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자리 델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쌍둥이자리 델타는 쌍둥이자리에 있는 별로,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명명되었다. 전통적으로는 '와사트'로 불렸으며, 국제천문연맹(IAU)은 이 이름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중국어로는 '천준이'로 불리며, 천상의 술잔 별자리에 속한다. 쌍둥이자리 델타는 삼중성계로, 주성은 분광형 F0IV의 준거성이다. 지구에서 약 60.5광년 떨어져 있으며, 겉보기 등급은 +3.53으로 육안으로 관측 가능하다. 황도에 가까워 태양, 달, 행성에 의해 가려지는 엄폐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형 준거성 - HD 140283
HD 140283은 "메투셀라 항성"으로도 불리는 오래된 저금속성 항성으로, 추정 나이가 우주의 나이와 비슷하여 논란이 있으며, 왜소은하에서 기원했을 가능성과 낮은 금속 함량을 특징으로 하지만, 나이 측정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최근 연구들은 우주의 나이와의 모순을 줄이는 방향으로 나이를 재평가하고 있다. - F형 준거성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 쌍둥이자리 - 폴룩스 (항성)
폴룩스는 쌍둥이자리에 있는 밝은 오렌지색 거성으로, 태양 질량의 두 배, 반지름의 아홉 배에 달하며 외계 행성 폴룩스 b를 거느리고 있다. - 쌍둥이자리 - 정수 (별자리)
정수는 이십팔수 중 하나로, 쌍둥이자리, 작은개자리, 오리온자리 등 여러 현대 별자리에 걸쳐 있는 20개의 별자리로 구성되어 농경 시기 예측이나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는 데 활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천문학적 위치를 나타내는 도구로 사용된다. - 삼중성계 - 민타카
민타카는 오리온자리의 삼태성 중 하나로, 다중성계이며, 분광쌍성임이 밝혀졌고, 성간매질 존재 증거를 제공한 중요한 천체이다. - 삼중성계 - 폴라리스
폴라리스는 작은곰자리의 알파별이자 지구 자전축과 거의 일직선상에 있어 밤하늘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북극성이며, 황백색 초거성인 폴라리스 A와 두 개의 동반 천체를 거느린 항성계의 가장 밝은 별로, 항해의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
쌍둥이자리 델타 | |
---|---|
위치 정보 | |
![]() | |
명칭 | |
한국어 명칭 | 쌍둥이자리 델타별 |
별칭 | 와사트 쌍둥이자리 55번 별 |
관측 정보 | |
겉보기 등급 | +3.53 |
별자리 | 쌍둥이자리 |
특징 | |
분광형 | F0 IV |
B-V 색 지수 | +0.34 |
U-B 색 지수 | +0.04 |
변광성 여부 | 미확인 |
운동 정보 | |
시선 속도 | +4.1 km/s |
고유 운동 (적경) | –15.13 밀리초/년 |
고유 운동 (적위) | –9.79 밀리초/년 |
연주시차 | 53.94 밀리초각 |
절대 등급 | 1.95 |
물리적 특성 | |
질량 | 1.57 M☉ |
표면 온도 | 6,900 K |
중원소 함량 | –0.26 |
자전 속도 | 129.7 km/s |
나이 | 16억 년 |
식별 정보 | |
기타 명칭 | BD +22° 1645 FK5 279 Gl 271 HD 56986 HIP 35550 HR 2777 SAO 79294 |
구성원 A (주성) | |
명칭 | 쌍둥이자리 델타별 A |
다른 명칭 | 와사트 쌍둥이자리 55번 별 A BD +22 1645A GJ 271A |
분광형 | F2VkF0mF0 |
구성원 B (반성) | |
명칭 | 쌍둥이자리 델타별 B |
다른 명칭 | BD +22 1645B GJ 271B |
분광형 | K6V |
표면 온도 | 4,700 K |
2. 명명법
'''쌍둥이자리 델타'''(Delta Geminorumla)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명칭이다. 이 별은 아랍어로 "중간"을 뜻하는 "'''와사트'''"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별의 고유 명칭을 표준화하기 위해 "별 이름에 관한 워킹그룹(WGSN)"을 조직했고, 2016년 8월 21일 와사트를 쌍둥이자리 델타의 공식 명칭으로 승인했다.
동아시아에서는 天樽중국어( )이라는 정수 별자리에 속해 있었는데, 이는 쌍둥이자리 델타, 57 쌍둥이자리, 오메가 쌍둥이자리로 구성된 별자리였다.[7][8][9][10]
2. 1. 바이어 명명법
'''δ Geminorum'''(Delta Geminorumla)은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 ''δ 쌍둥이자리''는 이 이름을 라틴어로 표기한 것이다.2. 2. 전통적인 이름 "와사트"
'''와사트'''는 "중간"을 뜻하는 아랍어 단어에서 유래했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별의 고유 이름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별 이름 워킹 그룹(WGSN)을 조직했다. WGSN은 2016년 8월 21일에 이 별에 대한 이름 ''Wasat''을 승인했으며, 현재 IAU 별 이름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2. 3. 동아시아 별자리
중국어에서 天樽|Tiān Zūn중국어은 '천상의 술잔'이라는 뜻으로, 델타 쌍둥이자리, 57 쌍둥이자리, 오메가 쌍둥이자리로 구성된 성군을 의미한다.[1] 델타 쌍둥이자리는 天樽二|Tiān Zūn èr중국어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천상의 술잔의 두 번째 별"을 뜻한다.[2]3. 항성계의 특징
쌍둥이자리 델타는 삼중성계로, 주성 A와 두 개의 동반성 B, C로 구성되어 있다. 주성 A는 분광형 F0IV의 준거성이며, 두 개의 동반성은 더 어둡고 온도가 낮다. B별은 A별로부터 약 100AU 떨어져 있으며, 약 1,200년 주기로 공전한다. A별은 분광 쌍성으로 추정되지만, 자세한 정보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 항성계는 현재 태양계에 접근하고 있으며, 약 110만 년 후에는 태양계에 6.7ly까지 가까워질 것으로 예상된다.[18][19][20][21][22][23][24][25][26]
쌍둥이자리 델타는 황도에서 남쪽으로 0.2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레굴루스와 함께 황도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3. 1. 주성 (A)

쌍둥이자리 델타는 분광형 F0IV인 준거성이다.[11][12][13] 지구로부터 약 60.5ly 떨어져 있다. 이 별의 질량은 태양의 1.57배이며, 129.7km/s의 항성 자전 속도로 빠르게 회전하고 있다. 항성 추정 연령은 16억 년이다.
