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교는 학생들을 교육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고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다. 수메르, 고대 이집트, 고대 그리스 등에서 학교의 기원을 찾아볼 수 있으며, 중세 시대에는 대성당 학교, 수도원 학교, 대학교가 설립되어 교육의 중심 역할을 했다. 근대 이후에는 의무 교육이 일반화되면서 학교는 국가의 국민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대에는 온라인 학교의 등장으로 교육 방식이 다양해지고 있다. 학교는 교실, 도서관, 체육관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학생과 교직원의 안전, 학교 폭력, 입시 경쟁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학교 - 어린이집
  • 학교 - 발도르프 교육
    발도르프 교육은 루돌프 슈타이너가 창시한 교육 사상 및 실천 체계로, 전인 교육을 목표로 학생의 조화로운 발달을 추구하며 8년 담임제, 에포크 수업, 오이리트미 등의 독특한 교육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 교육 - 교육기관
    교육기관은 설립 주체와 교육 대상, 교육 수준에 따라 공교육 기관과 사교육 기관, 유아 교육기관, 초등 교육기관, 중등 교육기관, 고등 교육기관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되어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이다.
  • 교육 - 성인식
    성인식은 개인의 사회적 지위 변화를 알리는 의례로, 역사적으로 교육의 시작을 알리고 고대 사회에서 성인과 어린이를 구분하며 다양한 문화권과 종교적 의례로 나타난다.
학교
학교
기본 정보
유형교육 기관
목적학생 교육
교육 과정
내용기초 교육
중등 교육
목적지식 전달
기술 습득
사회화
문화 전달
인격 형성
창의력 개발
비판적 시각창의력 저해
호기심 억압
삶에 필요한 기술 부족
암기 학습 위주
학교 시스템
미국 교육 시스템미국 교육 시스템 이해
교육 기관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역할
학생 성장지적 성장
사회적 성장
정서적 성장
사회적 기능사회 통합
기타
교육 목표학생의 잠재력 개발
학교 시설교실, 도서관, 체육관

2. 역사

'학교'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σχολήgrc ()에서 유래했는데, 원래는 "여가" 또는 "여가를 보내는 곳"을 의미했지만, 나중에는 "강의를 듣는 사람들의 집단, 학교"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9][10][11]

비잔티움 제국은 초등 수준부터 확립된 교육 제도를 가지고 있었다. '''전통과 만남'''에 따르면, 초등 교육 제도의 설립은 425년에 시작되었고, 군인들은 보통 적어도 초등 교육을 받았다.[12]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에 귀족 자녀[52]의 교육 기관으로서 「'''대학료(大学寮)'''」라는 명칭의[53] 학교가 있었다. 쿠카이(空海)는 신분이나 빈부에 관계없이 배울 수 있는 교육 시설인 「'''종예종지원(綜芸種智院)'''」을 828년에 개설했다.

에도 시대에는 무사를 위한 번교(藩校)와 서민을 위한 서당(寺子屋)이 있었다. 메이지 초기에는 소학교(小学校) 및 사범학교(師範學校)가 설립되었다.

2. 1. 고대

슈루팍에서 발견된 증거에 따르면, 수메르에서는 기원전 4천년부터 학교가 존재했다. 책상은 진흙 벽돌로 만들어졌으며, 산술, 그림, 수메르어, 시간, 읽기와 쓰기, 결정, 수필, 우화, 지혜의 가르침, 찬송가, 서사시 등을 가르쳤다.[50]

고대 이집트에서는 주로 농부나 장인으로 구성된 하층 계급의 자녀는 부모의 일을 도왔기 때문에 부유한 사람들만 학교에 다녔다. 글을 쓸 수 있는 사람은 신부나 공무원이 될 수 있었다. 여학생도 학교에 다녔지만 남학생보다는 적었다. 수업은 보통 사원 학교와 행정 건물에서 했으며, 매우 엄격하여 체벌도 있었다. 파피루스는 필기 연습을 하기에는 너무 비쌌기 때문에 오스트라콘에 기록했다. 읽기와 쓰기, 수학, 지리, 역사, 천문학, 조각, 회화, 체육 등을 가르쳤다.

고대 그리스는 여러 도시 국가로 구성되어 통일된 정부 형태가 없었다. 따라서 지역마다 생활 방식이 달랐다. 전쟁을 중시했던 스파르타는 군사 교육에 집중한 반면, 부유한 아테네 가정의 자녀는 일반 교육 학교에 다닐 수 있었다. 아테네에는 의무 교육이나 공립학교 건물이 없었고, 아이들은 교사의 집에서 교육을 받았다. 고대 이집트와 달리 고대 그리스의 교사는 지위가 낮았고 급여도 적었다. 학생들은 밀랍판을 필기도구로 사용했다. 노래와 체육도 가르쳤다.

로마 공화국에서는 부모가 직접 가르치거나 교사를 고용했다. 로마 제국이 세워지기 전까지는 의무 교육도 없었고 공립학교도 거의 없었다. 학생들은 고대 그리스와 같이 밀랍판에 글을 썼다.

