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쑤이위안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쑤이위안 성은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 일부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중화민국 시기인 1928년 쑤이위안 특별구역을 재편성하여 설치되었다. 1914년 쑤이위안 특별구로 신설되어 쑤이위안 도독이 관할했으며, 1928년 국민정부에 의해 쑤이위안 성으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몽골족과의 갈등, 1936년 쑤이위안 사건, 중일 전쟁으로 인한 일본군 점령 등을 겪었으며, 1949년 둥치우 성 주석이 공산당에 귀순하면서 국민 정부의 시정권이 상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민국의 성 - 푸젠성 (중화민국)
    푸젠성(중화민국)은 중화민국이 실효 지배하는 푸젠성 지역으로, 1949년 이후 진먼섬, 마쭈 열도 등을 관할했으며, 1996년 성 정부 기능이 동결되고 2019년 폐지되어 헌법상 명칭만 남았으며, 진먼현과 롄장현으로 구성된다.
  • 중화민국의 성 - 타이완성
    타이완성은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으로, 타이완섬과 주변 도서를 포함하며, 청나라, 일본의 지배를 거쳐 중화민국이 회복하여 설치되었으나, 기능 축소 및 예산 폐지로 사실상 폐지되었고, 현재는 3개의 시와 11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중화민국 정부가 관리하며, 중화인민공화국은 자국의 성으로 간주하여 영유권을 주장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폐지된 행정 구역 - 차하얼성
    차하얼성은 1913년부터 1952년까지 존재했던 중화민국의 성으로, 직례성의 하위 행정 구역에서 성으로 승격되었으나 국공내전 이후 폐지되어 내몽골 자치구, 베이징시, 허베이성으로 분할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폐지된 행정 구역 - 쑹장성
    쑹장성은 1945년부터 1949년까지 중국에 존재했던 성으로, 만주국 붕괴 후 국민정부가 설치했으나 국공내전으로 중국 공산당의 군정이 시행되어 다른 성에 통폐합되었으며, 현재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대부분과 헤이룽장성 무단장시 대부분 지역에 해당했고 성회는 무단장시에 있었다.
  • 내몽골의 역사 - 몽골 제국
    몽골 제국은 1206년 칭기즈 칸에 의해 건국되어 유라시아 대륙을 정복하고 동서 교류를 촉진했으나, 몽케 칸 사후 분열되어 쇠퇴하여 멸망한 역사상 가장 큰 영토를 차지했던 제국이다.
  • 내몽골의 역사 - 판석묘 문화
    판석묘 문화는 기원전 1300년경 자바이칼에서 시작하여 몽골, 중국 북부, 만주 등지에 분포하며, 판석으로 둘러싸인 무덤 형태를 특징으로 하는 청동기 및 초기 철기 시대의 고고학 문화이다.
쑤이위안성
개요
중화민국이 주장하는 쑤이위안 성의 위치
중화민국이 주장하는 쑤이위안 성의 위치
정식 명칭쑤이위안 성
일반 명칭쑤이위안
국가중국
행정 구분
수도귀수이 (후허하오터)
면적329,397 km²
인구2,000,000+ 명 (1949년)
역사
성립1928년 중화민국의 성으로 설치
재편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성으로 재편
해체1954년 내몽골 자치구에 편입
이전수이위안 특별행정구
이후내몽골 자치구

2. 관할 구역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후허하오터 시, 바오터우 시, 바옌나오얼 시, 어얼둬스 시, 우란차부 시에 해당하는 쑤이위안 성은 동쪽으로 차하얼 성, 서쪽으로 닝샤 성, 남쪽으로 산시 성, 북쪽으로 몽골 지방과 접해 있었다.

청나라 시기 내몽골의 일부였던 이 지역에는 쑤이위안 장군이 주둔하며 산시성 구이쑤이도에 속해 있었다. 중화민국 성립 후 1914년, 베이징 정부는 산시성 구이쑤이도의 12개 현 및 내몽골의 우란차부 맹·이커자오 맹에 쑤이위안 특별구를 신설하고 쑤이위안 도독이 각 현 맹의 행정 사무를 통괄하도록 했다. 도독공서는 구이쑤이 현에 설치되었다. 같은 해 6월, 펑전, 량청, 싱허, 타오린 4개 현은 차하얼 특별구로 이관되었다.

1928년 9월 5일, 국민정부는 쑤이위안 특별 구역을 '''쑤이위안 성'''으로 재편성하기로 결정하고 10월 20일에 쑤이위안 성 정부가 정식으로 발족하여 초대 성 정부 주석에는 쉬융창이 취임했다. 1929년 1월 1일, 차하얼 성에서 펑전, 량청, 싱허, 타오린의 4개 현이 이관되어 행정 구획이 거의 확정되었다.

