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편 145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편 145편은 다윗이 지은 것으로 여겨지는 시편으로, 찬양시이며 히브리 알파벳 순서대로 각 절의 첫 글자가 배열된 두운시이다. 이 시편은 하나님의 위대하심, 영광, 권능, 은혜, 긍휼, 의로움, 그리고 그의 백성을 향한 사랑과 보호를 찬양하며, 모든 세대가 하나님의 업적을 찬양하고 그의 영광을 선포할 것을 촉구한다. 마소라 본문에는 '눈'으로 시작하는 구절이 없지만, 사해 사본과 70인역 등에는 존재하여 진위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유대교에서는 아슈레이 기도문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기독교에서도 사용된다. 안토닌 드보르자크,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등 여러 작곡가들이 이 시편을 음악적으로 활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편 - 시편 22편
    시편 22편은 다윗의 시로, 고통 속에서 구원을 간구하는 내용과 구원 후의 감사와 찬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대교에서는 왕족 또는 이스라엘 민족의 고난을 상징하고, 기독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을 예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예배 의식에서 사용된다.
  • 시편 - 시편 115편
    시편 115편은 하느님께 영광을 돌리고 우상 숭배의 허무함을 강조하며 하느님의 유일성과 전능하심을 선포하고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느님을 의지할 것을 촉구하는 시편이다.
시편 145편
시편 145편
일반 정보
제목나는 주님을 높이 기리며, 나의 하느님, 나의 왕이신 주님을 찬양하리라
다른 이름시편 144 (불가타)
Exaltabo te Deus meus rex
상세 정보
언어히브리어 (원어)
구분성경 시편
성경 위치구약성경 시편 145장
구약성경 구분스프레이 에멧
이전시편 144
다음시편 146

2. 배경 및 주제

시편 145편은 다윗이 지은 것으로 명시적으로 언급되는 마지막 시편이자, 시편에 배치된 9개의 알파벳 두운시 중 마지막 시편이다. 이 시편은 "찬양"(테힐라, tehillah)으로 명시적으로 식별되는 유일한 시편이다.[3] 감리교 작가 조셉 벤슨은 다윗 왕이 "자신의 왕", 즉 왕들의 왕이신 하느님을 찬양한다고 언급한다.[7]

사해 사본 버전에는 각 절의 마지막에 반복되는 (비정경적인) 후렴구인 "주님을 찬양하며 그분의 이름이 영원히 찬양받으소서"가 추가되어 있으며, 시편 끝에는 "이것은 기념을 위한 것이다"라는 꼬리표가 붙어 있다.[4]

O. 팔머 로버턴은 이 시편이 시편 146-150편에 나타나는 찬양의 마지막 절정을 위한 준비로 배치되었다고 기록했다.[8]

2. 1. 알파벳 두운시

시편 145편은 각 절의 첫 글자가 히브리 알파벳 순서대로 배열된 두운시이다. 이러한 두운시 형식은 찬양의 완전함과 포괄성을 나타낸다.

마소라 본문에는 13절과 14절 사이에 '눈'(נhe)으로 시작하는 구절이 없다. 이는 필사자의 실수로 구절이 삭제되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지만, 그 실수가 매우 일찍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11] 3세기경, 랍비 요하난 하-나파는 탈무드 (''브라코트'' 4b)에서 시편 145편에 '눈'으로 시작하는 구절이 없는 이유를 묻고, '떨어졌다'(נפלה, ''나우플라'')라는 단어가 '눈'으로 시작한다는 설명이 주어졌다. 이 구절은 ("이스라엘 처녀가 넘어졌으니, 다시는 일어나지 못하리로다")의 구절처럼 시편의 고양적이고 보편적인 주제와는 양립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된다.[12]

그러나 70인역, 라틴어 불가타(70인역을 기반으로 함), 시리아어 페쉬타, 그리고 사해 사본(11QPs-ɑ;[13] 70인역과 유사성을 보이며, 예를 들어 151편을 포함)은 이 지점에 '눈'으로 시작하는 구절을 제공한다.

