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몽골 지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골 지방은 청나라 시기 팔기 몽골, 내속 몽골, 외번 몽골로 구분되었으며, 1911년 외번 몽골에서 독립 운동이 일어나 복드 칸 정권이 수립되었다. 이후 몽골은 공산화되어 몽골 인민 공화국이 되었고, 중화민국은 이 지역을 명목상 자국 영토로 간주했다. 중화민국은 1946년 외몽골 독립을 승인했으나, 1953년 이를 철회했다. 민주진보당 정부는 몽골 독립을 인정하고 상호 대표부를 설치했으며, 중국 국민당 정부는 몽골의 독립을 헌법적으로 인정했다. 1940~50년대 중화민국의 몽골 지방은 여러 맹과 부로 나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민국 대륙 시기의 행정 구역 - 시짱 지방
    시짱 지방은 티베트고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티베트 불교 문화의 중심지로서 고유한 문화를 지니고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와 국가의 흥망성쇠를 거쳐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자치구로 존재하며, 티베트의 주권 문제는 복잡한 논쟁거리이다.
  • 중화민국 대륙 시기의 행정 구역 - 하이난 특별행정구
    하이난 특별행정구는 중화민국 정부가 하이난 섬과 남해 제도를 관할하기 위해 1940년대에 설치하려 했던 행정 구역이었으나, 1950년 중국 공산당에 의해 하이난행정구로 개편되어 광둥 성에 편입되었고, 현재 중화민국은 둥사 군도와 타이핑 섬에 대한 관할권을 유지하고 있다.
  • 투바 공화국 - 토주 투바인
    토주 투바인은 투바 공화국 토진스키 구에 주로 거주하며 순록 유목 생활을 하는 독특한 문화를 지닌 투바인의 한 분파로, 투바어의 동투바 방언을 사용하고 사얀 튀르크어의 타이가 사얀 튀르크 분파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한다.
  • 투바 공화국 - 소요트족
    러시아 부랴티야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소수 민족인 소요트족은 순록 유목을 하며 샤머니즘과 라마교를 믿는 씨족 사회를 이루었으나, 소련 시대를 거치며 부랴트족에 동화되어 민족 정체성이 약화되었고, 소련 붕괴 후 문화 부흥 운동과 소요트어 보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중화민국의 영토 분쟁 - 남중국해
    남중국해는 서태평양의 일부로 중국 남쪽, 베트남 동쪽, 필리핀 서쪽에 위치하며, 주요 무역로이자 전략적 요충지 및 풍부한 천연자원의 보고이지만, 영유권 분쟁이 끊이지 않는 해역이다.
  • 중화민국의 영토 분쟁 - 이투아바섬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군도에 위치한 이투아바섬은 중화민국이 실효 지배하며 태평도라고 명명하고 가오슝시 치진구에 편입시켰으나, 베트남과 필리핀 또한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부르며 영유권을 주장하는 군사적 요충지이다.
몽골 지방
지도
몽골 지방의 위치
몽골 지방의 위치
기본 정보
이름몽골 지방
로마자 표기Ménggŭ
가타카나모ングー
국가중화민국
종류
주소쿠룬
역사
건치1915년
소멸1946년
이전보그드 칸 정부
이후몽골 인민 공화국
면적 및 인구
총 면적6,484,803
면적 출처내정부 통계처 '전국행정구획 및 토지면적통계' 1938년 5월

2. 역사

몽골 지역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유목 민족들의 활동 무대였다. 청나라 시기에는 팔기 몽골, 내속 몽골, 외번 몽골로 구분되었다. 1910년 외번 몽골 북부 할하에 "신정"이 시행된 것을 계기로 반청 독립운동이 일어났고, 1911년 화신 라마인 제브쥰담바 호토그트 8세가 복드 칸으로 추대되어 복드 칸 정권이 발족했다. 이 정권은 몽골 전역의 통합을 목표로 했으나, 1910년대 중반에는 외몽골과 다리강가 목장, 코브도 지방으로 세력권이 축소되었다.

