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생포왜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생포왜성은 1593년 가토 기요마사가 축조한 임진왜란 시기 일본식 평산성으로, 울산광역시에 위치해 있다. 분로쿠·게이초의 역(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시기 일본군의 거점으로 사용되었으며, 강화 협상 장소로 활용되기도 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 일본군이 철수하고 명나라-조선 연합군이 입성했으나, 이후 방치되었다. 일제강점기에 훼손되었으나, 1997년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복원 및 관리되고 있다. 본성과 지성으로 구분되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일본 성곽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의 문화유산자료 - 운화리성지
    울산광역시 울주군 운화리에 위치한 운화리 성지는 대운산 지맥을 따라 타원형으로 축조되었으며, 자연석과 흙으로 쌓은 높이 2~3m의 성벽과 석단 시설을 통해 삼국시대 또는 통일신라시대에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산성이다.
  • 울산광역시의 문화유산자료 - 울산왜성
    울산왜성은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울산에 축성한 왜성으로, 도산왜성이라고도 불렸으며 현재는 학성공원으로 조성되어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7호로 지정된 석축 일부가 남아 있는 곳이다.
  • 해제된 대한민국의 사적 - 소쇄원
    전라남도 담양군에 위치한 소쇄원은 양산보가 기묘사화 이후 은거하며 1520년대 후반부터 1530년대 중반에 걸쳐 건립한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정원으로, 자연과 인공의 조화가 돋보이는 원림이자 추월정, 광풍각, 대봉대 등의 건물과 아름다운 계곡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국가 사적 및 명승으로 지정되어 현재 양산보의 15대손이 관리하며 학술 연구와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다.
  • 해제된 대한민국의 사적 - 울산왜성
    울산왜성은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울산에 축성한 왜성으로, 도산왜성이라고도 불렸으며 현재는 학성공원으로 조성되어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7호로 지정된 석축 일부가 남아 있는 곳이다.
  • 울산광역시의 성 - 운화리성지
    울산광역시 울주군 운화리에 위치한 운화리 성지는 대운산 지맥을 따라 타원형으로 축조되었으며, 자연석과 흙으로 쌓은 높이 2~3m의 성벽과 석단 시설을 통해 삼국시대 또는 통일신라시대에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산성이다.
  • 울산광역시의 성 - 울산왜성
    울산왜성은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울산에 축성한 왜성으로, 도산왜성이라고도 불렸으며 현재는 학성공원으로 조성되어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7호로 지정된 석축 일부가 남아 있는 곳이다.
서생포왜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성곽 정보
본성
본성
이름서생포왜성
다른 이름烽火城, 外瓶城
종류산성
성곽 구조연결 복합식 (비현존)
위치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축성 및 관리 정보
축성자가토 기요마사
축성 연도1593년
개축자가토 기요마사
주요 통치자가토 기요마사, 모리 가쓰노부, 구로다 나가마사
폐성 연도1598년
문화재 지정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호
유적 정보
잔존 유적천수대, 호구, 수직 석축, 토루, 해자
문화재 정보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호)
이름서생포왜성 (西生浦倭城)
지정 종류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지정 번호8
지정일1997년 10월 30일
주소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서생리 711번지 일원
시대조선(1593년)
소유국(문화재청, 산림청, 농림수산부), 공, 사
관리울산광역시 울주군
참고 유형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지
면적91,453.1m2
꼬리표울주 서생리
문화재 정보 (사적 제54호, 해제)
이름서생포성 (西生浦城)
지정 종류사적
지정 번호54
지정일1963년 1월 21일
해제일1997년 1월 1일

2. 역사

서생포왜성은 비록 일본이 축성했으나, 후에 조선에서도 사용했던 성이다. 남문 일부가 훼손된 것을 제외하면 다른 곳은 옛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어, 16세기 말 일본 성곽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2]

성 안에는 1599년 왜군과 싸우다 순절한 애국지사의 위패를 모셨던 창표당 터가 남아 있다.[3] 본성 맨 서쪽에는 장군수라는 우물터가, 외성 남쪽에는 병사들이 식수로 사용했던 우물터가 남아있다.[3]

2. 1. 임진왜란 시기 (1592-1598)

임진왜란가토 기요마사에 의해 축조되었으며, 죽도왜성, 부산왜성, 울산왜성과 봉화로 서로 연락하여 봉화왜성이라고도 불렸다.[2]

가토 기요마사


1593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서(朱印狀)에 서생포왜성과 관련된 내용이 처음 등장한다. 같은 해 5월 히데요시 명령서는 이름을 알 수 없는 성의 수비를 가토 기요마사사가라 요리후사에게 지시하고 있다. 한성에서 퇴각한 가토 기요마사는 이후 그대로 울산 서생포에 들어가 축성을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되므로, 구체적인 일시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1593년에 본격적인 축성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6] 같은 해 9월 히데요시의 명령서에는 "강화에 방심하지 말고 성을 견고히 하라"라고 지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일련의 명령서로 보아 서생포왜성은 가토 기요마사가 성의 원형을 만든 것이라고 추정된다.

