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의 지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일랜드의 지방은 중세 아일랜드의 5개 대왕국에서 유래되었으며, 현재는 법적 지위는 없지만,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초기에는 5개의 지방이 존재했으나, 미스 지방이 렌스터에 흡수되어 현재는 콘노트, 레인스터, 먼스터, 얼스터의 4개 지방으로 구성된다. 각 지방은 여러 개의 군으로 나뉘며, 럭비 유니온, 게일릭 게임 등 스포츠 팀을 대표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북아일랜드는 얼스터 지방의 일부로, 영국에 속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의 지방 - 얼스터
얼스터는 아일랜드 섬 북부 지방으로, 9개 주 중 6개는 북아일랜드, 3개는 아일랜드 공화국에 속하며, 게일 문화 중심지였으나 17세기 식민지화 이후 종교적, 문화적 다양성을 갖게 되어 현재까지 정치, 사회적 영향을 미친다. - 아일랜드의 지방 - ISO 3166-2:IE
ISO 3166-2:IE는 아일랜드의 행정 구역인 주에 대한 코드를 정의하는 ISO 3166 표준의 하위 집합으로, ISO 3166 유지 관리 기관에서 관리하며 아일랜드어와 영어로 표기되는 각 행정 구역의 이름을 포함한다.
아일랜드의 지방 | |
---|---|
개요 | |
![]() | |
유형 | 지방 |
영문 명칭 | Province |
아일랜드어 명칭 | Cúige (쿠이게) |
위치 | 아일랜드 영국 (북아일랜드) |
현재 지방 수 | 4개 |
존속 시점 | 2020년 |
면적 범위 | 827 - 7,500 km² |
인구 범위 | 56,555 - 1,318,033 명 |
하위 행정 구역 | 현 (아일랜드) 현 (북아일랜드) |
지방 목록 | |
지방 | 코나크트 |
지방 | 렌스터 |
지방 | 먼스터 |
지방 | 얼스터 |
2. 역사
현대 아일랜드어에서 지방을 뜻하는 단어는 cúigega (복수형 cúigíga)이며, 이는 고대 아일랜드어 cóicedga (복수형 cóicedaga)에서 유래한 것으로, 문자 그대로 "5분의 1"을 의미한다.[6] 이 용어는 8세기 법률 문서와 울스터 순환 서사시에 등장한다.[6] 12세기 문헌에는 지방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울스터 연대기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6]
아일랜드 지방은 중세 시대 "5분의 1" 또는 "대왕국"이라 불리던 cóicedaga에서 기원한다. 이론상 5개였지만 실제로는 더 많았으며, 9세기 초에는 아르기알라, 콘낙타, 라이긴, 북부 위 네일(아일레흐), 미드(남부 위 네일), 무무, 울라드와 같은 대왕국이 존재했다.[11][27]
각 상위 왕국은 더 작은 영토 단위로 나뉘었으며, 초기 중세 시대에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졌다.[11]
- 지방: 상위 왕(rí ruírechga)이 통치.
- 소왕국: 상위 왕(ruiríga)이 통치.
- 투아스(túathga): 왕 또는 ríga가 통치. 10세기 이후에는 영주(tigernga) 또는 지도자(toísechga)로 불림.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후기 중세 시대에는 거의 유효하지 않았다.[11]
오스라이지(Osraige) 왕국은 6세기부터 8세기까지 무무(Mumu)의 일부였으나, 이후 독립 왕국이 되었다.[8] 9세기 케르발 맥 둔라인게(Cerball mac Dúnlainge) 통치 시기에는 주요 정치 세력으로 성장했다.[9] 아르기알라(Airgíalla)는 울라드(Ulaid)의 지배를 받았으나, 827년 레스 캄(Leth Cam) 전투 이후 북부 휘 네일의 패권 아래 놓였다.[24][23][14][22]
12세기 초, 왕조 내 분쟁으로 오스레이지(Osraige)는 분열되었고, 라긴(Laigin)의 일부가 되었다.[7] 1118년 콘노트(Connacht)의 왕은 뭄무(Mumu)를 분열시켜 투아드뭄무(Tuadmumu)와 데스뭄무(Desmumu)로 나누었다.[10] 1168년 콘노트의 왕은 뭄무의 분열 상태를 유지시켰다.[10] 1171년 잉글랜드의 왕 헨리 2세가 아일랜드에 상륙하면서, 뭄무의 왕들은 그에게 복종했다.[10]
아일랜드의 주요 지역 분할에 대한 가장 초기 기록은 《타인 보 쿠알니게》와 같은 울스터 순환 서사시에서 찾아볼 수 있다.[16][18] 이 시기 아일랜드는 5개의 독립적인 대왕국으로 나뉘어 있었으며, 각 왕은 동등한 지위를 가졌다.[16][6][17][20] 5왕국 시대의 5개 지방과 각 지방의 왕궁은 다음과 같다.[16][18][17]
