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싱가포르의 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싱가포르의 고속도로는 싱가포르의 주요 교통망을 형성하며, 1962년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 건설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왔다. 현재 11개의 고속도로가 운영 중이며, 각 고속도로는 고유한 노선 코드를 가지고 있다. 싱가포르 고속도로는 말레이시아와 연결되어 있으며, 아시안 하이웨이 노선도 일부 공유한다. 또한 싱가포르는 고속도로 외에도 5개의 준고속도로를 운영하고 있다.

2. 역사

싱가포르의 고속도로 건설은 1962년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건설 시작과 함께 본격화되었으며, 1966년 첫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후 지속적인 확장과 새로운 노선 건설을 통해 현재의 고속도로망을 갖추게 되었다. 상세한 개발 과정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초기 개발

싱가포르의 고속도로 개발은 1960년대 초반, 아직 완전한 자치권을 확보하던 시기에 시작되었다. 첫 고속도로인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는 1962년 4월 15일에 건설이 시작되어, 1966년 5월 8일 1단계 구간(휘틀리 로드 ~ 파야 레바 웨이)이 완공되며 싱가포르 고속도로 시대의 막을 열었다. PIE는 이후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1981년까지 주요 구간 건설이 완료되었다.

1970년 12월에는 싱가포르 최초의 플라이오버인 토아 파요 플라이오버(길이 1.2km)가 개통되어 교통 흐름 개선에 기여했다.

동부 해안 지역 개발과 함께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건설도 추진되었다. 1971년 간척 사업과 병행하여 시작된 ECP는 1974년 1단계(포트 로드 ~ 마린 퍼레이드) 완공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개통되었으며, 1981년 4월 벤자민 시어스 다리를 포함한 총 길이 20km의 전 구간이 완성되었다. 초기에는 베독 고속도로로 불리기도 했으나, 1980년 3단계 완공과 함께 ECP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75년에는 북부 지역 연결을 위한 세바왕 고속도로 계획이 시작되었고, 이는 1981년 중앙 고속도로(CTE) 건설로 이어졌다. CTE는 1983년과 1985년에 걸쳐 1단계 구간(앙 모 키오 애비뉴 1 ~ 톰슨 로드)이 개통되었다.

이 외에도 1983년에는 아이어 라자 고속도로(AYE)와 부킷 티마 고속도로(BKE)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BKE는 1986년 1월 총 길이 10km로 개통되었다.

아래는 싱가포르 고속도로 초기 개발과 관련된 주요 사건 연대기이다.

주요 사건 연대기 (초기 개발)
날짜사건비고
1962년 4월 15일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건설 시작.싱가포르의 완전 내부 자치 기간 동안 건설
1966년 5월 8일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1단계 완공. PIE 2단계 건설 시작. |휘틀리 로드: 마운트 플레젠트 플라이오버 - 톰슨 플라이오버 - 잘란 토아 파요 - 잘란 콜람 에이어 - 파야 레바 웨이
1970년 12월 14일싱가포르 최초의 플라이오버인 토아 파요 플라이오버 개통.길이: 1.2km
1971년 1월 23일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건설 시작.이스트 코스트 간척 사업과 함께 시작
1974년 12월 12일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1단계 완공.포트 로드 – 마린 퍼레이드
이전 명칭: 베독 고속도로
1975년 7월 15일세바왕 고속도로 계획 시작.앙 모 키오 애비뉴 3 ~ 앙 모 키오 애비뉴 1
1976년 2월 22일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2단계 완공.마린 퍼레이드 – 베독 사우스 로드
이전 명칭: 베독 고속도로
1976년 9월 30일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개통.아담 로드 - 잘란 아낙 부킷
1977년 1월 1일세바왕 고속도로 계획 확장.이오 추 캉 로드까지 확장
1980년 1월 19일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개통.휘틀리 로드 - 아담 로드
1980년 1월 22일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3단계 완공.베독 사우스 로드 – 창이 공항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로 명칭 변경
1980년 3월 15일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3단계 완공.잘란 유노스 - 창이 공항
1980년 4월 25일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개통.홍 카 드라이브 - 잘란 분 레이
1980년 10월 25일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개통.잘란 유노스 - 베독 노스 로드
1981년 1월 10일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개통.베독 노스 로드 -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
1981년 1월 29일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개통.홍 카 드라이브 - 잘란 아낙 부킷
1981년 4월 18일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4단계 완공 및 벤자민 시어스 다리 개통.ECP 길이: 20km
ECP 4단계: 포트 로드 - 케펠 로드
1981년 7월 11일중앙 고속도로(CTE) 건설 시작.이전 세바왕 고속도로 계획
1981년 12월 20일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4단계 완공.잘란 아낙 부킷 - 주롱 로드
1983년 3월 5일아이어 라자 고속도로(AYE) 건설 시작.
1983년 3월 31일중앙 고속도로(CTE) 1단계 개통.앙 모 키오 애비뉴 1 - PIE
1983년 9월 23일부킷 티마 고속도로(BKE) 건설 시작.
1985년 5월 18일중앙 고속도로(CTE) 1단계 개통.PIE - 톰슨 로드
1986년 1월 22일부킷 티마 고속도로(BKE) 개통.길이: 10km