플라톤의 아카데미, 모자이크화, 폼페이


학생들을 중앙 집중식 장소에 모아 교육하는 개념은 고대부터 존재해 왔다. 정규 학교는 적어도 고대 그리스(아카데미), 고대 로마(고대 로마의 교육), 고대 인도(구르쿨), 고대 중국(중국의 교육 역사)에서부터 존재해 왔다.[12]

2. 2. 중세

서유럽에서는 중세 초기에 미래의 성직자와 관리들을 가르치기 위해 상당수의 대성당 학교가 설립되었다. 현재도 계속 운영 중인 가장 오래된 대성당 학교로는 캔터베리 왕립학교(597년 설립), 로체스터 왕립학교(604년 설립), 요크 세인트 피터스 학교(627년 설립), 세트퍼드 문법학교(631년 설립) 등이 있다. 5세기부터는 수도원 학교도 서유럽 전역에 설립되어 종교 및 세속 과목을 가르쳤다.[12]

12세기 유럽에서는 대학이 등장했고, 스콜라 철학이 중요한 도구였으며 학자들은 '스콜라 학자'라고 불렸다. 중세와 근세 초기의 대부분 기간 동안 학교(대학과는 대조적으로)의 주된 목적은 라틴어를 가르치는 것이었다. 이슬람 세계에서는 지식에 대한 강조로 인해 지식을 가르치고 전파하는 체계적인 방법과 구조가 필요했다. 처음에는 모스크가 종교 의식과 학습 활동을 결합했지만, 9세기까지 마드라사가 도입되었는데, 이는 모스크와는 독립적으로 건설된 학교였다. 알 카라위인은 859년에 설립되었다.[13]

2. 3. 근대

18세기 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의무 교육이 시행되었다. 특히 덴마크-노르웨이에서는 1739년에서 1741년 사이에 의무 교육이 도입되었는데, 주된 목적은 일반 사람들의 읽고 쓰는 능력을 높이는 것이었다.[13] 학교 교육 과정은 점차 모국어 읽기와 쓰기, 기술, 예술, 과학 및 실용 과목을 포함하도록 확대되었다.

미국의 초기 공립학교들은 대부분 일교실 학교였는데, 한 명의 교사가 같은 교실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7학년을 가르쳤다. 1920년대부터 일교실 학교는 여러 교실 시설로 통합되었고, 스쿨버스에 의해 교통편이 제공되었다.

2. 4. 현대

20세기 이후 학교는 대중 교육의 중심 기관으로 자리 잡았으며, 교육 과정과 교육 방법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지식 기반 사회의 발전에 따라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혁신이 강조되고 있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온라인 학교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학교가 등장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12세기에 대학이 등장했고, 스콜라 철학이 중요한 도구였으며 학자들은 ''스콜라 학자''라고 불렸다. 중세와 근세 초기의 대부분 기간 동안 학교(대학과는 대조적으로)의 주된 목적은 라틴어를 가르치는 것이었다. 이는 문법학교라는 용어를 낳았는데, 미국에서는 비공식적으로 초등학교를 가리키지만, 영국에서는 능력이나 적성에 따라 입학생을 선발하는 학교를 의미한다. 학교 교육 과정은 점차 모국어 읽기와 쓰기, 기술, 예술, 과학 및 실용 과목을 포함하도록 확대되었다.

의무 교육은 18세기 유럽 일부 지역에서 일반화되었다. 덴마크-노르웨이에서는 1739년에서 1741년 사이에 도입되었는데, 주된 목적은 ''almue'', 즉 "일반 사람들"의 읽고 쓰는 능력을 높이는 것이었다.[13] 미국의 초기 공립학교들은 대부분 일교실 학교였는데, 한 명의 교사가 같은 교실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7학년을 가르쳤다. 1920년대부터 일교실 학교는 여러 교실 시설로 통합되었고, 어린이 해킹과 스쿨버스에 의해 교통편이 점점 더 제공되었다.

이슬람은 현대적인 의미의 학교 제도를 발전시킨 또 다른 문화였다. 지식에 대한 강조는 지식을 가르치고 전파하는 체계적인 방법과 목적에 맞는 구조가 필요함을 의미했다. 처음에는 모스크가 종교 의식과 학습 활동을 결합했다. 그러나 9세기까지 마드라사가 도입되었는데, 이는 859년에 설립된 알 카라위인과 같이 모스크와는 독립적으로 건설된 학교였다. 그들은 또한 칼리프의 통제하에 ''마드라사'' 시스템을 공공 영역으로 만든 최초의 사람들이었다.

오스만 통치하에 부르사에디르네 도시는 주요 학습 중심지가 되었다. 모스크, 병원, 마드라사, 공용 주방 및 식당이 포함된 건물 단지인 오스만의 퀼리예 시스템은 무료 식사, 의료 및 때로는 무료 숙박을 통해 더 넓은 대중에게 학습을 제공하여 교육 시스템에 혁명을 일으켰다.

동유럽의 현대 학교(2차 세계 대전 이후)는 초등 및 중등 교육 모두 종종 결합되어 있다. 반대로, 중등 교육은 이수 여부로 나뉠 수 있다. 학교는 일반 교육 중학교로 분류된다. 기술적인 목적으로, 이들은 제공하는 교육의 "단계"를 세 가지로 구분한다. 첫 번째는 초등 교육, 두 번째는 미완성 중등 교육, 세 번째는 완성된 중등 교육이다. 일반적으로 처음 두 단계의 교육(8년)은 항상 포함된다. 반면, 마지막 단계(2년)는 학생들이 직업 또는 전문 교육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학교는 인터넷을 통해 원격으로 수업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온라인 학교는 나미비아 스쿨넷(School Net Namibia)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전통적인 학교를 지원할 수도 있다. 일부 온라인 수업은 수업 경험을 제공하기도 한다. 수업을 듣는 사람들은 이미 해당 과목을 소개받았고 무엇을 기대해야 하는지 알고 있다. 수업은 고등학교/대학교 학점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속도로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한다. 많은 온라인 수업은 비용이 들지만, 무료로 제공되는 수업도 있다.

