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즈사 마유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즈사 마유미는 1943년 다카라즈카 가극단 30기생으로 입단하여 1986년 퇴단한 일본의 배우이다. 다카라즈카 가극단 시절에는 호시구미, 하나구미, 전과, 유키구미 등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배역을 맡았다. 주요 출연작으로는 『우미인』, 『꽃 공양』, 『꽃 꿈 환상』 등이 있다. 1952년부터 1956년까지는 영화 배우로도 활동하며 여러 작품에 출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카라즈카 가극단 - 하나미야 사라
하나미야 사라는 다카라즈카 가극단 소속 배우로 2014년 입학하여 2016년에 입단, 소라구미에서 활동하며 에트와르와 신인공연 히로인을 맡았고 2023년 퇴단 후 2025년 무대 출연이 예정되어 있다. - 다카라즈카 가극단 - 전과 (다카라즈카 가극)
전과는 다카라즈카 가극단 내에서 특정 조에 소속되지 않고 뛰어난 예능 실력을 갖춘 배우들의 집단으로, 각 조 공연에 특별 출연하며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톱스타를 배출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고베시 출신 - 가네모토 고지
가네모토 고지는 1990년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데뷔하여 3대 타이거 마스크로 활동했고, IWGP 주니어 헤비급 챔피언 등을 지냈으며 '주니어 싸움짱'이라는 별명을 얻은 프로레슬러로 현재는 프리랜서 및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 고베시 출신 - 가가와 도요히코
가가와 도요히코는 일본의 기독교 사회주의자이자 사회운동가, 소설가로서, 빈민 구제, 노동 운동, 농민 운동, 협동조합 운동 등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나, 전시에는 제국주의에 협력적인 태도를 보여 비판을 받았고, 전후에는 정치 활동과 세계 평화 운동에 힘썼다. - 다카라즈카 가극단 동문 - 소노이 케이코
소노이 케이코는 뛰어난 조연 배우로 인정받으며 다카라즈카 가극단과 신극 무대에서 활동했으나 히로시마 원폭 투하로 사망한, 다카라즈카 가극단과 일본 연극사에 중요한 인물이다. - 다카라즈카 가극단 동문 - 츠키후네 사라라
츠키후네 사라라는 타카라즈카 음악학교 최고 경쟁률을 뚫고 82기생으로 데뷔하여 다양한 작품에서 활동 후 2005년 퇴단, 영화, 드라마, 무대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배우이다.
아즈사 마유미 | |
---|---|
기본 정보 | |
출생 | 1953년 5월 10일 |
사망 | 2024년 1월 29일 (향년 70세) |
출생지 | 일본 도쿄도 |
직업 | 가수 |
활동 시기 | 1968년 - 2024년 |
장르 | 가요 |
레이블 | 미놀폰 |
관련 인물 | 미야자키 신지 (남편) |
2. 약력 및 인물
1940년, 다카라즈카 음악무용학교(현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에 입학했다.[1] 1943년, 다카라즈카 가극단 30기생으로 입단했다. 초무대 연목은 『태양의 아이들』이며, 입단 당시 성적은 14명 중 5등이었다.[1] 1984년부터 다카라즈카 음악학교 일본무용 강사를 맡았다.[1] 1986년 2월 25일자로 다카라즈카 가극단을 퇴단했다. 최종출연 공연은 호시구미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공연 『서해에 꽃이 흩날려도』였다. 1994년 11월 13일, 사망했다.[1]
3. 다카라즈카 가극단 시절 주요 무대 출연
3. 1. 호시구미 시절
아즈사 마유미는 호시구미 소속으로, 1948년 9월 22일부터 10월 11일까지 다카라즈카 대극장에서 공연된 『夜鶴双紙』, 『ブルーヘブン』에 출연하였다. 이후, 1949년 2월 18일부터 3월 9일까지 『龍女』, 6월 1일부터 6월 20일까지 『高山右近』, 8월 10일부터 8월 30일까지 『三人片輪』 공연에 참여하였다. 같은 해 12월 1일부터 12월 28일까지는 다카라즈카 중극장에서 『スヰート・シルヴィ』, 1950년 2월 1일부터 2월 27일까지는 『嘘吐きレリオ』 에 출연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1951년에는 다카라즈카 대극장에서 8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상연된 『우미인』에서 모모무스메(桃娘) 역을 맡았다. 1955년에는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4월 16일 - 5월 25일)과 다카라즈카 대극장(3월 2일 - 30일)에서 다시 한번 『우미인』의 모모무스메 역으로 무대에 올랐다. 1959년 1월 1일부터 1월 30일까지는 『日本美女絵巻』에 출연하였다.
1985년에는 『서해에 꽃이 흩날려도』에서 켄레이몬인(建礼門院) 역을 맡아 다카라즈카 대극장(8월 18일 - 9월 7일)과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12월 1일 - 12월 27일)에서 공연하였다.
3. 2. 하나구미 시절
아즈사 마유미는 하나구미 시절 『白蓮記』 (1953년 2월 1일 - 2월 27일, 다카라즈카 대극장), 『봄의 춤 (꽃의 다카라즈카)』 (1953년 5월 1일 - 5월 31일, 다카라즈카 대극장), 『白井權八』 (1954년 3월 3일 - 3월 30일, 다카라즈카 대극장), 『笛吹童子』 (1954년 7월 1일 - 7월 30일, 다카라즈카 대극장) 등의 작품에 출연하였다.
3. 3. 전과 시절
아즈사 마유미는 1948년 『야학쌍지』와 『블루 헤븐』 공연으로 다카라즈카 대극장 무대에 처음 올랐다. 이후 호시구미 소속으로 『용녀』, 『고야마 우콘』, 『세 사람의 불구자』, 『스위트 실비』, 『거짓말쟁이 레리오』 등 다수의 작품에 출연했다. 1951년과 1955년에는 『우미인』에서 모모무스메(모모코) 역을 맡았다. 1953년에는 하나구미 소속으로 『백련기』, 『봄의 춤 (꽃의 다카라즈카)』에 출연했으며, 1954년에는 『시라이 곤파치』와 『피리부는 아이』에 출연했다. 1959년에는 『일본 미녀 그림 두루마리』에 출연했다.
1984년에는 전과 소속으로 『꽃 공양』에서 오요츠 고료닌 역을 맡아 다카라즈카 바우 홀에서 공연했다. 1985년에는 유키구미의 『꽃 꿈 환상』에서 아야메의 여자, 미녀S 역을 맡아 다카라즈카 대극장과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에서 공연했고, 같은 해 호시구미의 『서해에 꽃이 흩날려도』에서 겐레이몬인 역을 맡아 다카라즈카 대극장과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에서 공연했다.
3. 4. 유키구미 시절
아즈사 마유미는 1985년 1월 1일부터 2월 12일까지 다카라즈카 대극장에서, 4월 4일부터 4월 29일까지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에서 상연된 유키구미 공연 『꽃 꿈 환상』에 출연하여 아야메의 여자, 미녀S 역을 맡았다.
4. 영화 출연
아즈사 마유미는 1952년 도호에서 제작한 겐로쿠 수호전에서 사유리 역을 맡았다. 같은 해 사랑의 포박에서는 딸 오치요 역을 연기했다. 1953년에는 캇파 6총사에서 공주 역을, 1954년에는 우몬 포물첩 환상의 변화에서 오코메 역을 맡았다. 1955년 나비 부인에서는 게이샤 역으로, 1956년 50년 만의 바람기에서는 차녀 사요코 역으로 출연했다. 같은 해 아차코 행장기 며느리 고르기 시험에서는 센코 역을 연기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