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2011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리랑은 2008년 영화 《비몽》 이후 영화계를 떠났던 김기덕 감독이 제작한 2011년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영화는 김기덕 감독의 심리적 변화와 영화 철학을 그의 독백과 일상생활을 통해 보여준다. 2011년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상영되어 주목할 만한 시선상을 수상했으며, 일본 개봉 당시 김기덕 감독이 칸 영화제 시상식에서 "아리랑"을 부르는 엔딩 장면이 편집되어 논란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전 다큐멘터리 영화 - 케이티 페리: 파트 오브 미
《케이티 페리: 파트 오브 미》는 2012년 개봉한 다큐멘터리 영화로, 가수 케이티 페리의 삶과 캘리포니아 드림스 투어 공연 실황, 그리고 러셀 브랜드와의 결혼 생활 등을 보여준다. - 자전 다큐멘터리 영화 - 우리가 들려줄 이야기
사라 폴리가 자신의 가족사를 탐구하며 어머니의 불륜 가능성과 자신의 출생의 비밀을 파헤치는 2012년 캐나다 다큐멘터리 영화인 《우리가 들려줄 이야기》는 가족 인터뷰, 홈 비디오, 재연 장면 등을 통해 기억, 스토리텔링, 가족 관계의 복잡성을 탐구한다. - 김기덕 (1960년) 감독 영화 - 실제상황
김기덕 감독의 1998년 영화 《실제상황》은 마로니에 공원 화가 김한식의 고독한 삶과 내면의 갈등을 다루며, 다중 감독 체계로 제작되었다. - 김기덕 (1960년) 감독 영화 - 수취인불명
2001년 개봉한 김기덕 감독의 영화 수취인불명은 1970년대 미군 기지 주변 마을을 배경으로 혼혈인 창국과 눈이 불편한 은옥, 그리고 그들을 둘러싼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당시 사회의 어두운 단면과 소외된 계층의 고통을 그리고, 혼혈인 차별과 미군 기지 영향 등 사회적 문제들을 조명하며 인물들의 고독과 단절을 상징적인 영상미로 표현한다. - 대한민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 김군 (영화)
김군은 1980년 5월 광주에서 촬영된 한 남자의 사진, 즉 '김군'을 중심으로 5.18 민주화운동의 진실을 추적하는 다큐멘터리 영화로, 강상우 감독이 지만원의 주장에 의문을 품고 김군을 찾아 나서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어 서울독립영화제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 송환 (영화)
김동원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송환》은 비전향 장기수들의 이주를 계기로 전쟁의 상처, 사회 부적응, 탈북 새터민의 삶 등 한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조명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아리랑 (2011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영화 정보 | |
![]() | |
원제 | 아리랑 |
로마자 표기 | Arirang |
영어 제목 | Arirang |
감독 | 김기덕 |
각본 | 김기덕 |
제작 | 김기덕 |
제작사 | 김기덕 필름 |
배급사 | 크레스트 인터내셔널 (일본) |
개봉일 | 2011년 5월 13일 (2011 칸 영화제) 2011년 12월 8일 (대한민국) 2012년 3월 3일 (일본) |
상영 시간 | 91분 (일본), 100분 (기타) |
제작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예산 | 알려지지 않음 |
흥행 수익 | 알려지지 않음 |
2. 제작 배경
2008년의 《비몽》 이후, 김기덕은 돌연 영화계를 떠나 산속 생활을 시작한다. 영화는 김기덕 감독의 독백과 일상생활을 통해 그의 심리적 변화와 영화 철학을 보여준다. 감독은 과거 영화 작업에 대한 회고, 영화계에 대한 비판, 그리고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을 솔직하게 드러낸다.
