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탈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탈무드는 "가르치다, 공부하다"를 의미하는 유대교의 구전 율법을 기록한 문서로, 미슈나와 게마라로 구성된다. 2세기 말 유다 하나시가 구전율법을 문서화하는 작업을 시작하여 미슈나가 만들어졌고, 이에 대한 해설이 추가되어 예루살렘 탈무드와 바빌로니아 탈무드가 형성되었다. 현대에 탈무드로 인식되는 것은 5세기 말에 완성된 바빌로니아 탈무드이다. 탈무드는 할라카(율법)와 아가다(이야기)로 구성되며, 유대교에서 랍비의 권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탈무드는 기독교 등 다른 종교로부터 비판을 받아왔으며, 반유대주의적 내용, 불합리하거나 부도덕한 내용, 성경의 날조 등의 비판이 제기되었다. 한국에서는 유대인의 학업 수준을 본받고자 탈무드가 널리 읽히고 있으며, 일본어 번역본을 통해 수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탈무드 - 티베리아스
    티베리아스는 이스라엘 북부 갈릴리 호수 서안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유대교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로마 시대에 건설되어 갈릴리 지역의 수도가 되었고, 현재는 관광 도시로 발전했다.
  • 탈무드 - 야브네
    야브네는 이스라엘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제국 시대에는 얌니아로 불렸으며, 제2성전 파괴 이후 유대교 회복의 중심지였고, 십자군 시대에는 이벨린으로 불리며 예루살렘 왕국의 요새가 건설되었고, 1948년 이후 계획 도시로 지정되어 텔아비브의 위성 도시로 발전했다.
  • 유대교 경전 - 타나크
    타나크는 유대교 경전으로 토라, 네비임, 케투빔으로 구성된 히브리어 성경을 가리키며 총 24권으로 이루어져 있고 기독교 구약성경의 기반이 되며, '미크라'라고도 불리고, 히브리어와 아람어로 기록되었으며, 마소라 본문이 널리 사용되고, 유대교 정경 확립 과정에 대한 여러 전승이 존재한다.
  • 유대교 경전 - 레닌그라드 사본
    레닌그라드 사본은 러시아 국립도서관 소장 히브리어 성경 사본으로, 티베리아식 모음과 마소라 주석을 포함하며, 1937년 비블리아 헤브라이카 기본 본문 채택 이후 국제적으로 알려졌고, 중세 유대 예술의 사례로 평가받으며, 현대 히브리어 성경 판본의 기초가 되었다.
  • 유대인 및 유대교에 관한 - 홀로코스트
    홀로코스트는 원래 번제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나, 20세기 중반 이후 나치 독일의 유대인 대량 학살을 지칭하는 용어로 굳어졌으며, 나치의 아리아인 우월주의에 기반하여 700만 명이 넘는 유대인과 기타 소수 민족이 조직적인 학살과 잔혹한 생체 실험으로 희생된 사건이다.
  • 유대인 및 유대교에 관한 - 미크바
    미크베는 유대교에서 정결 의식을 위해 몸을 담그는 시설로, 자연적으로 모인 물을 사용하며, 월경이나 개종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되고 최근에는 사용과 관련한 논쟁이 있다.
탈무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탈무드
원어명תַּלְמוּד (탈무드)
로마자 표기Talmūḏ
가르침
개요
설명랍비 유대교의 중심 텍스트
특징유대교 율법, 윤리, 철학 등을 담고 있음
구성 요소
미슈나구전 율법 편집
게마라미슈나에 대한 주석과 토론
주요 내용
할라카유대교 법률
아가다유대교 전설, 윤리, 철학
종류
바빌로니아 탈무드가장 권위 있는 탈무드, '바블리'라고도 함
예루살렘 탈무드팔레스타인 탈무드라고도 함
언어
사용 언어유대 바빌로니아 아람어
역사
배경구전 토라가 기록된 결과물
시대미슈나 시대와 탈무드 시대 (기원후 70-640년)
역할유대교 율법의 주요 원천
영향력
중요도유대교에서 가장 중요한 법률 및 신학적 자료 중 하나
학습유대교 학습의 핵심
기타
관련 문서미드라시, 토세프타

2. 성립 과정

탈무드는 신이 모세에게 구전으로 전한 율법에서 기원한다고 전해진다. 2세기 말, 유다 하나시가 랍비들을 소집하여 구전 율법을 문서화한 미슈나를 편찬하였다. 본래 구전으로 전해져야 하는 내용이었으나, 제1차, 제2차 유다 전쟁을 겪으면서 유대교 존속에 위기를 느껴 책으로 편찬하였다고도 한다.

미슈나에 대한 해설이 추가되는 과정에서 예루살렘 탈무드(탈무드 예루샬미)와 바빌로니아 탈무드(탈무드 바블리)가 형성되었다.[7] 예루살렘 탈무드는 4세기 말에, 바빌로니아 탈무드는 5세기 말에 집대성되어 6세기경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현대에 인정되는 탈무드는 바빌로니아 탈무드이다.[6]

탈무드는 원래 미슈나에 대한 해설을 의미했으나, 후에 게마라라고 불리게 되었고, 현재는 미슈나와 게마라를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3. 유대교에서의 탈무드

탈무드는 유대교의 경전이라는 설명이 미국에서는 널리 퍼져 있지만, 실제로 탈무드의 권위는 랍비의 권위와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랍비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유대교 종파에서는 탈무드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카라이파는 모세토라만을 경전으로 인정하고 랍비 문헌의 권위는 인정하지 않는다. 또한, 샤브타이파(사바타이파)의 흐름을 잇는 유대교 종파에서는 오히려 탈무드를 부정하는 입장을 취한다.[10]

4. 구성

유대교에서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습관과 율법이 기록된 탈무드는 구전되던 내용들을 3세기경에 글로 엮은 미슈나와 이 내용을 주석한 여러 글을 모은 게마라로 구성되었다. 특히 게마라에는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율법과 관습을 주제로 하여 랍비들이 벌인 다양한 논쟁이 기록되어 있다. 유대 학자들은 논쟁에서 드러난 사유하는 과정을 결론만큼 중시한다.[6] 학계에서는 Rabbi Even Israel Adin steinsaltz스타인잘츠가 아람어 원전을 히브리어로 번역하고 일부 내용을 불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영어로도 번역하여 후속 연구에 탄력이 더 붙으리라고 전망한다.