Jitsi를 사용한 온라인 교실의 연출된 예시. 교사는 화면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기반 원격 학습 프로그램은 많은 대학을 통해 광범위하게 제공된다. 강사는 온라인 활동과 과제를 통해 수업을 진행한다. 온라인 수업은 대면 수업과 동일한 커리큘럼으로 진행된다. 강사는 다른 수업과 마찬가지로 고정된 요구 사항이 포함된 강의계획서를 제공한다. 학생들은 마감일까지 강사에게 과제를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이는 이메일이나 강좌 웹페이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속도로 작업하면서도 정확한 마감일을 맞출 수 있다. 온라인 수업을 듣는 학생들은 자신의 일정에 더 많은 유연성을 가지고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시간에 수업을 들을 수 있다.

집에서 학습하는 편리성은 온라인 등록에 대한 매력적인 요소였다. 학생들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어디든지 – 집, 도서관 또는 해외 여행 중에도 – 수업에 참석할 수 있다. 온라인 학교 수업은 학생들이 계속해서 일하고 다른 의무를 다할 수 있도록 학생의 요구에 맞게 설계되었다.[37] 온라인 학교 교육은 온라인 초등학교, 온라인 중학교, 온라인 고등학교의 세 가지 하위 범주로 나뉜다.

3. 각국의 학교

각국의 학교는 역사, 문화, 사회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학생들을 중앙 집중식 장소에 모아 교육하는 개념은 고대부터 존재해 왔다. 정규 학교는 적어도 고대 그리스(아카데미 참조), 고대 로마(고대 로마의 교육 참조), 고대 인도(구르쿨 참조), 고대 중국(중국의 교육 역사 참조) 이후부터 존재해왔다.


  • '''대한민국''': 한국전통문화대학교(문화재청 관할) 등을 제외하면 국공립 학교는 교육부에서 관할한다. 2009년 일부 중학교에서 1학년을 대상으로 교과교실제를 운영했으며, 2010년부터 전국의 모든 중학교로 확대되었다. 현재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교과교실제 운영 현황을 공개하고 있다.[64]
  • '''일본''': 메이지 시대에 소학교와 사범학교를 설립하면서 '학교'라는 용어가 정착되었다. 그 이전에는 서당, 번교 등 다양한 교육 기관이 있었다. 헤이안 시대에는 귀족 자녀 교육 기관인 '대학료'[53]가 있었고, 쿠카이는 신분과 빈부에 관계없이 배울 수 있는 '종예종지원'을 개설했다. 에도 시대에는 무사를 위한 번교와 서민을 위한 서당이 있었다.[54] 메이지 유신 이후 근대적인 학교 제도가 도입되었고, 초기에는 왕래물이 교과서로 사용되었다.[58]


시작 월국가명
4월일본, 북한, 인도


  • '''유럽''': 대부분 교과 교실제와 9월 학기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한 학년에 1~2개 반밖에 없어 월반이나 유급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스위스 등에서는 교복을 입지 않지만, 영국은 교복을 입는다. 핀란드는 교사가 한 교실에 3명씩 있다.[63] 대부분 5-3-4제 또는 5-4-3제를 채택하지만, 스웨덴, 덴마크, 핀란드는 9-3제를 채택한다. 남유럽에서는 시에스타를 적용하기도 한다. 비잔티움 제국은 초등 교육 제도를 425년에 설립했고, 군인들은 초등 교육을 받았다.[12] 중세 초기 서유럽에서는 대성당 학교와 수도원 학교가 설립되었다. 12세기에는 대학이 등장했고, 스콜라 철학이 중요해졌다. 중세와 근세 초기 학교의 주된 목적은 라틴어 교육이었다. 의무 교육은 18세기 유럽 일부 지역에서 일반화되었고, 덴마크-노르웨이에서는 1739~1741년에 도입되었다.[13]


알베르 베타니에(Albert Bettannier)의 1887년 그림 「검은 점(La Tache noire)」은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 "잃어버린" 알자스-로렌 주에 대해 교육하는 모습을 묘사하며, 유럽 학교들이 민족주의를 주입하는 데 사용된 예시이다.


대륙 유럽의 많은 지역에서 "학교"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초등 교육을 의미하며, 초등학교는 국가에 따라 4년에서 9년까지 운영된다. 독일에서는 그룬트슐레(Grundschule) 졸업 후 게잠트슐레(Gesamtschule), 하웁트슐레(Hauptschule), 레알슐레(Realschule) 또는 김나지움(Gymnasium) 중 한 곳으로 진학해야 한다.[22] 동유럽의 현대 학교는 초등 및 중등 교육이 결합되어 있으며, 중등 교육은 이수 여부로 나뉜다.