지방 | 왕궁 |
---|---|
콘낙트(Connacht)(가) | 라트크로건(Rathcroghan) |
울라이드(Ulaid)(가) (울스터(Ulster)) | 나반 요새(Navan Fort) |
무먼(Muman)(가) (먼스터(Munster)) | 티머르 에란(Teamhair Erann) |
라이겐 투아트가바이르(Laigen Tuathgabair)(가) (북 레인스터(North Leinster)) | 타라 언덕(Hill of Tara) |
라이겐 데스가바이르(Laigen Desgabair)(가) (남 레인스터(South Leinster)) | 딘 리오그(Dinn Riogh)(가) |
제프리 키팅(Geoffrey Keating)과 T. F. 오라일리(T. F. O'Rahilly)는 먼스터가 5분의 2를 차지했다고 주장하지만, 에오인 맥닐(Eoin MacNeill)은 《타인 보 쿠알니게》를 인용하여 반박한다.[20][19][16] 딘센카스ga 시가인 아르드 루이데ga(루이데 곶)는 아일랜드의 다섯 왕국을 시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서사시 ''타인 보 쿠알린지(Táin Bó Cúailnge)''는 콘노트와 울스터 사이의 전쟁을 묘사하고 있으며, 쿠훌린(Cú Chulainn)이 울스터를 방어한 이야기로 유명하다.
원래는 다섯 개의 지방이 존재했으며, 아일랜드어 명칭인 "Cúigíga"는 여기에서 유래한다. 하지만 가장 작았던 미스(Mide) 지방은 렌스터 지방(Leinster)에 흡수되었다. 현재는 법적인 규정은 없지만, 각 지방은 여러 개의 카운티로 구성되어 있다. 울스터 지방(Ulster)의 9개 카운티 중 6개 카운티는 북아일랜드를 구성하여 영국의 통치하에 있으며, 나머지 섬은 아일랜드 공화국이 통치하고 있다. 현재 아일랜드의 지방은 럭비 유니온이나 게일릭 운동 협회와 같은 스포츠 팀에서 대표로 사용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현대 아일랜드어에서 지방을 뜻하는 단어는 cúigega(복수형 cúigíga)이다. 이 단어는 고대 아일랜드어 cóicedga(복수형 cóicedaga)에서 유래했는데, 문자 그대로 "5분의 1"을 의미한다.[6] 이 용어는 8세기 법률 문서인 Miadslechtaga와 울스터 순환 서사시에 등장하는 "5왕국"을 가리키는 전설적인 이야기에서 나온다.[6]12세기 Lebor na Certga(권리의 서)에서는 이 용어가 지방을 의미하며, 7개의 cúigeadhga가 언급되어 있어 분수적 의미는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6] 울스터 연대기에서도 특정 족장을 rex in Chóicidga(5분의 1/지방의 왕)라고 칭한 것을 보면 이를 뒷받침한다.[6]


아일랜드 지방의 기원은 중세 아일랜드의 cóicedaga(문자 그대로 "5분의 1") 또는 "대왕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론적으로는 5개의 대왕국이 있었지만, 실제로는 항상 그보다 많았다.[11][27] 9세기 초에는 아르기알라, 콘낙타, 라이긴, 북부 위 네일(아일레흐), 미드(남부 위 네일), 무무, 울라드와 같은 대왕국들이 존재했다.[11][27] 12세기 Lebor na Certga에도 이 7개의 대왕국이 다시 언급된다.[6]
초기 아일랜드 계보학자들에 의해 라긴(Laigin)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계보를 가진 오스라이지(Osraige) 왕국은 6세기부터 8세기까지 무무(Mumu)의 일부였으며 코르쿠 로이그데(Corcu Loígde) 왕조가 통치했다.[8] 7세기까지 오스라이지는 코르쿠 로이그데에 대한 의존성을 잃었고,[8] 지역 달 비른(Dál Birn) 왕조가 복원되었다. 오스라이지는 마엘 세흐나일 1세(Máel Sechnaill I)가 휘 네일(Uí Néill) 왕으로서 859년 무무가 오스라이지를 자신의 지배하에 넘겨주도록 강요할 때까지 무무의 일부로 남았다.[8][12] 이후 오스라이지는 라긴 왕위를 주장하려고 라긴의 영향권으로 점차 이동하면서 독립 왕국이 되었다.[8] 9세기 케르발 맥 둔라인게(Cerball mac Dúnlainge) 통치 시기 오스라이지는 주요 정치 세력이 되었다.[9]
아르기알라(Airgíalla)는 울라드(Ulaid)의 지배를 받았다.[13] 그러나 에드 오르드니데(Áed Oirdnide)의 아들 니알 카일레(Niall Caille)는 827년 레스 캄(Leth Cam) 전투에서 아르기알라와 울라드 연합군을 물리치고 북부 휘 네일의 패권 아래 두었다.[24][23][14][22]
