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십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십수는 칼날을 막거나 상대를 제압하는 데 사용되는 일본의 무기이다.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중국과 일본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봉건 시대 일본에서 궁궐 경비가 사용했으며, 에도 시대에는 경찰 관리 등 다양한 직책의 관리들이 신분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했다. 짓테는 금속 몸체, 갈고리, 손잡이로 구성되며, 짓테를 사용하는 무술을 짓테술이라고 한다. 짓테는 에도 시대 일본 사회의 법 집행 체계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현대에도 일본 전통 무술 유파에서 짓테술을 전승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곤봉 - 모르겐슈테른 (무기)
    모르겐슈테른은 뾰족한 머리가 달린 중세 시대 무기로, 14세기 초부터 널리 사용되었으며, 플랜지 철퇴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군사용, 농민용, 장식용으로 나뉜다.
  • 곤봉 - 경봉
    경봉은 경찰이나 경비원이 휴대하는 곤봉 형태의 무기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국가 및 지역별로 소지 및 사용에 대한 법적 규제가 있고, 사용 방식 또한 변화되었다.
  • 포물도구 - 만력쇄
    만력쇄는 쇠사슬과 추로 제작된 일본의 무기로, 은밀한 무기나 자기 방어용으로 사용되었으며, 에도 시대 사무라이 경찰의 체포용으로도 활용되었다.
  • 포물도구 - 돌봉
    돌봉은 쇠갈고리가 달린 긴 막대기 형태의 일본 전통 무기로, 범죄자 체포 시 용의자를 밀거나 넘어뜨리는 데 사용되었으며 소데가라미, 사스마타와 함께 '토리모노 산도구'로 불리고 에도시대부터 사용되었고, 과거 인권 침해 논란이 있었으나 현재 경찰 진압 장비로 활용되며 텟파, 하칸 등으로도 불린다.
십수
개요
짓테
짓테
종류비(非)날붙이 무기
용도무장하지 않은 사람을 체포하거나 칼을 든 상대를 제압
사용법칼날을 막거나 비틀어 빼앗기
명칭
일본어짓테 (十手)
의미열 개의 손
다른 표기실십수 (實手)
역사
기원에도 시대
사용 계층경찰 (오캇피키)
사무라이
주요 역할무장하지 않은 사람 체포, 칼 든 상대 제압
구조 및 재료
재료
나무
형태손잡이
갈고리 (카기)
길이다양함
기술
기술 종류짓테술 (十手術)
주요 기술막기
비틀기
찌르기
누르기
참고
관련 무술유술
검술
유사 무기사이
트리슈라

2. 역사

짓테의 기원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크게 중국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했다는 설이 있다. 중국 기원설은 진원빈이 전했다는 설과 필가차에서 발생했다는 설이 있지만, 두 설 모두 부정되고 있다.[14] 십수의 사용 방법, 자루와 옻칠의 사용, 칼날의 유무 등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는데, 타격을 목적으로 하는 '칼날 제거'가 십수의 기원이라는 견해가 있다. 즉, 칼날 제거에서 칼집과 칼날을 제거하고 갈고리를 단 '투구 쪼개기'가 생겨났고, 이 '투구 쪼개기'의 갈고리를 크게 하고 휨을 없앤 것이 십수라는 것이다.

봉건 시대 일본에서는 쇼군의 궁전에 검을 반입하는 것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궁궐 경비는 칼날이 없는 짓테와 같은 무기를 휴대했다.[1] 짓테는 궁궐 경비의 지위를 상징하는 것으로 발전했다.

에도 시대에 짓테는 경찰 관리, 검사관 등 다양한 직책의 관리들이 사용했으며, 신분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여겨졌다.[2][3][4][5][6] 짓테는 일본 무술 짓테술의 주제이기도 하다.[7]

전체의 1/3을 쥐는 자루, 나머지를 봉신으로 하여, 쥐는 자루와 봉신의 경계에 갈고리를 단 형태를 하고 있다.[15] 갈고리는 칼날의 베기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었다.[15] 길이는 1척 5촌으로 정해져 있었지만, 사용하는 사람의 신장이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이 남아있다.[15]

갈고리로 적의 칼날을 얽어 포획하는 용법 외에도, 단봉술로서 상대의 손발을 얽어 로 연결하는 얽어 잡기로 포박하는 십수술이 있다. 에도 시대에는 악당을 상대하는 포졸용 무구로서 에도 정봉행소의 요리키, 도신에게 주어졌다. 십수는 포구임과 동시에 신분을 증명하는 것이었기 때문에[16], 분실이나 도난에 대한 주의를 위해서 품에 넣고 다녔다.

2. 1. 한국과의 관계

3. 구조 및 형태



짓테는 주로 금속으로 만들어진 몸체(보신(Boshin))와 갈고리(카기(Kagi)), 손잡이(츠카(Tsuka))로 구성된다.