2. 2. 확장 및 현대화

PIE 2단계 건설 시작.휘틀리 로드: 마운트 플레젠트 플라이오버 - 톰슨 플라이오버 - 잘란 토아 파요 - 잘란 콜람 에이어 - 파야 레바 웨이1970년 12월 14일싱가포르 최초의 플라이오버인 토아 파요 플라이오버가 운전자에게 개방.길이: 1.2km1971년 1월 23일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건설이 이스트 코스트의 간척 사업과 함께 시작.1974년 12월 12일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1단계 완공.포트 로드 – 마린 퍼레이드
이전 명칭: 베독 고속도로1975년 7월 15일세바왕 고속도로 계획이 앙 모 키오 애비뉴 3에서 앙 모 키오 애비뉴 1까지 시작.1976년 2월 22일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2단계 완공.마린 퍼레이드 – 베독 사우스 로드
이전 명칭: 베독 고속도로1976년 9월 30일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완공 및 개통.아담 로드 - 잘란 아낙 부킷1977년 1월 1일세바왕 고속도로 계획이 이오 추 캉 로드까지 확장.1980년 1월 19일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완공 및 개통.휘틀리 로드 - 아담 로드1980년 1월 22일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3단계 완공.베독 사우스 로드 – 창이 공항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로 명칭 변경1980년 3월 15일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3단계 완공.잘란 유노스 - 창이 공항1980년 4월 25일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완공 및 개통.홍 카 드라이브 - 잘란 분 레이1980년 10월 25일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완공 및 개통.잘란 유노스 - 베독 노스 로드1981년 1월 10일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완공 및 개통.베독 노스 로드 -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1981년 1월 29일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완공 및 개통.홍 카 드라이브 - 잘란 아낙 부킷1981년 4월 18일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의 벤자민 시어스 다리 개통 및 포트 로드에서 케펠 로드까지 ECP 4단계 완공.ECP 길이: 20km
ECP 4단계: 포트 로드 - 케펠 로드1981년 7월 11일세바왕 고속도로 (중앙 고속도로(CTE)로 명칭 변경) 건설 시작.1981년 12월 20일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4단계 완공.잘란 아낙 부킷 - 주롱 로드1983년 3월 5일아이어 라자 고속도로(AYE) 건설 시작.1983년 3월 31일중앙 고속도로(CTE) 1단계 개통.앙 모 키오 애비뉴 1 - PIE1983년 9월 23일부킷 티마 고속도로(BKE) 건설 시작.1985년 5월 18일중앙 고속도로(CTE) 1단계 개통.PIE - 톰슨 로드1986년 1월 22일부킷 티마 고속도로(BKE) 개통.길이: 10km1986년 7월 1일중앙 고속도로(CTE) 2단계 건설, 캄퐁 자바 터널 및 친 스위 터널 포함.센트럴 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카베나 로드가 폐쇄됨.1987년 7월 16일부킷 티마 고속도로, 중앙 고속도로,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 및 아이어 라자 고속도로를 따라 설치된 공중전화는 어제 오후 6시까지 긴급 전화 전용으로 전환되었습니다. 