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벨 무조레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벨 무조레와는 1925년 로디지아(현 짐바브웨)에서 태어난 감리교 목사이자 정치가이다. 그는 감리교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미국에서 유학하여 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68년 로디지아 주교로 임명되었으며, 1971년 아프리카 연합 국민 회의(UANC)를 창당하여 "다수결의 결정이 없는 한 독립이 불허된다"는 원칙을 내세웠다. 1978년 내부 합의를 통해 과도 정부를 구성하고 총리로 취임했으나, 1980년 총선에서 패배했다. 이후 로버트 무가베 정권과 갈등을 겪었으며, 1996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무조레와는 2010년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은 짐바브웨의 독립, 감리교회 활동, 아프리카 대학교 설립 등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짐바브웨의 정치인 - 모건 창기라이
    모건 창기라이는 짐바브웨의 정치인이자 민주변화운동(MDC)의 창립자 및 지도자로서, 짐바브웨 아프리카 민족연합-애국전선(ZANU-PF)과 로버트 무가베에 맞서 민주주의 운동을 이끌었으며 짐바브웨 총리를 역임하고 노동 운동에도 참여했으나 정치 활동 중 여러 차례 탄압을 받다 대장암으로 사망했다.
  • 짐바브웨의 정치인 - 펠레케젤라 음포코
    펠레케젤라 음포코는 짐바브웨의 외교관 출신 정치인으로, 보츠와나와 러시아 대사를 역임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사로 발령 직전 2014년 12월 부통령에 임명되어 국가 치유, 평화 및 화해 장관직과 정책 조정 및 이행 업무를 겸임하다 2024년 12월 6일 인도에서 사망했다.
  • 자서전 작가 - 니키포로스 블렘미디스
    니키포로스 블렘미디스는 13세기 비잔틴 제국의 학자로서 철학, 신학, 법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연구, 기독교 신학 재해석, 동방 정교회 옹호 등 비잔틴 제국 학문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자서전 작가 - 료청란
    료청란은 말레이시아 출신의 중국계 미식가이자 작가로, 《난양상보》 전국 업무 전원을 역임하고 사회우수봉사훈장과 세계 미식 거장 휘장을 수여받았으며, 여행 및 음식 관련 글과 음식 칼럼을 기고하고 말레이시아 요리 기원에 대한 저서를 출판했다.
아벨 무조레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8년의 무조레와
출생 이름아벨 텐데카이 무조레와
직책
임기 시작1979년 6월 1일
임기 종료1980년 4월 18일
대통령조시아 지온 구메데
이전이언 스미스 (로디지아의 총리)
다음로버트 무가베 (짐바브웨의 총리)
개인 정보
출생일1925년 4월 14일
출생지움탈리, 마니칼랜드 주, 남로디지아 (현재의 짐바브웨)
사망일2010년 4월 8일
사망 장소하라레 보로데일
국적짐바브웨
배우자매기 무조레와
정당통합 아프리카 민족 평의회
직업성직자

2. 초기 생애 및 교육

아벨 무조레와는 1925년 로디지아(현 짐바브웨) 마니칼랜드 주 무타레 인근에서 평신도 설교자의 여덟 자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1] 그는 어린 시절 무타레 인근 올드 움탈리에서 성장했다. 1963년 7월 올드 움탈리 목사가 되었고, 이듬해 기독교 청소년 운동 전국 이사로 임명되어 기독교 평의회에 파견되었다. 1966년에는 학생 기독교 운동 비서가 되었으며, 1968년 보츠와나 마세라에서 연합 감리교회의 로디지아 주교로 서임되었다.[1]

2. 1. 교육 과정

무조레와는 무타레 근처 올드 움탈리의 연합 감리 교회 학교에서 교육받았다. 1943년부터 1947년까지 므레와에서 교사로 재직하였고, 1947년부터 1949년까지는 므토코에서 평신도 설교자로 활동하였다. 1949년부터 1952년까지 올드 움탈리 신학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였고, 1953년 8월 움탈리에서 감리교 목사로 임명되었다. 1955년부터 1958년까지는 치두쿠에서 목사로 활동하였다.[1]

