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케다리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베케다리움은 돌이나 책에 새겨진 완전한 알파벳으로, 역사적으로 교회, 수도원 등에서 발견되었으며, 중세 시대 문맹자를 위한 교육 도구로 사용되었다. 알파벳은 초자연적인 힘을 가진 것으로 여겨졌으며, 각 글자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다. 가장 오래된 예시 중 하나는 아일랜드 킬말케더의 묘비에서 발견되었으며, 아베케다리움 시편과 찬송가, 그리고 17세기 뉴잉글랜드 프라이머에도 등장한다.
일부 아베케다리움에는 비문에서 달리 증명되지 않은 구식 문자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에트루리아 문자로 된 마르실리아나(토스카나 마을)의 아베케다리움에는 B, D, O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에트루리아어에 존재하지 않는 소리를 나타내므로 에트루리아 비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사파이어 문자 비문에서 알려진 것과 같은 다른 것들은 문자를 다른 순서로 나열하고 있어, 문자가 공식적으로 배우기보다는 우연히 배운 것임을 시사한다.[1]
2. 역사
2. 1. 고대
일부 아베케다리움에는 비문에서 달리 증명되지 않은 구식 문자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에트루리아 문자로 된 마르실리아나 (토스카나 마을)의 아베케다리움에는 B, D, O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에트루리아어에 존재하지 않는 소리를 나타내므로 에트루리아 비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사파이어 문자 비문에서 알려진 것과 같은 다른 것들은 문자를 다른 순서로 나열하고 있어, 문자가 공식적으로 배우기보다는 우연히 배운 것임을 시사한다.
아테네 아고라에서 발견된 일부 아베케다리움은 의도적으로 불완전한 것으로 보이며, 그리스 문자의 처음 3~6개의 문자로만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마법적 또는 의례적 의미를 가졌을 수 있다.[1] 아티카의 히메토스에서 발견된 의도적으로 불완전한 아베케다리움은 봉헌물이었을 수 있다.[2]
기독교 시대 초기에 라틴 문자는 이미 주요 변화를 겪어 확고한 체계를 갖추었다. 그리스 문자는 라틴 문자에 더욱 가까워졌다. 로마 시대 8세기 경에는 문자들은 예술적인 형태를 갖추었고, 이전의 좁은 형태를 잃었다. 클라우디우스 황제가 추가한 문자 세 개는 기독교 비문에서 사용된 적이 없다. 이 문자들은 클라우디우스 사후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기념 비문에 사용된 문자는 필기체와 매우 달랐다. 운철체는 조각된 기념물에서는 매우 드물게 나타났으며, 필기에 사용되었고, 4세기까지 나타나지 않았다.
아베케다리움을 담고 있는 물건의 대부분은 기독교 기원이 아니지만, 카르타고에서 발견된 두 개의 꽃병은 예외이다. 이 물건들에는 석공 견습생들이 기술을 배우는 동안 사용했던 석판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카타콤에서도 A, B, C 등의 기호가 새겨진 돌이 발견되었다. 이것들은 때때로 학자들을 당혹하게 하는 조합으로 배열되어 있다. 비아 노멘타나(Via Nomentana)의 성 알렉산더 묘지에서 발견된 돌에는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다.
AXBVCTESDR . . . . . .BCCEECHI
EQGPH. . . .M MNOPQ
RSTVXYZ
이것은 L. 카시우스 케키니아누스(L. Cassius Caecinianus)의 데나리우스와 비교할 수 있으며, 다음 비문이 새겨져 있다.
AX, BV, CT, DS, ER, FQ, GP, HO, IN, LM
제롬은 이러한 유사성을 설명했다. 아이들은 알파벳의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AX), 두 번째 글자와 뒤에서 두 번째 글자(BV)를 짝지어 배우도록 했다. 1877년 로마에서 발견된 돌은 6세기 또는 7세기에 제작되었으며, 학교에서 알파벳 학습의 모델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옛 교육 방식의 지속을 보여준다.
2. 2. 중세 및 근대
기독교 시대 초기 라틴 문자는 주요 변화를 거쳐 확고한 체계를 갖추었다. 그리스 문자는 라틴 문자에 더욱 가까워졌다. 로마 시대 8세기 경에는 문자들은 예술적인 형태를 갖추었고, 이전의 좁은 형태를 잃었다. 클라우디우스 황제가 추가한 문자 세 개는 기독교 비문에서 사용된 적이 없으며, 클라우디우스 사후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기념 비문에 사용된 문자는 필기체와 매우 달랐다. 운철체는 조각된 기념물에서는 매우 드물게 나타났으며, 필기에 사용되었고, 4세기까지 나타나지 않았다. 아베케다리움을 담고 있는 물건의 대부분은 기독교 기원이 아니지만, 카르타고에서 발견된 두 개의 꽃병은 예외이다. 이 물건들에는 석공 견습생들이 기술을 배우는 동안 사용했던 석판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카타콤에서도 A, B, C 등의 기호가 새겨진 돌이 발견되었는데, 이것들은 때때로 학자들을 당혹하게 하는 조합으로 배열되어 있다. 비아 노멘타나(Via Nomentana)의 성 알렉산더 묘지에서 발견된 돌에는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다.
