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 하이웨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하이웨이는 아시아 지역의 국제 육상 교통망 개발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로, 1959년 유엔 산하 아시아 극동 위원회에서 제안되었다. 2003년 '아시안 하이웨이 도로망에 관한 정부간 협정'이 채택되어 32개 회원국 간 약 14만km에 달하는 55개 노선이 지정되었으며, 2005년 발효되었다. 아시안 하이웨이는 간선 9개와 지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일본, 중국 등 여러 국가를 통과한다. 이 프로젝트는 아시아 국가 간 무역과 사회적 상호 작용 증진에 기여할 수 있으나, 정치적 분쟁과 노선 완공을 위한 추가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한반도 관련 지정학적 위험이 과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도로 교통 - 아랍 마슈리크 인터내셔널 로드 네트워크
아랍 마슈리크 인터내셔널 로드 네트워크는 13개국에서 비준된 국제 도로 네트워크이며, 남북 및 동서 방향으로 뻗어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도로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 대한민국의 조약 - 한일기본조약
한일기본조약은 1965년 한국과 일본이 국교를 정상화하기 위해 체결한 조약으로, 청구권 문제, 독도 문제 등을 포함하며 한국이 대일 청구권을 포기하는 대신 일본으로부터 경제협력을 받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과거사 청산 미흡과 경제적 양보 논란을 야기하며 현재까지도 양국 간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조약 - 한미상호방위조약
한미상호방위조약은 한국 전쟁 휴전 직후 대한민국과 미국이 체결한 군사 동맹 조약으로, 주한미군 주둔을 통해 한국의 안보, 정치, 경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주한미군과 작전통제권 관련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아시안 하이웨이 -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AH6)은 부산에서 크라스닌스키군까지 이어지는 아시아 고속도로망의 일부로, 남북 관계 단절로 한국과 북한 구간은 연결되지 않았으며, 러시아, 중국, 카자흐스탄을 거쳐 1만km가 넘는 경로를 포함하지만, 여러 문제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다. - 아시안 하이웨이 -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은 아시아를 동서로 연결하는 총 연장 20,577km의 국제 간선도로망으로, 여러 국가를 거치며 경제 발전과 국제 교류에 기여하지만, 정치적 불안정과 인프라 부족 등의 문제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시안 하이웨이 | |
---|---|
개요 | |
이름 | 아시안 하이웨이 네트워크 |
영문명 | Asian Highway Network |
약칭 | AH |
노선 수 | 141개 |
총 연장 | 141,271 km (87,782 mi) |
관리 | 국제 연합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 (UNESCAP) |
노선 | |
주요 노선 | AH1 AH2 AH3 AH4 AH5 AH6 AH7 AH8 |
연결 국가 | |
연결 국가 수 | 32개국 |