그러나 성 성립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몽골족과 성 정부 간에 성의 행정 주도권을 둘러싼 대립이 이어졌으며, 1936년에는 내몽골의 자치 독립을 목표로 하는 몽골족의 한 파가 일본 관동군의 지원을 받은 한족 소 군벌과 연계하여 쑤이위안 성을 점령하고자 무장 봉기를 일으켰으나 진압되는 소요 사태가 발생했다(쑤이위안 사건).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성역의 대부분은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성 정부는 이커자오 맹 및 허타오 지역의 일부를 지배하는 것에 지나지 않게 되었다. 1945년 일본의 패전과 함께 성 정부에 의한 쑤이위안 성 전역의 지배가 재개되었지만, 곧 중국 공산당과의 내란이 시작되어 1949년 9월 19일에 성 주석 둥치우가 공산당 세력에 귀순함에 따라 쑤이위안 성에서의 국민 정부의 시정권은 완전히 상실되었다. 둥치우는 국민당 출신으로, 푸쭤이 휘하에서 오랫동안 활동하며 중용되었으나 국공내전 막바지에 공산당에 투항했다.

3. 역사

1928년 9월 5일, 국민정부는 쑤이위안 특별 구역을 '''쑤이위안 성'''으로 재편성하기로 결정하고, 10월 20일에 쑤이위안 성 정부가 정식으로 발족하여 초대 성 정부 주석에는 쉬융창이 취임했다. 1929년 1월 1일, 차하얼 성에서 펑전, 량청, 싱허, 타오린의 4개 현이 이관되어 행정 구획이 거의 확정되었다.

하지만 쑤이위안 성 성립 후 몽골족과 성 정부 간에 행정 주도권을 둘러싼 대립이 이어졌으며, 1936년에는 내몽골의 자치 독립을 목표로 하는 몽골족의 한 파가 일본 관동군의 지원을 받은 한족 소 군벌과 연계하여 쑤이위안 성을 점령하고자 무장 봉기를 일으켰으나 진압되는 쑤이위안 사건이 발생했다.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성역의 대부분은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성 정부는 이커자오 맹 및 허타오 지역의 일부만을 지배하게 되었다. 1945년 일본의 패전과 함께 성 정부에 의한 쑤이위안 성 전역의 지배가 재개되었지만, 곧 중국 공산당과의 내란이 시작되어, 1949년 9월 19일에 성 주석 둥치우가 공산당 세력에 귀순함에 따라, 쑤이위안 성에서의 국민 정부의 시정권은 완전히 상실되었다. 둥치우는 국민당 출신으로, 푸쭤이 휘하에서 오랫동안 활동하며 중용되었으나 국공내전 막바지에 공산당에 투항했다. 둥치우의 투항은 국공내전의 판도를 뒤바꾸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3. 1. 쑤이위안 특별구역

청나라는 내몽골의 일부였으며, 쑤이위안 장군이 주둔하여 산시성 구이쑤이도에 속해 있었다.

중화민국 성립 후 1914년, 베이징 정부는 산시성 구이쑤이도의 12개 현 및 내몽골의 우란차부 맹·이커자오 맹에 쑤이위안 특별구를 신설하고, 쑤이위안 도독이 각 현 맹의 행정 사무를 통괄하도록 했다. 도독공서는 구이쑤이 현에 설치되었다.

1914년 6월, 펑전, 량청, 싱허, 타오린 4개 현이 차하얼 특별구로 이관되었다.

3. 2. 쑤이위안 성

1928년 9월 5일, 국민정부는 쑤이위안 특별 구역을 '''쑤이위안 성'''으로 재편성하기로 결정하고, 10월 20일에 쑤이위안 성 정부가 정식으로 발족하여 초대 성 정부 주석에는 쉬융창이 취임했다. 1929년 1월 1일, 차하얼 성에서 펑전, 량청, 싱허, 타오린의 4개 현이 이관되어 행정 구획이 거의 확정되었다.

그러나 성 성립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몽골족과 성 정부 간에 성의 행정 주도권을 둘러싼 대립이 이어졌으며, 1936년에는 내몽골의 자치 독립을 목표로 하는 몽골족의 한 파가 일본 관동군의 지원을 받은 한족 소 군벌과 연계하여 쑤이위안 성을 점령하고자 무장 봉기를 일으켰으나 진압되는 소요 사태가 발생했다(쑤이위안 사건).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성역의 대부분은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성 정부는 이커자오 맹 및 허타오 지역의 일부를 지배하는 것에 지나지 않게 되었다. 1945년 일본의 패전과 함께 성 정부에 의한 쑤이위안 성 전역의 지배가 재개되었지만, 곧 중국 공산당과의 내란이 시작되어, 1949년 9월 19일에 성 주석 둥치우가 공산당 세력에 귀순함에 따라, 쑤이위안 성에서의 국민 정부의 시정권은 완전히 상실되었다. 둥치우는 국민당 출신으로, 푸쭤이 휘하에서 오랫동안 활동하며 중용되었으나 국공내전 막바지에 공산당에 투항했다.

4. 행정 구획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직전, 쑤이위안 성은 3개의 시, 20개의 현, 17개의 기를 관할했다.

