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복족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복족류는 1921년 분류된 아가미로 호흡하는 전새복족류로, 껍질, 사이펀, 아가미, 신경계 등의 특징을 갖는 연체동물이다. 약 16,000종이 있으며, 고둥, 소라, 올리브고둥 등 다양한 종류를 포함한다. 2005년 분류에서는 물레고둥상과, 뿔소라상과, 대추고둥상과, 청자고둥상과, 감생이고둥상과 등을 포함하며, 2017년 이후에는 분류 체계가 일부 변경되었다. 대부분 바다에 살며, 열대 바다에서 가장 다양하고, 포식자 또는 부식성 생활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신복족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연체동물문 |
강 | 복족류 |
미분류 | 신생복족류 |
미분류 | 흡강류 |
미분류 | 고복족류 |
목 | 신복족류(Neogastropoda) |
명명자 | Wenz, 1938 |
과학적 분류 | |
학명 | Neogastropoda |
하위 분류 | |
상과 | 본문 참조 |
기타 정보 | |
화석 범위 | 초기 백악기-현재 |
![]() |
2. 분류학
신복족류는 일반적으로 6개의 상과를 인정하고 있다. 여기에는 물레고둥상과, 뿔소라상과, 대추고둥상과, Pseudolivoidea, 청자고둥상과, 감생이고둥상과가 포함된다. 그러나 형태학적 특징에 기초한 신복족류 상과들 사이의 계통분류학적인 관계는 불안정하다. 예를 들어, 감생이고둥상과[10] 또는 물레고둥상과[11]는 각각 신복족류의 자매군으로 분류되기도 한다.[12]
부셰 & 로크루아 (2005)의 복족류 분류에 따르면, 신복족류 분류군은 다음의 상과로 구성된다.
- 뿔소라상과 라피네스크, 1815
- 원뿔소라상과 플레밍, 1822
- 고깔고둥상과 스웨인슨, 1831
- 보라골뱅이상과 라피네스크, 1815
- 올리브고둥상과 라트레유, 1825
- † Pholidotomoidea 코스만, 1896
- 소라고둥상과 라피네스크, 1815
- 고둥상과 라피네스크, 1815
과거 신복족류가 목이었을 때, 틸레 (1921)가 개발한 분류에 따르면, 전새목 복족류에 속했다. 틸레 (1929) 이후[5] 신복족류는 다른 중복족류와 뚜렷하게 구별되는 자연적인 그룹으로 간주되어 왔다.[8]
2. 1. 2005년 분류
프리드리히 칼 요하네스 틸레가 1921년에 분류한 방법에 따르면, 신복족류는 아가미로 호흡하는 전새복족류로 분류되었다. 1960년 콕스(Cox)가 분류한 신복족류의 과 목록은 신복족목을 구성하는 과 목록이다. 1929년 틸레(Thiele)의 분류 이래,[9] 신복족류는 다른 신생복족류와 명확히 다른, 하나의 자연적인 분류군으로 간주되었다.[12] 이러한 형태학적 분류는 많은 형태학 분류학자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졌으며, 주로 소화계의 해부학적 구조와 관련된 몇 개의 공유파생형질에 기초했다.[12]2005년, 부쉐와 로크루아의 복족류 분류에서 분류하고 있는 상과는 다음과 같다.
- 물레고둥상과 (Buccinoidea) Rafinesque, 1815
- 뿔소라상과 (Muricoidea) Rafinesque, 1815
- 대추고둥상과 (Olivoidea) atreille, 1825
- Pseudolivoidea (de Gregorio, 1880)
- 청자고둥상과 (Conoidea) Fleming, 1822
- 감생이고둥상과 (Cancellarioidea) Forbes & Hanley, 1851
2. 2. 2017년 이후 변화
2005년 부쉐와 로크루아의 복족류 분류 이후, 2017년에 발표된 새로운 분류에서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다.[4]- 구슬삿갓조개상과는 고둥상과로 취급되었다.
- 고깔고둥상과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 가짜올리브고둥상과는 올리브고둥상과의 동의어로 취급되었다.
3. 하위 과
2005년, 부쉐와 로크루와의 복족류 분류와 그 이후의 변경 사항에 따라 신복족류에 속하는 하위 과는 다음과 같다.
