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누스 성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우스 성벽은 로마를 방어하기 위해 건설된 고대 성벽으로, 로마 왕정의 제6대 왕인 세르비우스 툴리우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기원전 4세기 초 로마 공화정 시대에 주요 부분이 건설되었으며, 갈리아인의 침입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세워졌다. 이후 한니발 전쟁 당시에도 그 견고함을 입증했으나, 로마 제국 시대로 접어들면서 도시가 확장되고 군사력이 강화됨에 따라 점차 쇠퇴했다. 현재 로마 곳곳에 성벽의 잔해가 남아 있으며, 로마 테르미니 역과 아벤티노 언덕 등에서 주요 유적을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의 성벽 - 아우렐리아누스 방벽
아우렐리아누스 방벽은 3세기 위기 시대에 아우렐리아누스 황제가 로마를 보호하기 위해 건설한 총 길이 약 19km의 대규모 성벽으로, 건설 기간 단축을 위해 기존 건축물을 활용했으며 로마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현재는 주요 랜드마크이자 역사 유적이다. - 기원전 4세기 완공된 건축물 - 리시크라테스 기념비
리시크라테스 기념비는 기원전 4세기에 아테네에 세워진 코린트 양식의 원형 구조물로, 리시크라테스가 후원한 합창단의 우승을 기념하기 위해 삼각대를 위한 지지대로 장식되었으며, 고대 삼각대 거리에 위치해 있다. - 기원전 4세기 완공된 건축물 - 아쿠아 아피아
아쿠아 아피아는 기원전 312년에 건설된 로마의 고대 수도로, 인구 증가에 따른 물 수요 충족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아르바니 언덕의 샘에서 시작하여 로마 시내까지 이어지는 긴 수로로서 로마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로마의 고대 건축물 - 트라야누스 포룸
트라야누스 포룸은 트라야누스 황제가 다키아 정복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한 고대 로마의 광장으로, 바실리카 울피아, 트라야누스 원주, 도서관, 신전 등을 포함한 복합 건축물이었으나 현재는 일부만 남아있다. - 로마의 고대 건축물 - 판테온 (로마)
판테온은 고대 로마 건축물로, 돔과 주랑 현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18년부터 128년 사이에 하드리아누스 황제에 의해 재건되었고, 로마의 모든 신들을 위한 신전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가톨릭 성당으로 사용된다.
세르비아누스 성벽 | |
---|---|
개요 | |
![]() | |
명칭 | 무루스 세르비이 툴리이 (Murus Servii Tullii, 라틴어) |
명칭 (이탈리아어) | 무라 세르비아네 (Mura Serviane) |
유형 | 방어벽 |
위치 | 이탈리아 로마 |
좌표 | 41° 54′ 06″ N, 12° 30′ 06″ E |
건설 시기 | 기원전 4세기 (리비우스는 그로타 오스쿠라 부분을 기원전 378년으로 추정) |
건설자 | 불명 |
재료 | 응회암 |
높이 | 최대 10m |
상태 | 파괴됨, 단편적인 유적 |
점유자 | 로마인 |
관련 전투 | 제2차 포에니 전쟁 |
역사 | |
건설 시기 | 기원전 6세기 |
건설 주체 | 왕정 로마의 왕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
크기 | |
길이 | 11km |
높이 | 3.6m |
면적 | 246ha |
2. 역사
세르비우스 성벽은 로마 왕국의 여섯 번째 왕인 세르비우스 툴리우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기원전 6세기에 로마시를 둘러싼 방어벽이나 토목 공사가 있었다는 문헌 기록은 거짓으로 밝혀졌다.[3] 세르비우스 성벽의 주요 부분은 로마 공화정 시기인 기원전 4세기 초에 건설되었다.