AXBVCTESDR . . . . . .BCCEECHI
EQGPH. . . .M MNOPQ
RSTVXYZ
이것은 L. 카시우스 케키니아누스(L. Cassius Caecinianus)의 데나리우스와 비교할 수 있으며, 다음 비문이 새겨져 있다.
AX, BV, CT, DS, ER, FQ, GP, HO, IN, LM
제롬은 이러한 유사성을 설명했다. 아이들은 알파벳의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AX), 두 번째 글자와 뒤에서 두 번째 글자(BV)를 짝지어 배우도록 했다. 1877년 로마에서 발견된 돌은 6세기 또는 7세기에 제작되었으며, 학교에서 알파벳 학습의 모델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옛 교육 방식의 지속을 보여준다.
''아베케다리움''은 돌에 새겨지거나 책 형태로 쓰인 완전한 알파벳으로, 역사적으로 교회, 수도원 및 기타 교회 건물에서 발견되었다. 아베케다리움은 일반적으로 중세 시대의 교육 보조 도구, 특히 문맹자들을 위한 것으로 여겨진다. 알파벳은 룬 문자와 마찬가지로 초자연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었을 수 있다. 각 글자는 독실한 사람들에게 상징적인 의미를 가졌을 것이다.
가장 오래된 예시 중 하나는 현재 아일랜드 딩글 근처의 킬말케더에 있는 묘비로 사용되고 있다. 그것은 입석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알파벳 석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초기 기독교 시대의 알파벳을 보여준다.[3]
아베케다리움 시편과 찬송가가 존재하며, 이는 히브리어의 시편 119와 그리스어의 아카티스트 찬송가와 같이, 각 절 또는 구절이 알파벳의 연속적인 글자로 시작하는 작곡이다.[4]
17세기 보스턴에서 처음 인쇄된 교과서인 ''뉴잉글랜드 프라이머''에는 다음과 같이 시작하는 운율 대구의 강약격 2보격으로 된 아베케다리움이 포함되어 있다.
: '''아담'''의 타락으로,
::우리 모두 죄를 지었네.
: 당신의 삶을 고치기 위해,
::이 '''책'''에 주의를 기울이시오.
: '''고양이'''는 장난을 치고,
::그리고 죽이네.
3. 형태 및 용도
아테네 아고라에서 발견된 일부 아베케다리움은 의도적으로 불완전한 것으로 보이며, 그리스 문자의 처음 3~6개의 문자로만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마법적 또는 의례적 의미를 가졌을 수 있다.[1] 아티카의 히메토스에서 발견된 의도적으로 불완전한 아베케다리움은 봉헌물이었을 수 있다.[2]
기독교 시대 초기에 라틴 문자는 이미 주요 변화를 겪어 확고한 체계를 갖추었다. 그리스 문자는 라틴 문자에 더욱 가까워졌다. 로마 시대 8세기 경에는 문자들은 예술적인 형태를 갖추었고, 이전의 좁은 형태를 잃었다. 클라우디우스 황제가 추가한 문자 세 개는 기독교 비문에서 사용된 적이 없다. 이 문자들은 클라우디우스 사후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기념 비문에 사용된 문자는 필기체와 매우 달랐다. 운철체는 조각된 기념물에서는 매우 드물게 나타났으며, 필기에 사용되었고, 4세기까지 나타나지 않았다.
아베케다리움을 담고 있는 물건의 대부분은 기독교 기원이 아니지만, 카르타고에서 발견된 두 개의 꽃병은 예외이다. 이 물건들에는 석공 견습생들이 기술을 배우는 동안 사용했던 석판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카타콤에서도 A, B, C 등의 기호가 새겨진 돌이 발견되었다. 이것들은 때때로 학자들을 당혹하게 하는 조합으로 배열되어 있다. 비아 노멘타나(Via Nomentana)의 성 알렉산더 묘지에서 발견된 돌에는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다.
AXBVCTESDR . . . . . .BCCEECHI
EQGPH. . . .M MNOPQ
RSTVXYZ
이것은 L. 카시우스 케키니아누스(L. Cassius Caecinianus)의 데나리우스와 비교할 수 있으며, 다음 비문이 새겨져 있다.
AX, BV, CT, DS, ER, FQ, GP, HO, IN, LM
제롬은 이러한 유사성을 설명했다. 아이들은 알파벳의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AX), 두 번째 글자와 뒤에서 두 번째 글자(BV)를 짝지어 배우도록 했다. 1877년 로마에서 발견된 돌은 6세기 또는 7세기에 제작되었으며, 학교에서 알파벳 학습의 모델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옛 교육 방식의 지속을 보여준다.