이후 무조레와는 미국 유학을 떠나 미주리주 파이에트에 있는 센트럴 감리교 대학교에서 공부하였다. 당시 그는 아내와 세 아들과 함께 조립식 기숙사에서 생활하였으며, 그의 아들들은 흑인 학교에 다녔다. 그의 막내 아들 웨슬리와 친구 마크 엘로드는 아이스크림 매대에 흑인 고객 수용을 요구하였으나 거부당하였다.[1]

무조레와는 엘로드와 함께 테네시주 내슈빌의 스카릿 대학교를 방문했을 때 식당에서 입장을 거부당하기도 하였다. 그는 후에 스카릿 대학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

3. 종교 활동

무조레와는 무타레 근처 올드 움탈리의 연합 감리 교회 학교에서 교육받았다. 1943년부터 1947년까지 므레와에서 교사로, 1947년부터 1949년까지 므토코에서 평신도 설교자로 활동했다. 1949년부터 1952년까지 올드 움탈리 신학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한 후, 1953년 8월 움탈리에서 감리교 목사로 임명되었다. 1955년부터 1958년까지는 치두쿠에서 목회 활동을 했다.[1]

미국 유학 시절, 무조레와는 미주리주 파이에트의 중앙 감리대학교에 재학하며 아내, 세 아들과 함께 조립식 기숙사에 거주했다. 그의 아들들은 흑인 학교에 다녔으며, 막내 아들 웨슬리와 친구 마크 엘로드가 아이스크림 매대에 흑인 고객 수용을 요구했다가 거부당하는 사건이 있었다.[1] 테네시주 내쉬빌 스카릿 대학교 식당에서 입장을 거부당한 경험은 그의 자서전에 언급되어 있다. 이후 스카릿 대학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1]

1968년 보츠와나 마세라에서 연합 감리 교회 로디지아 주교로 임명되었다.[1]

3. 1. 감리교 목회 활동

무조레와는 1963년 7월, 올드 움탈리 목사로 임명되었다.[1] 이듬해 그는 크리스천 청년 운동 사무국장이 되었고 기독교 위원회 서열 2위로 추대되었다.[1] 1966년에는 학생 크리스천 운동 총무가 되었다.[1]

4. 정치 경력

1971년 영국 정부는 이언 스미스와 제재 해제를 대가로 "다수결 원칙"의 이행을 합의하였다. 이에 무조레와는 카난 바나나 목사와 함께 아프리카 연합 국민 회의(UANC)를 창당하여 합의에 반대하였고, "다수결의 결정이 없는 한 독립은 불허한다(NIMBAR)"라는 원칙을 제창하였다.

국민투표는 철회되었고 무조레와는 국가적 지도자이자 국제적인 인물로 부상했다. 은다바닝기 시톨레의 짐바브웨 아프리카 민족 연합(ZANU)과 조슈아 은코모의 짐바브웨 아프리카 인민 연합(ZAPU)은 UANC의 영향력을 받는 단체로 변모하였다.

이후 ZANU와 ZAPU가 게릴라전을 전개하면서, UANC는 로디지아의 유일한 흑인 정당이 되었다.[1]

4. 1. 아프리카 연합 국민 회의 (UANC) 창당

1971년 영국 정부는 이언 스미스와 제재 해제를 대가로 "다수결 원칙"의 이행을 합의하였다. 무조레와는 카난 바나나 목사와 함께 이 합의에 반대하여 아프리카 연합 국민 회의(United African National Council, UANC)를 창당하였고, "다수결의 결정이 없는 한 독립은 불허한다(NIMBAR)"라는 원칙을 제창하였다.

예정되었던 국민투표는 철회되었고 무조레와는 국가적 지도자이자 국제적인 인물로 부상했다. 한편 기존의 반정부 단체들인 은다바닝기 시톨레의 짐바브웨 아프리카 민족 연합(ZANU)과 조슈아 은코모의 짐바브웨 아프리카 인민 연합(ZAPU)은 UANC의 영향력을 받는 단체들로 변모하였다.

