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톨리 비쇼베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나톨리 비쇼베츠는 은퇴한 소련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선수 시절에는 FC 디나모 키예프에서 1963년부터 1973년까지 활약하며 소련 톱 리그 4회 우승, 소련 컵 2회 우승을 경험했으며, 소련 대표팀 소속으로 197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했다. 지도자로서 1988년 소련 올림픽 대표팀을 이끌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소련, 러시아, 대한민국 대표팀 감독을 역임했다. 특히 1994년에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첫 외국인 감독을 맡았다. 클럽팀 감독으로는 FC 디나모 모스크바,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등을 지도했으며, 2006년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감독 재임 중 금품 수수 혐의로 경질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C 톰 톰스크의 축구 감독 - 발레리 네폼냐시
발레리 네폼냐시는 소련 출신의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1990년 FIFA 월드컵 8강 진출을 이끌었으며, 대한민국, 터키, 일본, 중국 등에서 클럽팀 감독을 역임하고 우즈베키스탄 국가대표팀 감독, 해설가로 활동했다. -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발레리 로바노우스키
발레리 로바노우스키는 키이우 출신 우크라이나 축구 감독이자 선수로, 디나모 키예프 선수와 감독으로서 소련 리그 우승, 소련 컵 우승, 유럽 정상 등극을 이끌었으며, 소련 및 우크라이나 국가대표팀 감독을 겸임하며 과학적인 훈련 시스템과 혁신적인 전술을 도입하여 "토탈 풋볼"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콘스탄틴 베스코프
콘스탄틴 베스코프는 소련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디나모 모스크바에서 리그와 컵 대회 우승을, 감독 시절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와 디나모 모스크바에서 리그와 컵 대회 우승을, 그리고 소련 대표팀 감독으로서 유럽 선수권 준우승과 올림픽 동메달을 기록하며 다수의 훈장을 수훈했다. -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의 축구 감독 - 슬라벤 빌리치
슬라벤 빌리치는 크로아티아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축구 감독으로, 선수 시절 수비수로 활약하며 크로아티아 국가대표팀에서 44경기 3골을 기록했고, 은퇴 후 여러 팀에서 감독직을 수행했다. -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의 축구 감독 - 콘스탄틴 베스코프
콘스탄틴 베스코프는 소련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디나모 모스크바에서 리그와 컵 대회 우승을, 감독 시절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와 디나모 모스크바에서 리그와 컵 대회 우승을, 그리고 소련 대표팀 감독으로서 유럽 선수권 준우승과 올림픽 동메달을 기록하며 다수의 훈장을 수훈했다.
아나톨리 비쇼베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아나톨리 표도로비치 비쇼베츠 |
출생일 | 1946년 4월 23일 |
출생지 | 키이우,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소련 |
신장 | 1.76m |
포지션 | 공격수 (과거) |
선수 경력 | |
유소년 클럽 | 디나모 키이우 |
클럽 | 디나모 키이우 |
연도 | 1963–1973 |
출장 | 139 |
득점 | 49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소련 |
연도 | 1966–1972 |
출장 | 39 |
득점 | 15 |
감독 경력 | |
감독 연도 | 1982–1985 |
감독 클럽 | 소련 (청소년) |
감독 연도 | 1986–1988 |
감독 클럽 | 소련 (올림픽) |
감독 연도 | 1988–1990 |
감독 클럽 | 디나모 모스크바 |
감독 연도 | 1990–1992 |
감독 클럽 | 소련 / CIS |
감독 연도 | 1992–1993 |
감독 클럽 | AEL 리마솔 |
감독 연도 | 1994 |
감독 클럽 | 대한민국 (자문) |
감독 연도 | 1994–1995 |
감독 클럽 | 대한민국 |
감독 연도 | 1995–1996 |
감독 클럽 | 대한민국 (올림픽) |
감독 연도 | 1997–1998 |
감독 클럽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감독 연도 | 1998 |
감독 클럽 | 러시아 |
감독 연도 | 1998–1999 |
감독 클럽 | 샤흐타르 도네츠크 |
감독 연도 | 2003 |
감독 클럽 | 마리티무 |
감독 연도 | 2005 |
감독 클럽 | 톰 톰스크 |
감독 연도 | 2006–2007 |
감독 클럽 | 로코모티브 모스크바 |
감독 연도 | 2009 |
감독 클럽 | 쿠반 크라스노다르 (컨설턴트) |
감독 연도 | 2011 |
감독 클럽 | 우파 (자문) |
2. 선수 경력
아나톨리 비쇼베츠는 FC 디나모 키예프 유소년팀 출신으로, 1963년부터 1973년까지 FC 디나모 키예프에서 선수로 활약하며 소비에트 톱 리그 우승 4회(1966년, 1967년, 1968년, 1971년), 소련컵 우승 2회(1964년, 1966년)를 기록했다. 소련 국가대표팀 선수로서는 1970년 FIFA 월드컵에서 4골을 넣었다.[1]
2. 1. 클럽 경력
FC 디나모 키예프 유소년팀 출신으로, 1963년부터 1973년까지 FC 디나모 키예프 선수로 활약했다. 비쇼베츠는 소비에트 톱 리그에서 4번(1966년, 1967년, 1968년, 1971년), 소련컵에서 2번(1964년, 1966년) 우승했다.2. 2. 국가대표팀 경력
비쇼베츠는 소련 대표팀의 일원으로 1970년 FIFA 월드컵에서 4골을 기록했다.[1]대회 | 결과 | 경기 | 득점 |
---|---|---|---|
UEFA 유럽 선수권 대회 | 4위 | 2경기 | 0득점 |
FIFA 월드컵 | 8강 | 4경기 | 4득점 |
- 소련 대표 1966-1972 (39경기 15득점)
3. 지도자 경력
1973년 선수 경력을 마친 후, 비쇼베츠는 디나모 키예프의 축구 학교에서 일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소련 올림픽 대표팀을 이끌고 금메달을 획득했다.[1] 이후 소련, 독립 국가 연합(CIS), 러시아, 대한민국 등 3개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했다.[1]
3. 1. 주요 지도 경력
1973년 선수 생활을 마친 비쇼베츠는 키예프의 축구 학교 운영에 힘썼다.[1] 1988년에는 소련 올림픽 대표팀 감독으로 서울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는데 공헌했다.[1] 이후 소련, CIS, 러시아, 대한민국 대표팀 감독을 역임했다.[1]1994년에는 대한민국의 첫 번째 외국인 감독이 되었다.
