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우렐리아누스 방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렐리아누스 방벽은 3세기의 위기 동안 로마를 방어하기 위해 아우렐리아누스 황제가 건설한 로마 시의 성벽이다. 270년 야만족의 침입과 로마의 취약성을 겪은 후, 아우렐리아누스 황제는 성벽 건설을 지시했다. 이 성벽은 5년 만에 완공되었으며, 기존의 건축물들을 포함하여 건설되었다. 아우렐리아누스 방벽은 19킬로미터 길이로, 로마 시의 경계를 19세기까지 유지했으며, 오늘날까지도 상당 부분 보존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의 성벽 - 세르비아누스 성벽
    세르비우스 성벽은 기원전 4세기 로마 공화정 시대에 재건되어 외부 침략으로부터 로마 시민을 보호하는 주요 시설로 활용되었으며, 로마의 역사와 문화, 도시 계획, 군사 전략에 큰 영향을 미친 중요한 유산이다.
  • 로마의 지리 - 로마 게토
  • 로마의 지리 - 아니에네강
    아니에네강은 로마인들에게 아니오로 알려졌으며, 필레티노에서 발원하여 로마 북쪽에서 테베레강과 합류하며, 고대 로마 시대에는 수도교의 수원지였고, 19세기에는 홍수 통제를 위한 공사가 진행되었다.
  • 3세기 완공된 건축물 - 카라칼라 욕장
    카라칼라 욕장은 카라칼라 황제 시대에 건설된 고대 로마의 대규모 공중 목욕탕 유적으로, 목욕 시설 외에도 도서관, 휴식 공간 등으로 활용되었으며 로마의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여겨졌고 현재는 유적지로 남아 발굴 및 복원 작업을 통해 과거의 웅장함을 엿볼 수 있다.
  • 3세기 완공된 건축물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은 203년에 파르티아 전쟁 승리를 기념하고 세베루스 왕조를 과시하기 위해 로마 포룸에 세워진 기념물이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와 그의 아들 카라칼라의 업적을 기리는 비문과 파르티아 전쟁 장면 부조 장식으로 유명하다.
아우렐리아누스 방벽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산 세바스티아노 성문과 아르데아티나 성문 사이에 있는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의 일부
산 세바스티아노 성문과 아르데아티나 성문 사이에 있는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의 일부
위치이탈리아, 로마
종류방어벽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적색선)과 그 문을 나타낸 고대 로마 지도. 검은색 선은 기원전 4세기의 [[세르비우스의 성벽]]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적색선)과 그 문을 나타낸 고대 로마 지도. 검은색 선은 기원전 4세기의 세르비우스의 성벽
건설
건설 기간271년–275년
건설 주체로마 시민
재료콘크리트
벽돌
모르타르
높이최대 10m
사용 및 관리
용도도시 성벽
철거일부는 중세 시대에 철거됨
현재 상태남아있는 부분은 반쯤 파괴되었거나 일부 복원됨
소유주이탈리아 정부
일반 공개일반 공개됨
통제프라이토리아니
군사 정보
주둔군프라이토리아니
점령로마인
전투 및 사건
전투로마 약탈 (410년)
로마 약탈 (455년)
로마 점령

2. 역사

3세기의 위기 동안 게르만족이 로마 제국의 국경을 넘어 이동하고 로마군이 이들을 막기 위해 고군분투하면서, 로마 시의 방어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270년 유퉁기족과 반달족이탈리아반도 북부를 침략하여 플라첸티아 (오늘날의 피아첸차)에서 로마군을 격파했으나, 결국 로마군에 의해 격퇴되었다. 271년 여름, 로마에서는 화폐 주조소 일꾼들이 반란을 일으켜 수천 명이 목숨을 잃었다.[12]

아우렐리아누스 황제는 270년 야만족의 침공에 대한 비상 조치로 성벽 건축을 지시하였다. 역사학자 아우렐리우스 빅토르는 황제의 지시가 로마 시의 취약한 방어력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었다고 증언하였다.[13] 또한, 아우렐리아누스 황제가 로마 시민들에게 자신의 신용도를 높이고 황제의 권력을 공고화하기 위한 정치적인 목적도 있었다.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의 축성은 수십 년에 걸쳐 진행된 로마 역사상 가장 큰 건설 계획 가운데 하나였으며, 로마의 강력한 힘을 보여주는 것이었다.[12]

성벽은 5년 만에 완공되었지만, 아우렐리아누스 자신은 성벽이 완공되는 것을 보지 못하고 사망했다. 막센티우스는 성벽의 일부 감시탑을 개선하고 높이를 두 배로 높였다. 401년 호노리우스 치하에서 성벽과 성문이 개선되었고, 산탄젤로 성이 로마 시를 방어하는 요새 역할을 하게 되었다. 고트 전쟁 중 동고트 왕국토틸라 왕은 545년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을 무너뜨려 동로마 제국이 로마 시를 방비할 가능성을 제거하려 했다. 프로코피우스에 의하면, 성벽의 3분의 1이 이때 파괴되었다고 한다.