게마라는 미슈나와 기타 타나크를 다룬 주석과 논의를 500년경에 정리한 문헌이다.[31] 탈무드는 게마라와 혼용되기도 하며, 랍비 율법의 기반이고 여타 랍비 문서에도 자주 인용된다. 탈무드를 전통적으로 통칭하는 말인 샤스(ש"סhe)는 히브리어 시샤 세다림(shisha sedarim)의 약자로, 미슈나의 여섯 부(部)를 뜻한다.[6]

탈무드의 구조는 미슈나를 따르며, 6개의 체계(시샤 세다림, 샤스)로 나뉜다. 각 체계는 63개의 논문(마세켓)으로 나뉘지만 모든 논문에 게마라가 있는 것은 아니다. 각 논문은 장(페라킴)으로 나뉘며, 총 517개의 장이 히브리어 알파벳에 따라 번호가 매겨지고, 일반적으로 첫 번째 미슈나의 처음 한두 단어를 사용하여 이름이 지정된다. 각 페렉에는 여러 개의 미슈나요트가 포함된다.[29]

미슈나를 중앙에 배치하고, 그 주위에 게마라를 기술하는 형식이다.

4. 1. 미슈나

미슈나는 유대교의 구전 율법을 기록한 문서이다. 2세기 말경, 당시 이스라엘 유대인 공동체장이었던 유다 하나시가 랍비들을 소집하여 구전된 율법을 책으로 체계화하는 작업에 착수하여 완성되었다.[30] 본래 구전으로 전해져야 할 내용이었으나, 제1차, 제2차 유다 전쟁을 겪으면서 유대교 존폐에 위기를 느껴 책으로 편찬하였다고 전해진다.

미슈나는 6개의 세데르(Seder, 질서)로 구성되며, 각 세데르는 여러 개의 마세켓(Massekhet, 논문)을 포함한다. 미슈나의 진술은 간결하며, 랍비들의 의견이나 합의된 견해를 기록한다. 미슈나에 기록된 랍비들은 타나임으로 불린다. 미슈나는 성경적 맥락이 아닌 주제별로 법을 나열하여 미드라시보다 개별 주제를 더 자세히 논하며, 더 광범위한 할라카 주제를 포함한다. 미슈나의 주제별 구성은 탈무드 전체의 틀이 되었다.

4. 2. 게마라

גמראhe

미슈나에 대한 랍비들의 해석, 토론, 주석을 담고 있다. 랍비들의 다양한 논쟁이 기록되어 있으며, 결론뿐만 아니라 사유 과정도 중요하게 여겨진다.[31]

게마라는 미슈나와 기타 타나크를 다룬 주석과 논의를 500년경에 정리한 문헌이다.[31] 탈무드와 게마라는 가끔 혼용되기도 한다. 게마라는 랍비 율법의 기반이고 여타 랍비 문서에도 자주 인용된다. 탈무드를 전통적으로 통칭하는 말인 샤스(ש"סhe)는 히브리어 시샤 세다림(shisha sedarim)의 약자로, 미슈나의 여섯 부(部)를 뜻한다.[6]

게마라의 상당 부분은 법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각 분석은 미슈나의 법적 진술로 시작한다. 각 수기야(sugya)에서 진술은 분석되고 다른 진술과 비교될 수 있다. 이 과정은 막샨(makshan, 질문자)과 타르찬(tartzan, 답변자)이라는 두 명의 (종종 익명의, 어쩌면 은유적인) 논쟁자 간의 교환으로 묘사될 수 있다. 게마라에서는 또한 일반적으로 미슈나의 주어진 법에 대한 올바른 성경적 근거와 성경적 전통을 미슈나 전통과 연결하는 논리적 과정을 찾으려고 한다.[33]

또한, 게마라는 아가다(aggadah)라고 불리는 다양한 이야기, 설교적 또는 해설적 구절, 속담 및 기타 비법적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바빌로니아 탈무드의 수기야에 나오는 이야기는 미슈나, 예루살렘 탈무드, 미드라시 및 기타 출처를 인용할 수 있다.[34]

유대교에서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습관과 율법이 기록된 탈무드는 구전되던 내용들을 3세기경에 글로 엮은 미슈나와 이 내용을 주석한 여러 글을 모은 게마라로 구성되었다. 특히 게마라에는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율법과 관습을 주제로 하여 랍비들이 벌인 다양한 논쟁이 기록되어 있다. 유대 학자들은 논쟁에서 드러난 사유하는 과정을 결론만큼 중시하나, 논쟁 내용이 아주 복잡하므로 후대 학자들은 랍비들이 사용하던 언어인 아람어를 이용하여 원전을 읽고 주석하는 데 난항을 겪어 왔다.

4. 3. 할라카와 아가다

탈무드는 유대교의 구전 율법과 전통을 집대성한 책으로, 크게 할라카(Halakha)와 아가다(Aggadah)로 구성된다.