연결 국가 목록 |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중국 조지아 인도 인도네시아 이란 일본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대한민국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몽골 네팔 파키스탄 필리핀 러시아 싱가포르 스리랑카 타지키스탄 태국 튀르키예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부탄 브루나이 |
기타 |
2. 연혁
1959년 유엔 산하 아시아 극동 경제 위원회(ECAFE)에서 아시안 하이웨이 프로젝트를 제창하였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 상당한 진전이 있었으나, 1975년 재정 지원 중단으로 발전이 둔화되었다.[1] 1992년 ESCAP가 아시아 육상 교통 기반 시설 개발(ALTID) 프로젝트를 승인한 이후 여러 프로젝트가 단계별로 수행되었다.[2]
2003년 11월 18일 방콕에서 '아시안 하이웨이 도로망에 관한 정부간 협정'이 채택되었다.[1][2] 2004년 4월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제60차 ESCAP 총회에서 23개국이 이 협정에 서명하였고,[1][2] 2005년 7월 4일 협정이 발효되었다.[1] 2007년 기준으로 28개국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2500억달러가 투입되었다.[5]
아시안 하이웨이 프로젝트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내용 |
---|---|
1959년 | 유엔 아시아 극동 경제 위원회(ECAFE)에서 아시안 하이웨이 프로젝트 제창 |
1968년 | 유엔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ESCAP)에 "AH 사무국" 설립 |
1969년 | 제1회 아시아 하이웨이 모터 랠리 개최 (비엔티안 - 싱가포르 간 3400km) |
1970년 | 제2회 아시아 하이웨이 모터 랠리 개최 (테헤란 - 다카 간, 9개국 62대 차량 6800km 주행) |
1975년 | 재정 지원 중단으로 프로젝트 발전 둔화 |
1988년 | 중국 참가 |
1992년 | 일본 자금 원조(일본 ESCAP 협력 기금, JECF)로 도로망 정비 조사 실시 (1993년까지) |
2003년 11월 | AH 정부 간 협정에 관한 정부 간 회의에서 일본 노선 참가 표명 |
2003년 11월 18일 | 방콕에서 "아시아 하이웨이 도로망에 관한 정부 간 협정" 채택 |
2004년 4월 26일 | 유엔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ESCAP)에서 23개국 협정 서명, 일본 확정 서명 |
2005년 7월 4일 | 캄보디아, 중국, 일본, 미얀마, 한국, 스리랑카, 우즈베키스탄, 러시아에서 협정 발효 |
2005년 9월 5일 | 아르메니아에서 협정 발효 |
2005년 11월 16일 | 부탄에서 협정 발효 |
2006년 1월 17일 | 파키스탄에서 협정 발효 |
2006년 3월 9일 | 조지아에서 협정 발효 |
2006년 4월 8일 | 아프가니스탄에서 협정 발효 |
2006년 5월 17일 | 인도에서 협정 발효 |
2006년 6월 11일 | 태국에서 협정 발효 |
2006년 7월 8일 | 타지키스탄에서 협정 발효 |
2006년 11월 3일 | AH-7, AH-48, AH-63, AH-65 경로 일부 개정 |
2006년 11월 28일 | 키르기스스탄에서 협정 발효 |
2008년 1월 30일 | 카자흐스탄에서 협정 발효 |
2008년 3월 17일 | 필리핀에서 협정 발효 |
2008년 7월 9일 | 라오스에서 협정 발효 |
2002년 제58차 유엔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ESCAP) 총회에서 아시안 하이웨이의 공식화와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해 정부간 협정을 추진하기로 결정하였다.[1] 제50차 ESCAP 총회(2004년 4월, 중국 상하이)에서 서명 후 2005년 7월 4일 발효되었다.[2] 이 협정은 도로의 분류 및 설계 기준을 정하여 회원국이 자국 내 노선의 건설 및 개보수 시 지켜야 할 최소한의 기준과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아시안 하이웨이는 9개의 간선(AH1 ~ AH9)과 그 밖의 지선으로 구성되며, 총 60여 개의 노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간선은 둘 이상의 소지역을 통과하는 아시아 간선도로를 의미하며, 지선은 인접 소지역으로 연결되는 노선 등 소지역 내 아시아 간선도로 노선과 회원국 내에 위치하는 아시아 간선도로 노선을 의미한다.[6]