: ''"그의 말씀은 신실하시고, 그의 모든 행위는 정직하시다."''[14]

이 구절은 시편의 여러 기독교 번역본에서 13절의 끝에 삽입되어 있다.[14] 하지만, 모든 사람이 이 '눈' 구절이 진본이라고 확신하는 것은 아니다.[15][16]

3. 내용

시편 145편은 하느님의 위대하심, 영광, 권능, 은혜, 긍휼, 의로움, 그리고 그 백성을 향한 사랑과 보호를 찬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시편 기자는 "왕이신 나의 하나님이여 내가 주를 높이고 영원히 주의 이름을 송축하리이다"라고 고백하며(1-2절) 찬양을 시작한다. 하느님의 위대하심은 측량할 수 없고(3절), 모든 세대가 하느님의 업적과 영광을 선포해야 한다(4절).

시편은 하느님의 존귀하고 영광스러운 위엄과 기이한 일들(5절), 권능과 위대하심(6절), 크신 은혜와 의(7절)를 노래한다. 하느님은 은혜롭고 긍휼이 많으시며, 노하기를 더디 하시고 인자하시다(8절). 모든 피조물을 선대하시고 긍휼을 베푸시며(9절), 모든 피조물은 하느님께 감사하고 성도들은 그의 나라와 영광을 선포한다(10-13절).

하느님은 넘어지는 자들을 붙드시며 비굴한 자들을 일으키신다(14절). 모든 생물이 하느님을 앙망하며, 하느님은 때를 따라 먹을 것을 주시고 모든 생물의 소원을 만족하게 하신다(15-16절). 하느님은 의롭고 은혜로우시며(17절), 간구하는 자에게 가까이하시고, 경외하는 자의 소원을 이루신다(18-19절).

마지막으로 하느님은 사랑하는 자들을 보호하시고 악인들은 멸하시며(20절), 모든 육체가 그의 거룩하신 이름을 영원히 송축할 것이라고 노래하며 찬양을 마무리한다(21절).

3. 1. 히브리어 원문 및 번역



시편 145편의 히브리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개역개정)은 다음과 같다.

