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메온 벡불라토비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메온 벡불라토비치는 칭기즈 칸의 후예이자 아스트라한 칸국 왕족 출신으로, 1567년부터 1573년까지 카심 칸국의 칸을 역임했다. 1573년 정교회로 개종하고 이반 4세의 명목상 대공으로 즉위하여 1년간 모스크바 크렘린을 통치했으나, 실권은 이반 4세에게 있었다. 이후 트베리 대공을 역임했으나 보리스 고두노프의 책략으로 유폐되었고, 수도 생활을 거쳐 1616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심 칸 - 카심 이븐 울루그 무함마드
    카심 이븐 울루그 무함마드는 15세기 타타르족으로 모스크바 대공국의 지원을 받아 카심 칸국을 건국하고, 파흐라 강 전투에서 승리하여 모스크바 대공국의 영향력 확대에 기여했으며, 1469년 사망 후 아들 다니야일이 뒤를 이었다.
  • 동방 정교회로 개종한 사람 - 표트르 마모노프
    표트르 마모노프는 1982년 밴드 즈부키 무를 결성하여 국제적 인지도를 얻은 러시아의 음악가이자, 영화 《택시 블루스》를 통해 배우로 데뷔하여 《오스트로브》, 《차르》 등 다양한 작품에서 연기력을 인정받았으며,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한 작가이다.
  • 러시아의 시각 장애인 - 바실리 2세
    바실리 2세는 삼촌, 사촌들과의 권력 투쟁 속에서 모스크바 대공국의 대공으로 중앙 집권화를 추진하고 러시아 정교회의 독립을 지지하여 모스크바의 위상을 높였으며 말년에는 실명했으나 이반 3세의 도움으로 통치를 이어갔다.
  • 러시아의 시각 장애인 - 레프 폰트랴긴
    레프 폰트랴긴은 소비에트 연방의 수학자로, 실명에도 불구하고 위상수학, 대수학, 미분기하학에 걸쳐 큰 업적을 남겼으며, 코보디즘 이론 공동 창시자이자 폰트랴긴의 최대 원리를 정립하는 등 응용수학에도 기여했지만 정치적 논란도 있었다.
시메온 벡불라토비치
기본 정보
시메온 베크불라토비치 초상화
16세기 후반 또는 17세기 초반에 이름 모를 화가가 그린 초상화
통치
칭호전 러시아의 대공
카심 칸국의 칸
트베리의 대공
재위 기간1575년 10월 - 1576년 9월 (전 러시아의 대공)
이전 통치자이반 4세
다음 통치자이반 4세
카심 칸국의 칸 재위 기간1567년 - 1573년
카심 칸국의 이전 통치자샤갈리
카심 칸국의 다음 통치자무스타파 알리
트베리 대공 재위 기간1576년 - 1585년
트베리 대공 섭정이반 4세
개인 정보
배우자아나스타시야 무스티슬라프스카야
아버지베크 불라트
어머니알틴차치
출생알 수 없음
사망일1616년 1월 5일 (율리우스력 1616년 1월 15일)
사망 장소모스크바, 러시아
매장 장소시모노프 수도원
종교러시아 정교회 (이전에는 이슬람교)
이름
러시아어Симеон Бекбулатович (시메온 베크불라토비치)
다른 이름Саин-Булат (사인-불라트)
사인 볼라트 (타타르어)

2. 생애

시메온 벡불라토비치는 칭기즈 칸의 후손으로 아스트라한 칸국의 왕족이었다. 아버지 벡 불라트와 어머니 카바르다 공녀 알틴차치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대 오르다의 군주였던 아흐마드 칸의 증손자였다.[5]

1566년 샤흐 알리가 사망하자 이반 4세에 의해 카심 칸국의 군주로 옹립되었고, 1567년부터 1573년까지 칸을 역임했다. 1571년부터 1573년까지 리보니아 전쟁에서 모스크바 대공국 군대의 파이데 공략에 참여했다. 1573년 7월, 이반 4세의 권유로 정교회로 개종하고 세례를 받아 '시메온 벡불라토비치'로 개명했다. 이후 므스티슬라브스키 가문 출신의 아나스타시야와 결혼했다.[1]

