪽 승강장은 북쪽, 동쪽 승강장은 남쪽으로 가는 열차가 정차하며, 스톡홀름 지하철의 뢰다 선 및 그뢰나 선의 같은 방향으로 쉽게 환승할 수 있다. 뤼스고르덴, 예트가탄, 살트셰 선 및 버스 터미널 쪽으로 출입구가 나 있다.1933년 10월 1일 구스타프 5세가 참여하여 스칸스툴까지 운행하는 노면 전차의 중간역으로 개업하였다. 1950년 10월 1일 도시 철도 기준으로 개축되었으며, 슬루센-회토리에트 구간이 개업할 때까지 종착역이었다. 그뢰나 선 및 뢰다 선의 거리는 슬루센 역부터 계산한다.

남부 출입구의 예술 작품은 Astor, Biger Forsberg의 "Entre 70 öre"(1965년)이다. 예트가탄으로 올라가는 통로 벽 디자인은 1965년 Sune Fogde가 하였다. 승강장 사이를 나누는 벽은 금속 및 석재로 Bengt Rafael Sundberg가 1990년에 디자인하였다. 뤼스고르덴으로 가는 곳의 예술 작품은 Harald Lyth의 "Ur spår"(1983년)이다.
2. 2. 도시 철도역 시대 (1950-현재)
감라스탄 및 마리아토르에트 사이에 있으며, 지하 7-24m 뤼스고르덴 지역에 승강장이 있다. 서쪽 승강장은 북쪽, 동쪽 승강장은 남쪽으로 가는 열차가 정차하며, 뢰다 선 및 그뢰나 선의 같은 방향으로 쉽게 환승할 수 있다. 뤼스고르덴, 예트가탄, 살트셰 선 및 버스 터미널 쪽으로 출입구가 나 있다. 스톡홀름 지하철에서 두 번째로 이용객이 많은 역으로, 도시 철도의 일일 승차량은 약 8만 4000명이다.
1933년 10월 1일 구스타프 5세가 참여하여 스칸스툴까지 운행하는 노면 전차의 중간역으로 개업하였다. 1950년 10월 1일 도시 철도 기준으로 개축되었으며, 슬루센-회토리에트 구간이 개업할 때까지 종착역이었다. 그뢰나 선 및 뢰다 선의 거리는 슬루센 역부터 계산한다.
남부 출입구의 예술 작품은 Astor, Biger Forsberg의 "Entre 70 öre"(1965년)이다. 예트가탄으로 올라가는 통로의 벽 디자인은 1965년 Sune Fogde가 하였다. 승강장 사이를 나누는 벽은 금속 및 석재로 Bengt Rafael Sundberg가 1990년에 디자인하였다. 뤼스고르덴으로 가는 곳의 예술 작품은 Harald Lyth의 "Ur spår"(1983년)이다.
승강장 구조는 다음과 같다.
1 | 그뢰나 선 | 헤셀뷔 스트란드 방면 |
---|---|---|
2 | 뢰다 선 | 뫼르뷔 센트룸·롭스텐 방면 |
3 | 뢰다 선 | 프루엥엔·노르스보리 방면 |
4 | 그뢰나 선 | 파르스타 스트란드·학세트라·스카르프넥 방면 |
3. 구조
3. 1. 도시 철도 (지하철)
감라스탄 및 마리아토르에트 사이에 있으며, 지하 7-24m 뤼스고르덴 지역에 승강장이 있다. 서쪽 승강장은 북쪽, 동쪽 승강장은 남쪽으로 가는 열차가 정차하며, 뢰다 선 및 그뢰나 선의 같은 방향으로 쉽게 환승할 수 있다. 뤼스고르덴, 예트가탄, 살트셰 선, 버스 터미널 쪽으로 출입구가 나 있다. 도시 철도의 일일 승차량은 약 8만 4000명으로, 스톡홀름 지하철에서 두 번째로 이용객이 많다.