이 성벽은 알리아 전투 무렵 갈리아인의 브렌누스가 로마를 반복적으로 약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설되었다고 한다. 갈리아인이 로마에 쉽게 침입할 수 있었던 것은 왕정 시대의 에트루리아인 지배자가 성벽을 점차 제거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2. 1. 기원과 초기 건설
세르비우스 성벽은 로마 왕국의 여섯 번째 왕인 세르비우스 툴리우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기원전 6세기에 로마시를 둘러싼 방어벽이나 토목 공사가 있었다는 문헌 기록은 거짓으로 밝혀졌다.[3] 세르비우스 성벽의 주요 부분은 로마 공화정 시기인 기원전 4세기 초에 건설되었다.성벽의 이름은 로마 왕정의 제6대 왕인 세르비우스 툴리우스에서 유래되었다. 성벽의 원형은 기원전 6세기에 만들어지기 시작했지만, 현존하는 부분의 대부분은 로마 공화정 시대의 것이다. 이는 알리아 전투 무렵 갈리아인의 브렌누스가 로마에서 약탈을 반복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목적으로 건설되었다고 한다. 갈리아인이 로마에 쉽게 침입할 수 있었던 것은 왕정 시대의 에트루리아인 지배자가 성벽을 점차 제거해 왔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2. 2. 공화정 시대의 확장과 보수
세르비우스 성벽의 주요 부분은 로마 공화정 시기인 기원전 4세기 초에 건설되었다. 로마 왕정의 제6대 왕인 세르비우스 툴리우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3] 성벽의 원형은 기원전 6세기에 만들어지기 시작했지만, 현존하는 부분의 대부분은 로마 공화정 시대의 것이다. 알리아 전투 무렵 갈리아인의 브렌누스가 로마를 반복적으로 약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설되었다고 한다. 갈리아인이 로마에 쉽게 침입할 수 있었던 것은 왕정 시대 에트루리아인 지배자가 성벽을 점차 제거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2. 3. 한니발 전쟁과 성벽의 역할
세르비우스 성벽은 제2차 포에니 전쟁 당시 한니발을 곤경에 빠뜨릴 정도로 견고했다. 한니발은 코끼리를 이끌고 알프스를 넘어 이탈리아에 침입하여, 초반에는 로마군을 연이어 격파하며 진격했다. 하지만 한니발이 성벽을 파괴하려 한 것은 기원전 211년 단 한 번뿐이었으며, 카르타고 군대를 이끌고 로마를 포위한 것은 카푸아에서 온 로마군을 유인하기 위한 일종의 페인트(속임수)였다. 이 계략이 실패로 끝나자 그는 군대를 철수시켰다.[12]2. 4. 로마 제국 시대와 쇠퇴
세르비우스 성벽은 후기 공화정 말기와 로마 제국 시대까지 유지되었다. 이 시점까지 로마는 이미 세르비우스 성벽의 원래 경계를 넘어 확장되기 시작했다.로마가 공화정 및 후기 제국의 확장되는 야전 군대의 힘으로 잘 보호받게 되면서 세르비우스 성벽은 불필요해졌다. 도시가 계속 성장하고 번성하면서 로마는 제국의 처음 3세기 동안 사실상 성벽이 없었다. 확장되는 국내 구조는 단순히 기존의 벽 부분을 기반에 통합했는데, 그 예는 마이케나스의 강당에서 살아남았다.[10] 3세기에 게르만 부족이 로마 변경 지역으로 더 침입해 들어오자, 아우렐리아누스 황제는 로마 시를 보호하기 위해 더 큰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을 건설했다.[12]
제2차 포에니 전쟁 당시 한니발은 세르비우스 성벽으로 인해 곤경에 빠졌다. 한니발은 코끼리를 이끌고 알프스를 넘어 이탈리아에 침입하여, 초반에는 로마군을 연이어 격파하며 진격했다. 하지만 한니발이 성벽을 파괴하려 한 것은 기원전 211년 단 한 번뿐이었으며, 카르타고 군대를 이끌고 로마를 포위한 것은 카푸아에서 온 로마군을 유인하기 위한 일종의 페인트(속임수)였다. 이 계략이 실패로 끝나자 그는 군대를 철수시켰다.