  • '''미국''': 영국의 영향을 받아 9월 학기제와 교과 교실제를 운영한다. 많은 학교들이 스쿨 버스를 운영하며, 교복을 입는 학교도 있다. 주마다 교육 제도와 학제가 다르며, 부유층 학생들은 사립 학교에 다닌다. 과거 남부 주들은 인종 차별 정책으로 인해 흑인과 백인이 분리된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12]
  • '''오스트레일리아''': 3월 학기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남반구에 위치하여 12월부터 2월까지 방학을 한다. 스쿨버스를 운영하는 학교가 많고, 먼 거리에 사는 학생들을 위해 인터넷 원격 교육을 제공한다.[16]
  • '''아라비아''': 교과 교실제를 채택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은 일부 국가는 남녀 공학 학교가 없으며, 학교 교과목에 코란이 포함되어 있다.[12] 여학교 학생들은 히잡을 착용해야 하며, 금요일라마단 기간에는 수업을 하지 않는다.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학교는 교육부에서 관할하며,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의 학제를 따른다. (6-3-3-4제)[64]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어 교육이 강요되었으며, 광복 이후에는 미국식 학제를 도입하여 현재의 교육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1969년 무즙 파동창칼 파동 등 중학교 입시 관련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중학교 입시가 폐지되었고, 1982년 교복자율화가 시행되었다. 그러나 1985년 복장 선택 권한이 학교장 재량으로 변경되면서 다시 교복을 입게 되었다. 1996년에는 국민학교라는 명칭이 일제 강점기의 잔재라는 비판에 따라 초등학교로 변경되었다.

2000년대 이후에는 학생들의 학습 수준에 맞춰 수업을 진행하는 수준별 이동 수업이 일부 중학교에서 수학, 영어 과목을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다. 또한, 과목별로 특성화된 교실에서 수업을 듣는 교과교실제가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6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으로 인해 2020년에는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3. 1. 1. 일제 강점기 이전

고구려 시대에는 태학과 경당이 있었다. 고려 시대에는 태학국자감으로, 다시 성균관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신라 시대에는 국학이, 각 지방에는 향교가 설립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서당, 한성의 4학, 서원 등이 있었다. 1884년 이후 근대식 학교가 설립되었고, 교과서는 대부분 한자로 쓰여졌다. 19세기 중반까지 여성들은 학교에 다니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다.

3. 1. 2.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에는 학교 수업 시간에 일본어만 쓰도록 강요하였다. 이 시기 학생들의 교복한복에서 양복으로 바뀌었고, 머리도 짧게 깎아야 했다. 여자들은 이때 학교에 많이 입학하게 되었다. 일제 강점기 말에는 학교 교과목에서 조선어를 선택 과목으로 낮춘 후 아예 빼 버렸고, 일본어 교육을 강화하였으며, 민족적 색채가 강한 학교를 폐교시키거나 강제 개명시켜 버렸다. 게다가 황국 신민의 서사까지 외워야 했다. 일제 막바지에는 학교에서 학생들이 고된 군사 훈련 (일명 교련)을 받았다. 일제 강점기 초에는 많은 사립 학교들이 사라지고 공립 학교를 늘려 나갔다. 일제 강점기에만 있었던 학교로는 간이학교, 보습학교, 전문학교 등이었다. 일제 강점기 초기에는 공립 학교 외에도 서당야학이 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3·1 운동과 같은 사건 때에는 일본이 한국의 모든 학교에 강제 방학을 실시하였다. 일제 말기에는 한국어 사용 금지 정책과 창씨개명이 시행되면서 모든 학교는 학적부의 성명란에 적힌 학생들의 이름을 모두 일본식으로 바꿔야 했고, 창씨개명을 거부하는 학생들을 모두 퇴학시켰다. 또한 학교에서 한국어를 쓰다가 걸리면 체벌이 가해졌다.[12] 그리고 노동력 확보를 위하여 실업 교육에 치중하였다.

3. 1. 3. 광복 이후

광복 이후 미국을 본따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대학교 4년을 이수하는 6.3.3.4 학제가 도입되었다. 한국 전쟁으로 서울특별시 등 대도시의 학교들이 파괴되기도 하였으나, 피란지에서 천막을 치고 학교를 만들어 교육을 이어갔다. 1969년에는 무즙 파동창칼 파동 등의 사태를 막기 위해 중학교 입시가 폐지되었고, 국민 교육 헌장이 선포되었다. 1972년에는 체력장이 실시되었다 (2009년 기준으로, 체력장이 체력검사로 이름을 바꾸고 초등학교 전 학년 모두 체력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3. 1. 4. 1980년대 이후

1982년 중고등학교에서 일주일에 한 번 사복을 입을 수 있게 하고, 1983년에는 교복을 입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교복자율화가 시행되었다. 같은 해 6월 20일에는 학교에서의 체벌을 금지하였다. 그러나 탈선과 빈부 격차 증가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1985년에는 복장 선택 권한을 학교장 재량에 따르도록 바꾸었다. 이로 인해 모든 중고등학생들이 다시 교복을 입게 되었으나, 이전처럼 디자인에 제한을 두지 않았다. 1993년에는 고등학교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첫해만 2회 실시)을 보게 되고, 1996년에는 국민학교(國民學校)의 이름을 초등학교(初等學校)로 고치게 되었다. 2001년에는 세계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중학교의 교과목에 일본어, 중국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가, 2005년에는 아랍어(이때의 아랍어는 표준 아랍어)가 교과목으로 추가되었다.