경찰, 소방 및 구급차, 고장 서비스에 대한 지원 요청만 74개의 긴급 전화에서 가능합니다.1987년 9월 30일탐피네스 고속도로(TPE) 1단계 개통.PIE - 엘리아스 로드1987년 12월 24일탐피네스 고속도로(TPE) 2단계 건설.엘리아스 로드 - 로롱 할루스1988년 9월 24일중앙 고속도로(CTE) 2단계 건설, 아이어 라자 고속도로에서 아우트람 로드까지.1988년 11월 5일아이어 라자 고속도로(AYE) 개통.케펠 고가교 - 주롱 타운 홀 로드1989년 4월 15일셀레타 고속도로(SLE) 1단계 개통.렌토르 애비뉴 - 어퍼 톰슨 로드1989년 6월 2일탐피네스 고속도로(TPE) 1단계 개통.엘리아스 로드 - 올드 탐피네스 로드1989년 6월 17일중앙 고속도로(CTE) 1단계 개통.이오 추 캉 로드 – 앙 모 키오 애비뉴 1
개통: 헹 치앙 멩 씨1990년 3월 24일셀레타 고속도로(SLE) 1단계 개통.이오 추 캉 로드 – 렌토르 애비뉴1991년 5월 11일중앙 고속도로(CTE) 2단계 완공, 캄퐁 자바 터널 및 친 스위 터널 포함.길이: 15.8km1991년 9월 21일중앙 고속도로(CTE) 2단계 개통, 캄퐁 자바 터널 및 친 스위 터널 포함.길이: 15.8km1991년 10월 31일크란지 고속도로(KJE) 건설 시작.1993년 12월 5일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개통.주롱 로드 - 어퍼 주롱 로드1994년 2월 20일크란지 고속도로(KJE) 개통.길이: 8km1994년 11월 29일아이어 라자 고속도로(AYE) 2단계 건설 시작.주롱 타운 홀 로드 - 코퍼레이션 로드1995년 11월 5일셀레타 고속도로(SLE) 2단계 개통.부킷 티마 고속도로 – 우드랜드 애비뉴 21996년 9월 3일탐피네스 고속도로(TPE) 2단계 개통.올드 탐피네스 로드 - SLE1998년 1월 2일아이어 라자 고속도로(AYE) 2단계 개통.주롱 타운 홀 로드 - 투아스 세컨드 링크1998년 2월 22일셀레타 고속도로(SLE) 2단계 개통.길이: 10.8km
우드랜드 애비뉴 2 - 어퍼 톰슨 로드
개통: 존 첸 세오 푼 씨, 통신부 장관1998년 8월 22일PIE와 TPE를 연결하는 탐피네스 고속도로 고가교 개통.1998년 9월전자식 요금 징수(ERP) 시스템이 모든 고속도로에 구현됨.2001칼랑-파야 레바 고속도로(KPE) 건설 시작.2004SOS 전화가 모든 고속도로에서 제거되었지만 터널에서는 제외됨.2007년 6월 23일현재 칼랑-파야 레바 고속도로(KPE)의 일부인 탐피네스 서비스 로드 개통.2007년 10월 26일칼랑-파야 레바 고속도로(KPE) 개통,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긴 지하 도로 터널.ECP - PIE2008년 3월마리나 해안 고속도로(MCE) 건설 시작.2008년 9월 20일칼랑-파야 레바 고속도로(KPE) 공식 개통.리센룽 총리
PIE - TPE2013년 12월 29일싱가포르 최초의 해저 고속도로인 마리나 해안 고속도로(MCE) 개통.길이: 5km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는 시어스 애비뉴로 단축됨.



가장 최근에 완공된 고속도로는 5km의 마리나 해안 고속도로(MCE)로,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와 칼랑-파야 레바 고속도로를 마리나 사우스 및 아이어 라자 고속도로와 연결하며 싱가포르 최초의 해저 터널을 포함한다. 2008년에 공사가 시작되어 2013년 12월 29일에 고속도로가 개통되었다.[2][3] 마리나 해안 고속도로 건설 이전에, 12km 길이의 칼랑-파야 레바 고속도로(KPE)가 2001년에 착공되었으며, 이 중 9km는 지하 10m에 위치해 있다. 또한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와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를 연결하는 3km 구간은 2007년 말에 개통되었다. 칼랑-파야 레바 고속도로는 2008년 9월 20일에 완공되었다.

