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사노 요시나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사노 요시나가(1576년 ~ 1613년)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무장으로, 아사노 나가마사의 장남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근으로 임진왜란에 참전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편에 서서 활약했다. 전투 이후 기이 와카야마 37만 6천 석을 받았으나, 38세에 사망했다. 무용과 학문에 능했지만, 조선 침략에 참여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협력한 점, 매독으로 사망한 점 등으로 평가가 엇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슈번주 - 아사노 나가아키라
    아사노 나가아키라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히데타다를 섬긴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형의 사망 후 기이 기슈번을 상속받고 오사카 전투에서 공을 세워 아키 히로시마번의 번주가 되었다.
  • 기슈번주 - 도쿠가와 무네나오
    도쿠가와 무네나오는 에도 시대 인물로 기슈 도쿠가와 가문의 6대 당주이며, 종형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쇼군이 되면서 기슈 번주 자리를 계승하여 와카야마 번의 재정 재건에 힘썼고, 슬하의 자녀들을 통해 가문의 위상을 높였으며 텔레비전 시대극 《주먹대장》에도 자주 등장하는 인물이다.
  • 1613년 사망 - 오쿠보 나가야스
    오쿠보 나가야스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다케다 가신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행정 능력을 인정받아 막부 운영에 기여했으나, 말년에 부정 축재 의혹으로 실각하고 가문이 몰락했다.
  • 1613년 사망 - 카를로 제수알도
    카를로 제수알도는 16세기 이탈리아의 귀족이자 작곡가로, 아내 살해 사건으로 유명하며 반음계적 화성과 격정적인 감정 표현이 특징인 마드리갈을 작곡했다.
  • 아사노씨 - 히로시마성
    히로시마성은 1589년 축성되어 전략적 요충지에 자리 잡았으나 원폭으로 파괴된 후 복원되었고, 현재는 평화를 기원하는 상징이자 '잉어성'이라는 별칭으로 시민들의 사랑을 받는 히로시마의 평지성이다.
  • 아사노씨 - 기슈번
    기슈번은 세키가하라 전투 후 아사노씨의 영지였다가 도쿠가와 요리노부가 상속받아 기이 도쿠가와 가문이 다스리게 되었고, 쇼군을 배출하며 막부와 관계를 유지했으나 재정난을 겪었으며, 판적봉환 후 와카야마 번으로 개칭, 폐번치현으로 와카야마현이 되었다.
아사노 요시나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사노 요시나가 (도쿄 대학 사료편찬소 소장)
시대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 초기
출생덴쇼 4년 (1576년)
사망게이초 18년 8월 25일 (1613년 10월 9일)
개명조만 (長満, 유년명), 나가요시(長慶) → 나가쓰구(長継) → 요시나가(幸長)
별칭사쿄노다이부(左京大夫), 기이노카미(紀伊守, 통칭), 나가요시(長慶), 나가쓰구(長継)
신호아사노 요시나가노미코토 (浅野幸長命, 니기쓰 신사)
계명세이코인덴마에키슈타이슈슌오소운다이코지 (清光院殿前紀州太守春翁宗雲大居士)
묘소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 후키아게 다이센지
와카야마현 이토군 고야정 고야산 싯치인
관위종5위하・사쿄노다이부
종4위하・기이와카야마 번주
증 종3위
주군도요토미 히데요시(히데요리)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데타다
기이와카야마 번주
씨족아사노 씨
부모아버지: 아사노 나가마사
어머니: 조세이인 (스기하라 사다토시 또는 아사노 나가카쓰의 딸)
형제자매요시나가
나가아키라
여자 (스기하라 나가후사 실)
요바이인(養梅院, 호리 지카요시 실)
여자 (마쓰다이라 사다쓰나 실)
나가시게
양녀: 다라오 미쓰사다 실 (나가카쓰의 동생 나가쓰구의 딸)
양녀: 후나코시 나가카게 실 (스기하라 나가후사의 딸)
배우자정실: 이케다 쓰네오키의 딸
자녀황매원(黄梅院, 마쓰다이라 다다마사 정실)
고겐인(도쿠가와 요시나오 정실)

2. 생애

덴쇼 4년(1576년) 오미국 아자이군 오다니(지금의 시가현 고호쿠정)에서 아사노 나가마사의 적장자로 태어났다. 아버지 나가마사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정실 네네의 의동생으로, 도요토미 정권에서 고부교의 한 사람이었다.

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 참전했고, 임진왜란에도 참전하여 서생포왜성에 머물렀으며, 1597년 울산성 전투에서는 울산왜성에서 농성하며 분전했다.

1593년 아버지와 함께 가이국 후추(府中)(야마나시현 고후시)를 받았다. 1595년 도요토미 히데쓰구의 실각에 연좌되어 노토로 귀양갔지만 마에다 도시이에의 중재로 금세 복귀하였다.