세르비우스 성벽은 공화정 말기부터 로마 제국 초기에 걸쳐 유지되었다. 그 무렵에는 시가지가 성벽 밖으로까지 확대되었다. 아우구스투스가 정한 로마의 구역 중 2구, 3구, 4구, 6구, 8구, 10구, 11구가 세르비우스 성벽 안에 있었고, 나머지 구역은 밖에 있었다.
로마는 공화정 시대부터 제정 시대에 걸쳐 계속 확대되었기 때문에, 로마 자체에 적이 접근하는 일은 없었고, 따라서 성벽은 불필요해졌다. 로마는 계속 발전하여 3세기 초에는 사실상 무방비 상태가 되었다. 그러나 그 무렵부터 게르만 민족이 로마 근처까지 접근하게 되었고, 황제 아우렐리아누스가 더 넓은 범위를 둘러싸는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을 건설하게 되었다.[12]
3. 구조
세르비우스 성벽은 응회암의 커다란 블록으로 만들어졌으며, 초기 로마와 패권을 다투던 웨이이 근처에 있던 Grotta Oscura 채석장에서 채취한 돌을 사용했다.[6][7] 성벽 앞에는 깊은 도랑(포사)을 파서 벽의 높이를 높였다. 지형적으로 약한 북쪽 벽은 아거라고 불리는 토루를 쌓아 흙 경사면을 만들어 방어력을 강화했다. 성벽에는 투석기 등의 병기도 배치되었다.[9]
3. 1. 재료와 건축 방식
세르비우스 성벽은 원래 알바노 언덕 화산 단지에서 채석된 카펠라치오 응회암(화산 폭발 시 분출되는 재와 암석 조각으로 만들어진 화산암)의 큰 블록으로 지어졌다.[4] 이 초기 카펠라치오 응회암 벽은 부분적으로 손상되었고 기원전 390년의 로마 약탈 이후 390년대 후반까지 복구가 필요했다.[5] 이러한 복구는 로마인들이 390년대에 베이를 물리친 후 사용할 수 있게 된 우수한 그로타 오스쿠라 응회암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6] 이 응회암은 패배한 베이엔티네인에 의해 채석되었다.[7] 리비우스에 따르면 그로타 오스쿠라 응회암을 포함하는 벽의 이 두 번째 반복은 기원전 378년에 완공된 것으로 추정된다.[8]응회암 블록 외에도 구조의 일부 섹션에는 벽의 높이를 효과적으로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벽 앞에 깊은 ''포사'' 또는 도랑이 포함되었다. 지형적으로 더 약한 북쪽 경계의 일부를 따라 아거가 있었는데, 이는 세르비우스 성벽 안쪽에 쌓인 방어용 흙 경사로였다. 이는 벽을 효과적으로 두껍게 만들었으며 로마 방어자들에게 공격을 격퇴하는 동안 설 수 있는 기반을 제공했다. 또한 벽에는 투석기를 포함한 방어용 전쟁 기계가 장착되었다.[9]
3. 2. 방어 시설
세르비우스 성벽은 원래 알바노 언덕 화산 단지에서 채석된 카펠라치오 응회암(화산 폭발 시 분출되는 재와 암석 조각으로 만들어진 화산암)의 큰 블록으로 지어졌다.[4] 이 초기 카펠라치오 응회암 벽은 부분적으로 손상되어 390년대 후반까지 복구가 필요했다(급격한 붕괴 또는 기원전 390년의 로마 약탈 이후 발생한 손상으로 인해).[5] 이 복구는 로마인들이 390년대에 베이를 물리친 후 사용할 수 있게 된 우수한 그로타 오스쿠라 응회암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6] 이 응회암은 패배한 베이엔티네인에 의해 채석되었다.[7] 리비우스에 따르면, 그로타 오스쿠라 응회암을 포함하는 벽의 이 두 번째 반복은 기원전 378년에 완공된 것으로 추정된다.[8]응회암 블록 외에도 구조의 일부 섹션에는 벽의 높이를 효과적으로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벽 앞에 깊은 ''포사'' 또는 도랑이 포함되었다. 지형적으로 더 약한 북쪽 경계의 일부를 따라 아거가 있었는데, 이는 세르비우스 성벽 안쪽에 쌓인 방어용 흙 경사로였다. 이는 벽을 효과적으로 두껍게 만들었으며 로마 방어자들에게 공격을 격퇴하는 동안 설 수 있는 기반을 제공했다. 또한 벽에는 투석기를 포함한 방어용 전쟁 기계가 장착되었다.[9]
3. 3. 성문 (Gates)
다음은 서쪽에서 시계 방향으로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는 성문 목록이다. (이 중 많은 부분이 기록에서 추론되었으며, 알려진 유적은 없다.)