도시 철도역은 1933년 10월 1일 구스타프 5세가 참여하여 개업하였다. 당시에는 스칸스툴까지 진행하는 노면 전차의 중간역이었다. 1950년 10월 1일 도시 철도 기준으로 개축되었으며, 슬루센-회토리에트 구간이 개업할 때까지 종착역이었다. 그뢰나 선 및 뢰다 선의 거리는 슬루센 역부터 계산한다.
남부 출입구의 예술 작품은 Astor, Biger Forsberg의 "Entre 70 öre"(1965년)이다. 예트가탄으로 올라가는 통로 벽 디자인은 1965년 Sune Fogde가 하였다. 승강장 사이를 나누는 벽은 금속 및 석재로 Bengt Rafael Sundberg가 1990년에 디자인하였다. 뤼스고르덴으로 가는 곳의 예술 작품은 Harald Lyth의 "Ur spår"(1983년)이다.
승강장 구조는 다음과 같다.
1 | 그뢰나 선 | 헤셀뷔 스트란드 방면 |
---|---|---|
2 | 뢰다 선 | 뫼르뷔 센트룸·롭스텐 방면 |
3 | 뢰다 선 | 프루엥엔·노르스보리 방면 |
4 | 그뢰나 선 | 파르스타 스트란드·학세트라·스카르프넥 방면 |
3. 2. 살트셰 선
1936년 살트셰 선의 종착역이 스타스고르덴 역에서 슬루센 역으로 이동하였다. 개통 당시 역명은 스톡홀름-살트셰바난 역이었으나, SL에서 운영권을 인수한 이후 살트셰 선의 역명도 슬루센 역이 되었다. 살트셰 선의 역은 단선 승강장만 있는 종착역이다. 역이 처음 개업하였을 때 승강장에서 노면으로 가는 스톡홀름의 첫 에스컬레이터가 가동되었다. 이후 1970년대에 노후화로 철거되었고, 도시 철도역의 에스컬레이터가 이 역할을 담당한다. 카타리나 엘리베이터의 맨 아래층은 살트셰 선의 슬루센 역이며, 2008년 1일 탑승객은 6900명이다.4. 예술 작품
5. 인접 역
뢰다 선 | ||
---|---|---|
감라스탄 | 뫼르뷔 센트룸#넘겨주기 롭스텐 방면 | 마리아토르에트 |
그뢰나 선 | ||
감라스탄 | 헤셀뷔 스트란드 방면 | 메드보리아르플라첸 |
살트셰 선 | ||
시·종착역 | 헨릭스달 |
5. 1. 뢰다 선 (T13, T14)
뢰다 선 (T13, T14)은 뫼르뷔 센트룸 및 롭스텐 방면 열차가 감라스탄에서, 프루엥엔 및 노르스보리 방면 열차가 마리아토르에트에서 온다.
5. 2. 그뢰나 선 (T17, T18, T19)
감라스탄에서 헤셀뷔 스트란드 방면으로 가는 그뢰나 선 T17, T18, T19 열차가 정차한다. 메드보리아르플라첸 방면으로는 스카르프넥 , 파르스타 스트란드, 학세트라 행 열차가 운행된다.5. 3. 살트셰 선 (L25)
살트셰 선의 L25 열차는 이 역을 종착역으로 사용하며, 헨릭스달 방면으로 살트셰바덴 및 솔시단행 열차가 운행된다.참조
[1]
웹사이트
Fakta om SL och regionen 2019
https://www.sll.se/g[...]
Storstockholms Lokaltrafik
2021-04-01
[2]
웹사이트
Stockholm
http://www.urbanrail[...]
urbanrail
[3]
웹사이트
Slussen
http://www.kynerd.ne[...]
2023-11-24
[4]
뉴스
Sista färden till Slussen / Tio år tills Saltsjöbanan når Slussen igen
http://www.nvp.se/Ar[...]
2016-06-13
[5]
웹사이트
Stockholm tramway & light rail current trackmap
https://www.gleispla[...]
2021-12-18
[6]
웹사이트
'Enjoy menstruation, even on the subway': Stockholm art sparks row
https://www.theguard[...]
2017-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