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니오 노부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니오 노부스는 고대 로마의 수도교로, 로마 시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아니에네 강을 수원지로 하여, 프론티누스에 따르면 총 86.88km 길이로 건설되었으며, 이 중 상당 부분이 지하 도수로였다. 트라야누스 황제 시기에 수질 개선을 위해 수비아코의 댐에서 추가 수원지를 연결했다. 아니오 노부스는 로마로 유입되는 수도교 중 수위가 가장 높아, 높은 지역까지 물을 공급할 수 있었으며, 오늘날에는 폰테 데글리 아르치, 폰테 아르치넬리, 폰테 산 안토니오, 폰테 바루첼리 등의 다리 유적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의 고대 용수로 - 아쿠아 알시에티나
  • 로마의 고대 용수로 - 아니오 베투스
    아니오 베투스는 고대 로마 시대에 건설되어 63,680km에 달하는 길이로 비코바에서 로마 시내에 하루 175,920m³의 물을 공급하며 사회 발전에 기여한 수도교이다.
  • 1세기 완공된 건축물 - 콜로세움
    콜로세움은 플라비우스 원형 경기장이라고도 불리는 고대 로마의 원형 경기장으로, 검투사 경기와 야수 사냥을 위해 플라비우스 왕조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네로 황제의 동상인 콜로서스 근처에 위치하여 현재는 로마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가 되었다.
  • 1세기 완공된 건축물 - 오랑주 고대극장
    오랑주 고대극장은 1세기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에 건설되어 프랑스에 위치하며, 19세기 복원 작업을 거쳐 현재 관광 명소이자 공연장으로 사용되며, 1981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아니오 노부스
개요
이름신 아니오 수도
로마자 표기Sin Anio Sudo
원어 이름Aqua Anio Novus (라틴어)
다른 이름Acquedotto Anio novus (이탈리아어)
상세 정보
종류수도
건축 양식석조 및 콘크리트 건축
위치로마
착공AD 38년
완공AD 52년
전체 길이86.88km (58.700 로마 마일)
하루 물 공급량189,520m3 (4,738 퀴나리아)
건설 주체로마 제국
관련 정보
관련 항목로마 시의 수도 목록
참고 문헌Deane R. Blackman, "로마의 4대 수도가 공급하는 물의 양", Papers of the British School at Rome, 46 (1978), 52–72쪽

2. 역사

아니오 노부스는 1세기 로마 제국의 급격한 인구 증가로 인해 음용수뿐만 아니라 저택 및 공공 시설의 조경 용수도 부족해짐에 따라, 조경 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클라우디아 수도가 음용수 공급이 목적이었던 것과 달리, 아니오 노부스는 취수 지점의 수질이 크게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마르키아 수도나 클라우디아 수도에 비해 수질이 상대적으로 나빴다.[11]

아니오강 상류는 건설 당시 수원지였으나, 물의 탁도와 색도가 높아 침전지가 필요했다.[12] 이후 트라야누스 황제는 수원지를 수비아코에 있는 네로 황제가 축조한 세 개의 으로 변경했다. 이 댐들은 네로 황제가 건설한 것으로, 중세 시대에 유실되기 전까지 로마 시대 가장 높은 댐이었다.

2. 1. 건설 배경

1세기 로마 제국의 급격한 인구 증가로 인해 음용수뿐만 아니라 저택 및 공공 시설의 조경 용수도 부족해졌다. 이에 따라 음용수 공급이 목적인 클라우디아 수도와는 별도로, 조경 용수 공급을 위한 아니오 노부스가 계획되었다. 아니오 노부스는 취수 지점의 수질이 크게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마르키아 수도나 클라우디아 수도에 비해 수질이 상대적으로 나빴다[11].

2. 2. 초기 문제점과 개선 노력

아니오강 상류는 아니오 노부스의 건설 당시 수원지였으나, 취수 지점의 물은 탁도와 색도가 높아 침전지가 필요했다.[12] 이후 트라야누스 황제는 수원지를 수비아코에 있는 네로 황제가 축조한 세 개의 으로 변경했다. 이 댐들은 네로 황제가 건설한 것으로, 중세 시대에 유실되기 전까지 로마 시대 가장 높은 댐이었다.

1세기 로마의 급속한 인구 증가로 인해 음용수뿐만 아니라 저택 및 공공 시설의 조경용수도 부족해졌다. 따라서 음용수가 목적인 클라우디아 수도와는 별도로 조경용수가 목적인 아니오 노부스가 계획되었다. 이 때문에 취수 지점의 수질은 그다지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으며, 마르키아 수도나 클라우디아 수도에 비해 아니오 노부스의 수질은 상대적으로 나빴다.[11]

3. 경로

로마 외곽의 수도교 경로


티볼리 근처의 지선


티볼리 근처의 지선


아니오 노부스는 티볼리 상류에서 두 개의 채널로 나뉘었다가 게리코모 근처에서 다시 합쳐지는 경로를 거쳤다. 이후 비아 라티나의 일곱 번째 마일스톤 부근에 있는 정화조에서 아쿠아 클라우디아의 아치 위쪽 채널을 통해 운반되어, 미네르바 메디카 신전 근처 에스퀼리노 언덕의 거대한 탱크에서 끝났다.