  • '''할라카(Halakha)''': "걷다"라는 뜻의 히브리어 어근에서 유래한 말로, 유대인이 삶에서 따라야 할 종교적 의무와 규범을 의미한다. 이는 유대인의 일상생활, 종교 의식, 윤리 등 삶의 모든 영역에 걸쳐 적용되는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할라카는 미슈나와 게마라에 기록된 랍비들의 토론과 해석을 통해 발전해왔다.
  • '''아가다(Aggadah)''': "이야기"라는 뜻으로, 랍비들의 설교, 전설, 도덕적 교훈, 역사적 사건 등 비(非)할라카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아가다는 할라카를 보충하고, 유대교의 가르침을 더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아가다는 유대인의 정체성과 역사의식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마이모니데스는 바빌로니아 탈무드와 예루살렘 탈무드 모두에서 영향을 받았지만, 두 탈무드의 원칙이 상충할 때는 후자를 선호했다.[25] 팔레스타인 유대 공동체의 영향력이 감소하고 바빌로니아 공동체가 디아스포라의 지적 중심지가 됨에 따라, 바빌로니아 탈무드가 더 널리 받아들여지고 인기 있는 판본이 되었다.[23]

바빌로니아 탈무드는 예루살렘 탈무드 보다 더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 바빌로니아 탈무드에서 비법적인 내용 (''아가다'')이 3분의 1을 차지하는 반면, 예루살렘 탈무드에서는 6분의 1을 차지한다.[23]

4. 4. 마세프토트 카타노트

탈무드에는 후대에 추가된 소(小)논문들이 존재한다. 이 논문들은 미슈나와 게마라로 나뉘어져 있지 않고, 보통 네지킨(נזיקין) 편의 끝에 인쇄된다.

5. 바빌로니아 탈무드와 예루살렘 탈무드

유대교의 전승에 따르면, 신은 모세에게 기록된 토라와는 별도로 구전으로 전해야 할 율법도 주었다고 한다. 이것이 구전율법이다. 2세기 말경, 유다 하나시가 여러 랍비들을 소집하여 구전율법을 문서로 체계화하는 작업을 시작했고, 그 결과 미슈나가 만들어졌다. 이 미슈나에 대한 해설이 추가되면서, 예루살렘 탈무드와 바빌로니아 탈무드라는 두 종류의 탈무드가 만들어졌다. 현대에는 바빌로니아 탈무드가 널리 인정받고 있으며, 6세기경에 현재 형태가 되었다.

중세 예루살렘 탈무드 사본의 한 페이지, 카이로 게니자 출처


예루살렘 탈무드 (''Talmud Yerushalmi'')는 갈릴리 학당에서 편찬되었으며, 유대 팔레스타인 아람어로 쓰여졌다. 이는 서아람어의 일종으로 바빌로니아 아람어와는 다르다.[12][13]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전반 사이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14][15] 티베리아스, 셉포리스, 카이사레아 학당을 중심으로 미슈나에 대한 학술적 가르침과 분석을 편찬한 것이다. 예루살렘 탈무드는 불완전하지만, 성지에서 유대법 발전에 대한 중요한 자료이다. 카이루완 학파의 카나넬 벤 쿠시엘과 니심 벤 야곱이 바빌로니아 탈무드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사용했으며, 그 결과 예루살렘 탈무드에 기반한 견해가 토사포트와 마이모니데스의 미슈네 토라에 반영되었다.[16]

바빌로니아 탈무드 전집


바빌로니아 탈무드 (''탈무드 바블리'')는 3세기~6세기에 걸쳐 편찬되었다.[17] 네하르데아, 니시비스(현재의 누사이빈), 마호자(알마다인, 현재 바그다드 남쪽), 품베디타(현재의 알 안바르 주 부근), 수라 학당(바그다드 남쪽 약 60km 지점) 등 바빌로니아의 주요 유대인 중심지에서 편찬되었다.[18]

바빌로니아 탈무드는 미슈나와 바빌로니아 게마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빌로니아의 탈무드 학당에서 미슈나를 중심으로 수 세기에 걸친 분석의 결과물이다. 전통에 따르면, 이 분석 과정의 기초는 유다 하나시의 제자인 아바 아리카(175~247)가 마련했다. 현재 형태의 바빌로니아 탈무드 편찬은 라브 아시와 라비나 2세라는 두 명의 바빌로니아 랍비에게 돌아간다.[19] 라브 아시는 375년부터 427년까지 수라 학당의 학장이었으며, 탈무드의 필사 작업을 시작했고, 이 작업은 라비나 2세에게 넘어가 완성되었다. 탈무드의 가장 최근의 전통적 연대는 라비나가 사망한 475년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전통적인 견해에서도 6세기에 사보라임("논리학자")에 의해 최종적인 편집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20][21]

바빌로니아 탈무드는 바빌로니아 아람어 방언을 사용한다. 예루살렘 탈무드는 편찬 과정이 덜 완전하여 단편적이고 읽기 어렵다.[22] 바빌로니아 탈무드의 논의는 산만하고, 일화와 귀납에 더 많이 의존하는 반면, 예루살렘 탈무드의 논의는 사실적이며 연역을 통해 논증한다. 바빌로니아 탈무드는 약 250만 단어로 더 길다. 비율적으로 바빌로니아 자료에서 비법적인 내용 (''아가다'')이 3분의 1을 차지하는 반면, 예루살렘 탈무드에서는 6분의 1을 차지한다.[23] 바빌로니아 탈무드는 주석가들로부터 더 많은 관심을 받았다.[24]

마이모니데스는 두 탈무드 모두에서 영향을 받았지만, 두 탈무드의 원칙이 상충할 때는 바빌로니아 탈무드를 선호했다.[25] 팔레스타인 유대 공동체의 영향력이 감소하고 바빌로니아 공동체가 디아스포라의 지적 중심지가 됨에 따라, 바빌로니아 탈무드가 더 널리 받아들여졌다.[23] 예루살렘 탈무드는 이스라엘 랍비( ''마아라바'')의 견해만 포함하는 반면, 바빌로니아 탈무드는 바빌로니아 권위자들을 포함하여 더 포괄적인 것으로 간주된다.[26][27]

두 탈무드 모두 미슈나 전체를 다루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바빌로니아 주석은 63개의 미슈나 논문 중 37개만 다룬다.