3. 내용
4. 출연
4. 1. 주연
김기덕
4. 2. 기타
5. 반응 및 평가
5. 1. 해외 영화제
《아리랑》은 2011년 칸 영화제에서 5월 13일에 초연되었으며,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상영되었다.[2] 김기덕 감독은 영화제에서 단 한 번의 인터뷰를 진행했는데, 그는 영화를 만들 때보다 지금이 더 낫고, 이 영화가 자신을 치유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 인터뷰 중 한 번은 김기덕 감독이 갑자기 울음을 터뜨리며 "아리랑"을 불렀다.[3] 이 영화는 이 부문 최고의 상인 주목할 만한 시선상을 수상했다.[6] 이 상은 안드레아스 드레젠 감독의 독일 영화 《Stopped on Track》과 공동 수상했다.[7]버라이어티의 레슬리 펠퍼린은 "디지털은 저예산 영화 제작의 해방이자 자기 만족의 조력자라는 사실을, 필요하다면 더 보여주는 증거"라고 평했다. 펠퍼린은 이어 《아리랑》에 대해 "한때 유명했다는 것을 계속 상기시키고, 친구들은 모두 망할 놈들이며, 이제 삶의 의미를 깨달았다고 말하는 술 취한 사람 옆에 갇힌 것과 같은 경험"이라고 언급했다.[4] 스크린 데일리에서, 댄 파이루는 이 영화를 "궁극적인 '감독의 영화'"라고 칭하며, "김기덕이 자신의 작품에 대한 혁신적인 통찰력을 제공하기 때문이 아니라, 무시하기 쉽거나 전문가들이 더 잘 알아야 할 문제들을 제기하기 때문에 짧은 리뷰로 제대로 평가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평했다.[5] 피터 브래드쇼는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사치스럽고 자기 도취적인 순수한 엉뚱함이지만, 또한 매혹적이다. 관습에서 벗어난 실험주의 작품"이라고 평했다.[6]
일본 극장 개봉 당시, 김기덕 감독이 칸 영화제 시상식에서 눈물을 흘리며 "아리랑"을 부르는 엔딩 장면이 편집되었다.[9]
5. 2. 국내 반응
김기덕 감독의 작품 세계에 대한 기존의 논란과 더불어, 영화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비판이 제기되었다.[4][5][6] 특히, 김기덕 감독이 영화계 복귀 과정에서 보여준 태도와 발언은 논란을 증폭시키기도 했다. 버라이어티의 레슬리 펠퍼린은 "디지털은 저예산 영화 제작의 해방이자 자기 만족의 조력자라는 사실을, 필요하다면 더 보여주는 증거"라고 평하면서, 《아리랑》에 대해 "한때 유명했다는 것을 계속 상기시키고, 친구들은 모두 망할 놈들이며, 이제 삶의 의미를 깨달았다고 말하는 술 취한 사람 옆에 갇힌 것과 같은 경험"이라고 언급했다.[4] 스크린 데일리에서 댄 파이루는 이 영화를 "궁극적인 '감독의 영화'"라고 칭하며, "김기덕이 자신의 작품에 대한 혁신적인 통찰력을 제공하기 때문이 아니라, 무시하기 쉽거나 전문가들이 더 잘 알아야 할 문제들을 제기하기 때문에 짧은 리뷰로 제대로 평가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평했다.[5] 피터 브래드쇼는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사치스럽고 자기 도취적인 순수한 엉뚱함이지만, 또한 매혹적이다. 관습에서 벗어난 실험주의 작품"이라고 평했다.[6]이 영화는 칸 영화제에서 주목할 만한 시선상을 수상했다.[6] 이 상은 안드레아스 드레젠 감독의 독일 영화 《Stopped on Track》과 공동 수상했다.[7]
6. 논란
6. 1. 일본 개봉판 편집 논란
2011년 5월 13일에 제64회 칸 영화제의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서 상영되어 주목할 만한 시선상을 수상했다.[8] 일본 극장 개봉 당시, 김기덕 감독이 칸 영화제 시상식에서 눈물을 흘리며 "아리랑"을 부르는 엔딩 장면이 편집되어 논란이 되었다.[9]6. 2. 김기덕 감독 관련 논란
참조
[1]
웹사이트
English press kit Arirang
http://www.festival-[...]
Finecut
2011-05-14
[2]
웹사이트
Horaires 2011
http://www.festival-[...]
Cannes Film Festival
2011-05-14
[3]
웹사이트
Kim Ki-duk's one-man production creates a stir
http://www.koreahera[...]
2011-05-17
[4]
웹사이트
Arirang
https://www.variety.[...]
2011-05-14
[5]
웹사이트
Arirang
http://www.screendai[...]
2011-05-14
[6]
웹사이트
Arirang – review
https://www.theguard[...]
2014-01-28
[7]
웹사이트
Un Certain Regard Announces Top Prizes (Cannes 2011)
https://www.hollywoo[...]
2011-05-21
[8]
웹사이트
Un Certain Regard Announces Top Prizes (Cannes 2011)
http://www.hollywood[...]
2012-03-05
[9]
웹사이트
キム・ギドク監督「アリラン」、カンヌで熱唱の幻のエンディングを入手!
https://eiga.com/new[...]
2012-03-05
[10]
웹사이트
김기덕 신작열전: <아리랑> 그리고 <아멘> 개최
http://www.icinecube[...]
[11]
웹인용
Awards 2011 Un Certain Regard
http://www.festival-[...]
2012-04-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