11번째 고속도로인 북-남 회랑(원래 북-남 고속도로로 구상) 건설이 2008년 1월 30일에 발표되었다. 새로운 21.5km 고속도로는 2029년까지 완공될 경우 약 74.7억싱가포르 달러가 소요될 예정이며,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와 싱가포르 북부를 연결할 것이다.[4] 2016년, 육상교통청은 북-남 회랑이 원래 구상했던 일반적인 고속도로가 아닌, 연속적인 버스 전용차선과 자전거 간선 도로를 갖춘 싱가포르 최초의 통합 교통 회랑이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3. 특징

다른 접근 통제 고속도로와 마찬가지로 싱가포르 고속도로에는 신호등이 없다. 다른 도로와의 인터체인지에서는 램프를 통해 연결되어, 교통 흐름이 멈추거나 속도를 늦출 필요 없이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싱가포르는 토지가 부족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클로버형 인터체인지와 같이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교차로는 건설되지 않았다. 대신 스택 인터체인지와 같은 형태의 교차로를 사용하고, 지상 도로에 신호등을 설치하여 교통 효율성과 토지 이용을 극대화한다. 고속도로와 일반 도로 또는 고속도로 간의 가장 일반적인 교차 형태는 단일 지점 도시형 인터체인지, 다이아몬드 인터체인지, 트럼펫 인터체인지이다. 칼랑-파야 레바 고속도로 및 미래의 노스 사우스 코리도와 같은 새로운 고속도로는 고가도로와 터널을 통해 공간을 더욱 절약하고, 램프 진입로와 램프 진출로를 사용하여 도로 시스템의 혼란을 최소화한다.

도로 표면은 일반 도로와 달리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있다. 차선은 흰색 점선으로 구분되며, 중앙 분리대와 갓길 가장자리에는 끊어진 흰색 선이 표시되어 있다. 갓길은 차량 고장이나 비상 상황 시 정차를 위한 공간이며, 갓길 주행은 법적으로 금지된다. 차선 번호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매겨지며, 중앙 분리대에 가장 가까운 차선이 1차선이다. 안전을 위해 충돌 방지 울타리, 고양이 눈, 요철 등이 설치되어 있다.

고속도로 진입 지점과 출구 지점에는 각각 고속도로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표지판이 있다. 싱가포르 고속도로는 각 고속도로 이름의 머리글자를 딴 세 글자 노선 코드를 부여받는데, 이는 싱가포르 고속도로 시스템만의 특징이다. 대부분의 노선 코드는 마지막 글자가 'E'로 끝나는데 (예: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는 PIE), 유일한 예외는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이다. 모든 고속도로에는 고속도로 모니터링 및 자문 시스템(EMAS)이 운영된다. 이 시스템은 카메라를 통해 고속도로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LED 전광판을 통해 교통 정체와 같은 돌발 상황에 대한 경고 표지나 예상 이동 시간 등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가장 긴 고속도로인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의 총 길이가 41km에 불과하여 휴게소는 따로 설치되어 있지 않다.

4. 말레이시아와의 연결

싱가포르는 섬나라이지만 이웃 나라인 말레이시아와 다리로 연결되어 있어, 싱가포르의 고속도로 역시 말레이시아의 고속도로망과 이어진다. 연결 지점은 총 두 곳이다.

하나는 북부의 부킷 티마 고속도로('''BKE''': Bukit Timah Expressway)에서 조호르-싱가포르 코즈웨이(다리)를 통해 말레이시아의 스쿠다이 고속도로(Skudai Highway)로 진입하는 경로이다. 다른 하나는 서부의 아야 라자 고속도로('''AYE''': Ayer Rajah Expressway)에서 말레이시아-싱가포르 제2연결(다리)을 통해 말레이시아의 제2연결 고속도로(Second Link Expressway)로 들어가는 경로이다.

두 경로 모두 싱가포르에서 말레이시아로 갈 때는 싱가포르 측에서 출국 심사를 먼저 받고 다리를 건넌 후, 말레이시아 측에서 입국 심사를 받는다. 반대로 말레이시아에서 싱가포르로 입국할 때는 모든 절차가 역순으로 진행된다.