  • 예루살렘 탈무드는 즈라임의 모든 논문을 다루는 반면, 바빌로니아 탈무드는 베라호트 논문만 다룬다. 이는 즈라임의 농업적 관심사가 바빌로니아에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28] 예루살렘 탈무드는 이스라엘 땅에서 제작되었기 때문에 이스라엘 지리에 대한 관심이 더 크다.
  • 바빌로니아 탈무드와 달리, 예루살렘 탈무드는 제사 의식과 성전에 관한 법률을 다루는 미슈나 코다심을 다루지 않는다. 이에 대한 적절한 설명은 없지만, 예루살렘 탈무드에 이 텍스트에 대한 이제는 상실된 주석이 한때 존재했다는 증거가 있다.
  • 두 탈무드 모두에서 토호로트(의식적 순결 법)의 한 논문만, 즉 월경 법( 니다 )이 검토된다.

6. 언어

미슈나히브리어로, 게마라는 아람어로 기록되었다.[38] 아모라임 시대(약 200년경부터)에 랍비들이 구어였던 아람어를 채택하면서 언어가 변화했다.[37]

바빌로니아 탈무드는 주로 바빌로니아 아람어로 쓰여졌지만, 미슈나의 게마라, 바라이타 및 타나크의 인용구는 미슈나식 또는 구약 히브리어로 나타난다.[36] 맥길라트 타아닛과 같은 다른 고대 문서의 인용구에는 아람어의 다른 방언이 나타난다.[37] 네다림, 나지르, 테무라, 케리토트, 메일라에는 타르굼의 문체에 더 가까운 두 번째 아람어 방언이 사용된다.[38]

예루살렘 탈무드는 유대 팔레스타인 아람어로 쓰여 있는데, 이는 서아람어로서 바빌로니아 아람어와 다르다.[12][13]

7. 판본



이스라엘 라아나나의 한 회당에 있는 쇼텐슈타인 바빌로니아 탈무드


다양한 탈무드 판본이 존재한다. 주요 판본은 다음과 같다.

  • 빌나 판: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준 판본으로, 1835년 빌뉴스(빌나)의 메나헴 롬이 인쇄하였다. '빌나 판 샤스'라고도 불리며, 이후 롬 출판사에서 재인쇄되어 현대 탈무드 판본 제작에 널리 사용된다. 양면 페이지인 '다프'(daf)에 '아무딤'(amudim)으로 표시된 면(A면, B면)을 사용한다.

  • 쇼텐슈타인 판: 영어 번역과 상세한 주석이 포함된 판본으로, 총 7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영어 페이지는 번역된 아람어/히브리어 페이지와 마주보고 있으며, 빌나 판을 기반으로 한다.

  • 스타인잘츠 판: 현대 히브리어영어 번역과 주석이 포함된 판본이다. 아람어를 히브리어로 번역하여 현대 학자들의 연구에 기여하였다.

  • 비평판: 탈무드 원문에 가깝게 복원하려는 판본으로, 여러 사본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분석한다. 19세기 후반 네이선 라비노비츠의 ''딕두케 소페림'' 등이 있으며, 이스라엘 완전 탈무드 연구소 등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탈무드 주요 판본
판본명특징비고
다니엘 봄베르크 판최초의 완전판, 라시, 토사포트 주석 포함, 페이지 번호 매김의 기준1523년 베네치아에서 인쇄
빌나 판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준 판본1835년 빌뉴스에서 인쇄
쇼텐슈타인 판영어 번역 및 상세 주석, 총 73권
스타인잘츠 판현대 히브리어 및 영어 번역, 주석
비평판사본 간 차이 비교/분석, 원문 복원 목적


8. 탈무드학

탈무드는 유대교 학문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여겨진다. 예시의 격언은 15세부터 탈무드를 공부할 것을 권장한다.[56] 탈무드 연구를 위한 시설로 예시바가 있다.

초기 주석가들로는 이삭 알파시 등이 있으며, 이들은 탈무드의 법적 의견을 추출하려 노력했다. 야곱 이븐 하빕은 탈무드의 윤리적 부분을 담은 ''아인 야콥''을 편찬했다.

탈무드의 구절들은 그리스어나 페르시아어 차용어의 사용으로 인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마인츠의 게르솜, 라베누 하나넬 같은 초기 주석가들은 탈무드 본문의 의미를 설명하는 주석을 만들었다. 니심 가온의 ''세페르 하-마프테아흐''(열쇠의 책)는 탈무드 논증의 여러 형태를 설명한다.

라시의 주석은 탈무드 연구의 고전으로 여겨지며, 그의 제자들은 토사피스트로 불리며 라시의 주석을 보충했다.[192]

15세기와 16세기에는 복잡한 논리적 논증을 사용해 탈무드 내의 모순을 설명하는 ''필풀(pilpul)'' 연구가 등장했다. 야코프 폴락, 샬롬 샤흐나가 대표적인 학자였으나, 유다 로브 벤 베잘렐 등은 필풀을 비판하기도 했다.

15세기부터 세파르드 유대인들은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의 방법을 탈무드 연구에 적용하려 했다. 호세 파우르에 따르면, 세파르드 탈무드 연구는 세 가지 수준으로 이루어진다.

19세기 후반에는 브리스크 방법이 등장했는데, 이는 탈무드 논쟁에 대한 환원주의적 분석을 포함한다.