겉보기 등급은 +3.53이며 육안으로 볼 수 있다. 황도에서 남쪽으로 불과 0.18도 떨어져 있기 때문에 때때로 태양, 달, 그리고 드물게 행성에 의해 가려진다. 보통 7월 10~12일경에 태양에 의해 가려진다.[4] 그렇기에 쌍둥이자리 델타는 1월 중순에 하늘을 가로질러 밤새도록 관측이 가능하다. 행성에 의해 마지막으로 가려진 것은 1857년 6월 30일 토성에 의한 것이며, 근미래의 가까운 엄폐는 2420년 8월 12일 금성에 의해 일어날 것이다. 1930년, 왜행성 명왕성은 이 별에서 동쪽으로 약 0.5° 떨어진 곳에서 미국의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에 의해 발견되었다.[15][16][17]
3. 2. 동반성 (B, C)
쌍둥이자리 델타는 삼중성계이다. 내부 구성 요소는 6.1년(2238.7일)의 궤도 주기로 공전하며 궤도 이심률은 0.3530이다. K형 동반성은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소형 망원경으로 볼 수 있다. 이 K형 동반성은 1,200년의 주기와 0.11의 이심률로 내부 쌍성을 공전한다.[18][19][20]3. 3. 엄폐 현상
쌍둥이자리 델타는 황도에서 남쪽으로 불과 0.18° 떨어져 있어 태양, 달, 행성에 의해 가려지는 엄폐 현상이 일어난다. 보통 7월 10-12일경에 태양에 의해 가려진다.[14] 따라서 1월 중순에는 밤새도록 하늘을 가로질러 관측할 수 있다. 1857년 6월 30일 토성에 의해 마지막으로 가려졌으며, 2420년 8월 12일 금성에 의해 가려질 예정이다. 1930년, 미국의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는 이 별에서 동쪽으로 약 0.5° 떨어진 곳에서 왜행성 명왕성을 발견했다.[15][16][17]4. 역사적 사건
1930년, 미국의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는 이 별 근처에서 왜행성 명왕성을 발견했다.[15][16][17] 황도와 가까워, 레굴루스와 이 별을 잇는 선은 황도가 어디를 지나가는지 확인하기에 좋다.
5. 한국 천문학에서의 관측
쌍둥이자리 델타는 1월 중순에 밤새도록 관측할 수 있다.[14] 황도에서 남쪽으로 0.2도 밖에 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레굴루스와 이 별을 잇는 선은 황도가 어디를 지나가는지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참조
[1]
서적
中國星座神話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2]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http://www.lcsd.gov.[...]
2010-08-19
[3]
웹사이트
Richard Hinckley Allen: Star Names — Their Lore and Meaning: Gemini
https://penelope.uch[...]
[4]
웹사이트
In the Sky
http://in-the-sky.or[...]
[5]
웹인용
Pollux (Beta Geminorum): Star Type, Name, Planet, Constellation
https://www.star-fac[...]
2019-09-15
[6]
저널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2002
[7]
웹사이트
Richard Hinckley Allen: Star Names — Their Lore and Meaning: Gemini
https://penelope.uch[...]
[8]
간행물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2007-11
[9]
간행물
Rotation- and temperature-dependence of stellar latitudinal differential rotation
2006-01
[10]
간행물
Very Wide Binaries and Other Comoving Stellar Companions: A Bayesian Analysis of the Hipparcos Catalogue
2011-01
[11]
간행물
Determination of Radial Velocities and their Applications, Proceedings from IAU Symposium no. 30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1966-06-20
[12]
간행물
Ca II HK emission in rapidly rotating stars. Evidence for an onset of the solar-type dynamo
http://goedoc.uni-go[...]
2009-01
[13]
간행물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1966
[14]
웹사이트
In the Sky
http://in-the-sky.or[...]
[15]
간행물
The Geneva-Copenhagen survey of the Solar neighbourhood. Ages, metallicities, and kinematic properties of ˜14 000 F and G dwarfs
2004-05
[16]
간행물
Stellar encounters with the solar system
2001-11
[17]
간행물
Observed Orbital Eccentricities
2005-08
[18]
간행물
Delta Geminorum (Wasat)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1-06-03
[19]
간행물
The Caldwell objec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20]
간행물
WASAT (Delta Geminorum)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2-01-30
[21]
간행물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Sky Pub
2006
[22]
간행물
To Delta Geminorum by way of Jupiter and Pluto
http://astrobob.area[...]
Areavoices.com
2013-12-12
[23]
간행물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6-05-22
[24]
간행물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www.pas.roche[...]
2016-07-28
[25]
간행물
WASAT (Delta Geminorum)
http://stars.astro.i[...]
n.d.
[26]
웹인용
The history of the star: Wasat, from p.234 of Star Names, Richard Hinckley Allen, 1889.
http://www.constella[...]
18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