2006년에는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의 감독을 맡았으나, 2007년 금품 수수 혐의로 경질되었다.[2] 비록 러시아 컵에서 우승하며 긍정적인 이미지를 얻기도 했지만, 챔피언스 리그 진출에는 실패하며 리그를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으로 마감하여 해고되었다.[2]
그는 또한 안지 마하치칼라(2003)의 컨설턴트, 힘키(2003–2004)의 부회장, 하트 오브 미들로시안(2004–2005)의 스포츠 디렉터로 활동했다. 2009년 10월, FC 쿠반 크라스노다르의 컨설턴트로 고용되었으나, 한 달 남짓 만에 팀을 떠났고, 구단은 해체되었다.
주요 클럽 및 국가대표팀 감독 경력은 다음과 같다.
기간 | 팀 | 국가 |
---|---|---|
1982-1985 | 소련 유소년 대표 | 소련 |
1986-1988 | 소련 올림픽 대표 | 소련 |
1988-1990 | FC 디나모 모스크바 | 소련 |
1990-1992 | 소련/CIS 대표 | 소련 |
1992-1993 | AEL 리마솔 | 키프로스 |
1994-1995 | 대한민국 대표 | 대한민국 |
1995-1996 |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 | 대한민국 |
1997-1998 |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러시아 |
1998 | 러시아 대표 | 러시아 |
1998-1999 |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우크라이나 |
2003 | CS 마리티무 | 포르투갈 |
2005 | FC 톰 톰스크 | 러시아 |
2006-2007 |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 러시아 |
3. 2.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시절
비쇼베츠는 1994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첫 번째 외국인 감독이 되었다.[1] 1994년부터 1995년까지 대한민국 대표팀 감독을, 1995년부터 1996년까지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 감독을 역임했다.3. 3. 기타 경력
1973년 선수 생활을 마친 비쇼베츠는 키예프의 축구 학교 운영에 힘썼다.[1] 1988년 소련 대표팀을 이끌고 서울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1] 이후 소련, 독립 국가 연합(CIS), 러시아, 대한민국 대표팀 감독을 역임했다.[1]비쇼베츠는 안지 마하치칼라 고문 (2003), 힘키 의장 (2003-04), 하트 오브 미들로시안 스포츠 지도자 (2004-2005)를 지냈다.[1] 2006년 FC 로코모티브 모스크바 감독을 맡았으나, 2007년 금품 수수 혐의로 경질되었다.[2]
2009년 10월 FC 쿠반 크라스노다르 컨설턴트로 고용되었으나, 한 달여 만인 2009년 11월 17일 팀을 떠났고, 이후 구단은 해체되었다.[2]
4. 수상 내역
FC 디나모 키예프 소속으로 소비에트 톱 리그 4회 우승(1966년, 1967년, 1968년, 1971년), 소비에트 컵 2회 우승(1964년, 1966년)을 달성했다.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1970년 FIFA 월드컵에서 4골을 기록했다.
4. 1. 선수
비쇼베츠는 FC 디나모 키예프 유소년팀 출신으로, 1963년부터 1973년까지 FC 디나모 키예프의 선수로 활약했다. 그는 디나모 키예프 소속으로 소비에트 톱 리그에서 4번(1966년, 1967년, 1968년, 1971년), 소비에트 컵에서 두 번(1964년, 1966년) 우승했다. 비쇼베츠는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1970년 FIFA 월드컵에서 4골을 기록했다.4. 2. 감독
1973년 선수 생활을 마친 후, 비쇼베츠는 키예프의 축구 학교에서 일했다.[1] 1988년, 소련 대표팀을 이끌고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1] 이후 소련, 러시아, 대한민국 대표팀 감독을 역임했다.[1] 1994년에는 대한민국의 첫 외국인 감독이 되었다.안지 마하치칼라(2003) 컨설턴트, 힘키(2003–2004) 부회장, 하트 오브 미들로시안(2004–2005) 스포츠 디렉터를 역임했다.[1] 2006년 FC 로코모티브 모스크바 감독을 맡았으나, 다음 해 금품 수수 혐의로 경질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Анатолий Бышовец: «Светочи делятся своими знаниями. Они учат людей»
http://www.sports.ru[...]
[2]
뉴스
Lenta.ru
http://lenta.ru/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