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바브웨 로디지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짐바브웨 로디지아는 1979년 6월 1일, 로디지아의 내부 합의와 선거를 통해 수립된 국가이다. 이언 스미스 정부와 아프리카 민족주의 정당 간의 합의를 통해 아벨 무조레와를 수반으로 하는 흑인 정권이 출범했지만, 국제적인 승인을 얻지 못했다. 짐바브웨 로디지아는 짐바브웨 애국전선과의 갈등을 겪었으며, 1979년 12월 21일 랭커스터 하우스 협정에 따라 1980년 봄 선거를 준비하며 영국의 통치로 복귀했다. 이후 1980년 4월 18일, 짐바브웨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대한민국은 짐바브웨 로디지아를 승인하지 않고 유엔의 제재를 준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디지아 - 남로디지아
남로디지아는 1889년 세실 로즈가 설립한 영국 남아프리카 회사가 지배하던 지역으로, 백인 자치 정부 수립, 로디지아 니아살랜드 연방 참여, 독립 선언, 내전을 거쳐 1980년 짐바브웨로 독립했다. - 로디지아 - 로디지아 전선
로디지아 전선은 1962년 창설되어 남로디지아의 독립과 다수 통치 반대를 주장하며, 1965년 일방적인 독립 선언을 주도하고 각 인종의 고유성 유지 등을 정책으로 삼았으며, 1987년 짐바브웨 보수 연합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 짐바브웨의 역사 - 부투아 왕국
부투아 왕국은 짐바브웨에 존재했던 중세 시대의 왕국이며, 수도였던 카미 유적은 부투아 왕국의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지이다. - 짐바브웨의 역사 - 짐바브웨 왕국
짐바브웨 왕국은 12세기부터 15세기까지 현재의 짐바브웨와 주변 지역에 존재했던 쇼나족 국가로, 그레이트 짐바브웨를 중심으로 상아와 금 무역을 통해 번성하며 독자적인 석조 건축 기술을 발전시켰으나, 15세기 무타파 왕국의 등장과 함께 쇠퇴하여 부투아 왕국으로 분열 후 로즈위 제국에 흡수되었다. - 1979년 폐지 - 로디지아
로디지아는 1965년 백인 소수 정권이 일방적 독립 선언 후 1979년까지 사용한 남부 로디지아의 공식 명칭이었으나, 랭커스터 하우스 협정으로 종식되고 1980년 짐바브웨 공화국으로 독립하였다. - 1979년 폐지 - 사바크
사바크는 미국 CIA의 지원으로 설립된 이란의 비밀 경찰이자 정보기관으로, 팔레비 정권 유지를 위해 반대파를 탄압하며 고문과 처형 등 잔혹 행위를 자행했고 이란 혁명으로 해체되었으나 일부는 후임 기관에 흡수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며, 현재 그 만행은 에브라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짐바브웨 로디지아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짐바브웨-로디지아 공화국 |
일반 명칭 | 짐바브웨 로디지아 |
수명 | 1979년–1980년 |
시대 | 냉전 |
지위 | 미승인 국가 |
정부 형태 | 의회 공화국 |
건국 사건 | 내부 합의 |
건국일 | 1979년 6월 1일 |
전환 사건 | 영국 감독 하의 전환 기간 |
전환일 | 1979년 12월 21일 |
멸망 사건 | 짐바브웨 공화국 건국 |
멸망일 | 1980년 4월 18일 |
이전 국가 | 로디지아 |
![]() | |
후신 국가 (사실상) | 남로디지아 |
![]() | |
후신 국가 (법률상) | 짐바브웨 |
![]() | |
국가 표어 (영어) | May she be worthy of the name |
국가 | 로디지아의 목소리를 높여라 |