1575년, 이반 4세는 시메온을 '전 루스의 대공'으로 임명하고 자신은 '모스크바의 이반'으로 칭하며 물러났다. 그러나 실권은 여전히 이반 4세에게 있었고, 시메온은 꼭두각시에 불과했다.[1] 1년 후인 1576년, 시메온은 이반 4세에게 다시 차르 자리를 넘겨주고 트베리 대공으로 물러났다.[12]

1585년, 표도르 1세는 시메온에게서 트베리 대공 칭호를 박탈하고 쿠샬로프 영지로 유폐했다. 1595년에는 시력을 잃었는데, 보리스 고두노프가 보낸 와인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있다.[1] 이후 보리스 고두노프, 거짓 드미트리 1세, 바실리 슈이스키 등에 의해 수도원에 보내지거나 감금되는 등 험난한 시기를 보냈다.

1612년 드미트리 포자르스키의 칙령으로 수도원으로 돌아왔고, 미하일 로마노프 치하에서 모스크바로 돌아와 1616년 시모노프 수도원에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아내 옆에 안치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카심 칸 즉위

시메온 벡불라토비치는 칭기즈 칸의 후예이자 아스트라한 칸국 왕족 출신으로, 대 오르다의 군주였던 아흐마드 칸의 증손자이다. 아버지는 벡 불라트(Бек-Булат)이며, 어머니는 카바르다(Kabardia) 공녀 알틴차치(Temrjukfi의 딸)이다.

1566년에 동족인 샤흐 알리(Shahghali)가 사망하자 이반 4세에 의해 모스크바 대공국완충국카심 칸국의 군주로 옹립되었다. 1567년부터 1573년까지 카심 칸국의 칸을 역임했다. 1571년부터 1573년까지 리보니아 전쟁에서 모스크바군의 파이데 공략에 참여했다.

2. 2. 이반 4세와의 관계와 루스 차르국 차르 즉위

1575년 이반 4세는 시메온 벡불라토비치를 전 러시아의 대공으로 임명하고, 자신은 '모스크바의 이반'이라고 칭하며 물러났다.[9] 이반 4세가 이러한 결정을 내린 배경에는 여러 가지 해석이 존재한다.

당시 외교관이었던 자일스 플레처 더 엘더는 이반 4세가 교회의 분노를 사지 않고 수도원 소유 토지를 몰수하기 위해 이러한 조치를 취했다고 설명했다. 즉, 시메온이 이반 4세를 대신하여 몰수령을 내리면, 이반 4세는 이에 동의하지 않는 척하며 교회의 반발을 피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1]

또 다른 해석은 시메온이 칭기즈 칸 가문의 후예라는 점을 이용하려 했다는 것이다. 칭기즈 칸의 혈통은 몽골 제국 쇠퇴 이후에도 중앙 유라시아에서 지배자의 혈통으로 신성시되었기 때문에, 이반 4세가 시메온에게 왕위를 양위했다가 다시 받는 형식을 취함으로써 칭기즈 칸 가문의 권위를 얻으려 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실제 권력은 여전히 차르 칭호를 유지한 이반 4세에게 있었고, 시메온은 이반 4세의 꼭두각시에 불과했다.[1] 모스크바 크렘린에서 1년 동안 "통치"하는 동안 시메온은 이반 3세의 고손녀인 아나스타샤 므스티슬라브스카야와 결혼했다.[11]

1576년 9월,[9] 시메온은 이반 4세에게 다시 차르 자리를 넘겨주고 퇴위했으며, 트베리토르조크의 대공이라는 칭호를 받았다.[12]