- 물레고둥상과 (Buccinoidea)
- * 물레고둥과 (Buccinidae)
- * Colubrariidae
- * 무륵과 (Columbellidae)
- * 긴고둥과 (Fasciolariidae)
- * 좁쌀무늬고둥과 (Nassariidae)
- * 털탑고둥과 (Melongenidae)
- * 벨로미트라과(Belomitridae)
- * 부시콘과(Busyconidae)
- * † 에키노풀구르과(Echinofulguridae)
- * 소라고둥과 (Fasciolariidae)
- * 멜로겐과(Melongenidae)
- 뿔소라상과 (Muricoidea)
- * 뿔소라과 (Muricidae)
- * Babyloniidae
- * 붓고둥사촌과 (Costellariidae)
- * 작은싸라기고둥과 (Cystiscidae)
- * Harpidae
- * 싸라기고둥과 (Marginellidae)
- * 붓고둥과 (Mitridae)
- * † Pholidotomidae
- * Pleioptygmatidae
- * Strepsiduridae
- * Turbinellidae
- * 홍줄고둥과 (Volutidae)
- * Volutomitridae
- * 보라고둥과(Muricidae)
- * 코스텔라리아과(Costellariidae)
- * 낭피조개과(Cystiscidae)
- * 말조개과(Marginellidae)
- * 소라과(Turbinellidae)
- * 가리비고둥과(Volutidae)
- 대추고둥상과 (Olivoidea)
- * 대추고둥과 (Olividae)
- * Olivellidae
- * 올리브고둥과(Olividae)
- 미트로이데아(Mitroidea)
- * 카리토도론과(Charitodoronidae)
- * 두루마기조개과(Mitridae)
- * 피라미미트라과(Pyramimitridae)
- Pseudolivoidea (2017년부터 대추고둥상과에 통합)
- * 거짓올리브고둥과(Pseudolividae)
- * 프티카트라과(Ptychatractidae)
- 청자고둥상과 (Conoidea)
- * 청자고둥과 (Conidae)
- * Clavatulidae
- * Drilliidae
- * Pseudomelatomidae
- * Strictispiridae
- * 송곳고둥과 (Terebridae)
- * 언챙이고둥과 (Turridae)
- * 알락고둥과(Conidae)
- * 클라바툴라과(Clavatulidae)
- * 드릴리아과(Drilliidae)
- * 가짜멜라토마과(Pseudomelatomidae)
- * 스트릭티스피라과(Strictispiridae)
- * 굴뚝조개과(Terebridae)
- * 탑고둥과(Turridae)
- 감생이고둥상과 (Cancellarioidea) (2017년부터 볼루토이데아 (Volutoidea)로 변경)
- * 감생이고둥과 (Cancellariidae)
- * 꽈배기조개과(Cancellariidae)
3. 1. 상과 미지정
2005년, 부쉐와 로크루와의 복족류 분류에서 신복족류는 아래 과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은 특정 상과로 분류되지 않았다.- † 존와이티과(Johnwyattiidae)
- † 페리시티과(Perissityidae)
- † 사르가누스과(Sarganidae)
- † 스피기티과(Speightiidae)
- † 타이오미과(Taiomidae)
- † 윅시과(Weeksiidae)
부셰 & 로크루아 (2005)의 복족류 분류에 따르면, 과에 할당되지 않고 신복족류 incertae sedis(임시 이름)에 할당된 분류는 다음과 같다.
- 바빌로니아과(Babyloniidae) Kuroda, Habe & Oyama, 1971
- 속 ''Enigmavasum'' Poppe & Tagaro, 2005
- 고둥삿갓조개과(Harpidae) Bronn, 1849
- 스트렙시두르과(Strepsiduridae) Cossmann, 1901
3. 2. 물레고둥상과 (Buccinoidea)
2005년, 부쉐와 로크루와의 복족류 분류에 따르면, 물레고둥상과는 아래 과들을 포함한다.[1]과 |
---|
물레고둥과 (Buccinidae) |
Colubrariidae |
무륵과 (Columbellidae) |
긴고둥과 (Fasciolariidae) |
좁쌀무늬고둥과 (Nassariidae) |
털탑고둥과 (Melongenidae) |
3. 3. 뿔소라상과 (Muricoidea)
2005년, 부쉐와 로크루아의 복족류 분류에서 신복족류에 속하는 뿔소라상과(Muricoidea)는 아래와 같은 과를 포함하고 있다.[1]- 뿔소라과 (Muricidae)
- 바빌로니아과(Babyloniidae)
- 붓고둥사촌과 (Costellariidae)
- 작은싸라기고둥과 (Cystiscidae)
- Harpidae
- 싸라기고둥과 (Marginellidae)
- 붓고둥과 (Mitridae)
- † Pholidotomidae
- Pleioptygmatidae
- Strepsiduridae
- Turbinellidae
- 홍줄고둥과 (Volutidae)
- Volutomitridae
3. 4. 대추고둥상과 (Olivoidea)
- 대추고둥과 (Olividae)
- Olivellidae
3. 5. Pseudolivoidea (대추고둥상과에 통합)
2005년, 부쉐와 로크루와의 복족류 분류에서 대추고둥상과(Olivoidea)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으나, 2017년부터 대추고둥상과(Olivoidea)의 동의어로 취급되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다음과 같은 2개 과를 포함했었다.
