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도군은 압록강 하구에 위치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에 있는 군이다. 비단섬, 황금평 등 여러 섬들을 포함하며, 동쪽으로는 룡천군, 서쪽으로는 중국 둥강시와 접한다. 1967년 설치되었다가 폐지된 후, 1988년에 다시 설치되었다. 현재 신도군은 1읍, 2로동자구, 1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갈대, 어업, 농업이 주요 산업이다. 과거 황금평 경제 특별 구역 개발 계획이 있었으나 중단되었다. 교통은 버스와 배편을 이용하며, 천연기념물인 코끼리바위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도군 - 비단섬
비단섬은 압록강 하구의 여러 섬과 간석지를 연결하여 형성된 섬으로, 평안북도 신도군에 속하며 조선과 청나라의 접경 지역이었고 현재는 북한과 중국의 국경을 이루며 지리천연기념물이 위치해 있다. - 신도군 - 황금평
황금평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공동으로 자유 무역 지대를 조성하기로 합의했으나, 외자 유치 실패로 사업이 개시되지 못했다. - 1969년 폐지 - 한국주택은행
- 1969년 폐지 - 리글리 필드 (로스앤젤레스)
리글리 필드는 1925년 로스앤젤레스에 건설되어 야구장, 권투 경기장, 영화 촬영 장소 등으로 사용되다가 1968년 철거되어 공원으로 조성되었다. - 1967년 설치 - 과일군
과일군은 북한 황해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군으로, 1967년 송화군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으며, 북한 과일 생산량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과일 산지이자 은률선이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다. - 1967년 설치 - 구성시
평안북도 서부에 위치한 구성시는 1967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군수 산업의 중심지로서 무기 공장과 우라늄 광산, 과거 미사일 시험 발사장인 팡현 공항이 위치한 철도 교통의 요충지이다.
신도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신도군 |
원어명 | 신도군(薪島郡) |
로마자 표기 | Sindo-gun |
지도 정보 | |
![]() | |
![]() | |
행정 구역 | |
소속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소속 도 | 평안북도 |
행정 구역 단위 | 1읍, 2로동자구, 1리 |
군청 소재지 | 신도읍 |
지리 | |
면적 | 70.7km² |
인구 통계 | |
인구 (2008년) | 11,810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기타 | |
언어 | 한국어 |
2. 지리
비단섬(緋緞島), 황금평(黃金坪), 서호섬 등 압록강 하구의 하중도(河中島)들을 관할하며, 압록강 본류를 사이에 두고 동쪽 맞은편에 룡천군(龍川郡)이 있다. 서호로동자구와 황금평리의 좌초도 지역은 룡천군에 연륙되었다. 서쪽은 중화인민공화국 요녕성 동항시(東港市)와 인접하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 때문에 중국 자본에 의한 금융·경제 특구 개발 계획이 논의되고 있다.[1]
신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서쪽 모퉁이에 위치하며, 북쪽과 서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과 접하고, 남쪽으로는 황해와 마주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좁은 해협을 사이에 두고 룡천군을 마주보고 있다. 군의 토지 대부분은 간척과 매립을 통해 개간되었다. 해안에는 다양한 섬들이 있으며, 신도 군도를 이루어 "군"을 형성한다. 비단섬은 한반도의 최서단에 위치한 섬으로, 1958년 여러 작은 섬들을 간척하여 형성되었다. 다른 섬으로는 황금평, 사리섬, 가을섬, 문박도, 위화도 등이 있다. 다양한 충적 평야와 광대한 갈대밭이 존재한다.[2]
3. 역사
광복 당시에는 평안북도 룡천군 신도면(薪島面)에 속해 있었다. 1967년 신도군이 신설되었으나, 2년 뒤 룡천군에 편입되었다가 1988년에 다시 룡천군에서 분리되어 현재의 신도군이 되었다.[3]
3. 1. 연혁
광복 당시 평안북도 룡천군 신도면(薪島面)에 속해 있었다. 1967년과 1988년 두 차례 신도군이 신설되었으나, 2년 뒤 룡천군에 편입되었다.[3]
3. 1. 1. 신도군 (1967년~1969년)
1967년 10월, 평안북도 룡천군 신서리, 신도노동자구 및 서석리 일부를 통합하여 '''신도군'''이 설치되었다.(1읍 1노동자구 1리)[3]
1969년, 신도군이 폐지되었다.[3]3. 1. 2. 신도군 (1988년~현재)
1967년에 신도군이 신설되었으나, 2년 뒤 룡천군에 편입되었다가 1988년에 다시 룡천군에서 분리되었다.[3] 1960년대에 한때 독립된 군이 되었다가, 1988년에 다시 설치되었다.[3]
4. 행정 구역
신도군은 1읍, 2로동자구, 1리로 구성된다.
5. 산업
갈대가 주요 작물이지만, 어업과 농업 또한 지역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곳에서 생산된 갈대는 신의주시의 화학-방직 공장으로 옮겨진다.[2] 굴이 많이 잡히고 수자원이 풍부하다.[2]
2011년, 황금평을 경제 특별 구역으로 개발하는 계획이 중국과 북한 간에 합의되었으나, 2013년 장성택 처형 이후 중단되었다.[2]
6. 교통
철도는 없으며, 도로망 또한 미미하다. 하지만 신도군 중심부와 피단항을 연결하는 버스가 운행하며, 배편을 통해 신의주와 인근의 룡암포 노동자 구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4]
7. 문화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63호인 '''코끼리바위'''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뉴스
N.K. leader inspects island areas near China that host special economic zone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Agency
2018-06-30
[3]
웹사이트
황해남도 신도군 역사
http://www.cybernk.n[...]
[4]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00-00 #날짜 정보가 년도만 제공되어 정확한 날짜를 기입할 수 없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