846년 로마에 대한 아랍족의 습격때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은 약탈자들의 역사적 보물 약탈을 구 성 베드로 대성당과 성 바오로 대성당을 포함한 성벽 외부의 장소로 제한했고, 이러한 취약성으로 인해 848년부터 852년까지 바티칸 언덕을 둘러싸는 레오 성벽이 건설되었다.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은 1870년 9월 20일 이탈리아 왕국의 베르살리에리 부대가 피아 성문 인근 성벽을 뚫고 들어와 로마 점령을 달성하기 전까지 로마 시의 중요한 군사적 방어 기능 역할을 수행하였다. 19세기까지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은 로마 시의 경계선이었으며, 성벽 안에 있는 시가지부터 로마 시의 영역으로 규정되었다.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은 19세기까지 로마의 주요 방어 시설로 지속적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오늘날까지 놀라울 정도로 보존되어 있다. 산 세바스티아노 성문 근처에 있는 무라 성벽 박물관에서는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의 구조는 물론 적들의 침공을 어떻게 막아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 1. 건설 배경

3세기까지 로마는 로마 공화정 시대인 기원전 4세기 말경에 건설된 세르비우스 성벽으로 둘러싸인 영역보다 시가지가 확장되었다. 로마는 이후 계속 확대되었고, 수 세기 동안 사실상 무방비 상태였다. 3세기의 위기 시대에 북방에서 이민족이 침입해 오기 시작했고, 로마군이 그것을 막았지만, 더욱 방어가 필요하게 되었다. 270년, 알레만니 족과 반달족이 북이탈리아를 침략했고, 로마군은 플라켄티아(현 피아첸차)에서 대패를 겪었다. 그 후 271년 여름에는 로마에서 노동자 반란이 일어났다. 그 싸움에서 수천 명이 목숨을 잃었다.[8]

아우렐리아누스가 성벽 건설을 서두른 것은 270년에 시작된 이민족의 침략에 대한 대책 때문이었다. 역사가 섹스투스 아우렐리우스 빅토르는 이를 로마의 취약성을 어느 정도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명시하고 있다.[9] 그것은 또한 아우렐리아누스가 황제로서 권력을 잡는 것에 대해 시민들이 그것을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는 정치적 신호이기도 했다. 성벽 건설은 당시 로마에서 최대 규모의 건설 사업이었으며, 로마 제국의 강대함이 계속될 것을 보여주었다.[8]

성벽은 5년이라는 놀라운 단기간에 완성되었지만, 아우렐리아누스는 그 완성 전에 사망했다. 공사를 단축하고 자금을 절약하기 위해 기존 건축물을 성벽에 통합했다. 예를 들어, 카스트렌세 원형 경기장, 카스트라 프라에토리아, 가이우스 케스티우스의 피라미드 등이 있으며, 마조레 문 부근의 로마 수도교인 클라우디아 수도교의 일부도 성벽의 일부가 되었다. 전체 둘레의 최대 6분의 1에서 기존 건축물을 성벽의 일부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8] 성벽 바로 안쪽은 정비되었고, 비상시 병력을 신속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보초 통로가 건설되었다.

로마의 수비대는 성벽 규모에 비해 인원이 적었고, 이 성벽이 실제로 도움이 되었는지 의심스러웠다. 프라에토리아니, ''cohortes urbanae'', ''vigiles''라는 로마에 있는 군세를 모두 합해도 2만 5천 명이며, 성벽 전체 둘레를 방어하기에는 분명히 인원이 부족했다. 그러나 이 성벽은 장기적인 포위전을 의도한 것이 아니다. 이민족 군대는 식량 공급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도시를 포위하는 전법을 채택하지 않았다. 오히려 방어가 약한 곳을 노려 전격적인 공격을 가하는 경우가 많았다. 성벽은 그러한 전법에 대한 대책이었다.[10]

막센티우스는 성벽 일부의 높이를 배로 늘리고, 감시탑도 개량했다. 401년, 호노리우스 시대에도 성벽과 문을 개수했다. 이때 테베레강 건너편에 있던 산탄젤로 성도 방어용 요새로 성벽에 통합되었다. 545년, 동고트 왕국토틸라 왕은 성벽을 파괴하고, 고트 전쟁에서 동로마 제국이 로마를 방어할 가능성을 없애려고 했다. 프로코피우스에 따르면, 이때 성벽의 3분의 1이 파괴되었다고 한다.