다프 요미는 전 세계 유대인들이 매일 탈무드 한 페이지씩을 공부하는 프로그램으로, 1923년부터 시작되었다. 학습 완료를 축하하는 이벤트인 시움 하샤스가 개최된다.[193]

9. 비판

역사적으로 탈무드는 기독교 등 다른 종교로부터 비판을 받아왔다. 마이클 레비 로드킨슨(Michael Levi Rodkinson)은 그의 저서 『탈무드의 역사(The History of the Talmud)』에서 탈무드 비판자들의 "성격, 목표 및 행동이 다양했다"라고 기술하며, 니콜라스 도닌(Nicholas Donin), 요하네스 페퍼코른(Johannes Pfefferkorn), 요한 안드레아스 아이젠멘거(Johann Andreas Eisenmenger), 프랑키스트(Frankists)(사바테안파), 아우구스트 롤링(August Rohling) 등 여러 비평가와 박해자들을 기록하고 있다.[139] 많은 공격은 유스티나스 프라나이티스(Justinas Pranaitis), 엘리자베스 딜링(Elizabeth Dilling), 데이비드 듀크(David Duke)와 같은 반유대주의적 출처에서 비롯되었다. 비판은 기독교, 이슬람[140][141][142], 유대교[143] 출처뿐만 아니라 무신론자와 회의론자들로부터도 제기된다.[144]

탈무드에 대한 비난은 다음과 같은 주장을 포함한다.[145][146][147][148][149][150]



탈무드 옹호자들은 이러한 비판들, 특히 반유대주의적 출처에서 나온 비판들은 맥락에서 벗어난 인용을 바탕으로 하며, 따라서 탈무드 본문의 의미와 다양한 현인들의 발언을 보존한 논의의 상세한 기록이자 거부된 진술과 의견을 편집하지 않은 기록으로서의 기본적인 성격을 잘못 표현한다고 지적한다. 때로는 의도적인 왜곡이고, 다른 경우에는 탈무드의 미묘하고 때로는 혼란스럽고 다면적인 서술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일부 비평가들이 제시하는 인용문은 공격적이거나 모욕적인 것으로 보이는 인용문을 만들기 위해 일부러 구절을 생략한다.[159][160]

탈무드에 대한 주요 비판 사례는 다음과 같다:

  • 13세기 프랑스: 유대교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니콜라스 도닌(Nicholas Donin)은 탈무드에 예수, 마리아 또는 기독교에 대한 모독적인 구절이 있다고 주장하며 35가지 혐의를 제기했다.[162] 이는 1240년 파리 논쟁으로 이어졌고, 1242년 탈무드 사본이 파기되고 소각되었다.[163][164]
  • 13세기 바르셀로나: 1263년 바르셀로나 논쟁에서 파블로 크리스티아니(Pablo Christiani)는 탈무드를 공격했고, 이는 탈무드에 대한 교황청의 칙령과 최초의 검열로 이어졌다.[166][167]
  • 15세기 토르토사: 1413년 토르토사 논쟁에서 제로니모 데 산타페(Geronimo de Santa Fé)는 탈무드에서 "이교도", "이방인", "배교자"에 대한 비난이 실제로는 기독교인에 대한 은밀한 언급이라는 주장을 제기했다.
  • 16세기 초: 도미니크 수도회의 대리인인 요하네스 페퍼코른(Johannes Pfefferkorn)이 제기한 혐의로 인해 유대인 옹호자 요한 레우클린(Johann Reuchlin)과 몽매주의자들 간의 논쟁이 벌어졌다.[169]
  • 16세기 중반: 1554년 교황 칙령에 의해 탈무드와 다른 히브리어 작품에 대한 검열이 도입되었고, 1559년 탈무드는 최초의 금서 목록(Index Expurgatorius)에 포함되었다.[171]
  • 18세기: 1757년 폴란드(현재 우크라이나 영토)에서 프랑키스트(Frankists (Sabbateanism))의 사주를 받은 데엠보프스키 주교(Bishop Dembowski)가 탈무드 사본을 몰수하고 소각하도록 명령했다.[172]
  • 19세기: 아베 키아리니는 ''Théorie du Judaïsme''이라는 저서를 통해 탈무드 번역을 발표하고 유대교를 공격하는 데 활용할 것을 옹호했다.[180] 아우구스트 롤링의 ''Der Talmudjude''(1871)와 같이 반유대주의 공격의 대상이 되었다.[181]
  •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유스티나스 프라나이티스의 ''탈무드의 가면: 기독교에 관한 비밀 랍비적 가르침''(1892)[182], 엘리자베스 딜링의 ''The Plot Against Christianity''(1964) 등 반유대주의 출처에서 탈무드에 대한 공격이 이어졌다.[183]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해 탈무드에 대한 비판이 이루어지고 있다.[184] 미국 유대인 반 명예훼손 위원회(Anti-Defamation League)의 보고서에 따르면, 탈무드를 비판하는 반유대주의자들은 탈무드 본문의 의미를 왜곡하기 위해 종종 잘못된 번역이나 선택적 인용을 사용하고, 때로는 구절을 조작하기도 한다.[186]

정통 유대교 연합(Orthodox Union)의 유대 행동(Jewish Action) 잡지의 편집자인 길 스튜던트(Gil Student)는 탈무드에 대한 많은 공격이 13세기 논쟁, 특히 라몬 마르티(Raymond Marti)와 니콜라스 도닌(Nicholas Donin)에게서 유래한 신뢰할 수 없는 자료를 단순히 재활용한 것이며, 그러한 비판은 문맥에서 벗어난 인용에 근거하며 때로는 완전히 조작된 것이라고 말한다.[190]

일본에서는 “탈무드는 유대교도의 성전이다.”라는 설명이 많이 되어 왔지만, 실제로는 탈무드의 권위는 랍비(教師)의 권위이기도 하다. 따라서 후세 랍비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입장에서는 탈무드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게 되며, 탈무드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유대교의 종파도 적지 않게 존재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카라이파로, 모세의 토라만을 성전으로 하고 랍비 문헌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다. 또한, 샤브타이파(사바타이파)의 흐름을 잇는 유대교에서는 오히려 탈무드를 부정하는 입장을 취한다.