5. 아시안 하이웨이

싱가포르의 일부 고속도로 노선은 아시안 하이웨이 2호선(AH2), 아시안 하이웨이 143호선(AH143)과 일부 구간을 공유한다. 또한 다리를 건너 조호르바루에서는 아시안 하이웨이 18호선(AH18)과 연결된다.

6. 고속도로 목록

싱가포르의 고속도로 건설은 1962년 판 아일랜드 익스프레스웨이(PIE) 건설 시작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여러 고속도로가 순차적으로 건설 및 개통되었으며, 주요 사건은 아래 연대기와 같다.

주요 사건 연대기
날짜사건비고
1962년 4월 15일판 아일랜드 익스프레스웨이(PIE) 건설 시작.싱가포르의 완전 내부 자치 기간 동안 건설
1966년 5월 8일판 아일랜드 익스프레스웨이(PIE) 1단계 완공. PIE 2단계 건설 시작.휘틀리 로드: 마운트 플레젠트 플라이오버 - 톰슨 플라이오버 - 잘란 토아 파요 - 잘란 콜람 에이어 - 파야 레바 웨이
1970년 12월 14일싱가포르 최초의 플라이오버인 토아 파요 플라이오버 개통.길이: 1.2km
1971년 1월 23일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건설 시작.이스트 코스트 간척 사업과 함께 진행
1974년 12월 12일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1단계 완공.포트 로드 – 마린 퍼레이드
당시 명칭: 베독 고속도로
1975년 7월 15일세바왕 고속도로 계획 시작.앙 모 키오 애비뉴 3 - 앙 모 키오 애비뉴 1 구간
1976년 2월 22일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2단계 완공.마린 퍼레이드 – 베독 사우스 로드
당시 명칭: 베독 고속도로
1976년 9월 30일판 아일랜드 익스프레스웨이(PIE) 일부 구간 완공 및 개통.아담 로드 - 잘란 아낙 부킷
1977년 1월 1일세바왕 고속도로 계획 확장.이오 추 캉 로드까지 확장
1980년 1월 19일판 아일랜드 익스프레스웨이(PIE) 일부 구간 완공 및 개통.휘틀리 로드 - 아담 로드
1980년 1월 22일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3단계 완공 및 명칭 변경.베독 사우스 로드 – 창이 공항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로 명칭 변경
1980년 3월 15일판 아일랜드 익스프레스웨이(PIE) 3단계 완공.잘란 유노스 - 창이 공항
1980년 4월 25일판 아일랜드 익스프레스웨이(PIE) 일부 구간 완공 및 개통.홍 카 드라이브 - 잘란 분 레이
1980년 10월 25일판 아일랜드 익스프레스웨이(PIE) 일부 구간 완공 및 개통.잘란 유노스 - 베독 노스 로드
1981년 1월 10일판 아일랜드 익스프레스웨이(PIE) 일부 구간 완공 및 개통.베독 노스 로드 -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
1981년 1월 29일판 아일랜드 익스프레스웨이(PIE) 일부 구간 완공 및 개통.홍 카 드라이브 - 잘란 아낙 부킷
1981년 4월 18일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4단계 완공 및 벤자민 시어스 다리 개통.ECP 길이: 20km
ECP 4단계: 포트 로드 - 케펠 로드
1981년 7월 11일세바왕 고속도로 건설 시작 및 명칭 변경.센트럴 익스프레스웨이(CTE)로 명칭 변경
1981년 12월 20일판 아일랜드 익스프레스웨이(PIE) 4단계 완공.잘란 아낙 부킷 - 주롱 로드
1983년 3월 5일아이어 라자 익스프레스웨이(AYE) 건설 시작.
1983년 3월 31일센트럴 익스프레스웨이(CTE) 1단계 일부 개통.앙 모 키오 애비뉴 1 - PIE