2. 2. 건설 과정

3세기의 위기 동안 게르마니아 방면 국경을 통해 야만족이 대거 이주하면서 로마군은 그들을 막기 위해 고군분투하였고, 이에 로마 시의 방어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270년 야만족인 유퉁기족과 반달족이탈리아반도 북부를 침략하여 피아첸차에 해당하는 플라첸티아에서 로마군을 격파하고 퇴각하였다. 271년 여름에는 로마에서 화폐 주조소 일꾼들이 반란을 일으켜 수천 명이 목숨을 잃었다.[12]

아우렐리아누스 황제는 270년 야만족의 침공에 대한 비상 조치로 성벽 건축을 지시하였다. 역사학자 아우렐리우스 빅토르는 당시 황제의 지시가 로마 시의 취약한 방어력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었다고 증언하였다.[13] 또 다른 이유로는 아우렐리아누스 황제가 로마 시민들에게 자신의 신용도를 높이고 황제의 권력을 공고화하기 위한 정치적인 목적도 있었다.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의 축성은 수십 년에 걸쳐 진행된 로마 역사상 가장 큰 건설 계획 가운데 하나였으며, 로마의 강력한 힘을 보여주는 것이었다.[12]

성벽은 5년 만에 완공되었지만, 아우렐리아누스 자신은 성벽이 완공되는 것을 보지 못하고 사망했다. 성벽 축조 당시 카스트렌세 원형경기장, 카스트라 프라이토리아, 세스티우스의 피라미드 등 기존 건물들과 포르타 마조레 인근의 클라우디우스 상수도 일부를 성벽에 포함시켜 공사 기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약했다. 성벽 내부에는 비상시 방어력을 쉽게 강화할 수 있도록 경비병 전용 통로가 만들어졌다. -- 전체적으로 도시에 비해 성벽이 왜소하여 실질적인 방어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당시 경비병의 인원은 25,000명에 불과하여 성벽 전체를 방어하기에는 병력의 수가 부족했다. 그러나 성벽은 장기적인 포위전에 대비하고 지은 것이 아니었다. 당시 야만족들은 포위전 장비를 제대로 갖추지 못했고 군량 보급도 원활하지 못했기 때문에, 야만족의 군대가 로마 시를 포위한다는 것은 생각하기 어려웠다. 당시 야만족의 전술은 약해 보이는 목표물에 대해 치고 빠지는 급습이 대다수였기 때문에,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은 그러한 전술을 방해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14]

성벽의 일부는 막센티우스에 의해 높이가 두 배로 높아졌고 감시탑도 개선되었다. 401년 호노리우스 치하에 성벽과 성문이 개선되었다. 그리고 당시 테베레 강 맞은편에 있는 산탄젤로 성이 로마 시를 방어하는 훌륭한 요새 역할을 하였다. 고트 전쟁을 수행하던 동고트 왕국토틸라 왕은 545년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을 무너뜨려 동로마 제국이 로마 시를 방비할 가능성을 완전히 제거하려 하였다. 프로코피우스에 의하면, 성벽의 3분의 1이 완전히 파괴되었다고 한다.

총 길이는 19km에 달했으며, 13.7km2 면적을 둘러쌌다. 벽은 벽돌을 댄 콘크리트로 지어졌으며, 두께는 3.5m이고 높이는 8m였으며, 로마 피트 100피트마다(29.6m) 사각형 탑이 세워졌다.

4세기에는 개축을 통해 벽의 높이가 16m으로 두 배로 높아졌다. 서기 500년경에는 383개의 탑, 7,020개의 치성벽, 18개의 주요 문, 5개의 암문, 116개의 변소와 2,066개의 큰 외부 창문이 있었다.[3]

2. 3. 이후 역사

3세기 위기 동안 게르만족이 로마 제국의 국경을 넘어 이동하고 로마군이 이들을 막기 위해 고군분투하면서, 로마 시의 방어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270년 유퉁기족과 반달족이탈리아반도 북부를 침략하여 플라첸티아 (오늘날의 피아첸차)에서 로마군을 격파했으나, 결국 로마군에 의해 격퇴되었다. 271년 여름, 로마에서는 화폐 주조소 일꾼들이 반란을 일으켜 수천 명이 목숨을 잃었다.[12]