3. 아시안 하이웨이 정부간 협정
이 협정에 따라 협정의 집행 사항을 논의하기 위한 실무 그룹이 구성되었고, 매 2년마다 실무 그룹 회의가 개최되고 있다. (2005년 12월 1차 회의, 2007년 11월 2차 회의, 2009년 9월)
정부간 협정은 2003년 11월 18일 정부간 회의에서 채택되었으며, 부속서 I에는 32개 회원국 간에 걸쳐 약 140000km에 달하는 55개의 AH 노선을, 부속서 II에는 "분류 및 설계 표준"을 포함하고 있다. 2004년 4월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ESCAP 위원회 제60차 회의에서 23개국이 IGA 조약에 서명했고, 2013년까지 29개국이 이 협정을 비준했다.[2]
협정 발효와 관련된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연도 국가 사건 2005년 7월 4일 캄보디아, 중국, 일본, 미얀마, 한국, 스리랑카,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러시아 협정 발효 2005년 9월 5일 아르메니아 협정 발효 2005년 11월 16일 부탄 협정 발효 2006년 1월 17일 파키스탄 협정 발효 2006년 3월 9일 조지아 협정 발효 2006년 4월 8일 아프가니스탄 협정 발효 2006년 5월 17일 인도 협정 발효 2006년 6월 11일 태국 협정 발효 2006년 7월 8일 타지키스탄 협정 발효 2006년 11월 28일 키르기스스탄 협정 발효 2008년 1월 30일 카자흐스탄 협정 발효 2008년 3월 17일 필리핀 협정 발효 2008년 7월 9일 라오스 협정 발효
4. 노선망
아시안 하이웨이 노선 번호는 "AH"(Asian Highway영어)와 한 자리, 두 자리 또는 세 자리 숫자로 구성된다. 한 자릿수 번호(1~9)는 여러 소지역을 통과하는 주요 간선에 부여되며, 두 자리 및 세 자리 번호는 소지역 내 노선, 인접 소지역 연결 노선, 회원국 내 노선에 부여된다.[6] 노선 번호는 라틴 문자와 인도-아라비아 숫자로 표기되며, 기존 표지판에 추가될 수 있다.[6]
표지판 디자인은 표준화되지 않았지만, 흰색 문자가 있는 파란색 직사각형 방패(독일 아우토반 표지판과 유사), 흰색 바탕에 녹색, 검은색 바탕에 흰색 문자 등 다양한 형태가 사용된다.[4][6][7]
주요 간선 노선은 다음과 같다. (각 노선의 상세 경로는 하위 섹션 '간선' 참조)
지선은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남아시아, 북아시아, 중앙아시아 및 서아시아에 걸쳐 80여 개가 존재한다. (각 지역별 지선 목록은 하위 섹션 '지선' 참조)
4. 1. 간선
노선 번호 | 경로 |
---|---|
일본 도쿄 - 후쿠오카 - (페리) - 대한민국 부산 - 울산 - 경주 - 대구 - 대전 - 용인 - 서울 - 파주 - 개성 - 평양 - 신의주 - 중화인민공화국 단둥 - 선양 - 베이징 - 스자좡 - 정저우 - 신양 - 우한 - 창사 - 샹탄 - 광저우 (- 선전) - 난닝 - 유이관 - 베트남 동당 - 하노이 - 빈 - 동하 - 후에 - 다낭 - 호이안 - 냐짱 - 비엔호아 (- 붕따우) - 호찌민 - 목바이 - 바베트 - 캄보디아 프놈펜 - 포이페트 - 아란야프라쎄트 - 카빈 부리 - 힌 콩 - 방파인 (- 방콕) - 나콘사완 - 탁 - 매솟 - 미얀마 미야와디 - 파야기 (- 양곤) - 메익틸라 - 만달레이 - 타무 - 인도 모레 - 임팔 - 코히마 - 디마푸르 - 나가온 - 조라바트 (- 구와하티) - 실롱 - 다우키 - 방글라데시 타마빌 - 실렛 - 카치푸르 - 다카 - 제소르 - 베나폴 - 봉가온 - 콜카타 - 바리 - 칸푸르 - 아그라 - 뉴델리 - 아타리 - 파키스탄 와가 - 라호레 - 라왈핀디 (- 이슬라마바드) - 하싸나브달 - 페샤와르 - 토르캄 - 아프가니스탄 카불 - 칸다하르 - 딜라람 - 헤라트 - 이슬람 콸라 - 이란 도그하룬 - 매쉬하드 - 샤브째바르 - 딤한 - 셈난 - 테헤란 - 콰즈빈 - 타브리쯔 - 에이보글리 - 바짜르간 - 터키 구르불락 - 도구바야찌트 - 아스칼레 - 레파히예 - 시바스 - 앙카라 - 게레데 - 이스탄불 - 카피쿨레 - 불가리아 국경 | |
