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이신기오로 라임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신기오로 라임부는 청나라 초기의 인물로, 1611년에 태어나 1646년에 사망했다. 그는 니루장긴, 의정대신을 역임했으며, 아지거를 따라 명나라 군을 격퇴하는 데 참여했으나, 아지거를 제대로 보좌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파면되었다. 순치 2년 봉은장군에 봉해졌고, 사후 보국공으로 추서되었다. 그의 저택은 후에 황족에게 하사되었으며, 아들 내호가 작위를 물려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주 정람기인 - 영황
    영황은 건륭제의 아들로, 친왕 작위를 받았지만 병약하여 22세에 사망했으며, 효현황후의 장례를 감독했으나 슬퍼하는 기색을 보이지 않아 건륭제의 노여움을 샀다.
  • 만주 정람기인 - 윤사
    청나라 강희제의 여덟 번째 아들 윤사는 옹정제의 형제이자 황위 계승 경쟁자였으나, 옹정제 즉위 후 아키나로 개명당하고 유폐되어 사망, 건륭제 시대에 복권된 인물이다.
  • 천명제의 황자 - 아이신기오로 아지거
    아이신기오로 아지거는 청나라 초기의 황족이자 군사가로, 누르하치의 아들이며 홍타이지의 이복동생이자 도르곤의 이복형으로, 용맹하고 전투에 능하여 영친왕에 봉해졌으나 도르곤 사후 모반 혐의로 숙청되었다.
  • 천명제의 황자 - 숭덕제
    숭덕제는 청나라의 제2대 황제이자 후금의 칸으로, 국호를 청으로 바꾸고 내몽골 복속, 조선 정복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한족 관료 등용과 육부 설치로 통치 체제를 정비하여 청나라의 중국 대륙 지배 기반을 마련했다.
  • 청나라의 황족 - 아이신기오로 아민
    누르하치의 조카인 아이신기오로 아민은 청나라 초기의 장군이자 호쇼이 버일러로, 사대 버일러로서 국정을 담당하고 정묘호란을 주도했으나 영평 점령 실패의 책임을 지고 유폐되어 사망했다.
  • 청나라의 황족 - 예허나라 완전
    예허나라 완전은 청나라 말기의 인물로, 순현친왕 혁현의 부인이자 광서제의 생모이며, 서태후의 동생으로서 황실과의 복잡한 인척 관계를 통해 가문의 권력 확대에 기여하다가 1896년에 사망했다.
아이신기오로 라임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보국공
출생일1611년 12월 24일
사망일1646년 5월 11일
가족 관계
부친누르하치
모친서비 서림각라씨
배우자2계처 과이가씨 (오배의 딸)
자녀내호

2. 생애

신해년(1611년) 12월 24일 사시(巳時)에 태어났다. 천총(天聰) 8년(1634), 니루장긴(牛彔章京, niru janggin) 직을 맡았다. 숭덕 4년 (1639년), 의정대신(議政大臣)에 임명되었다. 숭덕(崇德) 7년(1642) 영친왕 아지거(阿濟格, Ajige)의 속인으로 그를 따라다니며 영원성(寧遠城)의 명나라 병사를 물리쳤다. 아지거는 홍타이지(皇太極, Hong Taiji)가 상을 줄 때를 기다리지 않고, 먼저 집으로 돌아가 죄를 받았으며, 라임부는 아지거를 말리지 않았다는 이유로 파면되고, 의정대신의 자리도 물러나야했다.

라임부는 입관(入關, 산해관 돌파 후 북경 점령 등의 사건) 후, 저택은 조양문(朝陽門) 안에 있는 소주골목에 있었다. 저택은 면적이 7칸으로, 동서 배층 7칸, 후전 5칸, 후전의 침실은 7칸에 안채가 있고, 뒷채에도 7칸에 달한다. 이 저택은 라임부의 아들이 후에 작위를 받은 후, 강희제(康熙帝)의 다섯째 아들 항온친왕 윤기에게 항왕부로 하사했다. 청나라 중후반에 가경제(嘉慶帝)의 셋째 아들 돈각친왕 면개에게 돈왕부로 하사했다.