10. 한국에서의 수용과 오해

한국에서는 유대인의 교육법으로 알려져 탈무드가 널리 읽히고 있다.[135][136] 거의 모든 가정에 "탈무드" 번역본이 있고, 부모들은 자녀에게 읽어주며, 초등학교 교과 과정에도 포함되어 있다.[135][136]

하지만 한국에서 "탈무드"라고 불리는 책은 대부분 1960~70년대 일본에서 활동한 미국인 랍비 마빈 토카이어의 저술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137] 마빈 토카이어는 일본 작가 가세 히데아키(加瀬秀明)와 협력하여 『5,000년의 유대인 지혜: 탈무드 경전의 비밀』(1971) 등 여러 책을 출판했다.[137] 이 책은 탈무드의 이야기, 속담, 윤리, 랍비들의 전기, 토카이어의 개인적인 이야기 등을 담고 있다.[137]

『5,000년의 유대인 지혜』의 첫 한국어판은 1974년 태장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137] 이후 한국과 중국에서 여러 판본이 나왔는데, 암시장 출판사에서 나온 경우도 많다.[137] 2007~2009년에는 쉐마 이스라엘 교육 연구소의 현용수가 마빈 토카이어의 책들을 모아 6권짜리 한국어 탈무드를 출판했다.[137] 현용수는 토카이어와 함께 오류를 수정했고, 토카이어는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137]

이러한 "탈무드" 책들을 바탕으로 한 학습센터가 한국에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 책들은 원본 탈무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널리 읽히고 있다.[137]