  • '''보신(Boshin)''': 둥글거나 각진 형태를 가질 수 있는, ''짓테''의 주요 자루 부분. 대부분의 ''짓테''의 ''보신''은 철로 만들어졌지만, 일부는 나무로 만들어졌다.
  • '''카기(Kagi)''': ''보신'' 측면에서 돌출된 갈고리. ''짓테''는 하나 이상의 ''카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일부 ''짓테''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카기''를 가지고 있다.
  • '''칸(Kan)''': ''츠카''의 폼멜에 있는 고리 또는 루프. 끈이나 술을 ''칸''에 묶을 수 있다.
  • '''키쿠자'''''("국화 자리"): ''카기''가 ''보신''의 구멍을 통해 ''보신''에 부착된 경우, 반대쪽의 돌출부를 ''키쿠자''라고 부른다.
  • '''센탄(Sentan)''': ''짓테'' 주요 자루의 뭉툭한 끝 부분.
  • '''츠카(Tsuka)''': ''짓테''의 손잡이 부분.
  • '''츠카마키(Tsukamaki)''': 손잡이(''츠카'')의 랩핑. 가오리 가죽(''''사메(Same)''''), 가죽, 끈과 같은 재료가 사용되었다.


몸체의 형태는 원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하며, 길이는 30cm에서 60cm 정도이다.[9] 현대 짓테는 길이 약 45cm인 주요 자루가 있으며, 자루 위에서 시작하는 길이 약 5cm의 갈고리 모양의 이빨(kagi)과 둔탁한 끝(sentan)으로 끝난다. 갈고리는 칼날을 막거나 상대를 제압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하나 또는 여러 개가 달려 있을 수 있다.[8]

자루는 둥근 막대 그대로 노출시켜 잡기 쉬운 형태(육각형이나 팔각형 등의 단면)로 절삭 가공한 것, 놋쇠 등으로 막대를 덮어 굵게 만들어 쥐기 편하고 겨울에도 차갑지 않게 만든 것, 그립감을 좋게 하기 위해 등나무나 가는 끈 또는 가죽 끈을 감은 것, 더 잡기 쉬운 형태로 만들거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나무 자루나 상아 등을 끼운 것, 도타치나 와키자시처럼 나무 자루 위에 상어가죽을 감거나 그 위에 자루 감기를 한 것 등이 있다. 십자의 자루에 끈을 매달아 술을 다는 것은 요리키·도신에 한정되었다.[15]또한 끈의 색깔로 소관을 구별했으며, 보라색 끈은 은상으로 허용되는 경우가 있었다.[15]

갈고리는 주로 압착 결합으로 자루에 부착되었다. 이는 자루의 손잡이 부분 근처에 한쪽은 크게 열리고 다른 한쪽은 작게 좁혀진 장부구멍에, 두드려 낸 갈고리의 접합부가 아직 뜨겁고 부드러운 상태에서 좁은 구멍에서 장부로 끼워 넣고, 갈고리의 반대쪽으로 크게 넓어진 구멍 안으로 나오는 갈고리 재료를 으깨어 넣어 단접하면서 리벳 결합하는 방법이다.

짓테는 형태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鉤의 모양은 앞을 향하는 하나 또는 두 개가 달려 사이와 같은 것, 만자 鉤창처럼 두 개의 鉤가 앞뒤로 어긋나 만자(卍) 십수라고 불리는 것, 좌우 평행하지 않고 꼬인 위치 관계에 있는 것 등이 있다. 막대 몸통을 정점과 두 개의 鉤의 정점이 각각 이등변삼각형을 그리는 것, 鉤가 아니라 단순한 가로 막대를 가로질러 로자리오처럼 십자 모양으로 만든 것, 사브르처럼 호권인 것, 막대 몸통을 축으로 삼방 또는 사방 점대칭으로 달려 있는 것, 삼고저나 오고저의 모양을 본뜬 鉤와 막대 몸통을 가진 것 등도 있다.

3. 1. 종류

짓테는 형태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鉤의 모양은 앞을 향하는 하나 또는 두 개가 달려 사이와 같은 것, 만자 鉤창처럼 두 개의 鉤가 앞뒤로 어긋나 만자(卍) 십수라고 불리는 것, 좌우 평행하지 않고 꼬인 위치 관계에 있는 것 등이 있다. 막대 몸통을 정점과 두 개의 鉤의 정점이 각각 이등변삼각형을 그리는 것, 鉤가 아니라 단순한 가로 막대를 가로질러 로자리오처럼 십자 모양으로 만든 것, 사브르처럼 호권인 것, 막대 몸통을 축으로 삼방 또는 사방 점대칭으로 달려 있는 것, 삼고저나 오고저의 모양을 본뜬 鉤와 막대 몸통을 가진 것 등도 있다.[12]

4. 짓테술

짓테를 사용하는 무술을 짓테술이라고 한다. 짓테술은 칼을 막고 상대를 제압하는 기술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현대에도 일본의 전통 무술 유파에서 짓테술을 전승하고 있다.