인도네시아 덴파사르 - 수라바야 - 수라카르타 - 세마랑 - 치캄펙 (- 반둥) - 자카르타 (- 메락) - (페리) - 싱가포르 - 세나이 우타라 - 세렘반 - 쿠알라룸푸르 - 부테르워쓰 - 부키트 카유 히탐 - 태국 사다오 - 핫야이 - 방콕 - 방파인 - 나콘사완 - 택 - 치앙라이 - 매사이 - 미얀마 태칠렉 - 키앙통 - 메익틸라 - 만달레이 - 타무 - 인도 모레 - 임팔 - 코히마 - 디마푸르 - 나가온 - 조라바트 (- 구바하리) - 실롱 - 다우키 - 방글라데시 탐마빌 - 실렛 - 카취푸르 - 다카 - 하티캄룰 - 방글라반다 - 실리구리 - 카카르비타 - 파쓸라이야 - 나라얀가트 - 코할프르 - 마헨드라나가 - 브라마데프 만디 - 반바사 - 람푸르 - 뉴델리 - 아타리 - 파키스탄 와가 - 라호레 - 물탄 - 로흐리 - 쿠에타 - 타프탄 - 이란 미르자베 - 자헤단 - 케르만 - 아나르 - 야즈드 - 살라프체간 (- 테헤란) - 사베 - 하마단 - 코스라비 | |
러시아 울란우데 - 캬흐타 - 몽골 알탄불라그 - 다르칸 - 울란바토르 - 날라이흐 - 초이어 - 사인샨드 - 자민우드 - 중화인민공화국 얼롄하오터 - 베이징 - 탕구 상하이 - 항저우 - 난창 - 샹탄 - 구이양 - 쿤밍 - 진홍 (- 달루오 - 미얀마 몽글라 - 키앙 통) - 모한 - 라오스 보텐 - 나토이 - 후아이째이 - 태국 치앙콩 - 치앙라이 | |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 - 바르나울 - 타샨타 - 몽골 울란바이쉰트 - 호브드 - 야란타이 중화인민공화국 우루무치 - 카스 - 혼키라프 - 파키스탄 쿤제라브 - 하사나브달 - 라왈핀디 ( - 이슬라마바드) - 라호레 - 물탄 - 로흐리 - 히데라바드 - 카라치 | |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 난징 - 신양 - 시안 - 란저우 - 투루판 - 우루무치 - 쿠이툰 - 징게 - 호르고스 - 카자흐스탄 알마티 - 카스켈렌 - 코르다이 - 게오르기에브카 - 키르기스스탄 비쉬켁 - 카라발타 - 찰도바르 - 메르케 - 심켄트 - 지벡졸리 - 우즈베키스탄 체르냐브카 - 타쉬켄트 - 시르다리아 - 사마르칸트 - 나보이 - 부하라 - 알라트 - 파라프 - 투르크메나바트 - 마리 - 테젠 - 아시가바트 - 세르다르 - 투르크멘바쉬 - (페리) - 아제르바이잔 바쿠 - 알라트 - 가찌 맘메드 - 간자 - 카자흐 - 조지아 레드브리지 - 트빌리시 - 므츠헤타 - 하슈리 - 세나키 - 포티 (- (페리) - 불가리아,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 바투미 (- (페리) - 불가리아,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 사르피 - 터키 사르프 - 트라브존 - 삼순 - 메르지폰 - 게레데 - 이스탄불 - 카피쿨레 - 불가리아 국경 | |
대한민국 부산 - 경주 - 강릉 - 간성 - 고성 - 북한 원산 ( - 평양) - 청진 - 선봉 - 러시아 하산 - 라즈돌노에 (- 블라디보스토크 - 나홋카) - 우수리스크 - 포그라니치니 - 중화인민공화국 수이펀허 - 하얼빈 - 치치하얼 - 만저우리 - 자바이칼스크 - 치타 - 울란우데 - 이르쿠츠크 - 크라스노야르스크 - 노보시비르스크 - 옴스크 - 이실쿨 - 카라쿠가 - 페트로파블로브스크 - 치스토 - 페투호보 - 첼랴빈스크 - 우파 - 사마라 - 모스크바 - 크라스노에 - 벨라루스 국경 | |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 - 첼랴빈스크 - 트로이스크 - 카에락 - 카자흐스탄 코스타나이 - 아스타나 - 카라간다 - 부루바이탈 - 메르케 - 찰도바르 - 키르기스스탄 카라발타 - 오시 - 우즈베키스탄 안디존 - 타쉬켄트 - 시르다리아 - 하바스트 - 타지키스탄 쿠잔트 - 두샨베 - 니즈니판즈 - 쉬르칸 - 아프가니스탄 폴레훔리 - 디불사르크즈 - 카불 - 칸다하르 - 스펜볼닥 - 파키스탄 챠만 - 쿠에타 - 칼라트 - 카라치 | |