히브리어 원문개역개정
1אֲ֖רֽוֹמִמְךָ אֱלוֹהַ֣י הַמֶּ֑לֶךְ וַֽאֲבָֽ֘רֲכָ֥ה שִׁ֜מְךָ֗ לְע֘וֹלָ֥ם וָעֶֽדhe왕이신 나의 하나님이여 내가 주를 높이고 영원히 주의 이름을 송축하리이다
2בְּכָל־י֥וֹם אֲבָֽרֲכֶ֑ךָּ וַֽאֲהַ֘לְלָ֥ה שִׁ֜מְךָ֗ לְע֘וֹלָ֥ם וָעֶֽדhe내가 날마다 주를 송축하며 영원히 주의 이름을 송축하리이다
3גָּ֘ד֥וֹל יְהֹוָ֣ה וּמְהֻלָּ֣ל מְאֹ֑ד וְ֜לִגְדֻלָּת֗וֹ אֵ֣ין חֵֽקֶרhe여호와는 위대하시니 크게 찬양할 것이라 그의 위대하심을 측량하지 못하리로다
4דּ֣וֹר לְ֖דוֹר יְשַׁבַּ֣ח מַֽעֲשֶׂ֑יךָ וּגְב֖וּרֹתֶ֣יךָ יַגִּֽידוּhe대대로 주께서 행하시는 일을 크게 찬양하며 주의 능한 일을 선포하리로다
5הֲדַר כְּב֣וֹד הוֹדֶ֑ךָ וְדִבְרֵ֖י נִפְלְאֹתֶ֣יךָ אָשִֽׂיחָהhe주의 존귀하고 영광스러운 위엄과 주의 기이한 일들을 나는 작은 소리로 읊조리리이다
6וֶֽעֱז֣וּז נֽוֹרְאֹתֶ֣יךָ יֹאמֵ֑רוּ וּגְדוּלָּֽתְךָ֥ (כתיב וּגְדֻלָּֽותְךָ֥) אֲסַפְּרֶֽנָּהhe사람들은 주의 두려운 일의 권능을 말할 것이요 나도 주의 위대하심을 선포하리이다
7זֵ֣כֶר רַב־טֽוּבְךָ֣ יַבִּ֑יעוּ וְצִדְקָֽתְךָ֥ יְרַנֵּֽנוּhe그들이 주의 크신 은혜를 기념하여 말하며 주의 의를 노래하리이다
8חַנּ֣וּן וְרַח֣וּם יְהֹוָ֑ה אֶ֥רֶךְ אַ֜פַּ֗יִם וּגְדָל־חָֽסֶדhe여호와는 은혜로우시며 긍휼이 많으시며 노하기를 더디 하시며 인자하심이 크시도다
9טֽוֹב־יְהֹוָ֥ה לַכֹּ֑ל וְ֜רַֽחֲמָ֗יו עַל־כָּל־מַֽעֲשָֽׂיוhe여호와께서는 모든 것을 선대하시며 그 지으신 모든 것에 긍휼을 베푸시는도다
10יוֹד֣וּךָ יְ֖הֹוָה כָּל־מַֽעֲשֶׂ֑יךָ וַֽ֜חֲסִידֶ֗יךָ יְבָֽרֲכֽוּכָהhe여호와여 주께서 지으신 모든 것들이 주께 감사하며 주의 성도들이 주를 송축하리이다
11כְּב֣וֹד מַלְכֽוּתְךָ֣ יֹאמֵ֑רוּ וּגְבוּרָֽתְךָ֥ יְדַבֵּֽרוּhe그들이 주의 나라의 영광을 말하며 주의 업적을 일러서
12לְה֘וֹדִ֚יעַ לִבְנֵ֣י הָֽאָדָ֣ם גְּבֽוּרֹתָ֑יו וּ֜כְב֗וֹד הֲדַ֣ר מַלְכוּתֽוֹhe주의 업적과 주의 나라의 위엄 있는 영광을 인생들에게 알게 하리이다
13מַלְכֽוּתְךָ֗ מַלְכ֥וּת כָּל־עֹֽלָמִ֑ים וּ֜מֶֽמְשַׁלְתְּךָ֗ בְּכָל־דּ֥וֹר וָדֹֽרhe주의 나라는 영원한 나라이니 주의 통치는 대대에 이르리이다
14סוֹמֵ֣ךְ יְ֖הֹוָה לְכָל־הַנֹּֽפְלִ֑ים וְ֜זוֹקֵ֗ף לְכָל־הַכְּפוּפִֽיםhe여호와께서는 모든 넘어지는 자들을 붙드시며 비굴한 자들을 일으키시는도다
15עֵ֣ינֵי כֹ֖ל אֵלֶ֣יךָ יְשַׂבֵּ֑רוּ וְאַתָּ֚ה נוֹתֵֽן־לָהֶ֖ם אֶת־אָכְלָ֣ם בְּעִתּֽוֹhe모든 사람의 눈이 주를 앙망하오니 주는 때를 따라 그들에게 먹을 것을 주시며
16פּוֹתֵ֥חַ אֶת־יָדֶ֑ךָ וּמַשְׂבִּ֖יעַ לְכָל־חַ֣י רָצֽוֹןhe손을 펴사 모든 생물의 소원을 만족하게 하시나이다
17צַדִּ֣יק יְ֖הֹוָה בְּכָל־דְּרָכָ֑יו וְ֜חָסִ֗יד בְּכָל־מַֽעֲשָֽׂיוhe여호와께서는 그 모든 행위에 의로우시며 그 모든 일에 은혜로우시도다
18קָר֣וֹב יְ֖הֹוָה לְכָל־קֹֽרְאָ֑יו לְכֹ֚ל אֲשֶׁ֖ר יִקְרָאֻ֣הוּ בֶֽאֱמֶֽתhe여호와께서는 자기에게 간구하는 모든 자 곧 진실하게 간구하는 모든 자에게 가까이 하시는도다
19רְצֽוֹן־יְרֵאָ֥יו יַֽעֲשֶׂ֑ה וְאֶת־שַׁוְעָ֘תָ֥ם יִ֜שְׁמַ֗ע וְיֽוֹשִׁיעֵֽםhe그는 자기를 경외하는 자들의 소원을 이루시며 또 그들의 부르짖음을 들으사 구원하시리로다
20שׁוֹמֵ֣ר יְ֖הֹוָה אֶת־כָּל־אֹֽהֲבָ֑יו וְאֵ֖ת כָּל־הָֽרְשָׁעִ֣ים יַשְׁמִֽידhe여호와께서 자기를 사랑하는 자들은 다 보호하시고 악인들은 다 멸하시리로다
21תְּהִלַּ֥ת יְהֹוָ֗ה יְֽדַבֵּ֫ר פִּ֥י וִיבָרֵ֣ךְ כָּל־בָּ֖שָׂר שֵׁ֥ם קָדְשׁ֗וֹ לְע֘וֹלָ֥ם וָעֶֽדhe내 입이 여호와의 영예를 말하며 모든 육체가 그의 거룩하신 이름을 영원히 송축할지로다