아일랜드의 주요 지역 분할에 대한 가장 초기 기록은 《타인 보 쿠알니게》(Táin Bó Cúailnge)와 같은 전설의 울스터 순환 서사시에서 찾아볼 수 있다.[16][18] 《타인》(Táin)은 울스터(Ulster)의 왕 콘호바르 막 네사(Conchobar Mac Nessa) 통치 시대를 배경으로 하며, 1세기에 일어난 것으로 여겨진다.[17] 이 시기 아일랜드는 5개의 독립적인 대왕국 또는 쿠이게드(cuigeadh)로 나뉘었고, 각 왕(rí)은 동등한 지위를 가지며 중앙 왕권에 복종하지 않았다.[16][6][17][20] 가짜 역사가들은 이 시대를 아임세르 나 코이세다흐(Aimser na Coicedach)라고 불렀는데, 이는 "5왕 시대(Time of the Pentarchs)", "5분의 시대(Time of the Five Fifths)", "지방 왕 시대(Time of the provincial kings)" 등으로 번역되었다.[16][17][20] 또한 "5왕 정치(The Pentarchy)"로 묘사되기도 했다.[16][18]
5왕 정치를 구성했던 5개 지방은 다음과 같다.[16][18][17]
- 콘낙트(Connacht)(가): 왕궁은 크루아칸(Cruachan)(라트크로건(Rathcroghan))에 있었다.
- 울라이드(Ulaid)(가) (울스터(Ulster)): 왕궁은 에마인 마하(Emain Macha)(나반 요새(Navan Fort))에 있었다.
- 무먼(Muman)(가) (먼스터(Munster)): 왕궁은 티머르 에란(Teamhair Erann)에 있었다.
- 라이겐 투아트가바이르(Laigen Tuathgabair)(가) (북 레인스터(North Leinster)): 왕궁은 타라 언덕(Hill of Tara)에 있었다(최고왕의 궁궐이 되기 전).
- 라이겐 데스가바이르(Laigen Desgabair)(가) (남 레인스터(South Leinster)): 왕궁은 딘 리오그(Dinn Riogh)(가)에 있었다.
제프리 키팅(Geoffrey Keating)과 T. F. 오라일리(T. F. O'Rahilly) 같은 역사가들은 레인스터가 아니라 먼스터가 5분의 2를 차지했다고 주장하며 의견을 달리한다.[20][19] 키팅은 이 두 지역을 쿠이게드 에오카이(Cuigeadh Eochaidh)(동부 먼스터)와 쿠이게드 콘 라오이(Cuigeadh Con Raoi)(서부 먼스터)라고 불렀는데,[19] 각각 해당 지역 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에오인 맥닐(Eoin MacNeill)은 《타인 보 쿠알니게》를 인용하여 이러한 주장을 반박한다. 《타인》에서는 에오카이(Eochaidh)를 먼스터 전체의 왕으로 언급하고, 쿠 로이(Cu Roi)는 단순히 "위대한 먼스터의 영웅"으로 언급하고 있다.[16] 그는 또한 《타인》에서 울스터와 전쟁을 벌인 아일랜드의 4개 지역을 언급하고 있으며, 먼스터는 단 하나만 언급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16]
가짜 역사가들은 5왕 정치가 형성되기 전 아일랜드의 왕 84명을 열거한다. 이 신화적인 왕권이 중단된 시점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티거나흐 연대기(Annals of Tigernach)는 코네어레 모르(Conaire Mór)가 살해된 후 아일랜드가 5개 지역으로 나뉘었다고 명시하지만, 아일랜드 84대 왕인 에테르스켈 모르(Eterscél Mór)의 죽음 이후에 일어났다는 주장도 있다.[20] 그러나 키팅은 아일랜드 82대 왕인 에오쿠 피들레흐(Eochu Feidlech) 통치 시대에 일어났다고 주장한다.[20]
맥닐은 아일랜드의 이러한 5분할은 선사 시대적이고 선 게일족 시대적이며, 5왕 정치를 "아일랜드 정치 역사상 가장 확실한 사실"이라고 묘사한다.[16] 5분할된 아일랜드라는 개념은 5세기 성 패트릭 시대에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수세기 동안 아일랜드 문학 전반에 걸쳐 퍼져나갔다.[16] 그 당시 아일랜드는 7개의 대왕국으로 나뉘어져 있었다.[16]

딘센카스ga 시가인 아르드 루이데ga(루이데 곶)는 아일랜드의 다섯 왕국을 시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서사시 ''타인 보 쿠알린지(Táin Bó Cúailnge)''(쿨리의 소 습격)는 콘노트와 울스터 사이의 전쟁을 묘사하고 있으며, 쿠훌린(Cú Chulainn)이 홀로 울스터를 콘노트의 용사들로부터 방어한 이야기로 가장 잘 알려져 있을 것이다.