핀란드 국경 - 러시아 토르피노브카 - 비보르그 - 상트페테르부르크 - 모스크바 - 탐보프 - 보리사글레브스크 - 볼가그라드 - 아스트라한 - 하샤뷰르트 - 마하취칼라 - 카즈말랴르스키 - 아제르바이잔 사무르 - 숨가이트 - 바쿠 - 알라트 - 빌라수바르 - 아스타라 - 이란 라쉬트 - 콰즈빈 - 테헤란 - 사베 - 아흐바즈 - 반다르 에맘 |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 모스크바 - 카자흐스탄 - 중화인민공화국 우루무치 - 롄윈강 |
4. 2. 지선
아시안 하이웨이의 지선은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남아시아, 북아시아, 중앙아시아 및 서아시아 지역에 걸쳐 다양하게 존재한다.동남아시아
노선 번호 | 경로 |
---|---|
AH11 | 비엔티안 - 반 라오 - 타크헤크 - 세노 - 파크세 - 베운캄 - 트란페앙크레아 - 스텅 트렝 - 크라티 - 프놈펜 - 시하눅빌 |
AH12 | 나투이 - 우돔사이 - 팩몽 - 루앙 프라방 - 비엔티안 - 타날랭 - 농 카이 - 우돈 타니 - 콘카엔 - 나콘 라차시마 - 힌 콩 |
AH13 | 우돔사이 - 무앙 느겐 - 후아이 콘 - 우타라디트 - 피차눌로크 - 나크혼 사완 |
AH14 | 하이 퐁 - 하노이 - 비에트 트리 - 라오 카이 - 헤코우 - 쿤밍 - 루일리 - 무세 - 라시오 - 만달라이 |
AH15 | 빈흐 - 카우 트레오 - 케오네아우 - 반 라오 - 타크헥 - 나크혼 파놈 - 우돈 타니 |
AH16 | 동하 - 라오 바오 - 덴사반흐 - 세노 - 사반나크헤트 - 묵다한 - 콘 카엔 - 피챠눌록 - 택 |
AH18 | 하트 야이 - 순가이 콜록 - 란타우 판장 - 코타 바흐루 - 쿠안탄 - 조호르 바흐루 - 조호르 바흐루 코즈웨이 |
AH19 | 나크혼 라챠시마 - 카빈 부리 - 라엠 차방 - 촌부리 - 방콕 |
AH25 | 반다 아체 - 메단 - 테빙팅기 - 두마이 - 페칸바루 - 잠비 - 팔렘방 - 탄중 카랑 - 바카우헤니 - ferry - 메락 |
AH26 | 라오악 - 마닐라 - 레가즈피 - 매트녹 - ferry - 알렌 - 타클로반 (- 오르목 - ferry - 세부) - 릴로안 - ferry - 수리가오 - 다바오 (- 카가얀 데 오로) - 제너럴 산토스 - 잠보안가 |
동아시아
노선 번호 | 경로 |
---|---|
AH30 | 우수리스크 - 하바로프스크 - 벨라고르스크 - 치타 |
AH31 | 벨로고르스크 - 블라가베쉔스크 - 헤이허 - 하얼빈 - 창춘 - 션양 - 다롄 |
AH32 | 선봉 - 원종 - 취안헤 - 훈춘 - 창춘 - 아르샨 - 눔러그 - 숨베르 - 초이발산 - 온도르하안 - 날라이흐 - 울란바타르 - 울랴스타이 - 호브드 |
AH33 | 하얼빈 - 통쟝 |
AH34 | 롄윈강 - 정저우 - 시안 |
남아시아
노선 번호 | 경로 |
---|---|
AH41 | 미얀마 국경 - 텍나프 - 콕스바자르 - 치타공 - 카테흐푸르 - 다카 - 하티캄룰 - 제소르 - 몽글라 |
AH42 | 란저우 - 시닝 - 골무드 - 라싸 - 장무 - 코다리 - 카트만두 - 나라얀하트 - 파트라이야 - 비르군즈 - 락사울 - 피프라코티 - 무자파르푸르 - 바라우니 - 바르히 |
AH43 | 아그라 - 그왈리오르 - 나그푸르 - 하이데라바드 - 방갈로르 - 크리쉬나기리 - 마두라이 - 다누쉬코디 - ferry - 탈라이만나르 - 아누라다푸라 - 담불라 - 쿠루네갈라 (- 칸디) - 콜롬보 - 갈레 - 마타라 |
AH44 | 담불라 - 트린코말리 |
AH45 | 콜카타 - 카라그푸르 - 발라소레 - 부바네스와르 - 비사카파트남 - 비자야와다 - 첸나이 - 크리쉬나기리 - 방갈로르 |
AH46 | 카라그푸르 - 나그푸르 - 둘레 |
AH47 | 그왈리오르 - 둘레 - 타네 (- 뭄바이) - 방갈로르 |
AH48 | 푸엔촐링 - 인도 국경 |
AH51 | 페샤와르 - 데라 이스마일 칸 - 퀘타 |
