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평안북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한 도이다. 서쪽은 황해, 북쪽은 압록강을 경계로 중화인민공화국과 접하며, 1896년 평안도가 남북으로 분리되어 평안북도가 되었다. 현재 3개의 시(신의주, 구성, 정주)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청 소재지는 신의주이다. 주요 하천으로는 압록강, 청천강 등이 있으며, 대륙성 기후로 여름과 겨울의 기온 차가 크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평의선, 평북선 등 철도와 도로, 압록강과 청천강을 이용한 수운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안북도 - 서조선만
    황해 북부의 랴오둥반도와 한반도 서북부 사이에 있는 서조선만은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서한만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 유전 공동 개발 합의 주장이 있다.
  • 평안북도 - 관서팔경
    관서팔경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 지방의 아름다운 여덟 곳으로, 인풍루, 통군정, 동림폭포, 백상루, 연광정, 강선루, 세검정, 약산동대가 있으며 역사적 의미와 독특한 아름다움을 지닌 명소이다.
  • 1896년 설치 - 충청북도
    충청북도는 대한민국의 내륙도로, 경상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경기도 및 강원도와 접하며, 삼국 시대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경계 지역이었고, 현재는 3개의 시와 8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청 소재지는 청주시이다.
  • 1896년 설치 - 충청남도
    충청남도는 삼국 시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역사적 변천을 겪었으며, 현재는 8개의 시와 7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 수산업,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하여 해양관광 및 생태관광이 활성화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량강도
    량강도는 1954년 함경도, 평안도, 자강도 일부를 합쳐 신설되었으며 압록강,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경하고 백두산이 위치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이다.
평안북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북평안도 지도
북평안도 지도
북한 내 북평안도 위치
북한 내 북평안도 위치
기본 정보
이름북평안도
언어한국어
조선어Pyeong-anbuk-do
매큔-라이샤워 표기법P'yŏng'anbuk-to
행정 구역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역관서 지방
수도신의주시
하위 행정 구역3개 시, 22개 군
인구
총 인구2,728,662 명 (2008년 기준)
인구 밀도자동 계산
지리
면적12,191 km²
시간대평양 시간
UTC 오프셋+09:00
정치
집권 정당조선로동당
당위원회 위원장박성철
인민위원회 위원장정경일
기타
방언평안도 방언

2. 지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서북쪽 끝에 있으며, 도의 최서단 지역 비단섬 일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서쪽 끝이다. 해안은 리아스식 해안을 이루며, 앞바다에는 신미도, 가도, 탄도, 대화도 등 많은 섬이 있다. 압록강, 청천강, 대령강, 삼교천 등의 하천이 흐른다.

건조한 대륙성 기후로, 여름과 겨울의 기온 차가 크다. 여름에는 최고 38℃, 겨울에는 최저 -40℃까지 내려간다. 겨울철에는 함경북도(현 북한 행정구역 상 함경, 량강) 다음으로 춥다. 겨울철 평균 기온보다 낮을 때에는 압록강에 얼음층이 형성되거나, 신도군철산군, 곽산군 등 평북 해안 서한만(조선만)에 얼음층이 형성되기도 한다.

동쪽은 자강도, 남쪽은 평안남도와 접한다. 서쪽은 황해(조선 서해)에 면하고, 북쪽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화인민공화국과 마주한다. 해안가에는 평야가 펼쳐져 있고, 북동부에는 산이 솟아 있다.

이 많으며, 압록강 본류에 있는 수풍댐은 북한 전력 생산의 중심이다.

3. 역사

1896년 평안도가 남북으로 나뉘어 평안북도가 되었다.[5] 일제강점기에는

일제강점기 평안북도청
평안북도청이 설치되어 행정 중심지 역할을 했다.

1949년 1월 강계군, 자성군, 후창군, 위원군, 초산군, 희천군이 자강도로 분리되었다. 1952년에는 행정구역이 개편되어 11개 군(피현, 동림, 우시, 북진, 구장, 향산, 청성, 대관, 동창, 천마, 운전군)이 신설되었다. 1954년 북진군은 운산군에 흡수되고, 우시군은 자강도로 편입되었으며, 광성군이 분리되었다. 그러나 몇 년 후에 광성군은 신의주시에 통합되었고 청성군은 삭주군에 통합되었다. 1967년 구성군을 구성시로 개편하였으며, 이어 신도군이 룡천군에서 분리되었으나 얼마 후 폐지되었다.