2. 2. 중세 후기 ~ 근대
12세기 초 왕조 내 분쟁 이후 오스레이지(Osraige)는 분열되었고, 고왕 무이르체르타흐 막 로흘라인(Muirchertach Mac Lochlainn)에게 큰 패배를 당한 후 라긴(Laigin)의 일부가 되었다.[7] 1169년 오스레이지의 왕 도널 막 킬라 파트라익(Domnall Mac Gilla Pátraic, Mac Giolla Phádraig dynasty)은 라긴의 왕 디아르마이트 막 무르카다(Diarmait Mac Murchada)에 대항하기 위해 노르만 기사 모리스 드 프렌더가스트(Maurice de Prendergast)를 고용했는데, 디아르마이트 막 무르카다 역시 노르만의 지원을 받고 있었다.[7]1118년 콘노트(Connacht)의 왕 타이르델바흐 우아 콘호바이르(Tairrdelbach Ua Conchobair)는 남 먼스터(Munster)의 막 카르타이그(Mac Cárthaigh)가 지배적인 우이 브라이언(Uí Briain) 왕조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는 것을 도왔다.[10] 이로 인해 뭄무(Mumu)는 두 지역으로 분열되었다. 우이 브라이언이 지배하는 북쪽의 투아드뭄무(Tuadmumu, Thomond, "북 먼스터")와 막 카르타이그가 지배하는 남쪽의 데스뭄무(Desmumu, Desmond, "남 먼스터")였다.[10] 우아 콘호바이르는 현 클레어주(County Clare) 주변에 위치한 우이 브라이언의 중심지를 정복하여 콘노트의 일부로 만들었다.[10] 이는 데스뭄무의 왕 코르막 막 카르타이그(Cormac Mac Carthaig)를 뭄무의 왕으로 인정하도록 강요하기 위한 것이었다.[10] 우아 콘호바이르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막 카르타이그와 우이 브라이언은 콘노트의 패권에 대항하여 동맹을 맺었고, 1138년까지 콘노트의 위협을 종식시켰다.[10] 그 후 수십 년 동안 뭄무는 우이 브라이언과 막 카르타이그가 완전한 지배권을 놓고 다투면서 여러 차례 통합되고 재분할되었다.[10] 1168년 콘노트의 왕 루아이드리 우아 콘호바이르(Ruaidrí Ua Conchobair)는 뭄무가 분열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했다.[10] 1171년 잉글랜드의 왕 헨리 2세(Henry II of England)가 아일랜드에 상륙한 후, 막 카르타이그는 우이 브라이언의 침략을 막기 위해 그에게 복종했다.[10] 우이 브라이언 역시 결국 헨리 2세에게 복종했다.[10] 이러한 즉각적인 복종은 헨리 2세가 아일랜드에 대한 교황의 허가 문서인 라우다빌리터(Laudabiliter)를 부활시키도록 고무시켰다.[10]
3. 현대의 지방
원래 아일랜드에는 5개의 지방이 있었으며, 아일랜드어 "Cúigíga"는 "5분의 1"을 의미한다. 이 중 가장 작았던 미스 지방은 레인스터에 흡수되었다. 현대에 지방은 법적 지위는 없지만, 각 지방은 여러 개의 카운티로 구성된다.
얼스터 지방의 9개 카운티 중 6개는 북아일랜드를 구성하며 영국에 속해 있다. 북아일랜드의 많은 연합주의 정당들은 얼스터 연합당(UUP), 얼스터 민주당(UDP)처럼 이름에 "얼스터"를 사용한다. 얼스터 텔레비전(UTV), BBC 라디오 얼스터 등도 지방 이름을 사용한다.
먼스터 기술대학교, 얼스터 대학교와 같이 교육 기관, 호텔, ''먼스터 익스프레스'', ''렌스터 리더'', ''코너트 트리뷴'', ''얼스터 헤럴드'' 등 지역 신문들도 지방 이름을 사용한다.