북아시아, 중앙아시아 및 서아시아
노선 번호 | 경로 |
---|---|
AH60 | 옴스크 - 체를락 - 프니르티쉬스코에 - 파블로다르 - 세미팔라틴스크 - 게오르기예프카 - 타스케스켄 - 우차랄 - 알마티 - 카스켈렌 - 부루바이탈 |
AH61 | 카슈가르 - 투르키트 - 토로우가트 - 나린 - 비슈케크 - 게오르기예프카 - 코르다이 - 멜케 - 쉼켄트 - 키질오르다 - 아랄스크 - 카라부타크 - 악퇴빈스크 - 우랄스크 - 카멘카 - 오진키 - 사라토프 - 보리소글레브스크 - 보로네시 - 쿠르스크 - 크루페츠 - 우크라이나 국경 |
AH62 | 페트로파블롭스크 - 아르칼리크 - 제스카즈간 - 키질오르다 - 쉼켄트 - 지베크 졸리 - 체르니야브카 - 타슈켄트 - 시르다리야 - 사마르칸트 - 구자르 - 테르메즈 - 하이라탄 - 마자르이샤리프 |
AH63 | 사마라 - 쿠를린 - 포고다예보 - 우랄스크 - 아티라우 - 베이네우 - 오아지스 - 누쿠스 - 부하라 - 구자르 |
AH64 | 바르나울 - 베셀로야르스키 - 크라스니 아울 - 세미팔라틴스크 - 파블로다르 - 시데르티 - 아스타나 - 콕셰타우 - 페트로파블롭스크 |
AH65 | 카슈가르 - 아르카흐탐 - 이르케쉬탐 - 사리 타쉬 (- 오쉬) - 카라믹 - 바흐다트 - 두샨베 - 투르순사데 - 우준 - 테르메즈 |
AH66 | 중국 국경 - 쿨마 패스 - 코루프 - 쿨라브 - 바흐다트 두샨베 |
AH67 | 쿨툰 - 바케투 - 바흐티 - 타스켄스켄 - 세미팔라틴스크 - 파블로다르 - 쉬데르티 - 카라간다 - 제스카즈간 |
AH68 | 징허 - 알타우샨커우 - 도스틱 - 우차랄 |
AH70 | 우크라이나 국경 - 도네츠크 - 볼고그라드 - 아스트라한 - 코탸옙카 - 아티라우 - 베이네우 - 제틸바이 (- 악타우) - 베크다쉬 - 투르크멘바시 - 세르다르 - 구두롤룸 - 인체 보룬 - 고르간 - 사리 - 셈난 - 담간 - 이야즈드 - 아나르 - 반다르아바스 |
AH71 | 딜라람 - 자랑 - 밀락 - 자볼 - 다슈타크 |
AH72 | 테헤란 - 쿰 - 에스파한 - 쉬라즈 - 부셰르 |
AH75 | 테젠 - 사라흐스 - 사라흐스 - 마슈하드 - 비르잔드 - 네흐반단 - 다슈타크 - 자볼 - 차바하르 |
AH76 | 폴레쿰리 - 마자르이샤리프 - 헤라트 |
AH77 | 드즈불라레즈 - 바미얀 - 헤라트 - 토우르곤디 - 세르헤타바트 - 메리 |
AH78 | 아시가바트 - 초브단 패스 - 바즈구람 - 큐참 - 샤브제바르 - 케르만 |
AH81 | 라르시 - 므츠헤타 - 트빌리시 - 사다흘로 - 바그라타쉔 - 바나드조르 - 아쉬타라크 - 예레반 - 에라스흐 - 사다라크 - 나흐치반 - 줄파 (- 졸파) - 오르두바드 - 아가락 - 메그리 - 아그반드 - 고라디즈 - 가지 마메드 - 알라트 - 바쿠 - ferry - 악타우 |
AH82 | 러시아연방 국경 - 레셀리드제 - 수후미 - 세나키 - 하슈리 - 아할치헤 (- 발레) - 즈다노브 - 바브라 - 굼리 (- 아쿠리크) - 아쉬타락 - 예레반 - 에라스흐 - 고리스 - 카판 - 메그리 - 아가락 - 노우르도우쯔 - 졸파 - 이베오글루 |
AH83 | 카자흐 - 우준갈라 - 파라박카르 - 예레반 |
AH84 | 도우바야지트 - 디야르바키르 - 가지안테프 - 토프라크칼레 (- 이스켄데룬) - 아다나 - 이첼 |
AH85 | 레파흘리예 - 아르누샤 - 메르지폰 |
AH86 | 아슈칼레 - 베이버르트 - 트라브존 |
AH87 | 앙카라 - 아피온 - 우샤크 - 이즈미르 |
각 노선 번호와 경로는 위 표와 같다.
5. 대한민국의 아시안 하이웨이
대한민국에서는 일본에서 동남아시아, 서아시아를 거쳐 불가리아까지 이어지는 AH-1과 부산에서 중국을 거쳐 러시아로 이어지는 AH-6이 연결될 예정이다. 현재 AH-1 노선은 번영로(부산 제1도시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를 통해, AH-6 노선은 부산광역시도 제61호선, 국도 제7호선을 통해 연결될 예정이다. 또한 한반도의 AH 노선 경로 변경이 요구되면서 신안-목포-서해안고속도로-서울-개성-평양 구간을 AH-6으로 편입하고 AH-6의 원산-부산 구간을 AH-32로 편입하는 안도 구상할 계획에 있으나 일본과 비슷한 사정이 있어 없던 일이 되어버렸다.