2009년에는 몇몇 중학교에서 1학년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교과교실제를 운영하고 있다. 이후 단계적으로 교과교실제가 확대되면서 보통교실제는 사라지게 될 것이다. 2008년 7월 18일이천시의 한 초등학교에서 선생님이 학생들을 빗자루로 체벌한 것이 파문을 일으키면서 대부분의 학교에서 체벌 대신 그린마일리지(상점과 벌점) 제도를 운영하고, 상, 벌점의 원활한 활용을 위해 전자카드형 학생증을 발급하는 학교도 있다.

1985년에 도서 지역을 시작으로 중학교의 의무교육화가 시행되어 확산돼 가면서 2004년에는 중학교가 완전히 의무교육이 되었다. 오늘날 일부 중학교에서는 수학영어 과목을 학습 성취도와 성적에 따라 3개의 반으로 나누는 수준별 이동 수업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2020년 대한민국에선 온라인 개학이 이루어졌다.

3. 2. 일본

일본의 학교는 4월 학기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보통 교실제를 유지하고 있다.[59]

일본에서 '학교'라는 용어는 메이지 시대에 소학교와 사범학교를 설립하면서 언어 생활에 정착되었다. 그 이전에는 서당, 번교, 학문소, 사숙(서당(松下村塾) 등)과 같은 다양한 교육 기관이 존재했다.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에 귀족 자녀[52]의 교육 기관으로 '대학료'[53]라는 학교가 있었다. 또한 쿠카이는 신분이나 빈부에 관계없이 배울 수 있는 '종예종지원'을 828년에 개설하여 서민에게도 교육의 문호를 개방하였다.

에도 시대에는 무사를 위한 번교와 서민을 위한 서당이 대표적인 교육 기관이었다.[54] 번교는 번사들을 교육하는 기관이었고,[54] 서당은 서민들에게 읽기, 쓰기, 주판 등 실생활에 필요한 지식을 가르쳤다.[57]

메이지 유신 이후, 소학교와 사범학교가 설립되면서 근대적인 학교 제도가 도입되었다. 초기에는 에도 시대의 왕래물이 교과서로 사용되었다.[58]

일본의 학교 학년도는 4월 1일에 시작하여 다음 해 3월 31일에 끝난다. 이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 지원학교, 유치원에 적용된다.[59] 대학은 총장이 학년도를 정하며, 9월이나 10월에 입학하는 제도도 있다.[59] 에도 시대의 서당이나 메이지 초기의 학교에서는 입학 시기가 자유로웠으나, 1886년 회계연도가 4월 시작으로 변경되면서 학교 학년도도 4월 시작으로 통일되었다.[59]

시작 월국가명
4월일본, 북한, 인도


3. 3. 유럽

유럽의 거의 대부분의 학교는 교과 교실제와 9월 학기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에서 한 학년은 1~2개 반밖에 없어 수재들이 월반하거나 열등생들이 유급하기도 한다.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스위스 등에서는 교복을 입지 않지만, 영국의 학교는 교복을 입는다. 핀란드는 교사가 한 교실에 3명씩 있다.[63]

유럽 국가들의 대부분은 5-3-4제 (초등학교 5년-중학교 3년-고등학교 4년) 또는 5-4-3제 (초등학교 5년-중학교 4년-고등학교 3년)를 택하지만 스웨덴, 덴마크, 핀란드는 9-3제 (종합학교 9년-고등학교 3년)를 채택하고 있다. 더위가 극심한 남유럽에서는 학교에도 시에스타를 적용한다.

학생들을 중앙 집중식 장소에 모아 교육하는 개념은 고대부터 존재해 왔다. 정규 학교는 적어도 고대 그리스(아카데미 참조), 고대 로마(고대 로마의 교육 참조) 이후부터 존재해왔다. 비잔티움 제국은 초등 수준부터 확립된 교육 제도를 가지고 있었다. '''전통과 만남'''에 따르면, 초등 교육 제도의 설립은 425년에 시작되었고 "... 군인들은 보통 적어도 초등 교육을 받았다..." 제국의 때로는 효율적이고 종종 거대한 정부는 교육받은 시민이 필수적임을 의미했다. 비잔티움은 생존 과정에서 로마 문화의 위엄과 사치의 많은 부분을 잃었지만, 제국은 군사 교범에서 효율성을 강조했다. 비잔티움 교육 제도는 1453년 제국 붕괴까지 계속되었다.[12]

서유럽에서는 중세 초기 동안 미래의 성직자와 관리들을 가르치기 위해 상당수의 대성당 학교가 설립되었으며, 가장 오래된 대성당 학교로는 현재도 계속 운영 중인 캔터베리 왕립학교(597년 설립), 로체스터 왕립학교(604년 설립), 요크 세인트 피터스 학교(627년 설립) 및 세트퍼드 문법학교(631년 설립)가 있다. 5세기부터 수도원 학교도 서유럽 전역에 설립되어 종교 및 세속 과목을 가르쳤다.

유럽에서는 12세기에 대학이 등장했고, 여기서 스콜라 철학이 중요한 도구였으며 학자들은 ''스콜라 학자''라고 불렸다. 중세와 근세 초기의 대부분 기간 동안 학교(대학과는 대조적으로)의 주된 목적은 라틴어를 가르치는 것이었다. 이는 문법학교라는 용어를 낳았는데, 미국에서는 비공식적으로 초등학교를 가리키지만, 영국에서는 능력이나 적성에 따라 입학생을 선발하는 학교를 의미한다. 학교 교육 과정은 점차 모국어 읽기와 쓰기, 기술, 예술, 과학 및 실용 과목을 포함하도록 확대되었다.