정치적으로 4개 지방은 1970년대와 1980년대 초 임시 아일랜드 공화군(IRA)과 신 페인이 지지했던 에이레 누아|새로운 아일랜드ga 제안에 언급되었다. 이 제안은 영국이 북아일랜드에서 철수하면 역사적인 4개 지방 각각에 의회가 있는 연방 국가를 창설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지방 | 깃발 | 문장 | 아일랜드어 명칭 | 인구 (2022)[3] | 면적 (km2) | 인구밀도 (명/km2) | 전통적인 아일랜드의 군 | 최대 도시 |
---|---|---|---|---|---|---|---|---|
콘넛 | Connachtaga Cúige Chonnachtga | 589,338 | 17,713 | 34 | 5 | 골웨이 | ||
레인스터 | Laighinga Cúige Laigheanga | 2,870,354 | 19,801 | 145 | 12 | 더블린 | ||
먼스터 | Mumhainga Cúige Mumhanga | 1,373,346 | 24,684 | 56 | 6 | 코크 | ||
얼스터 | Ulaidhga Cúige Uladhga | 2,217,176[4] | 22,067 | 100 | 9 | 벨파스트 |
3. 1. 스포츠
현대에 이르러 지방(province)들은 여러 군(county)의 집합체로 인식되고 있지만, 법적 지위는 없다. 오늘날에는 주로 스포츠 맥락에서 사용된다. 아일랜드의 4개 프로 럭비팀은 유나이티드 럭비 챔피언십에서 지방의 이름을 사용하여 경기를 펼친다. 게일릭 운동 협회(GAA)는 별도의 지방 의회를 두고 있으며, 군 팀들은 지방 선수권 대회를 치른다.[2]현재, 아일랜드의 지방은 럭비 유니온이나 게일릭 운동 협회와 같은 스포츠 팀이 게일릭 게임에서 대표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아일랜드 럭비 협회 등은 국제 대회에서 아일랜드 섬 전체를 대표하기 위해 각 지방의 깃발 또는 문장을 포함한 깃발을 사용한다.
노래 아일랜드의 부름은 섬 전체를 대표하는 스포츠 팀(예: 아일랜드 럭비 유니온 국가대표팀 및 아일랜드 크리켓 국가대표팀)의 국가로 사용된다. 첫 번째 구절은 "우리는 아일랜드의 네 자랑스러운 지방에서 우리 나라의 부름에 응답하기 위해 왔습니다"라고 말한다.
3. 2. 기타
오스라이지(Osraige)는 1170년 아일랜드 노르만 정복 이후 멸망한 최초의 아일랜드 왕국들 중 하나였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레인스터(Leinster)에서 분리되어 워터퍼드(Waterford)의 왕실 영지가 되었다.[8]정복 이후 수년 동안 콘노트(Connacht), 데스무뭄(Desmumu), 라이긴(Laigin), 미드(Mide), 투아드무뭄(Tuadmumu), 울스터(Ulaid) 왕국들은 각각 콘노트, 데스먼드, 레인스터, 미스, 토몬드, 울스터의 노르만 자치령의 기반이 되었다.[5][26] 이 자치령들은 나중에 더 작은 자치령들로 세분되어 아일랜드의 군(county)의 기반이 되었다.[5]
북부 위 네일(Uí Néill)은 노르만의 지배를 받지 않았고, 결국 12세기 말 동쪽 영토(이후 "잉글리시 오리엘"(English Oriel), 후에 라우스(Louth)로 알려짐)를 노르만인들에게 빼앗긴 아르기알라(Airgíalla)의 대부분을 흡수했다.[14] 아르기알라(Airgíalla)는 결국 옛 대왕국으로 여겨지지 않게 되었지만, 게일족 질서가 존속하는 한 현재의 모나헌주(County Monaghan)에 존속했으며,[21] 마지막 아르기알라(Airgíalla)의 왕은 1589년부터 1590년 9월/10월 처형될 때까지 통치한 휴 로 맥마흔(Hugh Roe McMahon)이었다.
1315년 아일랜드 브루스 원정 이후 아일랜드에서 잉글랜드의 지배가 무너지고 그 뒤를 이어 울스터 백작령이 붕괴되면서 게일족 질서가 부활했고, 북부 위 네일(Uí Néill)의 클랜데보이 오닐(Clandeboye O'Neills)이 울스터의 권력 공백을 메우며 오닐(O'Neills) 가문의 티론(Tyrone)의 지배하에 두었다. 그 후 그들은 처음으로 rí Ulad|울스터의 왕ga이라는 칭호를 주장하며 그들의 영토를 하나의 통일된 주로 통합했다. 이로써 주의 수는 5개(콘노트, 레인스터, 미스, 먼스터, 울스터)로 줄었다.