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아시안 하이웨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우 일본에서 시작하는 과 대한민국 부산에서 출발하는 이 중간에 각각 관통한다. 라선시 선봉구역에서는 몽골의 허브드까지 연장되는 이 간접적으로 관통하며, 과 등은 중국을 거치게 되는 반면, 은 평양-원산 간 지선이 따로 존재하며 국경을 넘어 러시아로 통과하고 있다.[5]
노선은 도쿄에서 불가리아 (EU)와의 국경, 이스탄불과 에디르네 서쪽까지 연장될 예정이며,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및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의 다른 국가들을 통과한다. 이 회랑은 동아시아 국가, 인도 및 러시아 간의 무역 관계를 개선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선을 완공하기 위해 기존 도로를 개선하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새로운 도로가 건설될 예정이다. 기준으로 250억달러가 지출되었거나 약정되었으며, 의 고속도로를 개선하고 개량하는 데 추가로 180억달러가 필요하다.[5]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봉에서 몽골 허브드까지 이어진다.
노선 번호 | 거리 | 시작 | 종착 |
---|---|---|---|
AH32 | 3748km | 선봉,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호브드, 몽골 |
7. 기타 국가의 아시안 하이웨이
일본에는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이 유일하게 연결된다. 부산항여객터미널에서 뉴 카멜리아호를 통해 하카타항까지 연결되며, 하카타항에서 후쿠오카 고속 1호 가시 선, 후쿠오카 고속 4호 가스야 선, 규슈 자동차도, 간몬 교, 주고쿠 자동차도, 산요 자동차도, 히로시마 이와키 도로, 메이신 고속도로, 도메이 고속도로, 수도고속도로 3호선 시부야 선, 수도고속도로 도심 환상선을 거쳐 니혼바시까지 연결된다. 일본 정부는 AH5, 6, 30 노선 연결을 구상했으나, 여론의 반대로 연장 사업이 보류되었다.[1]
싱가포르에는 아시안 하이웨이 2호선과 아시안 하이웨이 143호선이 관통한다.
필리핀에서는 팬 필리핀 하이웨이 전체가 '''아시안 하이웨이 26호선'''으로 지정되어 총 연장 3,517km 구간을 공용한다.
인도네시아에는 아시안 하이웨이 2호선과 아시안 하이웨이 25호선으로 공용되는 트랜스 수마트란 하이웨이와 아시안 하이웨이 150호선의 일부인 팬보르네오 하이웨이가 있다.
말레이시아에는 아시안 하이웨이 2호선 외에도 18호선과 140호선대의 4개 지선 노선, 팬보르네오 하이웨이가 관통한다.
중국에는 AH1, 3, 4, 5, 6, 9, 14, 31, 32, 33, 34, 35, 42, 61, 64, 65, 66, 67, 68호선 등이 관통한다. 롄훠 고속공로 전체 구간이 아시안 하이웨이 34호선으로 지정되었고, 하퉁 고속공로의 일부는 아시안 하이웨이 33호선으로 지정되었다. 중국은 1988년에 아시안 하이웨이 프로젝트에 참가했으며,[40] 1993년에는 중국 국내에 처음으로 노선이 설정되었다.[40]
러시아에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서 시작되는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외에도 아시안 하이웨이 30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60호선 등 여러 노선이 있다.
8. 문제점 및 향후 과제
아시안 하이웨이 프로젝트는 파키스탄과 미얀마 등 일부 국가 간의 정치적 분쟁으로 인해 진행이 지연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4]
AH1 노선은 도쿄에서 불가리아 (EU) 국경까지 이어지며,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등 여러 국가를 통과한다. 이 노선은 동아시아 국가, 인도, 러시아 간의 무역 관계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선 완공을 위해 기존 도로를 개선하고,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신규 도로 건설이 필요하다.[5] 2007년 기준으로 250달러가 투입되었거나 투입될 예정이며, 26000km의 고속도로 개선 및 보수에 추가로 180달러가 필요한 상황이다.[5]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doh.go.t[...]
[2]
웹사이트
UNTC
http://treaties.un.o[...]
2013-05-15
[3]
뉴스
Aston adventure
Milton Keynes Citizen
2008-11-03
[4]
웹사이트
The Great Asian Highway
http://www.projectsm[...]
Project Monitor website
2009-05-05
[5]
웹사이트
Priority Investment Needs for the Development for the Asian Highway Network
http://www.unescap.o[...]
2007-07-14
[6]
웹사이트
Newswire
http://www.geog.nau.[...]
Tourism Commission of the International Geographical Union website
2009-05-05
[7]
웹사이트
Roadblocks on the Great Asian Highway
https://web.archive.[...]