![]() | |
![]() | |
![]() | |
수도 | 솔즈베리 |
공용어 | 쇼나어 은데벨레어 |
공용어 (공식) | 영어 |
통화 | 로디지아 달러 |
현재 국가 | 짐바브웨 |
주민 | 짐바브웨 로디지아인 로디지아인 |
정치 | |
대통령 | 조시아 지온 구메데 |
대통령 임기 | 1979년 |
총리 | 아벨 무조레와 |
총리 임기 | 1979년 |
인구 통계 | |
인구 (1979년) | 6,930,000명 |
면적 | |
면적 | 390,580km² |
2. 역사적 배경
로디지아 부시 전쟁이 계속되고 국제 사회의 압력이 거세지자, 로디지아의 이언 스미스 정부는 온건파 아프리카 민족주의 정당들과 내부 합의를 추진했다. 그러나 정부는 ZAPU와 ZANU의 연합체인 짐바브웨 애국전선의 무장 저항에 계속 맞서야 했다.[4] 이 해방 전쟁은 냉전 시대 서방과 동구권의 대리전 양상을 띠기도 했다.[5][6]
1960년대 초부터 로디지아의 아프리카 민족주의 정치 조직들은 국가 이름으로 짐바브웨를 사용하기로 합의하고, 조직 명칭에도 이 이름을 사용했다. 쇼나어로 '짐바브웨'는 '돌로 된 집'(Dzimba dzamabwe|짐바 자마브웨sn, 그레이트 짐바브웨 유적 의미)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로디지아의 백인 사회는 '로디지아'라는 이름을 유지하길 원했기 때문에, 결국 타협이 이루어졌다.[17]
짐바브웨 로디지아 정부는 국가 수립 이전인 1979년 로디지아 총선거를 통해 구성되었다. 이 선거는 로디지아 역사상 처음으로 선출된 대표 중 다수가 흑인이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기존의 일방적 독립 선언(UDI) 시기 헌법을 개정한 짐바브웨 로디지아 헌법에 따라, 국가는 총리와 내각을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며, 입법부는 하원과 상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형태를 취했다.[30][31]
1978년 3월, 솔즈베리 협정(Salisbury Agreement)이라고도 불리는 "내부 합의"가 체결되었다. 이 합의는 아프리카인들이 처음으로 주요 직책을 맡는 과도 정부 수립을 목표로 했으며, 독립적인 공무원 조직, 사법부, 경찰, 군대 창설을 명시했다.[7] 합의에 따라 이언 스미스와 3명의 흑인 지도자(아벨 무조레와, 시솔레, 치라우)로 구성된 집행위원회[4]와 장관회의가 만들어졌으나, 스미스는 총리직을 유지했다. 과도 정부의 주요 임무는 새로운 헌법 제정, 1979년 4월 선거 실시[4], 짐바브웨 애국전선과의 휴전 협상이었다.[8][9] 합의의 궁극적인 목표는 내전 종식과[9] 국제 사회의 승인 획득 및 UN 제재 해제였다. 합의 후 무조레와는 영국 정부에 과도 정부 인정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일부에서는 이 합의가 로디지아를 인정하고 제재를 해제할 충분한 근거라고 주장하기도 했다.[9] 1978년 말, 미국 의회는 선거가 실시된 후에만 제재를 해제할 수 있다는 조건부로 제재 해제에 동의했다.[11] 합의 결과 정치범들이 석방되기도 했지만, 공무원, 사법부, 경찰, 군대의 고위직은 대부분 백인 짐바브웨인들이 계속 차지했다.[12]
내부 합의에 따라 1979년 1월 2일 짐바브웨 로디지아 헌법이 발표되었고, 1월 31일 백인 유권자 중심의 국민투표를 통해 승인되었다. 1979년 4월 17일부터 5일간 로디지아 최초의 보통선거가 실시되어(투표율 64.5%), 아벨 무조레와가 이끄는 통합 아프리카 민족회의(UANC)가 67% 득표율로 51석을 얻어 제1당이 되었다. 1979년 6월 1일, "짐바브웨 로디지아"라는 국호 아래 아벨 무조레와를 총리로 하는 최초의 흑인 다수 정부가 출범했다.
