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투리아스 공 알폰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스투리아스 공 알폰소는 스페인 국왕 알폰소 13세와 빅토리아 유제니오 데 바텐베르크의 장남으로, 1907년 마드리드에서 태어났다. 그는 법정 추정 상속인으로서 아스투리아스 공 칭호를 받았으며, 어머니 쪽 가계에서 물려받은 혈우병을 앓았다. 1933년 평민과 결혼하기 위해 왕위 계승권을 포기했고, 이후 두 번의 결혼을 더 했지만 자녀는 없었다. 1938년 미국 마이애미에서 자동차 사고로 사망했으며, 처음에는 우드론 파크 묘지에 안장되었다가 1985년 엘 에스코리알의 왕자 묘역으로 이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혈우병 환자 - 조 스피넬
조 스피넬은 이탈리아계 미국인 배우이자 각본가로, 영화 《대부》로 데뷔하여 덩치 크고 위압적인 외모로 범죄자 역할을 주로 맡았으며, 슬래셔 영화 《매니악》의 주연, 공동 각본, 공동 제작을 맡았다. - 혈우병 환자 -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황태자
러시아 제국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 2세의 유일한 아들이자 황위 계승자였던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황태자는 혈우병을 앓았으며 러시아 혁명 후 가족과 함께 처형당했고, 이후 러시아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스페인의 왕자 -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1세는 1556년부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1526년부터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왕, 1521년부터 오스트리아 대공을 지냈으며 합스부르크 왕가의 오스트리아 분가를 창시하고 헝가리와 보헤미아 왕위를 계승하여 합스부르크 제국의 기틀을 마련, 종교 갈등을 조정하여 아우크스부르크 화의를 이끌어냈고 중앙집권화와 가톨릭 부흥을 추진했다. - 스페인의 왕자 - 카를로스 2세 (스페인)
카를로스 2세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근친혼으로 인한 건강 문제와 후계자 부재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을 야기하고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가의 종말을 가져온 스페인 국왕이다. - 아스투리아스 공 - 카를로스 2세 (스페인)
카를로스 2세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근친혼으로 인한 건강 문제와 후계자 부재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을 야기하고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가의 종말을 가져온 스페인 국왕이다. - 아스투리아스 공 - 펠리페 2세
펠리페 2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아들로 태어나 스페인, 이탈리아, 아메리카 등 광대한 영토를 물려받아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가톨릭 신앙을 옹호하며 종교 개혁 세력을 탄압하다가 1598년에 사망했다.
아스투리아스 공 알폰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알폰소 피오 크리스티노 에두아르도 프란시스코 기예르모 카를로스 엔리케 에우헤니오 페르난도 안토니오 베난시오 |
출생일 | 1907년 5월 10일 |
출생지 | 스페인마드리드왕궁 |
사망일 | 1938년 9월 6일 |
사망지 | 미국플로리다주마이애미 |
매장지 | 스페인산로렌소데엘에스코리알엘에스코리알 수도원 (1985년 4월 25일 개장) |
작위 | |
칭호 | 아스투리아스 공, 코바동가 백작 |
가문 | |
왕가 | 부르봉 가문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알폰소 13세 |
어머니 | 빅토리아 에우헤니아 이 바텐베르그 |
혼인 정보 | |
배우자 | 에델미라 삼페드로 이 로바토 (1933년 결혼, 1937년 이혼) 마르타 에스테르 로카포르트 이 알투자라 (1937년 결혼, 1938년 이혼) |
종교 | |
종교 | 기독교가톨릭교회 |
2. 생애
알폰소 13세와 빅토리아 에우헤니아 왕비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법정 추정 상속인으로서 아스투리아스 공 칭호를 받았다. 알폰소는 막내 동생 곤살로와 마찬가지로 외증조모인 영국 여왕 빅토리아에게서 유전된 혈우병을 앓고 있었다.
1931년 공화제 성립으로 왕가는 프랑스로 피신했다.[7]
1933년 쿠바 출신 평민 Edelmira Sampedro y Robato|에델미라 산페드로 이 로바토영어와 귀천상혼하여 아스투리아스 공 칭호와 왕위 계승권을 포기했고, 이후 코바동가 백작으로 불렸다.
1937년 5월 8일 에델미라와 이혼 후, 7월 3일 쿠바 출신 Marta Esther Rocafort-Altuzarra|마르타 에스테르 로카포르트 이 알투사라영어와 재혼했으나, 1938년 1월 8일 다시 이혼했다. 두 번의 결혼 모두 자녀는 없었다.
1938년 9월, 마이애미에서 자동차 사고로 전화 부스에 충돌하여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외상은 심하지 않았지만, 혈우병으로 인한 내출혈이 치명적이 되어 3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엘 에스코리알 수도원으로 1985년 이장되기 전까지 마이애미 우드론 공원 묘지에 매장되었다.