각 절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1-2절: 시편 기자는 하나님을 높이고 영원히 그의 이름을 찬양하겠다고 다짐한다.
  • 3절: 하나님의 위대하심은 측량할 수 없다고 선포한다.
  • 4절: 세대를 이어 하나님의 업적을 찬양할 것을 권고한다.
  • 5-7절: 하나님의 영광, 위엄, 기적, 은혜, 의를 노래한다.
  • 8-9절: 하나님은 은혜롭고 긍휼이 많으며, 모든 피조물에게 자비를 베푸신다고 말한다.
  • 10-13절: 모든 피조물이 하나님께 감사하고, 성도들은 하나님의 나라와 영광을 선포한다고 노래한다.
  • 14절: 하나님은 넘어지는 자를 붙드시고, 굽은 자를 일으키신다고 말한다.
  • 15-16절: 모든 생물이 하나님께 의지하며, 하나님은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신다고 노래한다.
  • 17-19절: 하나님은 의롭고 은혜로우시며, 간구하는 자에게 가까이하시고, 경외하는 자의 소원을 이루신다고 말한다.
  • 20-21절: 하나님은 사랑하는 자를 보호하시고, 악인을 멸하시며, 모든 육체가 하나님의 이름을 영원히 송축할 것이라고 선포한다.


마소라 본문에는 13절과 14절 사이에 '눈'(נhe)으로 시작하는 구절이 없으나, 70인역, 불가타역, 페쉬타역, 사해 사본에는 이 구절이 존재한다.

3. 1. 1. '눈'(נ)으로 시작하는 구절의 누락 문제

마소라 본문에는 13절과 14절 사이에 '눈'(נhe)으로 시작하는 구절이 없다. 이는 필사자의 실수로 인한 누락일 수 있다는 추측이 있지만, 서기 3세기경 탈무드(브라코트 4b)에서는 랍비 요하난 하-나파가 이 구절이 없는 이유를 '떨어졌다'(נפלה, ''나우플라'')라는 단어가 '눈'으로 시작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즉, (아모스서 5장 2절) "이스라엘 처녀가 넘어졌으니, 다시는 일어나지 못하리로다"와 같이 부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시편의 긍정적인 주제와 맞지 않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생략했다는 것이다.[11] 14절에 "נֹּפְלִ֑ים" (넘어진 자들)이라는 단어가 있어, 다윗 왕이 이스라엘의 파멸을 예견하고 '눈' 구절을 생략했지만, 다음 구절에서 암시했다고 탈무드는 추측한다. 이러한 설명은 13세기 다비드 김히 랍비도 만족하지 못했지만,[12] 고대에도 이 구절의 부재가 논쟁거리였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70인역, 라틴어 불가타(70인역 기반), 시리아어 페쉬타, 사해 사본(11QPs-ɑ;[13] 70인역과 유사)에는 '눈'으로 시작하는 구절이 존재한다.

: ''"그의 말씀은 신실하시고, 그의 모든 행위는 정직하시다."''

새번역 성경과 공동번역 성서 등의 여러 번역본은 이 구절을 13절 끝에 "13b절"로 삽입했다.[14] 하지만, 이 구절이 진본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15][16] 이 구절은 첫 단어를 제외하면 17절과 동일하여, 후대에 추가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한, 사해 사본은 시편 145편의 모든 절을 "여호와를 찬양하며 그의 이름이 영원무궁토록 찬송을 받으실지어다"로 끝맺는 등 히브리어 본문과 차이가 있다. 아람어 타르굼, 아퀼라, 심마쿠스, 테오도티온의 그리스어 번역본에는 이 구절이 없으며, 탈무드에도 인용되지 않는다. 25편과 34편처럼 알파벳을 불완전하게 따르는 다른 두운 시도 존재한다.[17]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눈' 구절의 누락은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당시의 종교적, 정치적 상황과 관련된 의도적인 편집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4. 유대교 및 기독교에서의 사용