잉글랜드의 메리 1세(Mary I of England)(1553~1558) 통치 기간 동안 아일랜드 총독(Lord Deputy of Ireland) 토머스 래드클리프 서섹스 백작 3세(Thomas Radclyffe, 3rd Earl of Sussex)는 아일랜드를 콘노트(Connacht), 렌스터(Leinster), 미스(Meath), 저먼스터(Nether Munster), 얼스터(Ulster), 어퍼먼스터(Upper Munster)의 여섯 지역으로 나누려고 했다.[5] 그러나 그의 아일랜드 행정 통치는 짧게 끝났고, 엘리자베스 1세(Elizabeth I of England)(1558~1603)에 의해 재임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계획은 결코 실행되지 않았다.[5]
헨리 시드니 경(Sir Henry Sidney)은 총독으로 세 번의 임기를 수행하는 동안 콘노트(Connacht)와 먼스터(Munster)를 관할하는 총재(Lord President)가 이끄는 두 개의 총재령(presidencies)을 설립했다.[5] 먼스터(Munster) 지방의 중요성을 줄이려는 시도로 시드니는 섀넌 강(River Shannon)을 천연 경계로 삼아 토몬드(Thomond)를 빼앗아 1569년 콘노트(Connacht) 총재령의 일부로 클레어 주(County Clare)를 만들었다.[5] 엘리자베스 1세(Elizabeth I) 통치 말기인 1600년경에는 클레어(Clare)가 토몬드 백작(Earl of Thomond)의 지휘 아래 완전히 독립적인 총재령이 되었고, 1660년 복고왕정(Restoration (England)) 이후 먼스터(Munster)의 일부로 돌아가지 않았다.[5]
튜더 시대 아일랜드 지방의 정확한 경계는 여러 번 바뀌었는데, 대개 새로운 주(county)의 생성이 원인이었다.
- 1569년 클레어 주(County Clare)가 생성될 당시 먼스터(Munster)에서 콘노트(Connacht)로 이관되었고, 1660년 이후에야 먼스터(Munster)로 복귀했다.[5]
- 1583년 롱퍼드 주(County Longford)가 생성될 당시 렌스터(Leinster)에서 콘노트(Connacht)로 이관되었다.[5][29]
- 1584년에 카반 주(County Cavan)가 생성되어 콘노트(Connacht)에서 얼스터(Ulster)로 이관되었다.[28]
- 오랫동안 페일(The Pale)의 일부였던 라우스 주(County Louth)는 얼스터(Ulster)에서 렌스터(Leinster)로 이관되었다.[5]
엘리자베스 1세(Elizabeth I)의 후계자 제임스 1세(James VI and I)의 통치 시대가 되어서야 1610년 미스(Meath)가 지방으로 간주되지 않게 되었고, 지방 경계가 영구적으로 설정되었다.[5]
현대에 이르러 지방(province)들은 여러 군(county)의 집합체로 인식되고 있지만, 법적 지위는 없다. 오늘날에는 주로 스포츠 맥락에서 사용된다. 아일랜드의 4개 프로 럭비팀은 유나이티드 럭비 챔피언십에서 지방의 이름을 사용하여 경기를 펼친다. 게일릭 운동 협회(GAA)는 별도의 지방 의회를 두고 있으며, 군 팀들은 지방 선수권 대회를 치른다.[2]
9개의 얼스터 군 중 6개는 현대의 북아일랜드를 구성하며, 북아일랜드는 영국에 속해 있다. 북아일랜드의 많은 연합주의 정당들은 이름에 "얼스터"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얼스터 연합당(UUP)과 얼스터 민주당(UDP)이 있다. ITV 지역 서비스는 얼스터 텔레비전으로 알려져 있지만 일반적으로 UTV로 약칭되며, BBC 라디오 얼스터는 BBC 북아일랜드의 주요 BBC 라디오 방송국이다.
교육 분야에서는 먼스터 기술대학교와 얼스터 대학교 모두 소재한 지방의 이름을 사용한다.
많은 호텔들도 위치한 지방의 이름을 사용한다.
미디어 분야에서는 많은 지역 신문들이 지방의 이름을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워터퍼드의 ''먼스터 익스프레스'', 킬데어의 ''렌스터 리더'', 골웨이의 ''코너트 트리뷴'', 페르마나의 ''얼스터 헤럴드'' 등이 있다.