아니오 노부스는 로마로 들어오는 모든 수도교 중에서 수위가 가장 높아서 가장 높은 지역까지 물을 공급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른 수도교보다 더 높은 경로와 더 높은 다리가 필요했다. 응회암과 벽돌로 건설되었다.[6]

신 아니오 수도의 로마 시내에서의 경로(적색선)

3. 1. 수원지 및 초기 경로

프론티누스는 아니오 노부스의 수원지를 비아 수블라첸시스의 42번째 마일스톤 지점인 심브루비움 지역이라고 묘사했는데,[3] 이곳은 아쿠아 클라우디아와 가깝다. 아니오강 상류에서 물을 끌어왔는데, 주변에 비옥하고 경작된 밭이 있어 강둑이 쉽게 무너져 비가 오지 않아도 강물이 진흙탕이고 탁했다.[4] 취수구에서의 유량은 하루 197,000 m3였다.

트라야누스 황제는 물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네로수비아코에 별장을 장식하기 위해 만든 세 개의 호수 중 위쪽 두 개에서 추가 수원지를 연결하여 수도교의 길이를 58마일 700보까지 늘렸다.[5] 이 호수는 강에 을 건설하여 만들어졌으며, 로마인이 건설한 댐 중 가장 높았다. 그러나 이 댐은 중세 시대에 강물에 휩쓸려 사라졌다.

아니오 노부스는 수문으로 제어되는 경로를 따라 여러 지점에서 교차 채널을 사용하여 다른 수도교의 부족분을 보충하는 데 자유롭게 사용되었으나, 탁한 물은 다른 수도교를 오염시키기도 했다.

3. 2. 로마 시내까지의 경로

프론티누스는 아니오 노부스의 수원지를 아쿠아 클라우디아와 가깝고, "비아 수블라첸시스의 42번째 마일스톤 지점, 심브루비움 지역"이라고 묘사했다.[3] 이 수도교는 티볼리 상류에서 두 개의 채널로 나뉘어 게리코모 근처에서 다시 합쳐졌다. 비아 라티나의 일곱 번째 마일스톤 부근에 있는 정화조에서 아쿠아 클라우디아의 아치 위로 운반되었으며, 아쿠아 클라우디아 위쪽 채널을 통해 운반되었다. 미네르바 메디카 신전 근처 에스퀼리노 언덕의 거대한 탱크에서 끝났으며, 이 탱크는 현재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광장 내에 있는 저수조(Castellum Aquae)였다.[11]

3. 3. 구조적 특징

아니오 노부스는 로마로 들어오는 모든 수도교 중에서 수위가 가장 높았으며, 이로 인해 가장 높은 지역까지 물을 공급할 수 있었지만, 다른 수도교보다 더 높은 경로와 더 높은 다리가 필요했다. 수도교는 응회암과 벽돌로 건설되었다.[6]

4. 주요 구조물

아르치 다리


아르치넬리 다리


산 안토니오 다리


오늘날 볼 수 있는 아니오 노부스 다리에는 폰테 데글리 아르치, 폰테 아르치넬리, 폰테 산 안토니오, 폰테 바루첼리가 있다.

4. 1. 다리

오늘날 볼 수 있는 아니오 노부스 다리에는 폰테 데글리 아르치(Ponte degli Arci), 폰테 아르치넬리(Ponte Arcinelli), 폰테 산 안토니오(Ponte Sant Antonio) 및 폰테 바루첼리(Ponte Barucelli)가 있다.

폰테 산 안토니오는 로마에 물을 공급하는 수로교 중 가장 아름다운 다리 중 하나로 여겨진다.[7] 이 다리는 아쿠아 라민가 개울을 건너며, 현재는 사라진 고대 성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다리의 중앙이자 원래 부분은 오푸스 콰드라툼으로, 32m 높이, 10m 폭의 인상적인 중앙 아치가 돋보인다. 다양한 기둥에는 덧댄 부분이 보이는데, 다리 건설 중, 특히 수많은 복원 작업 동안 비계를 걸고 지지하는 데 사용되었다. 세베루스 시대 이후에는 벽돌로 덮인 오푸스 카에멘티키움으로 거의 완전히 덮고[8] 다리 하단에 작은 아치를 추가하여 보강했다.