1983년 9월 23일부킷 티마 익스프레스웨이(BKE) 건설 시작.
1985년 5월 18일센트럴 익스프레스웨이(CTE) 1단계 일부 개통.PIE - 톰슨 로드
1986년 1월 22일부킷 티마 익스프레스웨이(BKE) 개통.길이: 10km
1986년 7월 1일센트럴 익스프레스웨이(CTE) 2단계 건설 시작.캄퐁 자바 터널 및 친 스위 터널 포함. 카베나 로드 폐쇄.
1987년 7월 16일주요 고속도로 공중전화, 긴급 전화 전용으로 전환.경찰, 소방, 구급차, 고장 서비스 요청만 가능.
1987년 9월 30일탐피네스 익스프레스웨이(TPE) 1단계 일부 개통.PIE - 엘리아스 로드
1987년 12월 24일탐피네스 익스프레스웨이(TPE) 2단계 건설 시작.엘리아스 로드 - 로롱 할루스
1988년 9월 24일센트럴 익스프레스웨이(CTE) 2단계 건설 시작.아이어 라자 익스프레스웨이(AYE) - 아우트람 로드 구간
1988년 11월 5일아이어 라자 익스프레스웨이(AYE) 개통.케펠 고가교 - 주롱 타운 홀 로드
1989년 4월 15일셀레타 익스프레스웨이(SLE) 1단계 일부 개통.렌토르 애비뉴 - 어퍼 톰슨 로드
1989년 6월 2일탐피네스 익스프레스웨이(TPE) 1단계 일부 개통.엘리아스 로드 - 올드 탐피네스 로드
1989년 6월 17일센트럴 익스프레스웨이(CTE) 1단계 일부 개통.이오 추 캉 로드 – 앙 모 키오 애비뉴 1
1990년 3월 24일셀레타 익스프레스웨이(SLE) 1단계 일부 개통.이오 추 캉 로드 – 렌토르 애비뉴
1991년 5월 11일센트럴 익스프레스웨이(CTE) 2단계 완공.캄퐁 자바 터널 및 친 스위 터널 포함. 총 길이: 15.8km
1991년 9월 21일센트럴 익스프레스웨이(CTE) 2단계 개통.캄퐁 자바 터널 및 친 스위 터널 포함.
1991년 10월 31일크란지 익스프레스웨이(KJE) 건설 시작.
1993년 12월 5일판 아일랜드 익스프레스웨이(PIE) 일부 구간 개통.주롱 로드 - 어퍼 주롱 로드
1994년 2월 20일크란지 익스프레스웨이(KJE) 개통.길이: 8km
1994년 11월 29일아이어 라자 익스프레스웨이(AYE) 2단계 건설 시작.주롱 타운 홀 로드 - 코퍼레이션 로드
1995년 11월 5일셀레타 익스프레스웨이(SLE) 2단계 일부 개통.부킷 티마 익스프레스웨이(BKE) – 우드랜드 애비뉴 2
1996년 9월 3일탐피네스 익스프레스웨이(TPE) 2단계 개통.올드 탐피네스 로드 - SLE
1998년 1월 2일아이어 라자 익스프레스웨이(AYE) 2단계 개통.주롱 타운 홀 로드 - 투아스 세컨드 링크
1998년 2월 22일셀레타 익스프레스웨이(SLE) 2단계 개통.총 길이: 10.8km
우드랜드 애비뉴 2 - 어퍼 톰슨 로드
1998년 8월 22일탐피네스 익스프레스웨이 고가교 개통.PIE와 TPE 연결
1998년 9월전자식 요금 징수(ERP) 시스템 전면 도입.모든 고속도로에 적용
2001칼랑-파야레바 익스프레스웨이(KPE) 건설 시작.
2004긴급 전화(SOS 전화) 제거.터널 구간 제외
2007년 6월 23일탐피네스 서비스 로드 개통.현재 칼랑-파야레바 익스프레스웨이(KPE)의 일부
2007년 10월 26일칼랑-파야레바 익스프레스웨이(KPE) 일부 개통.ECP - PIE 구간. 동남아시아 최장 지하 도로 터널 포함.
2008년 3월마리나 코스탈 익스프레스웨이(MCE) 건설 시작.
2008년 9월 20일칼랑-파야레바 익스프레스웨이(KPE) 전 구간 개통.PIE - TPE 구간 포함.
2008년 1월 30일북-남 회랑(NSC) 건설 발표.[4]당시 북-남 고속도로로 구상됨.
2013년 12월 29일마리나 코스탈 익스프레스웨이(MCE) 개통.[2][3]길이: 5km. 싱가포르 최초의 해저 고속도로.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는 시어스 애비뉴로 단축됨.