지테는 손잡이에 작은 점이나 칼날이 부착되어 있고, 주요 자루에 숨겨져 있을 수 있었다. 지테는 소유자의 지위와 사용 목적에 따라 매우 화려하게 장식되거나, 매우 단순하고 기본적으로 제작될 수 있었다. 지테의 길이는 약 30~61 cm까지 다양했다.[9] 현대 지테는 길이 약 45cm인 주요 자루가 있으며, 자루 위에서 시작하는 길이 약 5cm의 갈고리 모양의 이빨(kagi)과 둔탁한 끝(sentan)으로 끝난다. 흔한 오해는 kagi가 칼을 잡는 데 사용된다는 것이다. 아마도 이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갈고리가 손에 가깝게 위치하여 오히려 위험할 수 있다. 갈고리의 더 가능성 있는 용도는 boshin으로 막은 후 칼날을 포획하고 제압하는 것이다.[8] kagi의 더 일반적인 사용법은 옷이나 코, 입과 같은 신체 부위에 걸거나, 관절이나 신체의 다른 약점에 밀어 넣는 것이다. 또한 무기를 거꾸로 잡고 엄지손가락을 걸어 사이와 유사하게 펀치와 막기와 같은 다른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지테는 다른 짧은 막대기나 방망이와 거의 같은 방식으로 사용하여 큰 근육 그룹을 가격하고 관절 조작을 돕는 데 사용할 수도 있다.[8]

당리류, 일각류 십수술, 마가와 개심류, 삽천류, 역신류, 금 branch 신류, 죽내류 등이 십수의 주요 유파이다.

4. 1. 주요 유파

당리류, 일각류 십수술, 마가와 개심류, 삽천류, 역신류, 금 branch 신류, 죽내류 등이 십수의 주요 유파이다.

5. 현대적 의의

짓테는 에도 시대 일본 사회의 법 집행 체계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짓테술은 일본 전통 무술의 한 갈래로서, 현대에도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미야모토 무사시의 아버지 신멘 무니사이(미야모토 무니사이)는 당리류(當理流)의 십수술 달인으로, 장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로부터 칭찬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마로호시 엔메이 지츠테류나 잇카쿠류 십수술 등에는 갈고리와 십자 모양의 큰 칼날받침을 가지고 창 모양의 칼날을 가진 사용 상황에 따라 옵션을 변형시켜 사용하는 특이한 지츠테: 기계 십수 (잇카쿠류에서는 "마로호시")가 전해지고 있다.


한국의 무술 및 포졸 문화 연구에 있어서도 짓테는 비교 연구 대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대중문화에서 짓테가 등장하면서, 짓테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Jutte (Ju-Te): The "Power-of-Ten-Hands" Weapon http://www.vancouver[...]
[2] 서적 The Samurai Swordsman: Master of War
[3] 서적 Taiho-Jutsu: Law and Order in the Age of the Samurai Tuttle Publishing 2004
[4] 서적 Classical weaponry of Japan: special weapons and tactics of the martial arts
[5] 문서
[6] 서적 Handbook to life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Japan
[7] 서적 Classical weaponry of Japan: special weapons and tactics of the martial arts https://books.google[...] Kodansha International 2003
[8] 서적 Classical weaponry of Japan: special weapons and tactics of the martial arts https://books.google[...] Kodansha International 2003
[9] 문서
[10] 서적 Pauley's Guide: A Dictionary of Japanese Martial Arts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2009
[11] 서적 Samurai: The Code of the Warrior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ing Company, Inc. 2008
[12] 서적 Classical weaponry of Japan: special weapons and tactics of the martial arts https://books.google[...] Kodansha International 2003
[13] 서적 戦術、時代背景がよくわかる カラー版 戦国武器甲冑辞典 株式会社誠文堂新光社 2015-04-16
[14] 간행물 十手 : その起源と変遷に関する考察 國學院大學大学院 2018-02
[15] 서적 日本刑罰風俗図史 国書刊行会 2010-04
[16] 문서 時代小説で聞き込みの際に「おいらが聞きたいんじゃねぇんだぜ、この十手が聞きたいって言ってんだ」と懐からチラつかせるシーンがあるのはこれにちなむ
[17] 문서 例として、心見流には、「鎖附き十手」と呼ばれる隠し武器があり、接近戦闘外や奇襲も想定されていた。
[18] 서적 The Samurai Swordsman: Master of War
[19] 서적 Taiho-Jutsu: Law and Order in the Age of the Samurai Tuttle Publishing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