아우렐리아누스 황제는 270년 야만족의 침공에 대한 비상 조치로 성벽 건축을 지시하였다. 역사학자 아우렐리우스 빅토르는 황제의 지시가 로마 시의 취약한 방어력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었다고 증언하였다.[13] 또한, 아우렐리아누스 황제가 로마 시민들에게 자신의 신용도를 높이고 황제의 권력을 공고화하기 위한 정치적인 목적도 있었다.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의 축성은 수십 년에 걸쳐 진행된 로마 역사상 가장 큰 건설 계획 가운데 하나였으며, 로마의 강력한 힘을 보여주는 것이었다.[12]

성벽은 5년 만에 완공되었지만, 아우렐리아누스 자신은 성벽이 완공되는 것을 보지 못하고 사망했다. 막센티우스는 성벽의 일부 감시탑을 개선하고 높이를 두 배로 높였다. 401년 호노리우스 치하에서 성벽과 성문이 개선되었고, 산탄젤로 성이 로마 시를 방어하는 요새 역할을 하게 되었다. 고트 전쟁 중 동고트 왕국토틸라 왕은 545년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을 무너뜨려 동로마 제국이 로마 시를 방비할 가능성을 제거하려 했다. 프로코피우스에 의하면, 성벽의 3분의 1이 이때 파괴되었다고 한다.

846년 로마에 대한 아랍족의 습격때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은 약탈자들의 역사적 보물 약탈을 구 성 베드로 대성당과 성 바오로 대성당을 포함한 성벽 외부의 장소로 제한했고, 이러한 취약성으로 인해 848년부터 852년까지 바티칸 언덕을 둘러싸는 레오 성벽이 건설되었다.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은 1870년 9월 20일 이탈리아 왕국의 베르살리에리 부대가 피아 성문 인근 성벽을 뚫고 들어와 로마 점령을 달성하기 전까지 로마 시의 중요한 군사적 방어 기능 역할을 수행하였다. 19세기까지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은 로마 시의 경계선이었으며, 성벽 안에 있는 시가지부터 로마 시의 영역으로 규정되었다.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은 19세기까지 로마의 주요 방어 시설로 지속적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오늘날까지 놀라울 정도로 보존되어 있다. 산 세바스티아노 성문 근처에 있는 무라 성벽 박물관에서는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의 구조는 물론 적들의 침공을 어떻게 막아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3. 건축

성벽의 총 길이는 19km이며, 13.7km2 넓이를 둘러쌌고, 두께는 3.5m, 높이는 8m로 벽돌을 댄 로마 콘크리트로 지어졌다. 29.6m마다 정사각형 탑이 세워졌다.[11]

5세기에 재건축하면서 높이를 16m으로 두 배 늘렸다. 서기 500년경에는 탑 383개, 치성벽 7,020개, 주요 문 18개, 암문 5개, 변소 116개, 대형 외벽 창문 2,066개가 있었다.[3]

4. 군사적 의의

3세기까지 로마는 세르비우스 성벽으로 둘러싸인 영역보다 시가지가 확장되었다. 세르비우스 성벽은 로마 공화정 시대인 기원전 4세기 말경에 건설된 성벽이다. 로마는 이후 계속 확대되었고, 수 세기 동안 사실상 무방비 상태였다. 3세기의 위기 시대에 북방에서 이민족이 침입해 오기 시작했고, 로마군이 그것을 막았지만, 더욱 방어가 필요하게 되었다. 270년, 알레만니 족과 반달족이 북이탈리아를 침략했고, 로마군은 플라켄티아(현 피아첸차)에서 대패를 겪었다. 그 후 271년 여름에는 로마에서 노동자 반란이 일어났다. 그 싸움에서 수천 명이 목숨을 잃었다.[8]

아우렐리아누스가 성벽 건설을 서두른 것은 270년에 시작된 이민족의 침략에 대한 대책 때문이었다. 역사가 섹스투스 아우렐리우스 빅토르는 이를 로마의 취약성을 어느 정도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명시하고 있다.[9] 그것은 또한 아우렐리아누스가 황제로서 권력을 잡는 것에 대해 시민들이 그것을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아우렐리아누스가 믿고 있다는 정치적 신호이기도 했다. 성벽 건설은 당시 로마에서 최대 규모의 건설 사업이었으며, 로마 제국의 강대함이 계속될 것을 보여주었다.[8]

성벽은 5년이라는 놀라운 단기간에 완성되었지만, 아우렐리아누스는 그 완성 전에 사망했다. 공사를 단축하고 자금을 절약하기 위해 기존 건축물을 성벽에 통합했다. 예를 들어, 카스트렌세 원형 경기장, 카스트라 프라에토리아, 가이우스 케스티우스의 피라미드 등이 있으며, 마조레 문 부근의 로마 수도교인 클라우디아 수도교의 일부도 성벽의 일부가 되었다. 전체 둘레의 최대 6분의 1에서 기존 건축물을 성벽의 일부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8] 성벽 바로 안쪽은 정지되었고, 비상시 병력을 신속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보초 통로가 건설되었다.