의무 교육은 18세기 유럽 일부 지역에서 일반화되었다. 덴마크-노르웨이에서는 1739년에서 1741년 사이에 도입되었는데, 주된 목적은 ''almue'', 즉 "일반 사람들"의 읽고 쓰는 능력을 높이는 것이었다.[13]

대륙 유럽의 많은 지역에서 "학교"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초등 교육을 의미하며, 초등학교는 국가에 따라 4년에서 9년까지 운영된다. 또한 중등 교육에도 적용되며, 중학교는 종종 김나지움(Gymnasium)과 직업학교로 나뉘는데, 이는 국가와 학교 유형에 따라 3년에서 6년 동안 학생들을 교육한다. 독일에서는 그룬트슐레(Grundschule)를 졸업한 학생들은 직업학교로 바로 진학할 수 없다. 대신 게잠트슐레(Gesamtschule), 하웁트슐레(Hauptschule), 레알슐레(Realschule) 또는 김나지움(Gymnasium)과 같은 독일의 일반 교육 학교 중 한 곳으로 진학해야 한다.[22] 이 학교를 떠날 때(보통 15~19세), 직업학교로 진학할 수 있다. "학교"라는 용어는 대학교와 같은 일부 고등교육기관(독일어: Hochschule)을 제외하고는 고등 교육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22]

동유럽의 현대 학교(2차 세계 대전 이후)는 초등 및 중등 교육 모두 종종 결합되어 있다. 반대로, 중등 교육은 이수 여부로 나뉠 수 있다. 학교는 일반 교육 중학교로 분류된다. 기술적인 목적으로, 이들은 제공하는 교육의 "단계"를 세 가지로 구분한다. 첫 번째는 초등 교육, 두 번째는 미완성 중등 교육, 세 번째는 완성된 중등 교육이다. 일반적으로 처음 두 단계의 교육(8년)은 항상 포함된다. 반면, 마지막 단계(2년)는 학생들이 직업 또는 전문 교육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다.

영국에서는 "학교(school)"라는 용어는 주로 대학교 이전 교육기관을 가리키며, 대부분 유치원이나 유아학교, 초등학교(때로는 유치부와 초등부로 더 나뉨), 그리고 중등학교로 나눌 수 있다.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다양한 중등학교 유형에는 문법학교, 포괄학교, 중학교, 그리고 시 아카데미가 있다.[14] 스코틀랜드에서는 이름이 다를 수 있지만 중등학교는 한 가지 유형만 존재한다. 하지만, 주립 또는 사립으로 운영될 수 있다. 스코틀랜드 학교의 성과는 교육감찰청이 모니터링한다. Ofsted는 잉글랜드의 성과를, Estyn은 웨일스의 성과를 보고한다.

영국에서는 대부분의 학교가 공립으로 운영되며, 국립학교 또는 유지학교로 알려져 있으며 수업료는 무료이다.[15] 또한 수업료를 받는 사립학교 또는 사립학교도 있다.

3. 4. 미국

미국은 영국의 영향을 받아 9월 학기제와 교과 교실제(각 교과의 특성에 맞는 환경에서 학생들이 교실을 이동하며 수업을 듣는 방식)를 운영한다. 미국의 많은 학교들은 스쿨 버스를 운영하며, 교복을 입는 학교도 있다. 주마다 교육 제도와 학제가 다르며(5-3-4제, 6-3-3제, 6-6제 등), 부유한 집안의 학생들은 사립 학교에 다닌다. 캐나다처럼 중학교부터 대학교처럼 강의 시간표를 학생 개개인이 학교 카운슬러와 협의해서 짜고, 담임 선생님 없이 교과 선생님들만 있다. 과거 미시시피주, 앨라배마주, 테네시주, 텍사스주, 조지아주, 플로리다주, 아칸소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루이지애나주, 노스캐롤라이나주와 같은 남부 주들은 흑백 차별 정책으로 인해 흑인과 백인이 분리된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12] 미국에서는 주가 학년도를 정하고 있다.[59]

3. 5.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는 3월 학기제를 채택하고 있는데, 남반구에 위치하여 여름인 12월부터 2월까지 방학을 한다. 학생들 대부분이 학교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거주하기 때문에 스쿨버스를 운영하는 학교가 많다. 그러나 학교를 가려면 비행기를 타야 할 정도로 먼 거리에 사는 학생들을 위해서는 인터넷을 통한 원격 교육을 제공하기도 한다.[16] 오스트레일리아의 대학에서는 일반적으로 2월과 가을에 입학 기회를 제공하며, 연 3회 학생을 받아들이는 대학도 있다.[60]

3. 6. 아라비아

아라비아의 학교는 교과 교실제를 채택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이 아라비아 국가에는 남녀 공학 학교가 하나도 없는 나라도 있으며, 학교 교과목에 코란이 포함되어 있다.[12] 여학교의 모든 학생들은 히잡을 착용해야 하며, 모든 학교는 금요일은 물론 라마단 기간에도 수업을 하지 않는다.