그러나 이후 ZANU와 ZAPU가 게릴라전을 전개하면서, UANC는 폭력 노선을 거부하였기 때문에 로디지아의 유일한 흑인 정당이 되었다.[1]

4. 2. 내부 합의 (1978년)

1978년 3월 3일, 무조레와, 은다바닝기 싯홀, 그리고 망명하지 않은 민족 지도자들은 솔즈버리의 정부 청사에서 협정을 조인하였다. 이 협정으로 무조레와, 싯홀, 제레미아 치라우, 이언 스미스가 함께 새로운 과도정부의 행정 위원회를 구성하게 되었다.

행정위원회는 총선이 실시될 때까지 국정을 총괄하였다. 이후 상원에서 10석, 의회에서 28석, 그리고 내각의 1/4을 소수 백인에게 보장하는 새로운 헌법이 초안되었다. 이 새로운 헌법은 1979년 1월 백인이 대부분이었던 국민투표에서 통과되었고, 전체 유권자 중 85%가 헌법에 동의하였다.

이후 총선이 열리고 아프리카 통합 국민 회의 (UANC)가 과반석을 차지하였다. 이에 따라 조시아 구메데가 첫 대통령으로 부임하고, 무조레와는 총리로 부임하면서, 로디지아의 국명이 짐바브웨 로디지아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스미스가 합의를 통해 저지하려 했던 내전은 계속되었다. 무가베은코모는 합의를 거부하였고, 무조레와 정권의 적법성을 부정하였다. 한편 ZANU와 ZAPU는 무장 해제를 전제로 총선 참여를 제의받았으나 이도 거부하였다. 무조레와가 주관한 내부 합의는 1978년 유엔 안보리 결의 제423호에서도 규탄되었고, "불법적인 인종차별주의 소수인종 정권"하에 이루어진 어떠한 합의도 "용납될 수 없고 위법하다"라고 평가되었다.

4. 3. 랭커스터 하우스 협정 (1979년)

영국 정부는 로디지아의 모든 정당들에게 로디지아 내전에 대한 지속적인 해결책을 찾기 위한 협상을 위해 런던으로 와줄 것을 요청했다. 조슈아 은코모로버트 무가베는 "애국 전선" (Patriotic Front, PF) 소속으로 회의에 참석하였다. 회의는 1979년 9월 10일부터 12월 15일까지 당시 영국 외무장관 피터 캐링턴의 주관 하에 진행되었다. 무조레와는 1980년 초에 새로운 선거를 실시하는 데 동의하였다. 1979년 12월 11일, 협정이 조인된 직후 무조레와 정권은 이전의 일방적 독립 선언을 폐지하였다. 국제적으로 독립을 인정받기 위해, 로디지아는 선거를 앞두고 다시 한번 영국의 남로디지아 보호령으로 회귀하였다.

4. 4. 1980년 총선 패배와 짐바브웨 독립

1980년 2월 말 총선이 실시되었고, 로버트 무가베의 ZANU의 공격적인 유세가 크게 작용하였다. 영국 정부는 ZANU가 랭커스터 하우스 협정을 크게 위반하여 선거 참여 자격을 의심하였으나, 결국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1980년 3월 4일, 총선은 무가베와 ZANU의 압승으로 끝났다. 한편 아벨 무조레와의 UANC는 의회에서 흑인 지정석 80석 중 단 3석에 그쳤다. 무가베의 주도 하에 "짐바브웨 로디지아"는 짐바브웨 공화국, 혹은 "짐바브웨"로 선포되었다.

5. 무가베 정권과의 갈등

무조레와는 1983년 이스라엘을 방문하여 무가베 정권에 이스라엘과의 수교를 촉구하고, 무가베 정권의 정책이 짐바브웨의 농업과 기술 산업을 저해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11] 짐바브웨 정부는 그를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함께 무가베에 대한 음모를 계획한 혐의로 체포하였고, 이에 무조레와는 단식 투쟁을 벌였다.[11]

5. 1. 이스라엘 방문과 체포 (1983년)