2. 1. 출생과 유년 시절
알폰소는 1907년 5월 10일 마드리드 왕궁에서 당시 국왕이었던 알폰소 13세와 빅토리아 유제니오 데 바텐베르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7] 이름은 알폰소 피오 크리스티노 에두아르도 프란시스코 기예르모 카를로스 엔리케 에우제니오 페르난도 안토니오 베난시오였다. 그는 어머니 쪽 가계로부터 유전 질환인 혈우병을 물려받았으며,[7] 그의 모계 친척들 중 다수가 같은 질환을 앓았다. 그와 그의 막내 동생인 곤잘로는 사고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된 재킷을 입고 지냈다.알폰소는 출생 8일 후, 톨레도 대주교에 의해 마드리드 왕궁의 왕실 예배당에서 세례를 받았다. 그의 대부모는 아버지 쪽 할머니인 마리아 크리스티나 여왕과 교황 비오 10세였으며, 교황은 아리스티드 추기경 리날디니가 대리했다. 세례식 후, 그의 아버지는 그에게 금양모 기사단과 카를로스 3세 훈장, 그리고 이사벨라 가톨릭 훈장의 대십자 훈장을 수여했다.
2. 2. 스페인 제2공화국 수립과 망명
1931년 4월, 공화제 성립으로 알폰소 13세와 왕가는 프랑스로 피신했다.[7]2. 3. 왕위 계승권 포기와 결혼
에델미라 삼페드로 이 로바토와 결혼하기 위해 알폰소는 1933년 폐지된 왕위에 대한 권리를 포기했다.[2] 1933년 6월 21일 우시에서 종교적으로 결혼했고, 이후 알폰소는 코바동가 백작으로 불렸다. 알폰소의 왕위 계승권 포기는 카를로스 3세의 1776년의 국사 조칙에 따른 것이었다.[2] 이 부부는 1937년 5월 8일에 이혼했다.[2]알폰소가 왕위 계승권을 포기한 후, 둘째 동생 하이메가 왕위를 계승할 예정이었으나, 유년 시절 수술로 인해 청각 장애인이 되어 왕위 계승을 거부했다. இதனால் 넷째 동생 후안이 왕위 계승 서열 1위가 되었다.
1937년 7월 3일, 알폰소는 마르타 에스테르 로카포르트-알투사라와 아바나에서 결혼했다.[2] 그러나 1938년 1월 8일에 이혼했다.[2] 두 번의 결혼 모두에서 자녀는 없었다.
2. 4. 사망
1938년 9월 6일, 알폰소는 31세의 나이로 미국 마이애미에서 자동차 사고로 사망했다. 밤에 엔터테이너 밀드레드 게이든이 운전하는 차를 타고 가던 중 트럭을 피하려다 전화 부스에 충돌했다.[4] 외상은 경미했으나, 혈우병으로 인해 치명적인 내부 출혈이 발생하여 사망했다. 알폰소의 막내 동생 곤잘로 역시 혈우병을 앓았으며, 4년 전 알폰소와 매우 유사한 자동차 사고로 사망했다.[5]알폰소는 마이애미의 우드론 파크 묘지(현재 카바예로 리베로 우드론 파크 노스 묘지 및 영묘)에 안장되었다가, 1985년 엘 에스코리알의 왕자 묘역에 다시 안치되었다. 첫 번째 부인 Edelmira Sampedro y Robato|에델미라 산페드로 이 로바토영어는 코바동가 백작부인 칭호를 유지했으며, 왕족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재안치에 참석하지 않았다.
3. 가계
스페인 국왕 알폰소 13세와 바텐베르크 공녀 빅토리아 유제니오의 장남이다.
3. 1. 조상
1대 | 2대 | 3대 | 4대 |
---|---|---|---|
1. 아스투리아스 공 알폰소 | 2. 스페인 국왕 알폰소 13세 | 4. 스페인 국왕 알폰소 12세 | 8. 스페인 인판테 프란시스코 데 아시스 |
9. 스페인 여왕 이사벨 2세 | |||
5. 오스트리아 여대공 마리아 크리스티나 | 10. 오스트리아 대공 카를 페르디난트 | ||
11. 오스트리아 여대공 엘리자베트 프란치스카 | |||
3. 바텐베르크 공녀 빅토리아 유제니오 | 6. 바텐베르크 공자 하인리히 | 12. 헤센-라인의 알렉산더 공자 | |
13. 하우케 백작부인 율리아 | |||
7. 영국 공주 베아트리스 | 14.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알베르트 공 | ||
15. 영국 여왕 빅토리아 |
4. 훈장
알폰소는 금양모 기사단의 1,120번째 기사였으며, 카를로스 3세 훈장의 칼라 기사였다.[1] 또한 이사벨라 가톨릭 훈장 대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1]
5. 문장
참조
[1]
웹사이트
Encyclopaedia Britannica: Edward VIII
https://www.britanni[...]
[2]
간행물
Milestones, Jan. 17, 1938
https://content.time[...]
2022-12-05
[3]
서적
The Spanish Bourbons
G. P. Putnam's Sons
1974
[4]
서적
The Spanish Bourbons
G. P. Putnam's Sons
1974
[5]
뉴스
Auto Crash Fatal to Spanish Prince
The New York Times
1934-08-14
[6]
간행물
Alfonso, Prince of Asturias inducted knight of the Golden Flecee, knight with collar of the Order of Charles III and Grand Cross Knight of the Order of Isabella the Catholic
http://www.boe.es/da[...]
Boletín Oficial del Estado|BOE
2012-11-01
[7]
뉴스
亡命の前皇帝パリ着、帝政派が出迎え
東京朝日新聞
1931-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