1921년 복드 칸 정권은 혁명으로 공산화되었고, 1924년에는 몽골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어 소련-몽골 상호 원조 의정서에 의해 소련군이 주둔하게 되었다. 중화민국은 이 영역을 "몽골"이라 칭하며 명목상 자국 영토로 간주했다. 1945년 소련의 대일 참전으로 내몽골은 몽골 인민군에게 점령되었고, 내몽골 인민 공화국, 동몽골 자치 정부, 후룬베이얼 지방 자치 정부 등 내외 몽골 통일 운동이 발발했다.

얄타 회담에서 외몽골의 현상 유지, 즉 몽골 인민 공화국의 독립이 승인되자, 1946년 중화민국 국민 정부는 외몽골 독립 국민 투표를 조건으로 몽골의 독립을 승인했다. 그러나 1953년 중소 우호 동맹 조약 파기와 함께 독립 승인을 철회한 것으로 해석되었다.[3]

2002년 민주진보당 천수이볜 정부는 몽골을 독립국으로 인정하고 울란바토르타이베이시에 상호 대표부를 설치했으며, 외교부 (중화민국) 웹사이트에 몽골국 정보가 게재되었다.[4] 2012년 중국 국민당 마잉주 정부는 1946년 중화민국 헌법 제정 당시 몽골의 독립을 인정했으며, 몽골은 중화민국의 고유 영토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견해를 발표했다.[5]

2. 1. 청나라 시기 몽골

청나라는 몽골을 팔기 몽골, 내속 몽골, 외번 몽골로 구분했다.[2] 1910년 외번 몽골 북부 할하에 "신정"이 시행된 것을 계기로 반청 독립 운동이 일어났고, 1911년 화신 라마인 제브쥰담바 호토그트 8세가 황제(복드 칸)로 추대되어 복드 칸 정권이 발족했다.[2] 복드 칸 정권은 몽골 전역의 통합을 목표로 독립 전쟁을 벌여 일시적으로 외몽골 전역과 서몽골의 코브도, 내몽골 49개 기 중 35개 기를 장악하기도 했다.[2]

2. 2. 복드 칸 정권 (1911-1924)

1911년, 외번 몽골 북부 할하에서 반청 독립 운동이 일어나 화신 라마인 제브쮠담바 호토그트 8세를 황제(복드 칸)로 추대하여 복드 칸 정권이 발족했다. 복드 칸 정권은 몽골 전역의 통합을 목표로 독립 전쟁 초기에 일시적으로 외몽골 전역과 서몽골의 코브도, 내몽골 49개 기 중 35개 기를 장악했으나, 1910년대 중반에는 그 세력권이 외몽골과 다리강가 목장, 코브도 지방을 합친 범위로 축소되었다.[2]

2. 3. 몽골 인민 공화국 (1924-1992)

1921년 복드 칸 정권은 혁명으로 공산화되었고, 1924년에는 정식 사회주의 국가인 몽골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소련-몽골 상호 원조 의정서에 의해 소련군이 주둔하게 되었다.[2]

2. 4. 중화민국과의 관계

중화민국의 역대 정권은 실효 지배할 수 없는 몽골 지역을 명목상 "중화민국에 속하는 지방"으로 간주했다. 1945년 8월 소련의 대일 참전으로 내몽골은 동부에서 서부까지 몽골 인민군에게 점령되었고, 그 영향으로 내몽골 인민 공화국, 동몽골 자치 정부, 후룬베이얼 지방 자치 정부 등 내외 몽골 통일 운동이 발발했다.[2]

얄타 회담에서 영·미·소 3국이 "외몽골의 현상 유지" 즉 몽골 인민 공화국의 독립을 승인하자, 1946년 1월 중화민국 국민 정부의 장제스는 외몽골 독립 국민 투표를 조건으로 몽골의 독립을 승인했다. 그러나 1953년 중소 우호 동맹 조약 파기와 함께 몽골 독립 승인을 철회한 것으로 해석되었다.[3]