순치(順治) 2년(1645)에 라임부는 봉은장군에 봉해졌다. 순치 3년(1646)에 사망하였다. 아들 내호가 작위를 물려받아 봉은장군이 되었다. 순치 10년(1653) 5월, 라임부는 보국공으로 추서되었고, 시호는 '개직(介直)'이다. 그 아들 내후는 또한 보국공으로 작위를 승계받았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1611년 ~ 1634년)

아이신기오로 라임부는 1611년 12월 24일 사시(巳時)에 태어났다. 1634년, 니루장긴(牛彔章京, niru janggin) 직을 맡았다. 1639년, 의정대신(議政大臣)에 임명되었다.

2. 2. 관직 생활과 정치적 부침 (1634년 ~ 1645년)

천총(天聰) 8년(1634), 니루장긴(牛彔章京, niru janggin) 직을 맡았다. 숭덕 4년(1639년)에는 의정대신(議政大臣)에 임명되었다. 숭덕 7년(1642) 영친왕 아지거(阿濟格, Ajige)를 따라 영원성(寧遠城)의 명나라 병사를 물리쳤으나, 아지거가 홍타이지(皇太極, Hong Taiji)가 상을 내리기도 전에 먼저 귀가하는 바람에 아지거를 말리지 않았다는 이유로 파면되고 의정대신 자리에서도 물러나야 했다.

입관(入關) 후, 라임부의 저택은 조양문(朝陽門) 안 소주골목에 있었다. 저택은 면적이 7칸, 동서 배층 7칸, 후전 5칸, 후전 침실 7칸에 안채와 뒷채가 각각 7칸이었다. 이 저택은 후에 아들이 작위를 받은 뒤 강희제(康熙帝)의 다섯째 아들 항온친왕 윤기에게 항왕부로 하사되었고, 청나라 중후반에는 가경제(嘉慶帝)의 셋째 아들 돈각친왕 면개에게 돈왕부로 하사되었다.

순치(順治) 2년(1645) 봉은장군(奉恩將軍)에 봉해졌다.

2. 3. 사망과 추서 (1645년 ~ 1653년)

순치(順治) 2년(1645)에 라임부는 봉은장군에 봉해졌다. 순치 3년(1646)에 사망하였다. 아들 내호가 작위를 물려받아 봉은장군이 되었다. 순치 10년(1653) 5월, 라임부는 보국공으로 추서되었고, 시호는 '개직(介直)'이다. 그 아들 내후는 또한 보국공으로 작위를 승계받았다.

3. 가족 관계

3. 1. 생모

서비 서림각라씨/舒林覺羅氏중국어는 분두리하스구의 딸이다. 만력 38년 (1610년)에 누르하치에게 시집왔다. 만력 39년(1611) 12월 24일, 라임부를 낳았다. 그녀의 생몰년은 알려지지 않았다. 두 선생의 고증에 따르면, 서림각라씨는 나중에 서비로 기록되었지만, 누르하치의 처첩에 포함되지 않고, 시비(侍婢)였다고 한다.

3. 2. 아들

내호(來祜)는 라임부의 외아들이었다. 내호는 두번째 부인으로 구왈기야씨(瓜爾佳氏중국어, Gūwalgiya hala) 오보이(鰲拜, Oboi)의 딸을 맞이하였다. 오보이의 친족으로서 내호는 혁작을 받았다. 봉은보국공 내호는 아들 열 명을 두었는데, 그 중 여섯은 요절하거나 후사가 없었다. 장성한 아들은 4명으로, 첫째 늑극덕(勒克德), 둘째 보통(寶通), 셋째 3등 보국장군 내도(來度), 다섯째 애주(愛珠)였다. 셋째 아들 내도의 후사는 청나라 중후반에 끊겼다.

4. 평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