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담클리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담클리시는 튀르키예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루마니아어 "Adam Kilisse"의 터키어 형태이며 "교회당의 사람"을 의미한다. 고대 로마 시대에는 트로파이움 트라이아니 기념물이 건설되었고, 스키티아 마이너에서 가장 큰 로마 도시였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 재건되었으며, 1878년 도브루자가 루마니아에 귀속된 후 루마니아인들이 정착했다. 아담클리시는 아담클리시, 아브루드, 하체그, 우르루이아, 조릴레 등의 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1년 조사에서 루마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리에 관한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지리에 관한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아담클리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일반 정보
유형코무나
국가루마니아
콘스탄차주
하위 행정 구역아담클리시, 아브루드, 하체그, 우를루이아, 조릴레
로마자 표기Adamclisi
행정
시장도리나 치칠리아 셰르버네스쿠
소속 정당국민자유당
임기2020–2024
지리
고도118m
면적135.73km²
인구
총 인구2,250명 (2011년 기준)
기타 정보
우편 번호907010
지역 번호(+40) 02 41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키비타스 트로파엔시움 로마 카스트라
키비타스 트로파엔시움 로마 카스트라
콘스탄차주 내 위치
콘스탄차주 내 위치

2. 어원

현재 명칭은 튀르키예어에서 기원하며 "교회당의 사람"을 뜻하는 루마니아어 "Adam Kilisse"의 터키어 형태이다(이 지역에 튀르키예인들이 정착했을 때, 이들은 고대 로마의 기념물을 교회당이라 생각하였다).[1] "아담 킬리세"는 루마니아어로 "아담의 교회"를 의미한다. (튀르키예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했을 때, 고대 로마 기념물을 교회로 생각했다.)[2]

3. 역사

트로파이움 트라이아니의 복원


아담클리시 전투는 트라야누스 다키아 전쟁 중 101/102년 겨울에 인근에서 벌어진 주요 전투로, 로마 제국다키아인 사이에 벌어졌으며, 로마가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지만 양측 모두 매우 큰 사상자를 냈다.[4]

아담클리시의 고대 로마 시대, 중세 시대, 오스만 제국 시대, 루마니아 왕국 시대 역사는 각 하위 섹션을 참고.

3. 1. 고대 로마 시대



고대 시대 때, 키비타스 트로파인시움이라는 로마의 카스트룸이 이곳에 세워졌고, 109년다키아인들에 대한 로마 제국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트로파이움 트라이아니라는 기념물이 건설되었다.[4]

다키아 전쟁의 퇴역 병사들이 정착한 이곳은 소스키티아에서 가장 큰 도시였고, 170년무니키피움이 되었다. 고트족에 파괴되었다가 콘스탄티누스 대제 재위 때 한층 더 강력해진 성벽과 함께 재건되었으며, 이 성벽은 587년에 아바르족에 약탈당할 때까지 이 도시를 보호해주었다. 이 이후, 아담클리시는 도브루자의 주요 도시들에서 빠졌고 700년간 더 이상 언급되지 않았다.[4]

3. 2. 중세 시대

다키아 전쟁의 퇴역 병사들이 정착한 아담클리시는 소스키티아에서 가장 큰 도시였고 170년에 무니키피움이 되었다. 고트족에 의해 파괴되었다가 콘스탄티누스 대제 재위 때 한층 더 강력해진 성벽과 함께 재건되었으며, 이 성벽은 587년에 아바르족에게 약탈당할 때까지 도시를 보호해주었다. 이후 아담클리시는 도브루자 지역의 주요 도시 목록에서 제외되었고 700년 동안 더 이상 언급되지 않았다.[4]

3. 3.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동안, 이 마을은 터키 정착민들에 의해 재건되었다. 1878년 도브루자루마니아에 할양된 후, 무슬림 인구는 터키로 떠났고, 마을은 버려졌다. 그러나 1880년에서 1881년 사이에 이 마을은 트란실바니아와 텔레오르만에서 온 루마니아인들에 의해 재정착되었다.[3]

3. 4. 루마니아 왕국 시대

다키아 전쟁의 퇴역 병사들이 정착한 아담클리시는 소스키티아에서 가장 큰 도시였고 170년에 무니키피움이 되었다. 고트족에 파괴되었다가 콘스탄티누스 대제 재위 때 한층 더 강력해진 성벽과 함께 재건되었으며, 이 성벽은 587년에 아바르족에 약탈당할 때까지 이 도시를 보호해주었다. 이후 아담클리시는 도브루자의 주요 도시들에서 빠졌고 700년간 더 이상 언급되지 않았다.[4]

1878년 도브루자가 루마니아에 할양된 후, 무슬림 인구는 터키로 떠났고 마을은 버려졌다. 그러나 1880년에서 1881년 사이에 트란실바니아와 텔레오르만에서 온 루마니아인들이 이 마을에 재정착하였다.[3]

4. 행정 구역

아담클리시 코무너의 마을은 다음과 같다.

마을 이름옛 명칭어원
아담클리시Adam Kilisesitr
아브루드Mulciova알바주 아브루드
하체그Arabagi, Arabacıtr후네도아라주 하체그
우르루이아Urluchioi, Uğurluköytr
조릴레Cherimcuius, Kerimkuyusutr



아담클리시 지역은 1968년 행정 개편으로 우르루이아와 합쳐졌으며, 옛 마을인 ''쿠쿠루즈''(옛 명칭: ''Iusuf Punar'')를 포함한다.

5. 인구

Adamclisiro의 인구는 2011년 인구 조사에서 루마니아인 2,092명 (97.30%), 터키인 42명 (1.95%), 그 외 8명 (0.37%), 민족 미상 8명 (0.37%)이었다.[1] 2021년 인구 조사에서는 2,044명으로 감소했다.[1]

아담클리시 인구 변화
연도루마니아인터키인기타민족 미상
2011년2,092명 (97.30%)42명 (1.95%)8명 (0.37%)8명 (0.37%)
2021년2,044명


6. 출신 인물


  • 마리안 디누 (1965년 출생): 축구 코치이자 전직 선수
  • 아우렐 러둘레스쿠 (1953년~1979년): 축구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Results of the 2020 local elections https://prezenta.roa[...] Central Electoral Bureau 2021-06-15
[2] 뉴스 Primarul unei comune din județul Constanța a murit la 54 de ani https://adevarul.ro/[...] 2021-11-16
[3] 문서 Ion (Jean) Dinu: A Major Personality of the Adamclisi Area http://www.scritube.[...] 2012-05-13
[4] 문서 Ion (Jean) Dinu: A Major Personality of the Adamclisi Area http://www.scritube.[...] 2012-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