1594년에는 평화교섭이 활발히 진행되어 4월에는 서생포왜성에서 사명대사와 가토 기요마사가 회견을 하였다.

1595년 6월 28일 자 히데요시의 명령서에 의해 부산왜성, 죽도왜성, 가덕도왜성 등의 몇 개를 남기고 여러 장수를 순차적으로 일본으로 귀국시켰는데, 이때 가토 기요마사는 서생포왜성에서 기장 죽성리왜성으로 옮겼고, 이때부터 서생포왜성은 한때 폐성이 되기도 했다.

1596년 히데요시의 명을 받고 귀국한 가토 기요마사는 후시미(伏見)로 향하였는데, 같은 해 9월 평화교섭이 결렬되자, 1597년 1월 가토 기요마사는 다시 1번대가 되어 약 10,000명의 군사를 이끌고 조선을 침입, 기장과 양산을 거쳐 폐성이던 서생포왜성에 재입성했다.[7] 이후 가토 기요마사는 이 방면의 군사적 책임자가 되었고, 같은 해 2월 21일자 히데요시 명령서에 수비 책임자로 아사노 요시나가(浅野幸長)에게 3,000명의 재번을 명령하고 있다. 같은 해 3월 가토 기요마사는 서생포왜성에서 사명대사와 다시 회담을 했다. 같은 해 7월 21일경에 아사노 요시나가가 서생포왜성에 입성하고, 가토 기요마사는 북위작전을 위해 출진하고, 같은 해 9월 아사노 요시나가는 혼마루의 토목공사에 착수한 것으로 보인다.[7]

같은 해 10월 말 가토 기요마사는 서생포왜성으로 돌아와서, 지금까지 가장 동쪽에 있던 서생포에서 북동쪽으로 약 35km 떨어진 울산에 최전선에 왜성이 생기면 일본군 점령지 수비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았는데, 그것이 바로 같은 해 11월 10일자 히데요시의 명령서에 의해 축성된 울산왜성이다. 12월 중순 이후 성의 외곽부분이 거의 완성되었을 무렵, 울산왜성이 조·명 연합군의 공격을 받기 시작하였다.(울산성 전투) 같은 해 1월 22일자 히데요시의 명령서에 의해 가토 기요마사는 울산왜성의 수비만 전념케 하고, 서생포왜성에는 모리 가쓰노부, 시마즈 다다토모, 이토 스케타카, 다카하시 모토타네, 아카즈키 타네나가, 사가라 나가쓰네 등 여러 장수가 입성하여 수비를 담당하게 되었다.[8]

1598년 5월 22일자 히데요시의 명령서에 의해 지금까지 구포왜성에 있던 구로다 나가마사가 서생포왜성에 수비담당자가 되어, 이후 성을 버리고 떠날때까지 나가마사가 지키고 있었다. 같은 해 8월 18일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사망으로 임진왜란이 종전에 다가왔고, 10월 15일자 고다이로(五大老)가 나가마사 앞으로 보낸 명령서에서 "울산이 공격당할 때는 서생포를 단단히 지킬 것, 비상시에는 서생포성을 버리고 부산성으로 빠져나갈 것"을 명령하고 있다. 10월 27일자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명령서에는 "기요마사와 협의하여, 서생포성을 퇴각하여 부산성으로 입성하라"고 명령하고 있다. 11월 24일에 기요마사와 나가마사 등이 부산왜성에서 일본으로 귀국길에 오르자, 명나라의 제독 마귀가 울산왜성과 서생포왜성에 입성하여 점령했다.[8][9]

2. 2. 조선 시대 (1598-1895)

임진왜란 이후, 서생포 만호진성(西生浦 萬戶鎭城)의 수군만호는 수군동첨절제사(水軍同僉節制使)로 승격되었으나, 일본군이 축조한 서생포왜성의 성곽이 견고하여 수군동첨절제사를 인근의 서생포왜성으로 이동하게 된다.[2] 이로 인해 서생포 만호진성은 폐성이 되고, 서생포왜성은 대진(大鎭)으로 승격되어 1895년(고종 32)까지 조선의 서생포진성(西生浦鎭城)으로 사용되었다.