다리의 동쪽, 개울 근처 남쪽 기둥에는 미완성된 지지 아치의 일부가 있는데, 이는 다리가 건설 중에 여러 번 설계 변경을 겪었음을 보여준다. 다리의 서쪽에서는 수로가 직각으로 꺾여 수십 미터까지 이어진다.

폰테 바루첼리


폰테 바루첼리(Ponte Barucelli)는 아쿠아 네라(Acqua Nera) 시내를 건너기 위해 안니오 노부스(Anio Novus)(남쪽)와 아쿠아 클라우디아(aqua Claudia)(북쪽)에 8m 간격으로 떨어진 두 개의 기념비적인 다리로 구성되어 있다. 두 다리 모두 서기 38년에서 52년 사이에 지어졌다. 이후 부벽과 보강재로 강화되어 두 개의 거대한 연속적이고 연결된 구조물이 되었다.

안니오 노부스 다리는 길이가 약 85m, 폭이 약 10m이며 아쿠아 네라를 위한 주요 높고 좁은 아치를 제외하고는 작은 아치가 몇 개 있다. 원래는 응회암으로 정방형 쌓기 방식으로 건설되었다. 1세기 후반에는 동쪽 끝 부벽 두 곳에서 볼 수 있듯이 혼합 쌓기 방식으로 보강되었다. 3세기 초에는 북쪽에 9개의 직사각형 부벽이 일정한 간격으로 추가되었고, 남쪽에는 시내 바닥 근처에 3개만 추가되었으며, 이후 서쪽 둑에 5개가 빈약한 벽돌 쌓기 방식으로, 동쪽 둑에 2개가 혼합 쌓기 방식으로 추가되었다.

이후 두 다리는 세 개의 벽돌 아치와 부벽으로 연결되었다.

5. 수량 및 수질

아니오 노부스의 수원지는 로마에서 87km 떨어진 아니오강 상류였다.[12] 건설 당시에는 탁도와 색도가 높아 침전지가 필요했기 때문에,[12] 나중에 황제 트라야누스가 수원지를 상류의 수비아코에 있는 황제 네로가 만든 세 개의 으로 변경했다. 하루 수량은 196627m3였다.[12]

1세기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마시는 물뿐만 아니라 저택과 공공 시설의 조경 용수도 부족해졌다. 그래서 마시는 물을 공급하는 클라우디아 수도와는 별도로 조경용수가 목적인 아니오 노부스가 계획되었다. 따라서 취수 지점의 수질은 중요하게 생각되지 않았으며, 로마 수도 중에서 수질이 가장 좋았던 마르키아 수도나, 그 다음으로 수질이 좋았던 클라우디아 수도에 비해 아니오 노부스의 수질은 상대적으로 나빴다.[11]

로마 수도 기술서의 저자이자 로마 수도청 장관이었던 프론티누스에 따르면, 수도의 전체 길이는 86.88km이며, 그 중 72.96km는 지하 도수로, 13.91km는 지상 도수로로 구성되었다.[12] 프론티누스가 측정한 하루 수량은 189520m3이었다.[13]

6. 현대의 모습

오늘날 볼 수 있는 아니오 노부스의 다리에는 폰테 데글리 아르치(Ponte degli Arci), 폰테 아르치넬리(Ponte Arcinelli), 폰테 산 안토니오(Ponte Sant Antonio), 폰테 바루첼리(Ponte Barucelli)가 있다.

7. 마조레 문 비문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게르마니쿠스(클라우디우스) 황제는 최고 신관[1], 호민관 12회, 집정관 5회, 임페라토르 27회, 국가의 아버지[1]로, 45마일 지점의 카에룰레우스와 쿠르티우스라고 불리는 샘에서 클라우디아 수도교를, 또한 62마일 지점으로부터 새로운 아니에넴 노밤(아니오 노부스)을 만들어 로마에 보냈다.[1]

참조

[1] 서적 Caligula
[2] 학술지 The Volume of Water Delivered by the Four Great Aqueducts of Rome https://www.jstor.or[...] 1978
[3] 서적 Frontinus
[4] 서적 de Aqueductibus
[5] 문서
[6] 간행물 Water Supply in Rome in Antiquity and Today 1996
[7] 서적 1935 The Aqueducts Of Ancient Rome ( Thomas Ashby) https://archive.org/[...] 1935
[8] 웹사이트 Ponte Sant'Antonio https://www.sotterra[...] 2024-12-06
[9] 웹사이트 Roma Vecchia - Porta Maggiore : Peperino stone http://www.romanaque[...]
[10] 웹사이트 Frontinus, Aqueducts, I-13 https://penelope.uch[...]
[11] 웹사이트 Roman aqueducts : Aqua Anio Novus http://www.romanaque[...]
[12] 웹사이트 Frontinus, Aqueducts, I-15 https://penelope.uch[...]
[13] 웹사이트 Frontinus, Aqueducts, I-73 https://penelope.u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