참조

[1] 서적 Becoming the People of the Talmud: Oral Torah as Written Tradition in Medieval Jewish Cultur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
[2] 서적 The Formation of the Babylonian Talmud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3
[3] 서적 A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 서적 What the Rabbis Said: 250 Topics From the Talmud https://books.google[...] Praeger 2010
[5] 서적 The Literature of the Jewish People in the Period of the Second Temple and the Talmud, Volume 3 The Literature of the Sages Brill
[6] 웹사이트 HIS 155 1.7 the Talmud | Henry Abramson https://henryabramso[...] 2013-11-19
[7] 서적 A stranger in Jerusalem: seeing Jesus as a Jew https://books.google[...] Wipf & Stock 2019
[8] 서적 For Out of Babylonia Shall Come Torah and the Word of the Lord from Nehar Peqod: The Quest for Babylonian Tannaitic Traditions Brill 2017
[9] 학술지 In Quest of Babylonian Tannaitic Traditions: The Case of Tanna D'Bei Shmuel https://www.cambridg[...] 2009
[10] 서적 The Yerushalmi – the Talmud of the land of Israel: an introduction J. Aronson 1993
[11] 백과사전 Palestinian Talmud http://www.britannic[...] 2010-08-04
[12] 학술지 Scholarly Dictionaries of Two Dialects of Jewish Aramaic
[13] 서적 A Literary History of the Arabs https://www.gutenber[...] Project Gutenberg, with Fritz Ohrenschall, Turgut Dincer, Sania Ali Mirza 2021-05-20
[14] 서적 The Babylonian Talmud and late antique book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15] 학술지 The Creation of the Talmud Yerushalmi and Apophthegmata Patrum as Monuments to the Rabbinic and Monastic Movements in Early Byzantine Times https://www.academia[...] 2018
[16] 서적 Introduction to the Talmud https://babel.hathit[...] New York 1925
[17] 백과사전 Talmud and Midrash (Judaism) / The making of the Talmuds: 3rd–6th century http://www.britannic[...] 2013-10-28
[18] 서적 Jews in Islamic Countries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BRILL
[19] 서적 The Iggeres of Rav Sherira Gaon Jerusalem 1988
[20] 서적 The Iggeres of Rav Sherira Gaon Jerusalem 1988
[21] 서적 What the Rabbis Said: 250 Topics From the Talmud https://books.google[...] Praeger 2010
[22] 서적 Talmud in Exile: The Influence of Yerushalmi Avodah Zarah https://muse.jhu.edu[...] Brown Judaic Studies
[23]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5
[24] 웹사이트 Bavli and Yerushalmi –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https://www.jewishvi[...] Gale
[25] 서적 Windows onto Jewish Legal Culture: Fourteen Exploratory Essay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4
[26] 웹사이트 Judaism: The Oral Law -Talmud & Mishna https://www.jewishvi[...]
[27] 서적 Literacy: The Most Important Things to Know About the Jewish Religion, Its People and Its History HarperCollins 1991-04-26
[28] 서적 The Essential Talmud BasicBooks, A Division of HarperCollins Publishers
[29] 서적 Structure and form in the Babylonian Talmu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30] 서적 From the Maccabees to the Mishnah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6-01-09
[31] 서적 The Jewish Encyclopedia: A Descriptive Record of the History, Religion, Literature, and Customs of the Jewish Peopl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Funk and Wagnalls
[32] 서적 Introduction to the Talmud and Midrash Fortress Press 1996
[33] 간행물 Pirkei Avot 5.21
[34] 서적 Talmudic stories: narrative art, composition, and cultu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9
[35] 서적 Midrash, Mishnah, and Gemara: The Jewish Predilection for Justified Law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36] 웹사이트 Judaic Treasures of the Library of Congress: The Talmud https://www.jewishvi[...] American-Israeli Cooperative Enterprise
[37] 서적 A history of the Hebrew language 1996
[38] 웹사이트 Encyclopedia.com Keritot https://www.encyclop[...]
[39] 서적 The Babylonian Talmud and late antique book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40] 서적 Intention in Talmudic law: between thought and deed Brill 2021
[41] 서적 The Scholastic Culture of the Babylonian Talmud http://dx.doi.org/10[...] Gorgias Press 2022-10-21
[42] 서적 The Scholastic Culture of the Babylonian Talmud http://dx.doi.org/10[...] Gorgias Press 2022-10-21
[43] 서적 Mediaeval Jewish Chronicles and Chronological Notes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887
[44] 서적 Let the wise listen and add to their learning (Prov. 1:5): festschrift for Günter Stemberger on the occasion of his 75th birthday De Gruyter 2016
[45] 서적 מקדש מעט https://books.google[...] דפוס אלמנת י"פ זולינגער 1851
[46] 서적 The New Testament and rabbinic literature Brill 2010
[47] 서적 The Babylonian Talmud and late antique book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48] 서적 The Babylonian Talmud and late antique book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49] 서적 Sexuality in the Babylonian Talmud: Christian and Sasanian contexts in late antiqu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50] 서적 The Iranian Talmud: reading the Bavli in its Sasanian contex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4
[51] 서적 The Talmud's red fence: menstrual impurity and difference in Babylonian Judaism and its Sasanian context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52] 학술지 The Babylonian Talmud in its cultural context https://compass.onli[...] 2019
[53] 학술지 "This, but Also That": Historical,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Reflections on Irano-Talmudica https://www.academia[...] 2016
[54] 서적 The Babylonian Talmud and late antique book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55] 서적 The Babylonian Talmud and late antique book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56] 기타
[57] 웹사이트 Talmud Commentaries http://www.jewishenc[...] 2020-06-18
[58] 웹사이트 HebrewBooks.org Sefer Detail: ספר הנר – ברכות – אגמתי, זכריה בן יהודה http://hebrewbooks.o[...]
[59] 기타
[60] 웹사이트 A labor of great magnitude stands before us, to repair the break between the Talmudic deliberations and the halachic decisions... to accustom students of the Gemara to correlate knowledge of all the halacha with its source and reason... http://www.halachabr[...] Halacha Brura and Birur Halacha Institute 2010-09-20
[61] 웹사이트 691 Kapah https://www.biu.ac.i[...] 2019-10-03
[62] 기타
[63] 기타
[64] 서적 Sephardi Speculation 1989
[65] 기타
[66] 기타
[67] 웹사이트 http://www.moreshets[...] 2017-12
[68] 기타
[69] 기타
[70] 기타
[71] 논문 A Third Way: ''Iyyun Tunisai'' as a Traditional Critical Method of Talmud Study
[72] 웹사이트 An Analysis of Darchei HaLimud (Methodologies of Talmud Study) Centering on a Cup of Tea http://www.aishdas.o[...]
[73] 서적 The Gaon of Vil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4] 서적 Studies in Judaism
[75] 서적 Dictionary of Jewish Babylonian Aramaic http://maagarim.hebr[...]
[76] 웹사이트 עיון בכתבי היד https://web.nli.org.[...]
[77] 참조 Manuscripts and textual variants
[78] 논문 Mar Samuel archive.org
[79] 웹사이트 Igud HaTalmud http://www.talmudha-[...]
[80] 서적 Shoshannat Yaakov: Jewish and Iranian Studies in Honor of Yaakov Elman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Pub Publishers 2013-11-11
[81] 서적 The Iranian Talmud: Reading the Bavli in Its Sasanian Contex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3-11-18
[82] 뉴스 Queen for a Day http://www.tabletmag[...] Tablet Magazine 2013-02-05
[83] 웹사이트 Talmud (William Davidson) http://www.sefaria.o[...] 2017-06-04