현대 정치적으로 네 지방은 1970년대와 1980년대 초 임시 IRA와 신 페인이 지지했던 에이레 누아|새로운 아일랜드ga 제안에서 언급되었다. 이 제안은 특히 더블린에 기반을 둔 루아이리 오 브라다이와 데이티 오 코넬을 중심으로 한 지도부와 관련이 있었는데, 이들은 이 정책의 저자였다. 에이레 누아|새로운 아일랜드ga는 영국이 북아일랜드에서 철수할 때 만들어질 연합 아일랜드를 구상했으며, 역사적인 네 지방 각각에 의회가 있는 연방 국가를 창설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노래 아일랜드의 부름은 섬 전체를 대표하는 스포츠 팀(예: 아일랜드 럭비 유니온 국가대표팀 및 아일랜드 크리켓 국가대표팀)의 국가로 사용된다. 첫 번째 구절은 "우리는 아일랜드의 네 자랑스러운 지방에서 우리 나라의 부름에 응답하기 위해 왔습니다"라고 말한다.
원래는 다섯 개의 지방이 존재했으며, 아일랜드어 명칭인 Cúigí|ga는 여기에서 유래한다. 하지만 가장 작았던 미스 지방(Mide)은 렌스터 지방(Leinster)에 흡수되었다. 아일랜드의 황금기에는 여러 왕국이 느슨하게 연합하여 이러한 지방들을 형성했다. 현재는 법적인 규정은 없지만, 각 지방은 여러 개의 카운티로 구성되어 있다.
울스터 지방(Ulster)의 9개 카운티 중 6개 카운티로 북아일랜드가 구성되어 있으며 영국의 통치하에 있다. 나머지 섬 전역은 아일랜드 공화국이 통치하고 있다.
현재, 아일랜드의 지방은 럭비 유니온이나 게일릭 운동 협회와 같은 스포츠 팀이 게일릭 게임에서 대표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아일랜드 럭비 협회 등은 국제 대회에서 아일랜드 섬 전체를 대표하기 위해 각 지방의 깃발 또는 문장을 포함한 깃발을 사용한다.
4. 지방 목록
아일랜드의 지방은 역사적으로 콘넛, 레인스터, 먼스터, 얼스터의 네 개로 나뉜다. 각 지방은 고유한 깃발과 문장을 가지고 있으며, 아일랜드어 명칭도 다르다.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레인스터의 인구가 2,870,354명으로 가장 많고, 콘넛의 인구가 589,338명으로 가장 적다. 면적은 먼스터가 24684km2로 가장 넓고, 콘넛이 17713km2로 가장 좁다.
지방 | 깃발 | 문장 | 아일랜드어 명칭 | 인구 (2022)[3] | 면적 (km2) | 인구 밀도 | 전통적인 아일랜드의 군 | 최대 도시 |
---|---|---|---|---|---|---|---|---|
콘넛 | -- | Connachta|코나크타ga Cúige Chonnacht|쿠거 코나크트ga | 589,338 | 17713km2 | 34 | 5 | 골웨이 | |
레인스터 | -- | Laighin|라인ga Cúige Laighean|쿠거 리언ga | 2,870,354 | 19801km2 | 145 | 12 | 더블린 | |
먼스터 | -- | Mumhain|무운ga Cúige Mumhan|쿠거 무언ga | 1,373,346 | 24684km2 | 56 | 6 | 코크 | |
얼스터 | -- | Ulaidh|울리ga Cúige Uladh|쿠거 울루ga | 2,217,176 | 22067km2 | 100 | 9 | 벨파스트 |
얼스터의 인구는 아일랜드 공화국에 속한 얼스터의 세 군(카번주, 도네갈주, 모나헌주)과 북아일랜드의 인구를 합산한 것이다.[4]
4. 1. 얼스터 관련 추가 정보
세 명의 콜라(The Three Collas) 신화 속 주요 사건들은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초에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으나, 수 세기가 지나면서 신화는 갱신되고 변형되었다.[15] 이 이야기에 가장 자주 인용되는 버전은 17세기에 제프리 키팅(Geoffrey Keating)이 저술한 『아일랜드 역사』(Foras Feasa ar Éirinn)에 기록되어 있다.[15]이 책에 따르면, 세 명의 콜라—콜라 멘(Colla Menn), 콜라 다 크리오크(Colla Da Crioch), 콜라 우아이즈(Colla Uais)—는 에오카이 도임렌(Eocaidh Doimlén)의 아들들이었다.[15] 이들로부터 아르기알라(Airgíalla)가 기원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콘낙타(Connachta)의 나머지 지역에서 갈라져 나왔다.[15] 북부와 남부의 우이 네일(Uí Néill) 왕조는 에오카이의 형제인 피아차 스라이브티네(Fiacha Sraibhtine)로부터 기원했다고 한다.[15] 이야기에 따르면, 콜라들은 아일랜드 대왕(High King of Ireland)인 무이레다크 티레크(Muiredach Tirech, 피아차의 아들)로부터 자신의 후손에게 물려줄 땅을 정복하라는 명령을 받았고, 증조부인 코르막 맥 아르트(Cormac mac Airt)에 대한 모욕을 갚기 위해 울라이드(Ulaid)와 전쟁을 벌이라는 지시를 받았다.[15]