시는 다음과 같다:


  • 구이수이 시
  • 산바 시: 1943년 10월, 린허 현 산바 지역에 신설되었다.
  • 바오터우 시


현은 다음과 같다:

  • 안베이 현: 1925년 7월, 다사타이설치국으로 성립되었으며, 1931년 6월에 안베이설치국으로 개칭되었다. 1942년 4월, 현제를 시행했다.
  • 옌장 현: 1942년 4월, 우위안 현 서부에 옌장설치국으로 성립되었으며, 1944년 4월, 현제를 시행했다.
  • 구이수이 현: 구칭은 귀화현이며, 1914년 1월 개칭되었다.
  • 싱허 현
  • 우위안 현
  • 구양 현
  • 살라치 현
  • 지닝 현: 1922년 2월, 지닝조건설치국으로 성립되었으며, 1923년 12월, 현제를 시행했다.
  • 칭수이허 현
  • 투어커투오 현
  • 둥성 현
  • 타오린 현
  • 우촨 현
  • 미창 현: 1942년 4월, 린허 현의 일부에 신설되었다.
  • 펑전 현
  • 바오터우 현
  • 량청 현: 구칭 닝위안 현이며, 1914년 1월 개칭되었다.
  • 린허 현
  • 랑산 현: 1942년 4월, 린허 현 북부에 랑산설치국으로서 성립되었으며, 1944년 4월, 현제를 시행했다.
  • 허린거얼 현


기는 다음과 같다:

  • 차하얼 우익
  • **차하얼 우익 양홍기
  • **차하얼 우익 양람기
  • **차하얼 우익 정황기
  • **차하얼 우익 정홍기
  • 우란차부 맹
  • **우라터 후기
  • **우라터 전치
  • **우라터 중기
  • **커얼커 우익기 (다얼한 기)
  • **마오밍안 기
  • **쓰쯔부락기: 통칭 '''쓰쯔왕기'''.
  • 이커자오 맹
  • **구이화 투머터 기
  • **어얼둬스 좌익 후기
  • **어얼둬스 좌익 전기
  • **어얼둬스 좌익 중기
  • **어얼둬스 우익 후기
  • **어얼둬스 우익 전기
  • **어얼둬스 우익 전말기

5. 역대 장관

쑤이위안 성의 역대 장관은 다음과 같다.
쑤이위안 도통 (베이징 정부)


  • 반거영: 1914년 7월 - 1916년 10월 (1915년 11월까지 서리)
  • 장안행: 1916년 10월 - 1917년 7월
  • 진광원: 1917년 7월 - 8월
  • 채성훈: 1917년 8월 - 1921년 5월 (1920년 12월부터 감숙 독군 겸임)
  • 마복상: 1921년 5월 - 1925년 1월
  • 이명종: 1925년 1월 - 1926년 1월 (서리)
  • 유우분: 1926년 1월 - 9월
  • 상진: 1926년 9월 - 1927년 11월
  • 급금순: 1927년 11월 - 1928년 6월
  • 이배기: 1928년 6월 - 11월

성 정부 주석 (국민 정부)# 쉬융창: 1928년 10월 - 1929년 8월

# 리페이치: 1929년 8월 - 1931년 8월

# 푸쭤이: 1931년 8월 - 1946년 10월 (1931년 12월까지 대리)

# 둥치우: 1946년 10월 - 1949년 10월

5. 1. 쑤이위안 장군 (베이징 정부)


  • 쿤시우: 1912년 1월 - 10월
  • 장사오쩡: 1912년 10월 - 1914년 4월 (1913년 10월까지 서리)
  • 판쥐잉: 1914년 4월 - 7월 (서리)

5. 2. 쑤이위안 도통 (베이징 정부)


  • 반거영: 1914년 7월 - 1916년 10월 (1915년 11월까지 서리)
  • 장안행: 1916년 10월 - 1917년 7월
  • 진광원: 1917년 7월 - 8월
  • 채성훈: 1917년 8월 - 1921년 5월 (1920년 12월부터 감숙 독군 겸임)
  • 마복상: 1921년 5월 - 1925년 1월
  • 이명종: 1925년 1월 - 1926년 1월 (서리)
  • 유우분: 1926년 1월 - 9월
  • 상진: 1926년 9월 - 1927년 11월
  • 급금순: 1927년 11월 - 1928년 6월
  • 이배기: 1928년 6월 - 11월

5. 3. 성 정부 주석 (국민 정부)

# 쉬융창: 1928년 10월 - 1929년 8월

# 리페이치: 1929년 8월 - 1931년 8월

# 푸쭤이: 1931년 8월 - 1946년 10월 (1931년 12월까지 대리)

# 둥치우: 1946년 10월 - 1949년 10월

6. 대중 문화 속의 쑤이위안

W. 더글러스 버든은 자신의 저서 《황야를 바라보며》의 "중국-몽골 국경" 장에서 쑤이위안 성을 언급했다.[3]

참조

[1] 서적 Warlord: Yen Hsi-shan in Shansi Province 1911-1949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서적 Chinese Society: Change, Conflict, and Resistance Taylor & Francis
[3] 서적 Look to the Wilderness Little, Brown and Company 195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