1872년에 제작된 『울산서생진지도』(蔚山西生鎭地圖)에는 서생포왜성의 외성(外城) 내부 관청 건물, 주변 지역 마을 모습이 나타나 있다. 서생포진성의 남문 근처에는 시장도 형성되어 있었고, 전선이 정박해 있는 수군의 모습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서생포 왜성의 외성이 대촌(大村)으로 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1599년, 임진왜란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위로하기 위해 성안 중간 지점에 창표당(蒼表堂)이 세워졌다.[3] 창표당은 서생포왜성에서 일본군과 전쟁 중 전사한 조선 장병들을 위해 선조 32년(1599년)에 세운 사당이다. 창건 당시 창표당에는 위패를 봉안한 본당 등 여러 건물이 있었다고 전해지나, 현재는 배 밭에 울산시가 세워 놓은 표지판만 남아 있다.

성 동문에는 서생포왜성 전투에 참여했던 명나라 장군 편갈송이 정전 후에도 귀국하지 않고 조선에 귀화하여 이곳에서 여생을 보낸 것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기념비를 세워놓고 관리하고 있다.[2]

3. 구조

임진왜란가토 기요마사가 쌓았으며, 죽도왜성, 부산왜성, 울산왜성과 봉화로 서로 연락하여 봉화왜성이라고도 불렸다.[2]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일본식 평산성으로, 나중에 조선에서도 사용하였다. 남문 일부가 훼손된 것을 제외하면 옛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으며, 16세기 말 일본 성곽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2]

성벽은 외성(外城)의 경우 바깥쪽에만 돌로 쌓는 내탁식(內托式)으로, 내성(內城)은 안과 밖 모두를 돌로 쌓는 협축식(夾築式)으로 축조되었으며, 기울기는 지면에서 60˚ 내외이다.[2] 모성(母城) 혹은 내성(內城)은 회야강 강구의 작은 포구를 끼고 해발 133m 산 정상에 혼마루를 두고, 동쪽 경사면에 니노마루, 산노마루를 겹으로 배치하였다. 동북쪽 경사면에는 약 6m의 노보리이시가키를 계단식으로 쌓아 본성과 연결했다.[2] [5] 이는 각 구루와에서 독립적인 전투를 할 수 있도록 한 왜성의 전형적인 모습이다.[2] 그 아래로 산 아래까지 점차 넓어지는 지성(支城)을 배치하고, 성벽 밖에는 2, 3중으로 해자를 둘렀다.

3. 1. 전체 구조

서생포왜성은 산 정상에 본성을 두고 동북쪽 경사진 외곽에 2∼3겹으로 높이 6m의 성벽을 계단식으로 쌓아 성 전체를 여러 구역으로 나누었다. 이것은 각 구역이 독립적인 전투를 할 수 있도록 한 왜성의 전형적인 모습이다.[3] 성벽 밖에는 2, 3중으로 해자를 둘렀다. 성곽의 전체 면적은 해자를 포함하여 46,000평에 이르고, 해자를 제외한 성 외곽부의 길이는 약 2.5km, 평면상의 직선 거리는 동서 약 870m, 남북 약 370m에 달해 남해안 각지에 산재하는 왜성 가운데 가장 웅장하다. 성의 내외부에는 다수의 우물터가 확인된다.

서생포왜성은 울산광역시 중심부에서 남쪽으로 약 15km 떨어진 바다에 접한 높이 200m의 작은 산 위에 축조되었다. 바다는 만(灣)을 이루고 있으며, 성이 축조된 산의 북쪽에는 강도 흐른다. 형태는 산성으로, 산 정상에 본성, 산 중턱에 이중성, 산기슭에 삼중성이라는 배치를 이루고 있다. 본성에는 천수각(天守)도 축조되었다.

3. 2. 본성 (内城)

회야강 강구의 작은 포구를 끼고 해발 133m 고지의 산 정상부에 혼마루를 축조하고, 아래로 동쪽 경사면을 이용하여 복잡한 구조로 니노마루, 산노마루를 겹으로 둘렀다.[2] 동북쪽 경사진 외곽에는 약 6m의 노보리이시가키를 계단식으로 축조하여 본성과 연결해 놓았다.[5] 이것은 각 구루와에서 독립적인 전투를 할 수 있도록 한 왜성의 전형적인 모습이다.[2]

본성에는 장군수와 천수각이 있다. 그리고 북문과 서문도 본성에 있다. 장군수는 옛날에 이곳에 머물렀던 일본군 장수들을 위한 우물이 있었던 곳으로 전해오고 있다. 그러나 지금은 주위 성벽이 파괴되면서 우물의 흔적을 찾기가 힘들다.