3. 1. 비문
일부 아베케다리움에는 비문에서 달리 증명되지 않은 구식 문자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에트루리아 문자로 된 마르실리아나 (토스카나 마을)의 아베케다리움에는 B, D, O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에트루리아어에 존재하지 않는 소리를 나타내므로 에트루리아 비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사파이어 문자 비문에서 알려진 것과 같은 다른 것들은 문자를 다른 순서로 나열하고 있어, 문자가 공식적으로 배우기보다는 우연히 배운 것임을 시사한다.[1]
아테네 아고라에서 발견된 일부 아베케다리움은 의도적으로 불완전한 것으로 보이며, 그리스 문자의 처음 3~6개의 문자로만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마법적 또는 의례적 의미를 가졌을 수 있다. 아티카의 히메토스에서 발견된 의도적으로 불완전한 아베케다리움은 봉헌물이었을 수 있다.[2]
기독교 시대 초기에 라틴 문자는 이미 주요 변화를 겪어 확고한 체계를 갖추었다. 그리스 문자는 라틴 문자에 더욱 가까워졌다. 로마 시대 8세기 경에는 문자들은 예술적인 형태를 갖추었고, 이전의 좁은 형태를 잃었다. 클라우디우스 황제가 추가한 문자 세 개는 기독교 비문에서 사용된 적이 없다. 이 문자들은 클라우디우스 사후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기념 비문에 사용된 문자는 필기체와 매우 달랐다. 운철체는 조각된 기념물에서는 매우 드물게 나타났으며, 필기에 사용되었고, 4세기까지 나타나지 않았다.
아베케다리움을 담고 있는 물건의 대부분은 기독교 기원이 아니지만, 카르타고에서 발견된 두 개의 꽃병은 예외이다. 이 물건들에는 석공 견습생들이 기술을 배우는 동안 사용했던 석판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카타콤에서도 A, B, C 등의 기호가 새겨진 돌이 발견되었다. 이것들은 때때로 학자들을 당혹하게 하는 조합으로 배열되어 있다. 비아 노멘타나(Via Nomentana)의 성 알렉산더 묘지에서 발견된 돌에는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다.
AXBVCTESDR . . . . . .BCCEECHI
EQGPH. . . .M MNOPQ
RSTVXYZ
이것은 L. 카시우스 케키니아누스(L. Cassius Caecinianus)의 데나리우스와 비교할 수 있으며, 다음 비문이 새겨져 있다.
AX, BV, CT, DS, ER, FQ, GP, HO, IN, LM
제롬은 이러한 유사성을 설명했다. 아이들은 알파벳의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AX), 두 번째 글자와 뒤에서 두 번째 글자(BV)를 짝지어 배우도록 했다. 1877년 로마에서 발견된 돌은 6세기 또는 7세기에 제작되었으며, 학교에서 알파벳 학습의 모델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옛 교육 방식의 지속을 보여준다.
3. 2. 문학
3. 3. 주술적 의미
''아베케다리움''은 돌에 새겨지거나 책 형태로 쓰인 완전한 알파벳으로, 역사적으로 교회, 수도원 및 기타 교회 건물에서 발견되었다.[3] 아베케다리움은 일반적으로 중세 시대의 교육 보조 도구, 특히 문맹자들을 위한 것으로 여겨진다. 알파벳은 룬 문자와 마찬가지로 초자연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었을 수 있으며, 각 글자는 독실한 사람들에게 상징적인 의미를 가졌을 것이다.
예를 들어, 스코틀랜드 덤프리스에 있는, 오래 전에 철거된 그레이 프라이어스 성 마리아 교회에서 1967년에 처음 7개의 글자가 발견되었다. 이 경우, 글자는 1260년대의 롬바르드 문자로 새겨져 있으며, 전체 구조는 아마도 제단 근처에 있었을 것이다.
가장 오래된 예시 중 하나는 현재 아일랜드 딩글 근처의 킬말케더에 있는 묘비로 사용되고 있다. 그것은 입석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알파벳 석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초기 기독교 시대의 알파벳을 보여준다.[3]
아베케다리움 시편과 찬송가가 존재하며, 이는 히브리어의 시편 119와 그리스어의 아카티스트 찬송가와 같이, 각 절 또는 구절이 알파벳의 연속적인 글자로 시작하는 작곡이다.[4]
17세기 보스턴에서 처음 인쇄된 교과서인 ''뉴잉글랜드 프라이머''에는 다음과 같이 시작하는 운율 대구의 강약격 2보격으로 된 아베케다리움이 포함되어 있다.
: '''아담'''의 타락으로,
::우리 모두 죄를 지었네.
: 당신의 삶을 고치기 위해,
::이 '''책'''에 주의를 기울이시오.
: '''고양이'''는 장난을 치고,
::그리고 죽이네.
4. 한국의 아베케다리움
5. 현대적 의의
참조
[1]
서적
The Athenian Agora: Results of excavations conducted by the American School of Classical Studies at Athens. Volume XXI: Graffiti and Dipinti
The American School of Classical Studies at Athens
[2]
논문
Inscriptions on Geometric Pottery from Hymettos
[3]
서적
Mysterious Britain
Garnstone
[4]
웹사이트
Definitions
http://dictionary.re[...]
[5]
서적
The Athenian Agora: Results of excavations conducted by the American School of Classical Studies at Athens. Volume XXI: Graffiti and Dipinti
The American School of Classical Studies at Athens
[6]
논문
Inscriptions on Geometric Pottery from Hymetto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