그러나 새 국가는 국제적인 승인을 얻지 못했다. 영연방 사무국은 짐바브웨 로디지아 헌법이 이전의 일방적 독립 선언(UDI) 헌법과 마찬가지로 불법적이고 무효라고 주장했다.[13]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448호를 통해 1979년 4월 총선거를 "무효"로 규탄하고, 짐바브웨 로디지아를 "인종차별적 불법 정권"으로 규정하며 "인종차별적 소수 지배를 유지하고 확대하여 짐바브웨의 독립과 진정한 다수 지배를 막으려 한다"고 비판했다. 또한 모든 회원국에 대해 정부 불인정과 제재 준수를 촉구했다.[14] 미국의 지미 카터 대통령 역시 선거가 "백인 소수 집단에게 불균형적인 권력을 보장하는" 헌법 하에서 치러졌기 때문에 "공정하거나 자유롭지 않았다"고 평가하며[15], 1979년 11월 영국의 중재로 로디지아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이 마무리될 때까지 제재를 유지했다.[16]
정권 출범 이후에도 국내 혼란은 계속되었고, 1979년 9월 10일 런던에서 제헌 회의가 시작된 후에도 정부군과 게릴라 간의 전투는 더욱 치열해져 회의 시작 후 한 달 동안 약 850명이 사망하는 등 로디지아 시대보다 더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43]
3. 국호 및 상징
새 헌법은 국가 이름을 '짐바브웨 로디지아'로 정했으며, 공식 명칭에 공화국이라는 표시는 포함되지 않았다.[18] 공식적으로는 하이픈이 없었지만, 일부 외국 언론에서는 '짐바브웨-로디지아'로 표기하기도 했다.[19][20][21] 또한 '로디지아'와 '짐바브웨'를 합쳐 '로바브웨(Rhobabwe)'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는데,[22][23] 이 별명은 1960년대 후반부터 사용되었다.[24]
아벨 무조레와 총리는 국가 이름에서 '로디지아'를 빼려고 시도했지만[25] 성공하지는 못했다. '짐바브웨 로디지아'라는 이름은 제파니아 차룸비라 상원의원과 같은 일부 흑인 정치인들에게 비판받았는데 그들은 이 이름이 짐바브웨를 마치 '로디지아의 아들'처럼 보이게 한다고 주장했다.[26] 로버트 무가베가 이끄는 망명 중인 ZANU–PF 역시 '짐바브웨 로디지아'라는 이름을 경멸적으로 비난했다.[27]
1979년 9월 2일, 정부는 짐바브웨 새 조각상이 새겨진 새로운 국기를 채택했다. 또한 기존의 '로디지아의 날(Rhodes Day)'과 '건국기념일(Founders Day)'을 대체하여 '조상의 날(Ancestors Day)'이라는 새로운 공휴일을 제정했다. '공화국 기념일(Republic Day)'과 '독립기념일(Independence Day)'은 각각 '대통령의 날(President's Day)'과 '통일의 날(Unity Day)'로 이름이 변경되어 같은 해 10월 25일과 26일에 기념되었다.
국영 항공사인 에어 로디지아(Air Rhodesia)도 에어 짐바브웨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8] 그러나 우표는 새로 발행되지 않아 1978년 발행된 우표에는 여전히 '로디지아'라고 표기되어 있었고, 1980년 이후 발행된 우표부터 '짐바브웨'라는 이름이 사용되었다.[29]
이러한 상징 변경에 대해, 모잠비크의 마푸토에서 ZANU–PF가 운영하던 '짐바브웨의 목소리(Voice of Zimbabwe)' 라디오 방송은 "독립의 증거는 깃발이나 이름이 아니다"라는 논평을 통해 비판했다. 이 방송은 이러한 변화들이 런던에서 열린 랭커스터 하우스 협정에서 "인종차별주의 꼭두각시 동맹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목적일 뿐이라고 평가절하했다.
4. 짐바브웨 로디지아 정부
정부 수립의 기초가 된 것은 1978년 3월 3일 체결된 솔즈베리 협정이었다. 이 협정은 잠정 정부 구성과 새로운 헌법 제정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1979년 1월 2일 짐바브웨 로디지아 헌법이 발표되었고, 같은 해 1월 31일 백인 유권자 중심의 국민투표를 통해 승인되었다. 새로운 헌법에 따라 1979년 4월 로디지아 최초의 보통선거가 실시되었으며, 선거 결과 아벨 무조레와가 이끄는 아프리카 통일 민족 회의(UANC)가 제1당이 되었다.