로마의 수비대는 성벽 규모에 비해 인원이 적었고, 이 성벽이 실제로 도움이 되었는지 의심스러웠다. 프라에토리아니, ''cohortes urbanae'', ''vigiles''라는 로마에 있는 군세를 모두 합해도 2만 5천 명이며, 성벽 전체 둘레를 방어하기에는 분명히 인원이 부족하다. 그러나 이 성벽은 장기적인 포위전을 의도한 것이 아니다. 이민족 군대는 식량 공급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도시를 포위하는 전법을 채택하지 않았다. 오히려 방어가 약한 곳을 노려 전격적인 공격을 가하는 경우가 많았다. 성벽은 그러한 전법에 대한 대책이었다.[10]

막센티우스는 성벽 일부의 높이를 배로 늘리고, 감시탑도 개량했다. 401년, 호노리우스 시대에도 성벽과 문을 개수했다. 이때 테베레강 건너편에 있던 산탄젤로 성도 방어용 요새로 성벽에 통합되었다. 545년, 동고트 왕국토틸라 왕은 성벽을 파괴하고, 고트 전쟁에서 동로마 제국이 로마를 방어할 가능성을 없애려고 했다. 프로코피우스에 따르면, 이때 성벽의 3분의 1이 파괴되었다고 한다.

5. 보존 상태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은 19세기까지 로마의 주요 방어 시설로 지속적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오늘날까지 보존 상태가 좋다. 산 세바스티아노 성문 근처에 있는 무라 성벽 박물관에서는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의 구조와 방어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1] 성벽의 가장 잘 보존된 부분은 무로 토르토(빌라 보르게세)에서 코르소 디탈리아, 카스트로 프레토리오까지, 포르타 산 조반니에서 포르타 아르데아티나까지, 포르타 오스티엔세에서 테베레강까지, 그리고 포르타 산 판크라치오 주변에서 발견된다.[2]

6. 성문

Porta Metronia 근처의 경비 통로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의 성문(Porte)을 북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성문 이름가도
포르타 델 포폴로(포르타 플라미니아)플라미니아 가도
포르타 핀치아나
포르타 살라리아살라리아 가도
포르타 피아새 노멘타나 가도
포르타 노멘타나옛 노멘타나 가도
포르타 프라에토리아나프라에토리아 근위대의 주둔지로 들어가는 옛 입구
포르타 티부르티나티부르티나 가도
포르타 마조레(포르타 프라에네스티나)세 개의 수로가 만나고 프라에네스티나 가도 시작
포르타 산 조반니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 근처
포르타 아시나리아옛 투스콜라나 가도
포르타 메트로니아
포르타 라티나라티나 가도
포르타 산 세바스티아노(포르타 아피아)아피아 가도
포르타 아르데아티나
포르타 산 파올로(포르타 오스티엔세)체스티우스의 피라미드 옆, 산 파올로 푸오리 레 무라 대성당으로 이어지며, 오스티엔세 가도



트라스테베레의 성문은 남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다음과 같다.


  • 포르타 포르투엔시스
  • 포르타 아우렐리아 / 산 판크라치오
  • 포르타 세티미아나
  • 포르타 아우렐리아-산티 페트리 (포르타 코르넬리아라고도 함)

참조

[1] 서적 Perspectives on Public Space in Rome,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2013-05-28
[2] 서적 Rome A Living Portrait of and Ancient City 2010
[3] 서적 Rome: An Oxford Archaeological Guid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4] 서적 Daily Life In The Roman City: Rome, Pompeii, And Ostia Greenwood Press 2004
[5] 서적 De Caesaribus
[6] 서적 The Roman Empire from Severus to Constantine Routledge 2001
[7] 서적 Rome: An Oxford Archaeological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8] 서적 Daily Life In The Roman City: Rome, Pompeii, And Ostia Greenwood Press 2004
[9] 서적 De Caesaribus
[10] 서적 The Roman Empire from Severus to Constantine Routledge 2001
[11] 서적 Rome: An Oxford Archaeological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2] 서적 Daily Life In The Roman City: Rome, Pompeii, And Ostia Greenwood Press 2004
[13] 서적 De Caesaribus
[14] 서적 The Roman Empire from Severus to Constantine Routledge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