- 포르타 플루멘타나(Porta Flumentana) - 테베레 강을 건너 비아 아우렐리아가 로마로 들어오는 곳에 있던 관문이다.
- 포르타 카르멘탈리스(Porta Carmentalis) - 카피톨리노의 서쪽 끝에 있었다.
- 포르타 폰티날리스(Porta Fontinalis) - 카피톨리노의 북쪽 끝에서 마르스 광장으로 이어지는 비아 라타 (로마)에 있었다.
- 포르타 산쿠알리스(Porta Sanqualis) - 퀴리날레에 있었다.
- 포르타 살루타리스(Porta Salutaris) - 퀴리날레에 있었다.
- 포르타 퀴리날리스(Porta Quirinalis) - 퀴리날레에 있었다.
- 포르타 콜리나(Porta Collina) - 퀴리날레에 위치한 가장 북쪽의 관문으로, 비아 살라리아로 이어졌다. 한니발은 기원전 211년 로마를 포위할 것을 고려했을 때 이 관문이 보이는 곳에 군대를 주둔시켰다. 이 구역은 아게르 (로마 단어)로 추가적으로 요새화되었다.
- 포르타 비미날리스(Porta Viminalis) - 비미날레에 있었다. 테르미니 역 밖에서 여전히 볼 수 있는 큰 구역 근처에 있었다.
- 포르타 에스퀼리나(Porta Esquilina) - 에스퀼리노에 있는 이 관문은 여전히 볼 수 있으며, 후대 황제 갈리에누스의 개선문(갈리에누스 개선문)을 포함하고 있다. 비아 라비카나, 비아 프라이네스티나, 비아 티부르티나로 이어졌다.
- 포르타 케르케툴라나(Porta Querquetulana) - 이 관문은 비아 투스쿨라나로 이어졌다.
- 포르타 첼리몬타나(Porta Caelimontana) - 이 관문은 돌라벨라와 실라누스 개선문에 보존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기원후 10년 집정관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돌라벨라와 가이우스 유니우스 실라누스에 의해 기존 관문을 재건한 것이다.
- 포르타 카페나(Porta Capena) - 이 관문은 비아 라티나와 분리된 후 비아 아피아가 로마를 떠나 남부 이탈리아로 향하는 관문이었다.
- 포르타 네비아(Porta Naevia) - 아벤티노 언덕에 있는 이 관문은 비아 아르데아티나로 이어졌다.
- 포르타 라우두스쿨라나(Porta Raudusculana) - 비아 오스티엔시스를 따라 테베레 강을 따라 남쪽으로 향했다. 이곳 근처, 현대의 ''아벤티노 대로''에는 투석기를 위한 아치를 포함하는 성벽 구역이 있을 수 있다.
- 포르타 라베르날리스(Porta Lavernalis) - 또한 비아 오스티엔시스와 연결되었다.
- 포르타 트리제미나(Porta Trigemina) - 포룸 보아리움 근처의 이 삼중 관문은 또한 비아 오스티엔시스로 이어졌다.