2002년 민주진보당 천수이볜 정부는 몽골을 실질적으로 독립국으로 인정하고, 울란바토르타이베이시에 상호 대표부를 설치하였다. 외교부 (중화민국) 웹사이트에도 몽골국의 "국정 간개" 페이지가 게재되었다.[4]

2012년 중국 국민당 마잉주 정부 하의 행정원 대륙 위원회는 1946년 중화민국 헌법 제정 당시 몽골의 독립을 인정했으며, 몽골은 중화민국의 고유 영토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견해를 발표했다.[5]

3. 행정 구역

중화민국 시기 몽골 지방의 행정 구역은 여러 차례 바뀌었다. 2004년 중화민국 주계처의 『중화민국 각 성 현 행정 구역 코드』(2005년 폐지)에서는 몽골 지방을 클루룬바르허툰 맹, 한아린 맹, 치치얼리크 맹, 자크비라 세친 비두르노르 맹, 사음제야하투 좌익 맹, 사음제야하투 우익 맹, 탄누우리안하이 등으로 구분했다.[1]

3. 1. 중화민국 시기 몽골 지방 행정 구역 (1940-1950년대)

中華民國|중화민국중국어 시기 몽골 지방의 행정 구역은 1940년대에서 1950년대 사이에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1]

  • '''자사크투 한 부'''


서로 자사크투 한 기서로 자사크투 좌익 좌기서로 자사크투 좌익 우기
서로 좌익 전 기서로 좌익 후 기서로 좌익 중 기
서로 좌익 후말 기서로 중 좌익 좌기서로 중 좌익 우기
서로 중 좌익 말 기서로 중 우익 좌기서로 중 우익 말 기
서로 중 좌익 말차 기서로 우익 우기서로 우익 전 기
서로 우익 후 기서로 우익 우말 기서로 우익 후말 기
서로 휘트 기


  • '''삼음노안부(サイン・ノヤン部)'''


중로 삼음노안 기중로 좌익 좌기중로 좌익 우기
중로 좌익 중기중로 좌익 좌말 기중로 우익 말기
중로 중좌 기중로 중우 기중로 중전 기
중로 중후 기중로 중좌익 말기중로 중우익 말기
중로 중말 기중로 중후말 기중로 우익 전기
중로 우익 후기중로 우말 기중로 우익 중좌 기
중로 우익 중우 기중로 우익 중말 기중로 우익 좌말 기
중로 우익 우후 기중로 액로특 기중로 액로특 전기
자야반디다 호특도 목지소주크도 노문 목지나로반선 호특도 목지
액얼반덕니반디다 호 목지


  • '''울리야스타이, 차르레이그, 바얀홍고르, 다란자다가트'''

  • '''투셰투 칸 부'''


호루 투셰투 기호루 좌익 전 기호루 좌익 후 기
호루 좌익 중 기호루 좌익 말 기호루 좌익 중 좌 기
호루 좌익 우 말 기호루 좌익 좌중 말 기호루 중 기
호루 중 차 기호루 중 좌 기호루 중 우 기
호루 중 우 말 기호루 중 좌익 말 기호루 우익 좌 기
호루 우익 우 기호루 우익 좌후 기호루 우익 좌 말 기
호루 우익 우 말 기호루 우익 우 말 차 기



먼즈 칼룬우야라가 칼룬쿠드리 칼룬
치크테 칼룬치란 칼룬보르 칼룬
차한 우수 칼룬하라후지르 칼룬하브토해 칼룬
치르그다이 칼룬어얼둬허 칼룬테무룬 칼룬
어린친 칼룬


  • '''차친한 부(車臣汗部)'''


