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키포로스 블렘미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키포로스 블렘미디스는 1197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태어난 비잔틴 학자이다. 1204년 제4차 십자군에 의해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점령된 후 소아시아로 이주하여 의학, 철학, 신학 등을 공부했다.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교회 사이의 신학 논쟁에 참여하여 필리오케 조항에 대한 논문을 썼으며, 니케아 제국의 테오도르 2세 라스카리스의 개인 교사이자 학교를 설립하여 학생들을 가르쳤다. 만년에는 수도사가 되어 에페소스에 수도원을 세우고 은퇴했으며, 1272년에 사망했다. 주요 저서로는 《자서전》, 《논리학 개요》, 《물리학 개요》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97년 출생 - 준토쿠 천황
가마쿠라 시대의 일본 천황인 준토쿠 천황은 고토바 상황의 아들로, 가마쿠라 막부와 대립하다 조큐의 난으로 유배되어 생을 마감했지만 학문과 예술에 힘썼다. - 1197년 출생 - 창원공
고려 희종과 성평왕후의 아들인 창원공 왕치는 태자로 책봉되었지만 아버지의 폐위로 유배 후 창원후, 창원공에 봉해졌으며, 고종의 왕비인 안혜왕후가 그의 누이이다. - 자서전 작가 - 아벨 무조레와
아벨 무조레와는 짐바브웨의 감리교 주교이자 정치인으로, 로디지아의 마지막 총리를 지냈으며, 아프리카 민족주의를 옹호하며 아프리카 연합 국민 회의를 창당하여 활동했으나, 국제적 지지를 얻지 못하고 총선에서 패배했다. - 자서전 작가 - 료청란
료청란은 말레이시아 출신의 중국계 미식가이자 작가로, 《난양상보》 전국 업무 전원을 역임하고 사회우수봉사훈장과 세계 미식 거장 휘장을 수여받았으며, 여행 및 음식 관련 글과 음식 칼럼을 기고하고 말레이시아 요리 기원에 대한 저서를 출판했다. - 동로마 제국의 철학자 - 게미스토스 플레톤
게미스토스 플레톤은 동로마 제국의 철학자, 학자, 정치 사상가로서 플라톤 철학 부흥을 주도하며 르네상스 시대 서유럽 사상에 영향을 미쳤고, 피렌체 공의회에서 플라톤 철학을 서구에 재소개했으며, 미스트라스에서 다양한 분야를 가르치고 비잔티움 제국 개혁 사상을 제시했다. - 동로마 제국의 철학자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포티오스 1세
9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학자이자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였던 포티오스 1세는 명문가 출신으로 뛰어난 학식을 자랑하며 '포티오스 분열'을 야기하는 등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고 사후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니키포로스 블렘미디스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니케포로스 블렘미데스 |
| 로마자 표기 | Nikēphoros Blemmydēs |
| 출생 | 1197년, 콘스탄티노폴리스 |
| 사망 | 1269년경, 에페소스 인근 |
| 민족 | 비잔티움 그리스인 |
| 직업 | |
| 분야 | 신학자 철학자 수사학자 작가 과학자 음악가 |
| 학문적 배경 | |
| 스승 | 마누엘 홀로볼로스 테오도로스 필레스 |
| 생애 | |
| 활동 시기 | 니케아 제국 시대 |
| 종교 | 동방 정교회 |
| 주요 저서 | 《개요》 《황제적 조상》 《물리학 개요》 《논리 개요》 《두 영혼에 대하여》 《신앙 고백》 《자전적 스케치》 |
| 기타 정보 | 니케아 제국에서 요한네스 3세 두카스 바타치스 황제를 섬겼으며, 제국의 외교관으로도 활동했음. |
2. 생애