1988년 7월 신도군이 다시 룡천군에서 분리되었으며, 1994년 정주군을 정주시로 개편하였다.

평안북도에서는 고려 말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석굴암 유적이 발굴되었다.[5]

4. 행정 구역

1896년 평안도가 남북으로 나뉘면서 평안북도가 되었다. 1949년 1월에는 자강도가 분리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이 있었다. 1952년에는 11개 군이 신설되었고, 1954년에는 북진군운산군에 흡수, 우시군은 자강도로 편입, 광성군이 분리되었다. 이후 광성군은 신의주시에 통합, 청성군삭주군에 통합되었다. 1967년 구성군구성시로 승격되었고, 신도군룡천군에서 분리되었다가 폐지 후 1988년 7월에 다시 분리되었다. 1994년에는 정주군이 정주시로 승격되었다.

평안북도는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2]

이름조선글한자인구 (2008)[2]
신의주 (도청 소재지)신의주시新義州市359,341
구성구성시龜城市196,515
정주정주시定州市189,742
창성군창성군昌城郡26,577
철산군철산군鐵山郡85,525
천마군천마군天摩郡50,462
향산군향산군香山郡52,350
구장군구장군球場郡139,337
곽산군곽산군郭山郡97,660
녕변군녕변군寧邊郡113,852
박천군박천군博川郡98,128
피현군피현군枇峴郡110,637
벽동군벽동군碧潼郡35,601
룡천군룡천군龍川郡135,634
삭주군삭주군朔州郡159,707
신도군신도군薪島郡11,810
선천군선천군宣川郡126,350
태천군태천군泰川郡108,894
대관군대관군大館郡69,565
동창군동창군東倉郡28,665
동림군동림군東林郡104,614
의주군의주군義州郡110,018
운전군운전군雲田郡101,130
운산군운산군雲山郡102,928
염주군염주군鹽州郡113,620


4. 1. 시

평안북도는 3개의 시로 구성되어 있다.[2]

이름조선글한자인구 (2008)하위 행정구역
신의주 (도청 소재지)신의주시新義州市359,34149개 동, 9개 리
구성구성시龜城市196,51525개 동, 18개 리
정주정주시定州市189,74214개 동, 18개 리


4. 2. 군

이름조선글한자인구
(2008)[2]
하위 행정구역
창성군창성군昌城郡26,5771개 읍, 1개 로동자구, 15개 리
철산군철산군鐵山郡85,5251개 읍, 2개 로동자구, 25개 리
천마군천마군天摩郡50,4621개 읍, 20개 리
향산군향산군香山郡52,3501개 읍, 20개 리
구장군구장군球場郡139,3371개 읍, 5개 로동자구, 22개 리
곽산군곽산군郭山郡97,6601개 읍, 19개 리
녕변군녕변군寧邊郡113,8521개 읍, 1개 로동자구, 26개 리
박천군박천군博川郡98,1281개 읍, 1개 로동자구, 20개 리
피현군피현군枇峴郡110,6371개 읍, 2개 로동자구, 21개 리
벽동군벽동군碧潼郡35,6011개 읍, 19개 리
룡천군룡천군龍川郡135,6341개 읍, 3개 로동자구, 19개 리
삭주군삭주군朔州郡159,7071개 읍, 6개 로동자구, 18개 리
신도군신도군薪島郡11,8101개 읍, 2개 로동자구, 1개 리
선천군선천군宣川郡126,3501개 읍, 24개 리
태천군태천군泰川郡108,8941개 읍, 1개 로동자구, 21개 리
대관군대관군大館郡69,5651개 읍, 22개 리
동창군동창군東倉郡28,6651개 읍, 1개 로동자구, 16개 리
동림군동림군東林郡104,6141개 읍, 2개 로동자구, 20개 리
의주군의주군義州郡110,0181개 읍, 2개 로동자구, 17개 리
운전군운전군雲田郡101,1301개 읍, 25개 리
운산군운산군雲山郡102,9281개 읍, 1개 로동자구, 27개 리
염주군염주군鹽州郡113,6201개 읍, 1개 로동자구, 22개 리


5. 경제

평안북도의 경제는 여러 산업과 특산물로 구성되어 있다.