- 거짓올리브고둥과(Pseudolividae)
- 프티카트라과(Ptychatractidae)
3. 6. 청자고둥상과 (Conoidea)
- 청자고둥과
- Clavatulidae
- Drilliidae
- Pseudomelatomidae
- Strictispiridae
- 송곳고둥과
- 언챙이고둥과
3. 7. 감생이고둥상과 (Cancellarioidea) (고둥상과로 변경)
2005년, 부쉐와 로크루아의 복족류 분류에서 감생이고둥상과 (Cancellarioidea)는 감생이고둥과 (Cancellariidae)만을 유일한 과로 포함하고 있었다.[1] 2017년부터 볼루토이데아 (Volutoidea)의 동의어로 취급되기 시작했다.[2]2005년 분류 | 2017년 이후 분류 |
---|---|
감생이고둥과 (Cancellariidae) | 볼루토이데아 (Volutoidea)로 통합 |
4. 형태 및 생태
신복족류는 한 개의 심방, 한 개의 신장, 한 개의 단엽 아가미를 가지고 있다. 아가미 필라멘트는 중심축의 한쪽 면에만 발달한다.[3]
껍질은 잘 발달된 수관을 가지고 있으며, 길쭉한 원통 모양의 사이펀은 외투막 주름으로 형성된 신장성 튜브이다. 이는 외투강 안으로 물을 빨아들이는 데 사용된다. 사이펀 기저부에는 쌍엽(중심축에서 분기) 후각기가 있는데, 이는 감각 수용체이자 후각 기관으로 중복족류의 것보다 더 발달되었다. 수관 연장, 입구의 머리 끝 위치로 이동, 잘 발달된 코 형성 등 중요한 형태학적 변화가 나타났다.[8]
신경계는 매우 집중되어 있으며, 많은 종이 신경절을 좁은 공간에 가지고 있다. 구강 내에는 갈고리 모양의 치설이 일련으로 배열된 이빨 층을 이루고 있으며, 각 가로 열에는 3개의 치아 돌기(작은 이빨)만 있다.[3]
신복족류는 자웅이체이며, 약 16,000종이 알려져 있다. 고둥류, 소라류, 갯벌 달팽이, 올리브고둥류, 굴 천공자, 튤립 조개류, 대추고둥류 등 많은 복족류가 신복족류에 속한다. 대부분 바다에 살지만, 민물에 사는 ''Clea''와 ''Rivomarginella''는 예외이다. 신복족류는 열대 바다에서 가장 다양하게 나타나며,[8] 대부분 포식자이지만 일부는 부식성(청소 동물)이다.
참조
[1]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Neogastropoda
http://www.marinespe[...]
2018-09-27
[2]
간행물
Neogastropoda
2018-09-27
[3]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olt-Saunders International
[4]
논문
Revised classification, nomenclator and typification of gastropod and monoplacophoran families
2017
[5]
서적
Handbuch der Systematischen Weichtierkunde Volume 1 (1) (Loricata; Gastropoda: Prosobranchia)
Jena
1929
[6]
논문
Phylogeny and Relationships of Neogastropoda
1996
[7]
논문
Caenogastropoda
2008
[8]
뉴스
Neogastropod phylogenetic relationships based on entire mitochondrial genomes
10.1186/1471-2148-9-[...]
BMC Evolutionary Biology
2009-08-23
[9]
서적
Handbuch der Systematischen Weichtierkunde Volume 1 (1) (Loricata; Gastropoda: Prosobranchia)
Jena
1929
[10]
논문
Phylogeny and Relationships of Neogastropoda
1996
[11]
논문
Caenogastropoda
2008
[12]
뉴스
Neogastropod phylogenetic relationships based on entire mitochondrial genomes
10.1186/1471-2148-9-[...]
BMC Evolutionary Biology
2009-08-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