4. 현대의 세르비우스 성벽
로마 시내 곳곳에서 세르비우스 성벽의 여러 구간을 여전히 볼 수 있다. 가장 큰 구간은 테르미니 역 바깥에 보존되어 있으며, 역 내 맥도날드 식당 구역에도 일부 구간이 포함되어 있다. 아벤티노 언덕에 있는 또 다른 주목할 만한 구간에는 공화정 말기에 방어용 투석기를 위한 아치가 있었다고 전해진다.[9]
특히 크게 남아있는 부분은 로마 테르미니 역의 북서쪽 끝, Piazza dei Cinquecento|500인 광장it 모퉁이에 있다. 짧은 구간이지만, 만프레도 판티 광장(Piazza Manfredo Fanti)의 구 Acquario Romano|로마 아쿠아리움it 앞이나, Piazza Albania|알바니아 광장영어에도 성벽의 흔적이 있다. 알바니아 광장에 현존하는 부분에는 공화정 말기 투석기의 사출구용 아치가 있다.[13]
4. 1. 주요 유적
로마 시내 곳곳에서 세르비우스 성벽의 여러 구간을 여전히 볼 수 있다. 가장 큰 구간은 로마의 주요 기차역인 테르미니 역 바깥에 보존되어 있으며, 역 내 맥도날드 식당 구역에도 일부 구간이 포함되어 있다. 아벤티노 언덕에 있는 또 다른 주목할 만한 구간에는 공화정 말기에 방어용 투석기를 위한 아치가 있었다고 전해진다.[9]세르비우스 성벽의 일부는 로마 곳곳에 남아 있다. 특히 크게 남아있는 부분은 로마 테르미니 역의 북서쪽 끝이며, Piazza dei Cinquecento|500인 광장it 모퉁이에 있다. 짧은 구간이지만, 만프레도 판티 광장(Piazza Manfredo Fanti)의 구 Acquario Romano|로마 아쿠아리움it 앞이나, Piazza Albania|알바니아 광장영어에도 성벽의 흔적이 있다. 알바니아 광장에 남아 있는 부분에는 공화정 말기 투석기의 사출구용 아치가 있다.[13]
4. 2. 보존과 연구
로마 시내 곳곳에서 세르비아누스 성벽의 여러 구간을 여전히 볼 수 있다. 가장 큰 구간은 로마의 주요 기차역인 테르미니 역 바깥에 보존되어 있으며, 역 내 맥도날드 식당 구역에도 일부 구간이 있다. 아벤티노 언덕에 있는 또 다른 주목할 만한 구간에는 공화정 말기에 방어용 투석기를 위한 아치가 있었다고 전해진다.[9]세르비우스 성벽의 일부는 로마 곳곳에 남아 있다. 특히 크게 남아있는 부분은 로마 테르미니 역의 북서쪽 끝이며, Piazza dei Cinquecento|500인 광장it의 모퉁이에 있다. 짧은 구간이지만, 만프레도 판티 광장(Piazza Manfredo Fanti)의 구 Acquario Romano|로마 아쿠아리움it 앞이나, Piazza Albania|알바니아 광장영어에도 성벽의 흔적이 있다. 이 알바니아 광장에 남아있는 부분에는 공화정 말기의 투석기 사출구용 아치가 있다.[13]
5. 갤러리
참조
[1]
서적
The Walls of Rome
Osprey Publishing
2008-03-10
[2]
웹사이트
Places: 103808101 (Murus Servii Tullii)
https://pleiades.sto[...]
Pleiades
2021-04-03
[3]
간행물
The Evolution of the City of Rome from Its Origin to the Gallic Catastrophe
1909
[4]
간행물
The tuffs of the 'Servian Wall' in Rome: Materials from the local quarries and from the conquered territories
2010-04-10
[5]
서적
A history of Rome
Wiley-Blackwell
2009
[6]
서적
A history of Rome
Wiley-Blackwell
2009
[7]
서적
A Critical History of Early Rome: From Prehistory to the First Punic War
University of California
[8]
서적
A history of Rome
Wiley-Blackwell
2009
[9]
간행물
Notes on the Servian Wall
1918
[10]
간행물
Building the Thermae Agrippae: Private Life, Public Space, and the Politics of Bathing in Early Imperial Rome
2019-01
[11]
서적
The Walls of Rome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08-03-10
[12]
문서
Watson, pp. 51-54, 217.
[13]
웹사이트
A Tourist in Rome - Servian Wall and Gates
http://www.jeffbond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