  • 하루 세 번 낭송되는 기도문 아슈레이의 대부분은 시편 145편으로 구성되어 있다(유대교 전례에서 사용되는 자세한 내용은 아슈레이 항목 참조).
  • 13절은 로쉬 하샤나의 아미다 반복 기도문에 포함되어 있다.[18]
  • 16절은 비르캇 하마존의 마지막 단락에 포함되어 있으며, 테필린을 착용할 때 머리 테필린을 안전하게 착용한 후 낭송한다.[19][20]
  • 21절은 일부 사람들이 비르캇 하마존 전에 시편 126편(쉬르 하마알로트) 다음에 낭송한다.[21]
  • 영국 성공회의 ''공동 기도문''에서 이 시편은 그 달의 서른 번째 날 아침[22], 성령 강림 대축일 저녁 기도에 읽도록 지정되어 있다.[23]

5. 음악적 사용

체코 작곡가 안토닌 드보르자크는 그의 《성경 가요》(1894) 제5번에서 1~3, 5, 6절(시편 144편 9절과 함께)에 곡을 붙였다. 브라이언 샤마시는 아쉬레이를 낭송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전통 유대교 선율 중 하나를 녹음했다.[1]

아시시의 프란치스코로 더 잘 알려진 조반니 베르나도네는 1225년 말에 시편 145편을 바탕으로 시를 썼으며, 드레이퍼는 1919년 이를 "우리 하느님과 임금의 모든 피조물"이라는 노래로 각색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Parallel Latin/English Psalter / Psalmus 144 (145) http://medievalist.n[...] 2017-05-07
[2] 서적 Reading Psalm 145 with the Sages: A Compositional Analysis https://books.google[...] Langham Monographs
[3] 서적 The Dead Sea Scrolls Bible HarperCollins, NY
[4] 서적 The Dead Sea Scrolls Bible HarperCollins, NY
[5] 문서 Marvin E. Tate, Harold Wayne Ballard, W. Dennis Tucker
[6] 문서 Immersion Bible Studies: Psalms
[7] 웹사이트 Benson Commentary on Psalm 145 https://biblehub.com[...] biblehub.com 2022-07-04
[8] 서적 The Flow of the Psalms P&R Publishing
[9] 웹사이트 Psalms – Chapter 145 https://mechon-mamre[...] Mechon Mamre
[10] 웹사이트 Psalms 145 - JPS 1917 https://www.sefaria.[...] Sefaria.org
[11] 웹사이트 Acrostic Psalms http://www.biblicalh[...] Biblicalhebrew.com 2008-09-09
[12] 서적 The Weekday Siddur Sinai, Tel-Aviv
[13] 서적 The meaning of the Dead Sea Scrolls: their significance for understanding the Bible, Judaism, Jesus, and Christianity HarperCollins
[14] 문서 Psalm 145:13 NRSV
[15] 서적 The Psalms Soncino Books of the Bible, Soncino Press, London
[16] 웹사이트 Bible tools http://www.bibletool[...]
[17] 간행물 Evil and the Disruption of Order: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Acrostics in the First Book of Psalms http://www.arts.ualb[...] 2011-11-23
[18] 서적 The Complete Artscroll Machzor for Rosh Hashanah
[19] 서적 The Complete Artscroll Siddur
[20] 서적 The Complete Artscroll Siddur
[21] 서적 The Complete Artscroll Siddur
[22] 서적 Book of Common Prayer: The Psalter https://www.churchof[...] Church of England
[23] 웹사이트 The Book of Common Prayer: Proper Psalms On Certain Days https://www.churchof[...] 2023-04-19
[24] 웹사이트 Hymn Stories - All Creatures of Our God and King http://articles.ochr[...]
[25] 웹사이트 First Presbyterian Church, Jackson, Mississippi » Hymns of the Faith: All Creatures of Our God and King » Print https://www.fpcjacks[...]
[26] 웹인용 Parallel Latin/English Psalter http://medievalist.n[...] 2023-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