4. 학교의 구성 요소

320x320px


학교는 교육 제도의 핵심 시스템이자 사회 시스템의 한 부분이다.[45] 현대 국가에서 학교는 교육 제도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며, 법률에 따라 설립되고 국고 지원을 받는 등 제도화된 형태로 운영된다.[46]

일본의 학교교육법에서는 학교를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의무교육학교, 고등학교, 중등교육학교, 특수학교, 대학교 및 고등전문학교"로 정의한다.[47] 전문학교[48], 각종학교[49]는 학교교육법 상 정규 학교이지만, 일조교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학교는 설립 주체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된다(학교교육법 제2조).

  • 국립학교: 국가가 설립
  • 공립학교: 지방자치단체가 설립
  • 사립학교: 학교법인이 설립


공립학교는 교육과정·학습지도요령에서 벗어나기 어렵지만, 국립 및 사립 학교는 비교적 자유롭게 독자적인 교육과정을 편성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법학의 관점에서는 교육과정·학습지도요령이 국립·공립·사립에 동등하게 적용된다.

4. 1. 시설

학교는 교육과 학습을 위한 목적으로 조직된 공간이다. 교사가 가르치고 학생이 배우는 교실은 중심적인 중요성을 지닌다. 교실은 과학교육을 위한 실험실, 공업 기술 교육을 위한 작업장과 같이 특정 과목에 특화될 수 있다.[31]

일반적인 학교에는 다음과 같은 많은 다른 방과 구역이 있다.[31]

  • 식당(공용 공간): 학생들이 점심과 종종 아침, 간식을 먹는 곳이다.
  • 운동장, 놀이터, 체육관, 트랙: 학생들이 스포츠나 체육 연습을 하는 곳이다.
  • 학교 운동장: 주로 초등학교에 있는 다목적 놀이터로, 종종 콘크리트로 만들어진다.
  • 강당 또는 홀: 학생들의 연극 및 음악 공연을 할 수 있고, 전체 학교 행사(예: 조례)가 열리는 곳이다.
  • 사무실: 학교의 행정 업무가 처리되는 곳이다.
  • 도서관: 학생들이 사서에게 참고 질문을 하고, 책과 잡지를 대여하며, 종종 컴퓨터를 사용하는 곳이다.
  • 컴퓨터실: 컴퓨터 기반 작업을 하고 인터넷에 접속하는 곳이다.
  • 문화 활동: 학생들이 게임, 춤, 음악과 같은 활동을 통해 문화적 실천을 유지하는 곳이다.
  • 음악실, 음악당
  • 교직원실, 교장실
  • 미술실
  • 과학실
  • 방송실

5. 학교 관련 문제

교직원과 학생의 안전은 학교 공동체에서 점점 중요해지는 문제이며, 대부분의 학교는 보안 강화를 통해 이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 일부 학교에서는 스쿨버스 탑승 시 신분증을 찍도록 하거나, 공공 안전 대응을 돕기 위해 출입문 번호 매기기 계획을 포함하기도 한다.[33]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 4는 안전하고 비폭력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교육 시설 개선을 촉구한다.[35]

5. 1. 학교 폭력

학교 폭력은 학생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이다. 더불어민주당은 학교 폭력 예방 및 근절을 위해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학교 폭력 전담 기구를 설치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해서는 학교, 가정, 사회의 협력이 필요하다.

일부 학교에서는 학교 폭력을 줄이기 위해 CCTV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기도 한다. 이는 특히 폭력 조직 활동이나 폭력이 있는 학교에서 흔하다. 금속 탐지기를 설치하는 학교도 있다.[33] 학교가 직면하는 다른 보안 문제에는 폭탄 위협, 폭력 조직, 그리고 훼손 행위가 포함된다.[34]

5. 2. 입시 경쟁

일부 국가에서 교직은 다른 직업보다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편이다.[38] 학생들은 스트레스 때문에 치료제를 처방받기도 하는데, 이는 표준화된 시험과 평균 이상의 점수를 받아야 한다는 압박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42][43]

2008년 Associated Press와 mtvU의 연구에 따르면,[44] 미국 대학생 10명 중 8명은 일상에서 스트레스를 느끼며, 5년 전보다 20% 증가했다. 34%는 우울감을 느꼈고, 13%는 불안 장애나 우울증 진단을 받았으며, 9%는 자살을 고려한 적이 있다고 한다.[44]

5. 3. 교권 침해

교권 침해는 교사의 교육 활동을 위축시키고 학생들의 학습권을 침해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교권 보호를 위해 교원 지위 향상 및 교육 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교원 지원 시스템을 강화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존중 문화를 형성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존중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6. 기타

학교는 그리스어 σχολή|스콜레grc()에서 유래했는데, 원래는 "여가" 또는 "여가를 보내는 곳"을 의미했지만, 나중에는 "강의를 듣는 사람들의 집단, 학교"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9][10][11]

숙식을 제공하며 모든 학생을 기숙사에 수용하는 학교를 기숙 학교라고 한다. 미국캐나다는 기숙 학교가 50곳이 넘는다. 대한민국은 일부 중, 고등학교에만 기숙사가 있으며 기숙학교는 대개 사립학교에서 운영한다.