무조레와는 1983년 10월 21일 이스라엘을 방문하여 무가베 정권에 이스라엘과의 수교를 촉구하고, 무가베 정권의 정책이 짐바브웨의 농업과 기술 산업을 저해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11] 1983년 11월 1일, 짐바브웨 정부는 무조레와를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공모하여 무가베에 대한 음모를 계획했다는 혐의로 체포하였다.[11] 이틀 뒤 무가베는 은다바닝기 싯홀과 조슈아 은코모에게 '음모'에 대해 경고하였다.[11] 무조레와는 체포에 항의하며 11월 3일부터 11일까지 단식 투쟁을 벌였다.[11]

5. 2. 1996년, 2008년 대선

무조레와는 1996년 대통령 선거에서 무가베와 함께 후보로 경쟁하였으나, 짐바브웨 대법원에서 선거 규정이 비합리적이라는 이유로 선거 연기를 요청한 그의 요구를 거부한 후 사퇴했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조레와는 후보직에 계속 남아 전체 투표 중 4.8%를 득표하였다.[6]

2007년 6월 21일, 무조레와는 흑인과 백인 시민들이 모두 그의 집에 찾아와 대통령 출마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그는 짐바브웨가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피를 흘리고 있다. 그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은 고통스럽다"고 밝혔다.[13] 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타보 음베키가 중재한 ZANU-PF와 MDC 간의 협상이 성공하고 짐바브웨의 "구원"을 위해 기도해 달라고 요청했다.[4] 그러나 무조레와는 2008년 대통령 선거에는 출마하지 않았다.

6. 사망

무조레와는 2010년 4월 8일 하라레의 자택에서 암으로 84세에 사망하였다.[14] 크리스천 케어의 국장인 포브스 마통가 목사는 무조레와의 업적을 "나라의 독립, 감리교회에서의 헌신, 그리고 무타레에서 아프리카 대학교 창립"으로 설명하였다.[14] 정치 평론가 존 마쿰베는 무조레와를 짐바브웨의 "평화의 선구자"로 표현하였다.[14]

무조레와 주교와 그의 아내는 마니칼랜드주 무타레의 올드 무타레 미션 스테이션에 안치되었다.

7. 평가

포브스 마통가 목사는 무조레와의 업적을 "나라의 독립, 감리교회에서의 헌신, 그리고 무타레에서 아프리카 대학교 창립"으로 설명하였다.[14] 정치 평론가 존 마쿰베는 무조레와를 짐바브웨의 "평화의 선구자"로 표현하였다.[14]

8.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996년 짐바브웨 대통령 선거짐바브웨의 대통령2대연합당4.80%72,600표2위낙선


참조

[1] 서적 African nationalist leaders in Rhodesia who's who Books of Rhodesia
[2] 뉴스 Bishop Abel Muzorewa https://www.telegrap[...] 2019-09-07
[3] 뉴스 Bishop Abel T. Muzorewa https://archives.gca[...] UMNS 2024-06-05
[4] 웹사이트 Zimbabwe: Muzorewa plots political comeback http://allafrica.com[...] New Zimbabwe via allAfrica.com 2007-12-06
[5] 간행물 Southern African Political History: A chronological of key political events from independence to
[6] 뉴스 Zimbabwe President's Last Rival Withdraws From Election https://query.nytime[...] New York Times 1996-03-16
[7] 웹사이트 Bishop Abel Muzorewa, Zimbabwean Transitional Figure of 1970s, Dies in Harare http://www1.voanews.[...] Voice of America 2010-04-09
[8] 서적 African nationalist leaders in Rhodesia who's who Books of Rhodesia
[9] 뉴스 Bishop Abel Muzorewa https://www.telegrap[...] 2019-09-07
[10] 웹인용 Zimbabwe: Muzorewa plots political comeback http://allafrica.com[...] New Zimbabwe via allAfrica.com 2007-12-06
[11] 간행물 Southern African Political History: A chronological of key political events from independence to
[12] 뉴스 Zimbabwe President's Last Rival Withdraws From Election https://query.nytime[...] New York Times 1996-03-16
[13] 웹인용 Zimbabwe: Muzorewa plots political comeback http://allafrica.com[...] New Zimbabwe via allAfrica.com 2007-12-06
[14] 웹인용 Bishop Abel Muzorewa, Zimbabwean Transitional Figure of 1970s, Dies in Harare http://www1.voanews.[...] Voice of America 2010-0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