1979년 6월 1일, '짐바브웨 로디지아(Zimbabwe Rhodesia)'라는 새로운 국호 아래 아벨 무조레와를 총리로 하는 최초의 흑인 다수 정부가 공식 출범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혼란은 가라앉지 않았다. 1979년 9월 10일 영국 런던에서 제헌 의회가 시작되었지만, 정부군과 독립을 요구하는 게릴라 세력 간의 치열한 전투는 계속되었다. 제헌 의회 시작 후 첫 한 달 동안 발생한 사망자 수는 약 850명에 달해, 이전 로디지아 시기보다 오히려 더 많은 희생자가 발생하기도 했다.[43]
4. 1. 입법부
짐바브웨 로디지아의 입법부는 1979년 로디지아 총선거를 통해 선출된 의원들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로디지아 역사상 처음으로 흑인 대표가 다수를 차지한 선거였다. 국가는 10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하원(House of Assembly)과 4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상원(Senate)의 양원제를 채택했다. 하원에서 다수당이 총리와 내각을 선출하고, 양원은 함께 명목상의 대통령을 선출하는 구조였다.[30][31]
이러한 입법 구조는 1978년 3월 3일 체결된 내부 합의인 솔즈베리 협정(Salisbury Agreement)에 기반했다. 이 협정에 따라 1979년 1월 2일 짐바브웨 로디지아 헌법(Zimbabwe Rhodesia Constitution)이 발표되었고, 1월 31일 백인 유권자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국민투표를 통해 승인되었다. 새로운 헌법에 따라 1979년 4월 17일부터 5일간 로디지아 최초의 보통선거(투표율 64.5%)가 실시되었다.
하원 (House of Assembly)하원은 총 100석으로 구성되었으며, 세 가지 방식으로 의석이 배분되었다.
1979년 총선 결과, 아벨 무조레와 주교가 이끄는 아프리카 통일 민족 회의(UANC)가 득표율 67%로 일반 명부 의석에서 과반수인 51석을 확보하여 제1당이 되었다. 반면, 이언 스미스의 로디지아 전선(RF)은 예상대로 이전 선거인 명부 의석 20석을 모두 가져갔다. 인다바닌기 시톨레의 짐바브웨 아프리카 민족 연합(ZANU)은 일반 명부에서 12석을 얻었다.
정당 | 대표 인물 | 의석 유형 | 획득 의석 수 |
---|---|---|---|
아프리카 통일 민족 회의 (UANC) | 아벨 무조레와 | 일반 명부 | 51석 |
로디지아 전선 (RF) | 이언 스미스 | 이전 선거인 명부 | 20석 |
짐바브웨 아프리카 민족 연합 (ZANU) | 인다바닌기 시톨레 | 일반 명부 | 12석 |
상원 (Senate)상원은 총 4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다.
- 하원의 이전 선거인 명부 의원들이 10명을 선출했다.
- 하원의 일반 명부 의원들이 10명을 선출했다.
- 마쇼날랜드(Mashonaland) 지역의 수장 평의회(Council of Chiefs)에서 5명을 선출했다.
- 마타벨랜드(Matabeleland) 지역의 수장 평의회에서 5명을 선출했다.
- 나머지 10명은 총리의 자문을 받아 대통령이 직접 임명했다.
선거 결과에 따라 1979년 6월 1일, "짐바브웨 로디지아(Zimbabwe Rhodesia)"라는 새로운 국호 아래 아벨 무조레와를 총리로 하는 최초의 흑인 다수 정부가 출범하였다. 그러나 헌법 구조상 백인 소수 집단의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은 여전히 상당 부분 보장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정부 출범 이후에도 국내 혼란은 수그러들지 않았고, 1979년 9월 런던에서 제헌 의회가 시작된 이후에도 정부군과 독립을 요구하는 게릴라 간의 치열한 전투가 계속되었다.[43]
4. 2. 행정부
짐바브웨 로디지아의 행정부는 1979년 로디지아 총선거 결과에 따라 구성되었다. 이 선거는 흑인 대표가 다수를 차지한 최초의 선거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기존의 일방적 독립 선언(UDI) 시기 헌법을 개정하여, 10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하원과 4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상원을 두었다.[30][31]짐바브웨 로디지아 대통령은 상원과 하원 의원들이 함께 모여 투표로 선출했다. 1979년 5월 28일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는 유나이티드 아프리칸 내셔널 위원회(UANC) 소속의 조시아 자이온 구메데와 유나이티드 내셔널 페더럴 파티(UNFP) 소속의 티모시 앤들로부가 후보로 나섰다.[32][33] 투표 결과, 구메데가 80표를 얻어 33표를 얻은 앤들로부를 누르고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34]
총선에서 UANC가 하원 100석 중 51석을 확보하여 과반수를 차지함에 따라, UANC의 대표인 아벨 무조레와가 총리로 임명되었다. 그는 총리직과 더불어 합동 작전 및 국방부 장관직도 겸임했다.[36] 무조레와는 이전 백인 소수 정권의 총리였던 이언 스미스를 직책 없는 장관으로 임명하여 연립 정부를 구성하는 등[35] 통합을 시도했으나, 정부의 주요 부처 장관직은 여전히 구 로디지아 전선 소속 백인 인사들이 차지하는 한계를 보였다. 예를 들어, 데이비드 스미스는 재무 장관직을 계속 맡았고, 전 국방장관이었던 P. K. 반 더 바일은 교통부 장관과 전력 및 우정부 장관을 겸임했다.[36] 이는 흑인 주도 정부 출범에도 불구하고 구체제 세력의 영향력이 여전히 상당했음을 보여준다.