참조

[1] 서적 Research Handbook on Innovation Governance for Emerging Economies: Towards Better Models Edward Elgar 2017-01-27
[2] 학술지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https://ourworldinda[...] 2019-10-24
[3]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American Education System https://www.studyusa[...] 2022-11-09
[4] 웹사이트 Indo American Public School (IAPS) | Best School in Udaipur https://www.indoamer[...]
[5] 웹사이트 Schools don't prepare children for life. Here's the education they really need http://www.theguardi[...] 2017-06-12
[6] 웹사이트 Why it's important to understand your child's temperament https://www.greatsch[...] 2009-09-09
[7] 웹사이트 Do schools kill creativity? https://www.ted.com/[...] 2006-06-27
[8] 웹사이트 'Schools are killing curiosity': why we need to stop telling children to shut up and learn http://www.theguardi[...] 2020-01-28
[9]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10] 웹사이트 School http://oxforddiction[...]
[11] 웹사이트 σχολή https://www.perseus.[...]
[12] 서적 Traditions & Encounters a Global Perspective on the Past McGraw-Hill
[13] 웹사이트 Leseferdighet og skolevesen 1740–1830 https://web.archive.[...] Open Digital Archive
[14] 웹사이트 Types of school https://www.gov.uk/t[...]
[15]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tate Schools & Private Schools? https://www.britishc[...]
[16] 웹사이트 Education https://thecommonwea[...]
[17] 웹사이트 School Meaning Sanskrit Arth Translate Kya Matlab https://www.bsarkari[...]
[18] 웹사이트 Vidyalaya, Vidyālaya, Vidya-alaya: 7 definitions https://www.wisdomli[...]
[19] 웹사이트 Missionaries and expansion of mass western education in India 1700–1813 https://medium.com/e[...] 2020-02-02
[20] 학술지 Missionary Education, Religion and Knowledge in India, c. 1880-1915 http://www.jstor.org[...] 2007
[21] 웹사이트 The Education System in India - GNU Project - Free Software Foundation https://www.gnu.org/[...]
[22] 웹사이트 School system & compulsory education https://www.make-it-[...]
[23] 웹사이트 The US Higher Education System Explained https://shorelight.c[...]
[24] 웹사이트 Elementary, Grammar, and Secondary Schools https://www.encyclop[...]
[25] 학술지 The West African "Bush" School 1943-05
[26] 서적 Islamic Education in Africa Indiana University Press 2016
[27] 리다이렉트
[28] 웹사이트 Universal Basic Education Commission Home https://www.ubec.gov[...]
[29] 웹사이트 Mosharraf Zaidi: Why we wanted to believe what Greg Mortenson was selling https://nationalpost[...]
[30] 뉴스 Parochial education https://www.britanni[...]
[31] 웹사이트 Spaces for Education https://pages.uorego[...]
[32] 서적 #CommitToEducation https://unesdoc.unes[...] UNESCO
[33] 웹사이트 Cards let schools, parents keep eye on their students https://eu.usatoday.[...]
[34] 웹사이트 School Vandalism Takes Its Toll https://web.archive.[...] UdisePlus.com
[35] 웹사이트 SDG4's 10 targets https://www.campaign[...]
[36] 논문 I'm your teacher, not your Internet service provider. https://search.ebsco[...] 2003-03-01
[37] 웹사이트 Online Education Offers Access and Affordability https://www.usnews.c[...] Usnews.com 2015-05-17
[38] 웹사이트 Work-Related Stress in teaching http://www.wrsrecove[...] Wrsrecovery.com 2009-10-03
[39] MS thesis Teacher Stress, Burnout and NCLB: The U.S. Educational Ecosystem and the Adaptation of Teachers http://rave.ohiolink[...] Miami University 2012-12-18
[40] 웹사이트 Teacher Support for England & Wales http://www.teachersu[...] Teachersupport.info 2009-10-03
[41] 웹사이트 Teacher Support for Scotland http://www.teachersu[...] Teachersupport.info 2009-10-03
[42] 뉴스 Survey confirms student stress, but next step is unclear (May 06, 2005) http://www.paloaltoo[...] Paloaltoonline.com 2005-05-06
[43] 웹사이트 Children & School Anxiety, Stress Management http://www.webmd.com[...] Webmd.com 2010-03-28
[44] 웹사이트 mtvU and Associated Press poll shows how stress, war, the economy and other factors are affecting college students' mental health. https://web.archive.[...] 2008-03-19
[45] 서적 学校制度と社会 第二版 玉川大学出版局
[46] 서적 学校制度と社会 第二版 玉川大学出版局
[47] 법률 学校教育法第1条
[48] 법률 学校教育法第124条
[49] 법률 学校教育法第134条
[50] 서적 シュメル 人類最古の文明 中央公論新社
[51] 서적 記憶の場
[52] 일반
[53] 일반
[54] 서적 学校制度と社会 第二版 玉川大学出版局
[55] 서적 学校制度と社会 第二版 玉川大学出版局
[56] 서적 学校制度と社会 第二版 玉川大学出版局
[57] 서적 学校制度と社会 第二版 玉川大学出版局
[58] 웹사이트 明治期の教科書 その1 http://www.aichi-pre[...]
[59] 웹사이트 日本の学校はなぜ4月に新しい学年がスタートするのか? 諸外国はどうか? https://www.nli-rese[...] ニッセイ基礎研究所 2020-11-30
[60] 웹사이트 Australia University Intakes - Everything You Need to Know https://myunisearch.[...] 2024-06-13
[61] 서적 Research handbook on innovation governance for emerging economies : towards better models 2017-01-27
[62] 웹사이트 International Schools http://www.indoameri[...]
[63] 웹인용 siesta : 네이버 영어사전 https://endic.naver.[...] 2018-12-13
[64] 웹사이트 한국 교육 개발원 교과 교실제 현황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