블렘미디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태어나 제4차 십자군 이후 소아시아로 이주하여 프루사, 니케아, 스미르나, 카라멘데레스 강 등지에서 폭넓은 교육을 받았다. 의학, 철학, 신학, 수학, 천문학, 논리학, 수사학 등 다양한 학문을 섭렵한 후 성직자가 되었으며,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교회 사이의 신학 논쟁에 적극 참여하여 성령의 발출에 관한 서방측 입장을 옹호하는 논문을 썼다. 니케아 제국의 테오도로스 2세 라스카리스 황제의 스승이었고, 게오르기오스 아크로폴리티스와 같은 학생들을 가르치는 학교를 설립했다. 그는 고전 문헌 수집가이기도 했으며, 기욤 드 뤼브룩은 그의 후원자 요안니스 3세 두카스 바타치스가 오비디우스의 ''파스티'' 중 소실된 책의 사본을 소유하고 있었다고 보고한다.[3] 말년에는 수도사가 되어 에페소스에 수도원을 짓고 은퇴하여 1272년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블렘미디스는 1197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의사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3] 1204년 제4차 십자군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점령 이후 소아시아로 이주했다.[3] 그는 프루사(부르사), 니케아(이즈니크), 스미르나, 스카만드로스(카라멘데레스 강) 등지에서 교양 교육을 받았다.[3] 블렘미디스는 의학, 철학, 신학, 수학, 천문학, 논리학, 수사학을 공부했다.[3]2. 2. 신학 논쟁 참여
블렘미디스는 성직자가 된 후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교회 사이의 신학 논쟁, 특히 필리오케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는 필리오케 문제에 관하여 서방 교회의 입장을 지지하는 논문을 작성했다.[3]2. 3. 교육 활동
블렘미디스는 니케아 제국의 테오도로스 2세 라스카리스 황제의 스승이었으며, 테오도로스 2세와 게오르기오스 아크로폴리티스 등을 가르치는 학교를 설립했다.[3] 고전 문헌 수집에 힘썼으며, 그의 후원자 요안니스 3세 두카스 바타치스는 오비디우스의 『파스티』 중 소실된 책의 사본을 소유하고 있었다고 기욤 드 뤼브룩은 기록했다.[3]2. 4. 은퇴와 죽음
말년에 블렘미디스는 수도사가 되어 에페소스에 자신이 설립한 수도원으로 은퇴했다.[1] 1272년에 그곳에서 사망했다.[1]3. 저작 목록
- 《자서전 (Curriculum Vitæ)》[4]
- 《보편 서한 (Epistula universalior)》[4]
- 《논리학 개요 (Epitome logica)》[4]
- 《물리학 개요 (Epitome physica)》[4]
- 《시편 해설 (Expositio in Psalmos)》[4]
- 《성령의 발출에 관하여 (De processione Spiritus Sancti)》[4]
- 《사원에서 쫓겨난 왕실 첩에 관하여 (De regia pellice templo ejecta)》[4]
- 《왕실 업무에 관하여 (De regis oficiis)》[4]
- 《성 요한 복음사가 찬가 (Laudatio Sancti Ioanni Evangelistae)》[4]
- 《생의 종말에 관한 연설 (Orationes de vitae fine)》 (ΑΠΟΔΕΙΞΙΣ, ΟΤΙ ΟΥΧ ΩΡΙΣΤΑΙ ΤΟΥ ΚΑΘΕΚΑΣΤΟΝ Η ΖΩΗ. ΔΙΑΛΕΓΟΜΕΝΟΣ Ή ΠΕΡΙ ΤΟΥ ΟΡΟΥ)[4]
- 《왕의 조상 (Regia statua)》[4]
- 《수도승들에게 하는 설교 (Sermo ad monachos suos)》[4]
- 《덕과 수행에 관하여 (De virtute et ascesi)》[4]
참조
[1]
서적
Forgery, Replica, Fiction: Temporalities of German Renaissance Ar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
[2]
서적
Nicephori Blemmydae De virtute et ascesi necnon Iosephi Racendytae De virtute
Brepols Publishers
2015
[3]
서적
Forgery, Replica, Fiction: Temporalities of German Renaissance Ar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
[4]
서적
Nicephori Blemmydae De virtute et ascesi necnon Iosephi Racendytae De virtute
Brepols Publishers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