5. 짐바브웨 로디지아의 종말
아벨 무조레와가 이끄는 짐바브웨 로디지아 정부는 1979년 6월 출범했지만, 국제 사회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했다. 영연방 사무국은 짐바브웨 로디지아 헌법이 이전의 일방적 독립 선언(UDI) 헌법과 마찬가지로 합법성이 없다고 비판했다.[13]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역시 결의 제448호를 통해 1979년 4월 총선거를 무효로 규정하고, 짐바브웨 로디지아를 "인종차별적 불법 정권"으로 비난하며 국제 사회에 불인정과 제재 유지를 촉구했다.[14] 미국의 지미 카터 대통령 또한 해당 선거가 백인 소수에게 과도한 권력을 보장하는 헌법 하에 치러져 공정하지 않다고 평가했다.[15][16]
국내적으로도 짐바브웨 애국전선(Patriotic Front)과의 내전은 계속되었다.[4] 1979년 9월 10일 런던에서 제헌 의회가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군과 게릴라 간의 전투는 오히려 격화되어, 회의 시작 후 한 달간 사망자 수가 이전 로디지아 시대를 넘어서는 약 850명에 달하는 등 혼란은 수그러들지 않았다.[43]
이러한 국내외적 압박 속에서 영국 정부의 중재로 랭커스터 하우스 협정이 체결되었다. 1979년 12월 21일에 최종 서명된 이 협정은[37] 1980년 봄에 새로운 총선거를 실시하기 위해 영국의 통치권을 남부 로디지아로 일시적으로 복귀시키는 내용을 담았다. 협정 타결 이전인 1979년 12월 11일, 영국은 "짐바브웨 로디지아는 독립 국가가 아니며 폐하의 영토가 된다"고 선언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38] 이어 12월 14일 영국 의회는 남부 로디지아의 총독과 부총독 직책을 신설하는 법령을 통과시켰고, 소옴즈 경과 더프 경이 각각 임명되었다.[39]
이로써 국가 명칭은 공식적으로 남부 로디지아로 환원되었으나, 짐바브웨 방송 공사 등 일부 기관에서는 "짐바브웨 로디지아"라는 이름을 잠시 유지하기도 했다.[41] 1980년 총선거를 거쳐, 1980년 4월 18일 남부 로디지아는 영연방 내 독립 공화국인 짐바브웨로 정식 독립하였다.[42] 이로써 1년도 채 되지 않아 짐바브웨 로디지아라는 국가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참조
[1]
잡지
New Hope For A Settlement: Mrs. Thatcher finds a fresh approach for Zimbabwe-Rhodesia
https://search.ebsco[...]
MasterFILE Complete
2023-08-04
[2]
학술지
The Strange Death of 'Zimbabwe-Rhodesia': The Question of British Recognition of the Muzorewa Regime in Rhodesian Public Opinion, 1979
https://www.tandfonl[...]
2023-08-04
[3]
학술지
Carter and the Rhodesian Problem
https://omnilogos.co[...]
2023-08-04
[4]
서적
Africa Since 1800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01-01
[5]
학술지
The Rhodesian Bush War/Zimbabwe War of Liberation: A Political-Military Analysis
https://smallwarsjou[...]
2023-08-04
[6]
웹사이트
Conflict in and around Zimbabwe
https://www.iwm.org.[...]
2023-08-04
[7]
학술지
The Internal Political Settlement in Zimbabwe: A Sell-Out or an Advancement to African Majority Rule
https://www.jstor.or[...]
2023-04-28
[8]
잡지
RHODESIA: First Step Toward Black Rule
https://content.time[...]
2023-04-28
[9]
학술지
Salvaging America's Rhodesian Policy
https://www.foreigna[...]
2023-04-28
[10]
잡지
Now, Zimbabwe-Rhodesia: The blacks cast ballots at last, but that will not stop the shooting
https://search.ebsco[...]
MasterFILE Complete
2023-08-04
[11]
웹사이트
Sanctions Against Rhodesia
https://library.cqpr[...]