Asia Times website
2009-05-05
[8]
웹사이트
INTERGOVERNMENTAL AGREEMENT ON THE ASIAN HIGHWAY NETWORK
https://treaties.un.[...]
[9]
웹사이트
Asian Highway Agreement with Amended Annex-I 2020
https://www.unescap.[...]
UN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2021-02-11
[10]
웹사이트
Asian Highway Network
https://www.unescap.[...]
[11]
서적
ASEAN logistics network map.
JETRO
2009
[12]
서적
Master plan on ASEAN connectivity.
http://www.asean.org[...]
ASEAN Secretariat, Public Outreach and Civil Society Division
2018-01-12
[13]
웹사이트
Asian Highway 26 (AH26)
https://www.unescap.[...]
Department of Public Works and Highways
2021-09-04
[14]
웹사이트
Islamic Republic of Iran country presentation at the Eighth Meeting of the Working Group on the Asian Highway
https://www.unescap.[...]
UN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2021-02-11
[15]
웹사이트
Status of the Asian Highway in Member Countries {{!}} United Nations ESCAP
http://www.unescap.o[...]
2018-01-12
[16]
서적
Master plan on ASEAN connectivity, 2025.
http://asean.org/sto[...]
2018-01-12
[17]
웹사이트
Asian Highway Route Map
http://www.unescap.o[...]
[18]
웹사이트
アジアハイウェイとは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総合政策局
2022-10-11
[19]
서적
JAFスポーツ
JAF出版社
1970-08-01
[20]
웹사이트
Second Asian Highway Motor Rally
https://www.unmultim[...]
1970-11-01
[21]
웹사이트
アジアハイウェイ・プロジェクトの概要
https://www.mlit.go.[...]
[22]
간행물
2005年(平成17年)6月21日[[外務省]][[告示]]第464号「アジアハイウェイ道路網に関する政府間協定の効力発生に関する件」
[23]
간행물
2006年(平成18年)3月1日外務省告示第110号「アジアハイウェイ道路網に関する政府間協定のロシア連邦による確定的署名に関する件」
[24]
간행물
2005年(平成17年)8月15日外務省告示第778号「アジアハイウェイ道路網に関する政府間協定のアルメニア共和国による批准に関する件」
[25]
간행물
2005年(平成17年)9月28日外務省告示第975号「アジアハイウェイ道路網に関する政府間協定のブータン王国による批准に関する件」
[26]
간행물
2005年(平成17年)12月7日外務省告示第1136号「アジアハイウェイ道路網に関する政府間協定のパキスタン・イスラム共和国による批准に関する件」
[27]
간행물
2006年(平成18年)3月1日外務省告示第109号「アジアハイウェイ道路網に関する政府間協定のグルジアによる承認に関する件」
[28]
간행물
2006年(平成18年)3月1日外務省告示第111号「アジアハイウェイ道路網に関する政府間協定のアフガニスタン・イスラム共和国による批准に関する件」
[29]
간행물
2006年(平成18年)4月24日外務省告示第251号「アジアハイウェイ道路網に関する政府間協定のインドによる批准に関する件」
[30]
간행물
2006年(平成18年)4月24日外務省告示第252号「アジアハイウェイ道路網に関する政府間協定のタイ王国による批准に関する件」
[31]
간행물
2006年(平成18年)6月13日外務省告示第319号「アジアハイウェイ道路網に関する政府間協定のタジキスタン共和国による批准に関する件」
[32]
간행물
2006年(平成18年)9月27日外務省告示第557号「アジアハイウェイ道路網に関する政府間協定の附属書の改正に関する件」
[33]
간행물
2006年(平成18年)10月17日外務省告示第582号「アジアハイウェイ道路網に関する政府間協定のキルギス共和国による批准に関する件」
[34]
간행물
2008年(平成20年)1月18日外務省告示第41号「アジアハイウェイ道路網に関する政府間協定のカザフスタン共和国による承認に関する件」
[35]
간행물
2008年(平成20年)2月7日外務省告示第86号「アジアハイウェイ道路網に関する政府間協定のフィリピン共和国による批准に関する件」
[36]
간행물
"アジアハイウェイ道路網に関する政府間協定のラオス人民民主共和国による批准に関する件"
外務省
2008-05-27
[37]
문서
アジアハイウェイ道路網に関する政府間協定 付属書Ⅰ
[38]
뉴스
アジアハイウェイ道路網に関する政府間協定に基づく標識の設置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0-06-22
[39]
웹사이트
アジアハイウェイの標識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40]
웹사이트
中国 (China)アジアハイウェイ路線とその現状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1-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