2. 3. 퇴위와 트베리 대공 시절

1576년이반 4세에게 차르 자리를 다시 넘겨주고 트베리 대공으로 물러났으며, 1576년부터 1585년까지 이 직위를 역임했다.[12] 1576년 9월,[9] 시메온은 전 러시아 대공 자리에서 물러나고 트베리토르조크의 대공 칭호를 받았다. 1585년 표도르 이바노비치는 시메온에게서 트베리와 토르조크 대공 칭호를 박탈하고 쿠샬로프의 영지로 유폐했다.[1]

2. 4. 실명과 수도 생활, 그리고 죽음

1595년 시메온은 시력을 잃었다. 자크 마르게레에 따르면, 시메온은 보리스 고두노프가 자신의 생일에 보낸 스페인 와인을 탓했다고 한다.[1] 보리스 고두노프는 1598년 차르로 선출되자 궁정 사람들에게 충성 서약을 요구했는데, 이 서약에는 시메온을 차르로 인정하거나 그와 서신을 주고받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거짓 드미트리 1세는 시메온에게 키릴로-벨로제르스키 수도원에서 삭발할 것을 요구했고, 시메온은 1606년 4월 3일 스테판이라는 수도명을 받았다. 바실리 슈이스키가 차르로 선출된 후, 1606년 5월 29일 장로 스테판을 솔로프키 수도원으로 보냈다.[1]

1612년, 드미트리 포자르스키 공작의 칙령과 '온 땅의 조언'에 따라 스테판은 키릴로-벨로제르스키 수도원으로 돌아왔다. 미하일 표도로비치 치하에서 그는 모스크바로 돌아와 1616년 사망할 때까지 시모노프 수도원에 거주했다. 그는 1607년 6월 7일 수녀 알렉산드라로 베일을 쓴 그의 아내 옆에 시모노프 수도원에 안치되었다.

3. 가계

시메온 벡불라토비치는 칭기즈 칸의 혈통을 이은 조치 가문 출신으로, 대 오르다의 군주였던 아흐마드 칸의 증손자이다. 아버지는 벡불라트(러시아어: Бек-Булат)이며, 어머니는 템류크의 딸인 알틴차치이다.

1573년 동방 정교회로 개종한 후 이반 3세의 현손녀인 아나스타시야 므스티슬랍스카야(Anastasia Mstislavskaya)와 결혼했다.

러시아 계보학자들은 시메온과 아나스타시야 사이에 자녀가 있었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이고 있다.

{| class="wikitable"

|+ 시메온 벡불라토비치의 가계도

|-

| style="text-align:center;" |



|}

참조

[1] 웹사이트 How a Tatar Khan ruled Russia https://www.rbth.com[...] Russia Beyond The Headlines 2019-09-27
[2] 서적 Ivan the Terribl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3] 서적 Sinbirskii sbornik A. Semen 1844
[4] 서적 Ivan the Terrible Cooper Square Press 2002
[5] 서적 Ivan the Terrible Pearson/Longman 2003
[6] 서적 Russia's people of empire: life stories from Eurasia, 1500 to the present Indiana Univ. Press 2012
[7] 문서 Polnoe sobranie russkikh letopisei
[8] 문서 Puteshestviia russkikh poslov XVI-XVII vv. Akademiia nauk SSSR 1954
[9] 서적 Rude & barbarous kingdom: Russia in the accounts of sixteenth-century English voyagers Univ. of Wisconsin Press 1968
[10] 서적 Ivan the Terrible: first Tsar of Russia Yale University Press 2006
[11] 서적 Russia's people of empire: life stories from Eurasia, 1500 to the present Indiana University Press 2012
[12] 서적 Ivan the Terrible: first Tsar of Russia Yale University Press 2006
[13] 서적 Bitter Choices: Loyalty and Betrayal in the Russian Conquest of the North Caucasu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1-10-18
[14] 문서 Four Studies on the History of Central Asia, Vol. 3 1962
[15] 서적 Cahiers du monde russe, Volume 45 https://books.google[...] Centre d'études sur la Russie, l'Europe orientale et le domaine turc de l'Ecole des hautes études en sciences sociales
[16] 서적 Babur Nama : journal of Emperor Babur https://rarebooksoci[...] Penguin Book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