1598년 히데요시 사후, 가토 기요마사 등 무단파에 가세해 고부교인 문치파 이시다 미쓰나리 등과 대립했다. 1599년 마에다 도시이에 사후에는 후쿠시마 마사노리 등과 함께 이시다 미쓰나리를 습격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이끄는 동군에 속해, 난구산 부근에 포진하고 모리 히데모토 등의 서군 세력을 견제했다.

전후 기이국 와카야마에 37만 6천 석을 받았다. 1611년 니조성에서 열린 이에야스와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회담에서 가토 기요마사와 함께 경비를 맡았다. 1613년 8월 25일에 와카야마에서 사망했다. 향년 38세.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동생인 아사노 나가아키라가 뒤를 이었다.

2. 1. 도요토미 가문 시절

1576년 오미국에서 아사노 나가마사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 참전하였는데, 이것이 첫 출전이었으며 당시 15세였다. 혼다 타다마사와 함께 대문을 돌파하고 격전을 벌여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격찬을 받고 특별 제작된 칼을 받았다.[3] 1592년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서생포왜성에 주둔하였다.[4] 다테 마사무네와 함께 여러 장수와 합류하여 각지를 전전했다.

1593년 아버지와 함께 가이국 후추(府中)(야마나시현 고후시) 22만 5천 석을 하사받았다. 이 중 아사노 요시나가는 16만 석, 아버지 나가마사는 5만 5천 석, 1만 석은 공유지로 정해졌다.[5] 1595년 도요토미 히데쓰구 실각에 연좌되어 노토로 유배되었으나, 마에다 도시이에의 중재로 금세 복귀하였다.[11]

1598년 히데요시 사후, 가토 기요마사, 후쿠시마 마사노리 등 무단파에 가세하여 고부교인 문치파 이시다 미쓰나리 등과 대립했다. 1599년 마에다 도시이에 사후에는 후쿠시마, 가토 등과 함께 이시다 미쓰나리를 습격했다.

2. 2. 세키가하라 전투 전후

1598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은 후, 아사노 요시나가는 조선에서 함께 싸웠던 가토 기요마사, 후쿠시마 마사노리 등 무단파에 가담하여 고부교인 문치파 이시다 미쓰나리 등과 대립하였다.[12] 1599년 마에다 도시이에가 죽은 후에는 후쿠시마, 가토 등과 함께 이시다 미쓰나리를 습격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이끄는 동군에 속해, 난구산 부근에 포진하고 모리 히데모토, 나쓰카 마사이에 등의 서군 세력을 견제했다.[13] 이 때문에 종일 대치한 채로 끝나고, 본전에는 참가하지 않았다.

전후에는 기이국 와카야마에 37만 6천 석을 받았다.[13] 1611년 니조성에서 열린 이에야스와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회담에서 가토 기요마사와 함께 경비를 맡았다.[17]

2. 3. 와카야마번주 시절과 최후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이끄는 동군에 속해 서군을 견제한 공으로 기이국 와카야마에 37만 6천 석을 받았다.[3] 1611년 니조성에서 열린 이에야스와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회담에서 가토 기요마사와 함께 경비를 맡았다.[3]

1613년 8월 25일에 와카야마에서 사망했다. 향년 38세.[3]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동생인 아사노 나가아키라가 뒤를 이었다.[3] 사인은 매독으로 알려져 있으며,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한 암살설도 제기되고 있다.[21] 한국에서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인 여성에게 성병을 옮았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3. 평가

아사노 요시나가는 무용이 출중하고 역전의 용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다이묘들이 그의 무용에 경의를 표했다고 한다. 가토 기요마사처럼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천하를 인정하면서도 평생 도요토미 가문에 충성을 다했다. 이 때문에 기요마사처럼 이에야스 일파에게 암살당했다는 설이 있다. 기요마사, 후쿠시마 마사노리와 함께 이시다 미쓰나리를 싫어하는 무단파의 중진이었다.

요시나가는 화류병(성병)의 일종인 신허로 사망했는데, 이는 기요마사와 같은 사인이다. 38세라는 젊은 나이에 사망했고, 요시나가가 죽은 다음 해에 오사카 겨울 전투가 시작된 것을 보면 암살설이 유력하다는 견해도 있다. 다만, 매독은 감염 후 사망까지 10년 이상 걸리므로, 임진왜란 때 유녀와 접촉하여 감염되었다면, 비슷한 시기 한반도나고야성에 주둔했던 무장들이 비슷한 시기에 사망한 것도 이상한 일은 아니다.

학문에도 열심이어서 후지와라 세이카, 호리 세이이 등에게 배웠다. 포술가 이나토미 이치무에게 사사하여 "천하일"이라 불릴 정도의 명사수였다.[19] 『당대기』에서는 요시나가가 수년 전 천연두를 앓았고, 죽기 5년 전(1609년) "가즈라기"라는 유녀와 "당춘우무우에몬조"라는 기생을 두고 위로했지만, 이것이 원인이 되어 요절했다고 한다.[21] 이는 매독의 말기 증상인 당창에 이른 화류병(성병)으로 인한 죽음이라는 의미이다.

