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원생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원생대는 10억 년 전부터 5억 3880만 년 전까지 지속된 원생대의 마지막 시대이다. 이 시기에는 초대륙 로디니아가 분리되고 여러 차례의 대규모 빙하기가 발생하여 "눈덩이 지구" 상태를 초래했다. 신원생대는 토니아기, 크라이오제니아기, 에디아카라기의 세 시기로 구분되며, 에디아카라기에는 에디아카라 생물군을 비롯한 다양한 생물 화석이 발견되었다. 에디아카라기는 국제지질과학연맹에 의해 신원생대의 마지막 지질 시대로 공식 인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원생대 - 에디아카라기
    에디아카라기는 신원생대 마지막 시기로, 마리노 빙하기 종료부터 *Treptichnus pedum* 화석 등장까지의 기간이며, 딱딱한 껍질이 없는 특수한 조직을 가진 다세포 생물인 에디아카라 생물군 화석으로 알려져 있다.
  • 신원생대 - 크리오스진기
    크리오스기는 7억 2천만 년 전으로 수정된 지질 시대이며, 지구 역사상 가장 심각한 빙하기인 스터트 빙하기와 마리노 빙하기가 발생하고, 로디니아 초대륙 분열과 유각아메바 화석 등장 등의 특징을 보인다.
  • 대 (지질학) - 고생대
    고생대는 캄브리아기 대폭발부터 페름기 말 대멸종까지, 다양한 무척추동물과 최초의 척추동물, 육상 식물 및 동물의 출현, 그리고 초대륙 판게아 형성과 멸종을 겪은 지질 시대의 중요한 시기이다.
  • 대 (지질학) - 신생대
    신생대는 약 6,600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의 지질 시대로, 포유류의 번성, 대륙 이동과 기후 변화, 인류의 출현과 진화를 특징으로 한다.
  • 원생누대 - 로디니아
    로디니아는 고지자기학 및 지질학적 연구로 확인된 약 13억 년 전부터 7억 5천만 년 전까지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분열을 거쳐 기후 변화 및 생명체 진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반도 지질학적 역사 이해에도 단서를 제공하지만, 정확한 형성 과정과 대륙 배열은 연구 중이다.
  • 원생누대 - 중원생대
    중원생대는 선캄브리아 시대의 한 시기로, 컬럼비아 초대륙 분열과 로디니아 초대륙 형성, 유성생식 진화, 다세포 생물 발달 시작 등 지각 변동과 생물학적 진화가 일어났으며 스트로마톨라이트 번성, 해양 화학 조성 및 대기 중 산소 농도 변화가 있었고 칼림기아기, 엑타시아기, 스테니아기로 세분된다.
신원생대
지도 정보
개요
시대 구분원생누대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시대
시작10억 년 전
5억 3880만 년 전
끝 불확실성0.2
연대
제안된 경계8억 5천만 년 전 ~ 5억 4천 1백만 년 전
제안된 경계 참고Gradstein et al., 2012
세분토니아기, 크라이오제니아기, 에디아카라기
세분 제안자Gradstein et al., 2012
토니아기10억 년 전 ~ 7억 2천만 년 전
크라이오제니아기7억 2천만 년 전 ~ 6억 3천 5백만 년 전
에디아카라기6억 3천 5백만 년 전 ~ 5억 3천 8백 8십만 년 전
명명
명명 형식공식
사용 정보
천체지구
사용전 지구적 (국제층서위원회)
시간 척도ICS 시간 척도
정의
시간 단위시대
층서 단위이원대
시간 범위 형식공식
하위 경계 정의시간 측정으로 정의
하위 GSSA 승인일1991년
상위 경계 정의흔적 화석 트렙티크누스 페둠의 출현
상위 GSSP 위치포춘 헤드 지점, 뉴펀들랜드 섬, 캐나다
상위 GSSP 좌표위도 47.0762, 경도 -55.8310
상위 GSSP 승인일1992년
이미지
신원생대 콜라주
위쪽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토니아기 시대의 다세포 생물인 오타비아, 크라이오제니아기 시대의 눈덩이 지구 빙하기, 에디아카라기 시대의 에디아카라 생물군

2. 지질학적 사건

중원생대 후기에 형성된 초대륙 로디니아는 적도를 가로지르고 있었다. 토니아기 동안, 로디니아는 여러 개의 개별 대륙으로 분리되는 리프팅(rifting)이 시작되었다.[16]

대부분의 대륙이 저위도에 위치했던 결과로, 신원생대에는 크라이오제니아기의 스터티아 빙하기와 마리노아 빙하기를 포함한 여러 차례의 대규모 빙하기 사건이 발생했다. 이러한 빙하기는 적도까지 빙상이 덮였던, "눈덩이 지구"로 알려진 상태를 초래했을 정도로 심각했던 것으로 여겨진다.[16]

2. 1. 한반도의 신원생대 지층

한반도에는 신원생대 지층이 여러 곳에 분포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지역으로는 경기육괴, 옥천변성대, 영남육괴 등이 있다. 이들 지층에서는 화산암, 변성암, 퇴적암 등 다양한 암석이 발견되며, 당시 한반도의 지질학적 환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특히, 옥천변성대에서는 신원생대 후기에 발생한 격렬한 지각 변동의 흔적을 관찰할 수 있다.