콜라들은 콘낙타 출신 병사들과 함께 아하이드 레이트데르크(Achaidh Leithdeircc, 페르마나, 남부 울라이드)로 진군하여 7일 동안 7차례에 걸쳐 울라이드와 싸웠다.[15] 콘낙타 출신 병사들이 처음 여섯 번의 전투를 치렀고, 콜라들은 일곱 번째 전투를 치렀다.[15] 마지막 전투 이후 울라이드의 왕 페르구스 포가(Fergus Foga)가 죽고 그의 군대는 궤멸되었다.[15] 콜라들은 "글렌 리게"(Glen Righe, 동부 아마 카운티의 뉴리 강 계곡) 동쪽으로 울라이드를 추격한 후, 울라이드의 수도인 에메인 마차(Emain Macha)를 약탈하고 불태웠으며, 그 후 에메인 마차는 다시는 왕이 없는 곳이 되었다.[15] 그들은 이후 아마, 페르마나, 런던데리, 모나헌, 티론의 현대 카운티에 걸쳐 중앙 울라이드를 점령하여 아르기알라(Airgíalla)라는 대왕국을 건설했다.[15]
5. 아일랜드의 문장
각 지방은 오늘날 고유한 문장과 깃발로 표현됩니다. 이것들은 아일랜드 4지방기와 아일랜드 4지방 문장을 통해 다양한 아일랜드 전국 스포츠팀과 단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아일랜드 필드하키 국가대표팀, 아일랜드 럭비 리그 국가대표팀, 아일랜드 럭비 유니온 국가대표팀 및 아일랜드 아마추어 복싱 협회 등이 있습니다.[1]
참조
[1]
서적
Phases of Irish History
Gill
1920
[2]
웹사이트
GAA Structures
https://www.gaa.ie/t[...]
2016-01-10
[3]
웹사이트
Census - CSO - Central Statistics Office
https://www.cso.ie/e[...]
Central Statistics Office
2021-06-12
[4]
웹사이트
2021 Census
https://www.nisra.go[...]
2022-08-05
[5]
서적
The Counties of Ireland: An Historical Sketch of Their Origin, Constitution, and Gradual Delimitation
Royal Irish Academy
[6]
서적
Koch
[7]
서적
Duffy
2005
[8]
서적
Duffy
2005
[9]
서적
Duffy
2005
[10]
서적
Duffy
2005
[11]
서적
Duffy
2014
[12]
서적
Duffy
2014
[13]
서적
Duffy
2014
[14]
서적
Duffy
2014
[15]
서적
Schlegel
[16]
서적
The Five Fifths of Ireland
[17]
서적
Hurbert
[18]
서적
Hogan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Duffy
2005
[23]
서적
Duffy
2005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Local Government in Ireland
Dublin
1982
[29]
서적
Anglicising the Government of Ireland: The Irish Privy Council & the Expansion of Tudor Rule 1556–1578
Blackrock
1993
[30]
서적
A05 地球の歩き方 アイルランド 2019~2020
https://www.worldcat[...]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2019-06
[31]
문서
다블린주는 2014년의 地方行政改正法에 의해 4개의 도시로 분할되었다 (다블린시, 단 레어리=래스다운시, 핑갈시, 남다블린시). 이 때문에, 다블린주는 전통적인 주로 계속 사용되고 있지만, 지방자치단체로서의 기능은 폐지되었다.
[32]
문서
공식 명칭은 '''런던데리'''. 이 주명·마을 이름은 유니오니스트(北아일랜드를 영국에 귀속시키는 것에 찬성)에 의해 옹호되고 있으며, 민족주의자(아일랜드의 재통일에 찬성)는 '''데리'''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아일랜드측의 도로표지에도 데리라고 표기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데리/런던데리 명칭 논쟁'''」을 참조.
[33]
문서
벨파스트는 북아일랜드와 울스터 지방의 최대 도시. 아일랜드측의 최대 도시는 레타케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