동로 차친한 기(東路車臣汗旗)동로 좌익 좌기(東路左翼左旗)동로 좌익 우기(東路左翼右旗)
동로 좌익 전 기(東路左翼前旗)동로 좌익 후기(東路左翼後旗)동로 좌익 중 기(東路左翼中旗)
동로 좌익 후말기(東路左翼後末旗)동로 중좌기(東路中左旗)동로 중우기(東路中右旗)
동로 중전기(東路中前旗)동로 중후기(東路中後旗)동로 중말기(東路中末旗)
동로 중좌전기(東路中左前旗)동로 중우후기(東路中右後旗)동로 중말우기(東路中末右旗)
동로 중말차기(東路中末次旗)동로 우익 전기(東路右翼前旗)동로 우익 후기(東路右翼後旗)
동로 우익 좌기(東路右翼左旗)동로 우익 중기(東路右翼中旗)동로 우익 중전기(東路右翼中前旗)
동로 우익 중좌기(東路右翼中左旗)동로 우익 중우기(東路右翼中右旗)



스웨이다 카룬(石威爾達卡倫)톨로가이 카룬(托洛蓋卡倫)자골르투 카룬(扎各勒図卡倫)
멍거지거 카룬(孟格集格卡倫)어보투 카룬(鄂博図卡倫)얼린투 카룬(鄂林図卡倫)
투르크나 카룬(図爾克納卡倫)토크토르 카룬(托克托爾卡倫)훠린나라수 카룬(霍林那拉蘇卡倫)
토소크 카룬(托索克卡倫)허얼타이 카룬(和爾泰卡倫)보얼크 카룬(伯爾克卡倫)
우얼허트 카룬(烏爾合特卡倫)바얀 아두얼가 카룬(巴彦阿都爾噶卡倫)아가추 카룬(阿嘎楚卡倫)
지얼훈 카룬(集爾渾卡倫)쿨리노 카룬(庫里諾卡倫)아루수크 카룬(阿魯蘇克卡倫)
아뎬허 카룬(阿典河卡倫)


  • '''크룰룬(克魯倫), 차친한(車臣汗), 사이인 상더(賽音商徳)'''

  • '''울란곰(울란고므), 코브도(코브도)'''


둬얼버트 전 기둬얼버트 전 우 기둬얼버트 중 우 기
후이특 하 전 기자하친 기밍아터 기
어루터 기



돌베트 한 기돌베트 중 기돌베트 중좌 기
돌베트 중전 기돌베트 중후 기돌베트 중상 기
돌베트 중하 기돌베트 중전좌 기돌베트 중전우 기
돌베트 중후좌 기돌베트 중후우 기휘테 하후 기



시바리카룬치르르카룬하치크카룬
바얀부라크카룬지리크카룬


  • '''당누우리안하이(唐努烏梁海)부'''


토진 기사라지크 기쿠부스쿨 노르 기
당누 기치무치크 기스하프카다네우 기
자노이옹 기우브린수먼 기다르하다사비 기



삼음노안부 우리안하이자사크도한부 우리안하이제부존바후투크투 속 우리안하이 36 좌령



베집 카렌고트에고르투 카렌하라훈보르 카렌
어이라가 카렌다르친투 카렌토로가이 카렌
하트후르 카렌벨레트스 카렌차한부 카렌


  • '''무릉, 하트후르, 켄무비치르'''


이상의 내용은 중화민국 주계처의 『중화민국 각 성 현 행정 구역 코드』(2005년 폐지)에 따른 것이다.[1]

참조

[1] 간행물 全國行政區劃及土地面積統計 内政部統計処 1938-05-01
[2] 서적 モンゴル史 恒文社 1988-01-01
[3] 사전 蒙古地方 http://dict.revised.[...] 中華民国教育部重編國語辭典
[4] 웹사이트 蒙古 https://web.archive.[...] 外交部サイト
[5] 간행물 有關外蒙古是否為中華民國領土問題説明新聞参考資料 http://www.mac.gov.t[...] mac.gov.t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