3. 세부 시대 구분

신원생대는 토니아기(10억 년 전 ~ 7억 2천만 년 전), 크라이오제니아기(7억 2천만 년 전 ~ 6억 3천 5백만 년 전), 에디아카라기(6억 3천 5백만 년 전 ~ 5억 3천 8백 8십만 년 전)로 구분된다.[2]

3. 1. 러시아 지역 시대 구분

러시아 지역의 시대 구분에서 토니아기와 크라이오제니아기는 후기 리피안기(Late Riphean)에 해당하고, 에디아카라기는 초기부터 중기 벤디안기(Early to middle Vendian)에 해당한다.[4] 러시아 지질학자들은 시베리아의 신원생대를 마이아니안기(Mayanian, 1000Ma~850Ma)와 그 뒤를 잇는 바이칼리안기(Baikalian, 850Ma~650Ma)로 구분한다.[5]

4. 고생물학

19세기 고생물학자들은 다세포 생물의 시작을 삼엽충과 아케오시아스 해면동물과 같은 단단한 껍질을 가진 동물의 최초 출현인 캄브리아기 초기로 설정했다. 그러나 20세기 이후, 캄브리아기 이전의 다세포 동물 화석이 발견되기 시작했다. 초기 동물 중 일부는 현대 동물의 조상일 가능성이 있다.

4. 1. 에디아카라 생물군

에디아카라 생물군은 신원생대 에디아카라기에 살았던 다양한 다세포 생물들을 말한다. 이들은 잎 모양, 원반형, 매트리스 모양 등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었다. 1920년대 남서 아프리카와 1940년대 남오스트레일리아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후 러시아, 잉글랜드, 캐나다 등 전 세계 최소 25개 지역에서 발견되었다.[17]

에디아카라 생물군 중 일부는 현대 동물의 조상일 가능성이 있지만, 대부분은 그 기원과 진화 관계가 불분명하다. 어떤 학자들은 이들 대부분을 현대 동물과 연관시키지만, 다른 학자들은 이들이 알려지지 않은 동물 유형의 대표자라고 생각한다.

에디아카라 생물군 외에도, 중국에서는 두 가지 다른 유형의 생물군이 발견되었다. 두샨투오층에서는 에디아카라기 시대 해양 유기체의 미세 화석이, 후이난 생물군에서는 후기 토니아기 시대의 작은 벌레 모양 유기체 화석이 발견되었다.[7][8]

4. 2. 기타 생물군

중국의 두샨투오층에서는 에디아카라기 시대의 미세한 해양 유기체 화석이 매우 상세하게 보존되어 있다.[7] 토니아기 후기의 후이난 생물군은 작은 벌레 모양의 유기체로 구성되어 있다.[8] 분자 계통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동물은 신원생대 초기(토니아기)에 이미 출현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직접적인 물리적 증거는 아직 부족하다.[9]

5. 신원생대 마지막 시대

신원생대 마지막 시기의 명칭은 한동안 불안정했다. 러시아와 북유럽 지질학자들은 신원생대 마지막 기를 벤디기라고 불렀고, 중국 지질학자들은 시니기라고 불렀으며, 대부분의 호주와 북미 지질학자들은 에디아카라기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그러나 2004년 국제지질과학연맹은 에디아카라기를 신원생대의 지질 시대로 승인했으며, 에디아카라기의 경계는 절대적인 표준 지층시대가 아니라 생물학적 국제층서 기준 단면 및 점에 의해 정의된 유일한 선캄브리아기 경계이다.[10][11]

참조

[1] 논문 New Precambrian time scale 1991-06-01
[2] 웹사이트 Stratigraphic Chart 2022 https://stratigraphy[...] International Stratigraphic Commission 2022-02-00
[3] 논문 The Grenvillian and Pan-African orogens: World's largest orogenies through geologic time, and their implications on the origin of superplume 2008-00-00
[4] 웹사이트 Global Climate, the Dawn of Life and the Earth's Oldest Petroleum Systems https://www.geosoc.f[...] 2015-11-26
[5] 논문 Mayanian (1100–850 Ma) – Prebaikalian Upper Riphean of Siberia
[6] 논문 The Ediacaran Period: a new addition to the geologic time scale https://academiccomm[...]
[7] 논문 Fossil preservation through phosphatization and silicification in the Ediacaran Doushantuo Formation (South China): a comparative synthesis 2015-09-00
[8] 논문 13C, Ontogeny, and the Paradox of Evolution 2018-05-00
[9] 논문 Possible poriferan body fossils in early Neoproterozoic microbial reefs 2021-07-28
[10] 서적 The Concise Geologic Time Scale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Divisions of Geologic Time— Major Chronostratigraphic and Geochronologic Units https://pubs.usgs.go[...] USGS 2007-03-00
[12] 문서 基底年代の数値では、この表と本文中の記述では、異なる出典によるため違う場合もある。
[13] 문서 百万年前
[14] 뉴스 「始生代」の新名称、日本地質学会が2018年7月に改訂
[15] 문서 Gradstein 2005.
[16] 문서 Holfmann, et al. 2004.
[17] 문서 Knoll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