마에다 도시이에의 다섯째 딸 요멘과 약혼했지만, 그녀는 1593년에 요절했다. 다도를 후루타 오리베에게 배운 다인이기도 하며, 요시나가가 오리베에게 질문한 차서 『다도장문직답초』가 남아 있다. 울산성 전투에서는 조총을 직접 들고 싸웠는데, 너무 많이 발포하여 얼굴 반이 그을음으로 새까맣게 물들었고, 사용했던 화승총은 총신이 타 여우색으로 변색되었다고 한다. 이 "여우통"은 아사노가의 가보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3. 1. 긍정적 평가

무용에 출중하고 역전의 용장으로, 그 무용은 여러 다이묘들이 경의를 표할 정도였다고 한다. 학문에도 열심이어서 후지와라 세이카·호리 세이이 등에게 사사했다.[12] 가토 기요마사, 후쿠시마 마사노리, 구로다 나가마사 등과 함께 이시다 미쓰나리와 사이가 좋지 않아 무단파의 중심 인물이었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따라 동군의 승리에 기여했다. 아이즈 정벌에 종군하였고, 시모쓰케국 고야마에서 이시다 미쓰나리가 반란을 일으켰다는 소식을 듣고, 상방(上方)의 처자(妻子)가 인질로 잡혀있다고 하여 의심받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하며 이에야스와 동맹을 새롭게 맺고 선봉(先鋒) 중 하나로 임명되었다.[13] 기후성 전투에서 오다 히데노부를 격파하는 등 공을 세웠다.

전투 후, 기이국 와카야마번 초대 번주가 되어 37만 6,560석을 받았다.[13] 와카야마성을 축성하고 조카마치를 건설하는 등 번의 기틀을 다졌다.

가토 기요마사와 마찬가지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천하를 인정하면서도, 평생에 걸쳐 도요토미 가문에 대한 충성을 굳게 지켜나갔다.[12] 그 때문에 이에야스 일파에 의해 암살당한 것이 아닐까 하는 설이 있다.[12]

3. 2. 부정적 평가

아사노 요시나가는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조선 백성들에게 고통을 안겨준 인물로, 한국 역사학계에서는 전범으로 규정하고 있다.[12] 요시나가는 울산성 전투에서 조선군과 명군에 맞서 싸웠으며, 이 과정에서 많은 조선 백성들이 피해를 입었다.[12]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 요시나가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협력하여 도요토미 가문을 멸망으로 이끄는 데 일조하였다. 그는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측에 가담하여 승리에 기여하였고, 이후 도요토미 가문을 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13]

요시나가는 매독으로 사망하였는데, 이는 그의 부적절한 사생활의 결과라는 비판이 있다. 『당대기』에 따르면, 요시나가는 유녀와의 관계로 인해 매독에 걸려 요절했다고 기록되어 있다.[21]

4. 가족 관계


이름출생-사망비고
고원원1603년 ~ 1637년도쿠가와 요시나오 정실, 하루히메(春姫)
황매원? ~ 1623년마쓰다이라 다다마사 정실, 하나히메(花姫)


5. 기타


  • 이나토미 이치무에게서 포술을 배워 "천하일"이라고 불릴 정도의 명사수가 되었다.[19]
  • 후루타 오리베에게 다도를 배운 다인(茶人)이기도 하며, 요시나가가 오리베에게 질문한 차서(茶書)인 『다도장문직답초(茶道匠聞直答抄)』가 남아 있다.
  • 울산성 전투에서 요시나가는 직접 조총을 들고 싸웠는데, 너무 많이 발포하여 얼굴 반쪽이 그을음으로 새까맣게 물들었고, 사용했던 화승총은 총신이 타서 여우색으로 변색되었다고 한다. 이 "여우총"은 아사노가의 가보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참조

[1] 문서 長勝の弟・浅野長継の娘
[2] 문서 杉原長房の娘
[3] 서적 コンサイス日本人名事典 三省堂 2009-01
[4] 문서 文禄5年政宗と長政の絶交
[5] 문서 史料綜覧11編913冊10頁
[6] 문서 史料綜覧11編913冊75頁
[7] 문서 史料綜覧11編913冊77頁
[8] 문서 史料綜覧11編913冊88頁
[9] 문서 石川県七尾市津向町
[10] 문서 史料綜覧11編913冊90頁
[11] 문서 史料綜覧11編913冊120頁
[12] 문서 史料綜覧11編913冊159頁
[13] 서적 関ケ原の戦い 勝者の研究・敗者の研究 学研パブリッシング 2014-07
[14] 학술지 羽柴氏下賜と豊臣姓下賜 http://repo.komazawa[...]
[15] 문서 大日本史料12編6冊359頁
[16] 문서 大日本史料12編23冊補遺96頁
[17] 문서 大日本史料12編8冊90頁
[18] 문서 大日本史料12編21冊補遺283頁
[19] 웹사이트 浅野幸長 2020-07-10
[20] 문서 傾城の意味
[21] 서적 近世日本国民史 第12巻 家康時代 中巻 大阪役 民友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