천수각은 일본의 성에서 상징적인 건물로써 성곽에서 가장 높은 지역에 위치하고 평소에는 왜장이 머물고 전쟁 때는 전쟁을 지휘하던 곳이다. 이곳은 돌계단을 통해 올라가야 하는데 천수의 흔적은 없지만 돌계단은 아직 옛 모습 그대로 있다. 천수에서 주위를 보면 산이 있는 서쪽을 제외하고는 모든 방향이 트여있어 좋은 전략적 위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문은 성 전체로 보면 남쪽 방향이다. 지형적으로 보면 이 문을 나서면 해안으로 갈 수 있어 일본군이 가장 많이 드나들었을 문으로 생각된다. 기록을 보면 이 성에는 문이 여럿 있는데 오직 서문만 살아 나올 수 있는 문이었다고 한다. 오늘날 이 지역이 서생면이 된 것도 이 문과 연결된 것이라고 보는 사람들이 있다.

반면 북문은 '죽음의 문'으로 불린다. 북문은 천수각 바로 위에 있다. 그런데 이 문은 문의 이름만 있고 실제로는 문이 없다. 따라서 옛날에 서생포왜성에 들어왔던 적병 중 이곳이 문인 줄 알고 탈출을 시도했던 사람들은 모두 죽고 말았다고 하여 '죽음의 문'으로 통한다.

3. 3. 지성 (外城)

자성(子城) 혹은 외성(外城)이라고도 한다. 지성에서 본성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니노마루와 산노마루를 지나야 한다. 니노마루와 산노마루가 있는 곳에도 해자가 있어 적이 쉽게 접근을 못하게 되어 있다. 아울러 이 성은 동서로 또 다른 성과 연결시켜 놓았다.[2]

1599년 (선조 32년)에 세워진 창표당은 서생포왜성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한 조선 장병들을 위한 사당이다. 창건 당시 창표당에는 위패를 봉안한 본당 등 여러 건물이 있었다고 전해지나, 현재는 배 밭에 울산시가 세워 놓은 표지판만 있을 뿐이다.[2]

동제당은 서생포왜성을 점령할 때 공을 세웠던 명나라 장군 마귀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성 동문에는 서생포왜성 전투에 참여했던 명나라 장군 편갈송이 정전 후에도 귀국하지 않고 조선에 귀화하여 이곳에서 여생을 보낸 것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기념비를 세워놓고 관리하고 있다.[2]

성벽 밖에는 2, 3중으로 해자를 둘렀다. 성곽의 전체 면적이 해자를 포함하여 46000m2에 이르고, 해자를 제외한 성 외곽부의 길이는 약 2.5km, 평면상의 직선 거리는 동서 약 870m, 남북 약 370m에 달해 남해안 각지에 산재하는 왜성 가운데 가장 웅장하다. 성의 내외부에는 다수의 우물터가 확인된다.[2]

3. 4. 해자

성벽 밖에는 2, 3중으로 해자를 둘렀다. 성곽 전체 면적은 해자를 포함하여 46000평에 이르고, 해자를 제외한 성 외곽부 길이는 약 2.5km이다. 평면상의 직선 거리는 동서 약 870m, 남북 약 370m에 달해 남해안에 있는 왜성 가운데 가장 웅장하다.

3. 5. 축성 기술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일본식 평산성으로, 본성과 지성으로 구분된다. 성벽은 외성(外城)의 경우 바깥쪽에만 돌로 쌓는 내탁식(內托式)으로, 내성(內城)은 안과 밖 모두를 돌로 쌓는 협축식(夾築式)으로 축조되었으며, 기울기는 지면에서 60˚ 내외이다. 서생포왜성은 16세기 말 일본 성곽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며, 임진왜란 이후 우리나라 성곽 축조에도 일시적으로 응용되었다.[2]

3. 6. 창표당지 발굴 조사

추정 창표당지 발굴조사를 통해 초축시기(임진왜란기) 절안부석축과 1구역 곡륜에 구축된 건물지 3동, 열상주혈군 1기, 2구역에서 건물지 3동, 수혈 1기가 조사되었다. 서생포왜성 수축시기(정유재란기) 1구역 건물지 1동, 2구역 건물지 1동, 우물 1기가 확인되었다.[4]

3. 7. 우물터

성 안 중간 지점에는 1599년(선조) 왜군과 싸우다 순절한 애국지사 위패를 모셨던 창표당 터가 남아 있으며, 본성 맨 서쪽에는 장군수라는 우물터가, 외성 남쪽에는 병사들의 식수로 사용했던 우물터가 있다.[3]

참조

[1] 서적 大日本分県地図併地名総覧 昭和十二年 昭和礼文社 1989-12-00
[2] 웹사이트 서생포왜성 http://www.cha.go.kr[...] 2009-01-13
[3]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4]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5] 웹사이트 서생포왜성 http://mindeung.invi[...] 2009-01-13
[6] 서적 倭城 Ⅰ 倭城址硏究會 1979-00-00
[7] 서적 倭城 Ⅰ 倭城址硏究會 1979-00-00
[8] 서적 倭城 Ⅰ 倭城址硏究會 1979-00-00
[9] 서적 日本近世城郭과 倭城에 대하여 2008-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