CQ Press
2023-04-28
[12]
뉴스
Will We Destroy Zimbabwe-Rhodesia?
https://news.google.[...]
2023-08-04
[13]
서적
An Analysis of the Illegal Regime's "Constitution for Zimbabwe Rhodesia"
https://books.google[...]
Commonwealth Secretariat
1979-01-01
[14]
서적
Resolutions and Statements of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1946 - 1989): a Thematic Guide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90-01-01
[15]
잡지
Sanctions Stay But the Senate battles Carter on Zimbabwe-Rhodesia
https://search.ebsco[...]
MasterFILE Complete
2023-08-04
[16]
웹사이트
Memorandum From the President on Trade Sanctions Against Zimbabwe-Rhodesia
https://www.presiden[...]
UC Santa Barbara
2023-08-04
[17]
서적
A Concise Encyclopedia of Zimbabwe
https://books.google[...]
Mambo Press
1988-01-01
[18]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Zimbabwe Rhodesia, 1979
http://www.ifes.org/[...]
2016-02-03
[19]
서적
Editorials on File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Incorporated
1979-01-01
[20]
서적
Congressional Quarterly Weekly Report
https://books.google[...]
Congressional Quarterly
1979-01-01
[21]
뉴스
African Leaders United On View Of Zimbabwe-Rhodesia
https://news.google.[...]
2023-08-04
[22]
서적
Under the Skin: The Death of White Rhodesia
https://books.google[...]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83-01-01
[23]
웹사이트
Confusion in Rhobabwe
http://archive.spect[...]
2023-08-04
[24]
서적
Rhodesia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Michael Joseph
1967-01-01
[25]
뉴스
Zimbabwe Rhodesia Bids To Shorten Name To Zimbabwe
https://news.google.[...]
2023-08-04
[26]
서적
Pioneers, Settlers, Aliens, Exiles: The Decolonisation of White Identity in Zimbabwe
https://books.google[...]
ANU E Press
2010-01-01
[27]
서적
Zimbabwe News
https://books.google[...]
Zimbabwe African National Union Central Bureau of Information
1979-01-01
[28]
서적
Africa Calls from Zimbabwe Rhodesia
https://books.google[...]
Africa Calls Publishers
1979-01-01
[29]
서적
Summary of World Broadcasts: Non-Arab Africa
https://books.google[...]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Monitoring Service
1980-01-01
[30]
학술지
Face-Saving Maneuvers and Strong Third-Party Mediation: The Lancaster House Conference on Zimbabwe-Rhodesia
https://brill.com/vi[...]
2023-08-05
[31]
학술지
The Strange Death of'Zimbabwe-Rhodesia': The Question of British Recognition of the Muzorewa Regime in Rhodesian Public Opinion, 1979
https://www.tandfonl[...]
2023-08-05
[32]
서적
Chronologies of major developments in selected areas of foreign affairs. 1979 Jan-Sep
https://babel.hathit[...]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1979-01-01
[33]
학술지
Sub-Saharan Africa Report
https://books.google[...]
Foreign Broadcast Information Service
2023-08-04
[34]
학술지
Africa Research Bulletin
https://books.google[...]
Blackwell
2023-08-04
[35]
뉴스
Zimbabwe-Rhodesia Attacks Guerrilla Positions in Zambia
https://www.washingt[...]
2023-08-04
[36]
웹사이트
Muzorewa Names a Cabinet, Reserving Key Roles for Himself and Smith
https://www.nytimes.[...]
1979-05-31
[37]
웹사이트
The Lancaster House Agreement 40 years on
https://history.blog[...]
United Kingdom Government
2019-12-23
[38]
서적
Collective Responses to Illegal Acts in International Law: United Nations Action in the Question of Southern Rhodesia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90
[39]
웹사이트
Southern Rhodesia Constitution (Interim Provisions) Order 1979
https://hansard.parl[...]
Parliament of the United Kingdom
null
[40]
간행물
The Man In The Middle In Zimbabwe-Rhodesia Is Britain's Kissinger--Lord Carrington
https://search.ebsco[...]
MasterFILE Complete
1979-10-22
[41]
웹사이트
Zimbabwe Bill
https://api.parliame[...]
Parliament of the United Kingdom
1979-12-17
[42]
뉴스
Zimbabwe Gains Independence
https://www.washingt[...]
1980-04-18
[43]
뉴스
null
1979-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