5. 1. 산업

압록강 본류에 있는 수풍댐은 북한 전력 생산의 중심이다. 구미시룡천군에서는 기계공업이 발달했다. 녕변군 등 핵 개발 관련 의혹이 제기되는 곳이 많다.

5. 2. 특산물

황치령샘물


이곳에서는 황치령샘물이 유명하다. 황치령샘물은 백마산 황치령에서 나오는 샘물로, 20종의 광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6. 관광

평안북도에는 관서팔경선천군동림폭포, 녕변군약산동대, 의주군통군정이 있다. 그 외에도 구장군의 룡문동굴, 구성시의 구성남문, 금강사라고도 불리는 금광사, 한반도 극서에 위치한 비단섬마안도, 북한 최대의 인공호수인 수풍호 등이 주요 관광지이다.

6. 1. 관광지

7. 교육


  • 신의주의과대학
  • 신의주농업대학
  • 신의주공원대학
  • 선천교원대학
  • 핵물리대학

8. 교통

평안북도의 교통은 철도, 도로, 수운으로 나뉜다.

철도는 평의선중화인민공화국의 단둥과 조중우의교를 통해 연결된다. 평북선수풍댐과 함께 이 지방 공업 발전에 큰 역할을 한다. 만포선은 임산자원을 개발하는 산업철도 역할을 하며, 지안과 연결된다. 그 외 지선으로 박천선, 다사도선 등이 있다.

도로는 의주가도와 철도선이 나란히 달리며, 도내 각 군과 인접 도를 연결한다. 도로 총연장은 3431km이다.

수운은 압록강혜산까지, 청천강은 하구에서 40km까지 배의 운행이 가능하다.[1] 해상 교통은 용암포를 통해 남포 등 기타 지역과 연결된다.[1]

8. 1. 철도

평의선은 분단 이전의 경의선에서 평양~신의주 구간을 따로 분리해서 부르는 명칭으로, 경부선(평양~개성평부선 구간 포함)과 연결되어 한반도를 종단하는 간선철도이며, 신의주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단둥(丹東)과 조중우의교를 통해 연결된다. 평북선은 정주에서 분기하여 청수와 연결되며 수풍댐과 함께 이 지방 공업발전에 큰 역할을 한다. 만포선은 경의선의 서포에서 분기하여 만포까지 도달하며, 임산자원을 개발하는 산업철도로서 만주지방과는 집안(集安)과 연결된다. 기타 지선으로 맹중리에서 박천으로 연결되는 박천선, 신의주에서 다사도까지의 다사도선 등이 있다.

8. 2. 도로

의주가도와 철도선이 나란히 달리며, 도내 각 군과 인접 도를 연결하는 지선 도로가 있다. 도로 총연장은 3431km로, 고원 지방을 제외하고는 교통이 편리하다.

8. 3. 수운

수운은 하천 동결 기간인 10월 말에서 3월 초까지를 제외하고 압록강혜산까지 배의 운행이 가능하며, 청천강은 수량이 적어 하구에서 40km까지 배가 드나들 수 있다.[1]

해상 교통은 수심이 얕고 간석지가 넓어 좋은 항구는 없고, 압록강 하구에 있는 용암포를 이용하여 남포 또는 기타 지역과 연락된다.[1]

참조

[1] 웹사이트 Organizational Chart of North Korean Leadership https://www.unikorea[...] Political and Military Analysis Division, Intelligence and Analysis Bureau; Ministry of Unification 2018-01-00
[2] 웹사이트 DPR Korea 2008 Population Census: National Report http://unstats.un.or[...]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09-00-00
[3] 뉴스 北朝鮮の総人口2405万人、UNFPA暫定集計 http://japanese.yonh[...] 2009-02-15
[4]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00-00
[5] 뉴스 北, 평북 초장리서 석굴암 유적 발굴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9-05-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