6. 1. 운영 중

현재 싱가포르에서는 10개의 고속도로가 운영 중이다.[4]

고속도로 길이 순위
순위고속도로 이름약어개통길이출구 종점비고
1위판 아일랜드 익스프레스웨이PIE1966년42.8km창이 공항, ECP
투아스, AYE
싱가포르에서 가장 길고 오래된 고속도로. AH2로 지정되어 있으며, 스티븐스 로드 출구에서 BKE 출구까지 이어진다.
2위아이어 라자 익스프레스웨이AYE1988년26.5kmMCE
투아스 체크포인트, 투아스 제2연륙교
MCE와 직접 연결된다. AH143의 일부.
3위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1974년16km창이 공항, PIE
셰어스 애비뉴
4위센트럴 익스프레스웨이CTE1989년15.8kmSLE, TPE
AYE
이 고속도로는 캄퐁 자바 터널과 친 스위 터널의 두 개의 터널을 가지고 있다. SLE와 직접 연결된다.
5위탐피네스 익스프레스웨이TPE1989년14kmSLE, CTE
PIE
어퍼 창이 로드 이스트
6위칼랑-파야레바 익스프레스웨이KPE2008년12kmMCE, ECP
TPE
싱가포르에서 가장 긴 도로 터널을 가지고 있다. MCE와 직접 연결된다. AH143의 일부.
7위셀레타 익스프레스웨이SLE1990년10.8kmBKE, 터프 클럽 애비뉴
CTE
CTE와 직접 연결된다.
8위부킷 티마 익스프레스웨이BKE1986년10kmPIE
우드랜즈 체크포인트, 조호-싱가포르 코즈웨이
AH2의 일부.
9위크란지 익스프레스웨이KJE1994년8kmBKE
PIE
10위마리나 코스탈 익스프레스웨이MCE2013년5kmAYE
포트 로드, ECP, KPE
싱가포르 최초의 해저 고속도로. KPE 및 AYE와 직접 연결된다. AH143의 일부.



1998년 9월부터 모든 고속도로에 전자식 요금 징수(ERP)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2004년에는 터널 구간을 제외한 모든 고속도로에서 긴급 전화(SOS 전화)가 제거되었다.

6. 2. 건설 중

싱가포르의 11번째 고속도로인 북-남 회랑(NSC) 건설 계획은 2008년 1월 30일에 발표되었다. 본래 북-남 고속도로로 구상되었던 이 도로는 동부 해안 공원과 싱가포르 북부를 연결하며, 총 길이는 21.5km에 달한다. 2029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예상 건설 비용은 약 74.7억싱가포르 달러이다.[4]

2016년, 육상교통청(LTA)은 북-남 회랑을 단순한 고속도로가 아닌, 연속적인 버스 전용차선과 자전거 간선 도로를 포함하는 싱가포르 최초의 통합 교통 회랑으로 건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7. 준고속도로

싱가포르에는 부킷 티마 로드, 주롱 아일랜드 고속도로, 니콜 고속도로, 아우터 링 로드 시스템 (ORRS), 웨스트 코스트 고속도로 등 5개의 준고속도로가 있다.

준고속도로는 고속도로의 축소된 형태이며, 고속도로와 달리 통일된 제한 속도가 없다. ORRS의 동쪽 구간, 부킷 티마 로드의 일부, 주롱 아일랜드 고속도로의 남쪽 구간, 니콜 고속도로, 웨스트 코스트 고속도로의 서쪽 구간 등 일부 구간에는 신호등으로 제어되는 교차로가 여전히 있다.

하지만 고속도로와 마찬가지로 준고속도로도 운전자가 고가교, 입체교차로, 터널 등을 이용해 도시 내 다른 지역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Expressways in Singapore: Did you know? http://www.aas.com.s[...] Automobile Association of Singapore 2001-07
[2] 뉴스 Marina expressway to be ready by year-end http://www.straitsti[...] 2013-05-31
[3] 뉴스 Singapore's first undersea road—Marina Coastal Expressway—set to open on Dec 29 http://www.straitsti[...] 2013-11-13
[4] 뉴스 Road tunnel portion of North-South Corridor delayed by two years to 2029 https://www.straitst[...] 2023-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