[84] 웹사이트 With full Talmud translation, online library hopes to make sages accessible http://www.jta.org/2[...] JTA (Jewish Telegraphic Agency) 2017-02-07
[85] 뉴스 An English Talmud for Daily Readers and Debaters https://www.nytimes.[...] 2022-07-12
[86] 일반
[87] 일반
[88] 웹사이트 Soncino Babylonian Talmud https://halakhah.com[...]
[89] 웹사이트 In Praise of the Soncino Talmud https://seforimblog.[...] 2022-07-11
[90] 서적 Essays on the Making of the Early Hebrew Book https://books.google[...] BRILL
[91] 서적 Babylonian Talmud 64-volume set https://www.biblio.c[...] Rebecca Bennet 2022-08-22
[92] 웹사이트 Frumkin, Israel Dob Bär http://www.jewishenc[...]
[93] 서적 The Babylonian Talmud: A Translation and Commentary Hendrickson Pub
[94] 일반
[95] 웹사이트 Abitur, Joseph ben Isaac ben Stans Ibn http://www.jewishenc[...]
[96] 학술지 An Arabic-Zionist Talmud: Shimon Moyal's At-Talmud https://doi.org/10.2[...] 2010-09-01
[97] 뉴스 Introducing: Talmud in Arabic http://www.ynetnews.[...] 2012-05-19
[98] 뉴스 Arab translation of Talmud includes anti-Israeli messages http://www.ynetnews.[...]
[99] 웹사이트 A Muslim country, Catholic country and Jewish country celebrate the Talmud together. No joke. https://www.jta.org/[...] Jewish Telegraphic Agency 2019-12-19
[100] 웹사이트 Muslim country, Catholic country, Jewish country celebrate Talmud at UN. No joke https://www.timesofi[...] 2019-12-19
[101] 웹사이트 PROYECTO {{!}} TaShema – El Talmud en Español {{!}} Jerusalem https://www.tashema.[...] 2023-03-28
[102] 웹사이트 Shalom: Qué es Tashema {{!}} RTVE Play https://www.rtve.es/[...] 2023-03-28
[103] 뉴스 After 1,500 Years, an Index to the Talmud's Labyrinths, With Roots in the Bronx https://www.nytimes.[...] 2022-07-11
[104] 웹사이트 מכלול המאמרים והפתגמים https://mosadharavko[...] 2022-07-12
[105] 웹사이트 Soncino Babylonian Talmud. TRANSLATED INTO ENGLISH https://isaw.nyu.edu[...]
[106] 웹사이트 The Babylonian Talmud / translated into English with notes https://nla.gov.au/n[...]
[107] 웹사이트 Catrina Langenegger on the Basel Talmud https://www.juedisch[...] 2022-10-13
[108] 웹사이트 Bomberg, Daniel http://www.jewishenc[...]
[109] 서적 The Talmud editions of Daniel Bomberg Bomberg 2018-12-21
[110] 웹사이트 Treasure Trove https://www.tabletma[...] 2009-09-09
[111] 웹사이트 Bomberg Babylonian Talmud Auctions for $9.3 Million https://www.tabletma[...] 2015-12-22
[112] 서적 The Censor, the Editor, and the Text: The Catholic Church and the Shaping of the Jewish Canon in the Sixteenth Centu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7
[113] 서적 Jewish Switzerland: 50 Objects Tell Their Stories Christoph Merian
[114] 서적 Le Magasin De L'Univers – The Dutch Republic As the Centre of the European Book Trade (Brill's Studies in Intellectual History)
[115] 서적 Printing the Talmud: a history of the individual treatises
[116] 서적 Amsterdam: Benveniste Talmud in: Printing the Talmud
[117] 뉴스 A loan from the heart https://web.archive.[...] 2019-06-25
[118] 서적 Soul Survivors https://archive.org/[...] New York City Publishing Company
[119] 기타
[120] 기타
[121] 논문 Variant Readings in the Babylonian Talmud – A Methodological Study Marking the Appearance of 13 Volumes of the Institute for the Complete Israeli Talmud's Edition
[122] 웹사이트 Talmud Bavli be-niqqud Temani https://web.archive.[...] Nosachteiman.co.il 2010-05-21
[123] 서적 The Yemenite ms. of Megilla (in the Library of Columbia university)
[124] 웹사이트 Studying Talmud: The Good, the Not-So-Good and How to Make Talmud More Accessible https://jewishlink.n[...] 2017-02-02
[125] 기타
[126] 웹사이트 Making of the Gemara Menukad https://www.monseyju[...]
[127] 웹사이트 Approbations and Restrictions: Printing the Talmud in Eighteenth Century Amsterdam and Two Frankfurts https://seforimblog.[...] 2018-05-28
[128] 기타
[129] 잡지 When Books Can Speak: A Glimpse Into The World of Sefarim Collecting https://jewishaction[...]
[130] 웹사이트 Lot 96: Babylonian Talmud – Shanghai, 1942–1946 – Printed by Holocaust Refugees https://www.auctionz[...] Kedem Public Auction House Ltd 2018-08-28
[131] 뉴스 More on Holocaust Auctions on the Internet 1999-10-29
[132] 웹사이트 The Survivors' Talmud: When the US Army Printed the Talmud https://www.aish.com[...] 2020-04-19
[133] 웹사이트
[134] 웹사이트 Why Christians Should Study Torah and Talmud https://archive.toda[...] Bridges for Peace 2006-07-03
[135] 뉴스 Why Koreans study Talmud http://www.ynetnews.[...] 2014-06-27
[136] 뉴스 Why South Koreans are in love with Judaism https://web.archive.[...] 2014-06-27
[137] 잡지 How the Talmud Became a Best-Seller in South Korea http://www.newyorker[...] 2015-06-23
[138] 웹사이트 Iran's Vice President Makes Anti-Semitic Speech at Forum https://www.nytimes.[...] 2012
[139] 기타
[140] 서적 Semites and anti-Semites: an inquiry into conflict and prejudice W.W. Norton & Company
[141] 서적 A history of the Jews HarperCollins
[142] 서적 Arab attitudes to Israel
[143] 인물
[144] 인물
[145] 서적 Judaism on Trial
[146] 웹사이트 The Talmud in Anti-Semitic Polemics http://www.adl.org/p[...] Anti-Defamation League
[147] 웹사이트 Rebuttals to criticisms of Talmud http://talmud.faithw[...]
[148] 간행물 Talmud Funk & Wagnalls Company
[149] 웹사이트 Talmud http://www.jewishenc[...] JewishEncyclopedia.com
[150] 웹사이트 Talmud http://www.jewishenc[...] JewishEncyclopedia.com
[151] 서적
[152] 간행물 Images of Gentiles
[153] 서적
[154] 서적
[155] 서적
[156] 서적
[157] 서적
[158] 간행물 Talmud
[159] 웹사이트 The Real Truth About The Talmud http://talmud.faithw[...] 2020-12-10
[160] 서적 ADL report
[161] 법전 Novellae Constitutiones
[162] 서적 Faithful Renderings: Jewish-Christian Difference and the Politics of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02-15
[163] 서적
[164] 서적
[165] 서적 Constantine's sword: the church and the Jews : a history
[166] 서적
[167] 서적
[168] 서적
[169] 서적 Medieval Jewish civilization: an encyclopedia Taylor & Francis
[170] 서적
[171]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Ethics Part 23
[172] 서적
[173] 서적
[174] 서적
[175] 간행물 Entdecktes Judenthum
[176] 서적 Defending the faith: nineteenth-century American Jewish writings on Christianity and Jesus SUNY Press
[177] 웹사이트 Chesronos Hashas http://www.dhengah.o[...] 2008-10-02
[178] 서적 The Talmud: The Steinsaltz Edition Brill Publishers
[179] 웹사이트 Page:Archives israelites 1851 tome12.djvu/647 http://fr.wikisource[...] Wikisource
[180] 웹사이트 Chiarni, Luigi http://www.jewishenc[...] JewishEncyclopedia.com
[181] 서적
[182] 서적
[183] 서적 Women of the Far Right: The Mothers' Movement and World War II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84] 웹사이트 Talmudic Terrors http://www.aijac.org[...] 1999-06-01
[185] 서적 The Story of Civilization: The Age of Faith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186] 보도자료 The Talmud in Anti-Semitic Polemics http://www.adl.org/p[...] Anti-Defamation League 2003-02-01
[187] 서적 The hoaxers: plain liars, fancy liars, and damned liars http://freemasonry.b[...] Branden Press 1970
[188] 서적 Israel and the New World Order https://archive.org/[...] Fithian Press
[189] 서적 The Six Million Reconsidered: A Special Report by the Committee for Truth in History Historical Review Press
[190] 웹사이트 The Real Truth About The Talmud http://talmud.faithw[...] 2010-09-16
[191] 웹사이트 BOMBERG, DANIEL - JewishEncyclopedia.com https://www.jewishen[...] 2023-08-05
[192] 웹사이트 ラシ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08-05
[193] 웹사이트 Agudath Israel of America https://www.thesiyum[...] 2023-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