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파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파르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사호어 및 소말리어와 함께 저지 동쿠시어군에 속한다. 지부티,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아파르주에서 사용되며, 지부티에서는 국어, 에리트레아에서는 9개의 국어 중 하나, 에티오피아에서는 공식 업무 언어로 지정되어 있다. 아파르족 약 256만 명이 사용하며, 라틴 문자, 아랍 문자, 그리고 과거에는 게에즈 문자로 표기되었다. 주요 방언으로는 북부, 바두, 아우사, 중부 아파르 방언이 있으며,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를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부티의 언어 - 프랑스어
    프랑스어는 프랑스를 포함한 전 세계 29개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속라틴어가 갈리아어 및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국제기구 공용어로서 외교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문화, 경제, 교육, 특히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 지부티의 언어 - 아랍어
    아랍어는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주로 사용되는 셈어어족의 언어로, 현대 표준 아랍어와 다양한 지역 방언으로 나뉘며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표기하고 이슬람 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 에리트레아의 언어 - 티그리냐어
    티그리냐어는 에리트레아의 주요 언어이자 에티오피아에서도 널리 쓰이는 언어로서, 게에즈 문자를 사용하며 기독교 용어에서 게에즈어의 영향을 받았고, 13세기 법률 문서 기록이 있으며, 에리트레아 독립 후 공용어가 되었고, 아스마라 방언이 주로 사용되며, 인두음이 풍부하고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닌다.
  • 에리트레아의 언어 -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는 고대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세기 경 음성 표기가 도입된 26개의 자음 문자를 가진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이다.
  • 에티오피아의 언어 - 티그리냐어
    티그리냐어는 에리트레아의 주요 언어이자 에티오피아에서도 널리 쓰이는 언어로서, 게에즈 문자를 사용하며 기독교 용어에서 게에즈어의 영향을 받았고, 13세기 법률 문서 기록이 있으며, 에리트레아 독립 후 공용어가 되었고, 아스마라 방언이 주로 사용되며, 인두음이 풍부하고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닌다.
  • 에티오피아의 언어 - 암하라어
    암하라어는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이자 암하라족의 모어로, 솔로몬 왕조 이후 제국 공용어로 정치·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현재까지 사용되고, 그으즈어와 관련이 있고 쿠시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부기다 문자 체계를 사용하고 라스타파리 운동에서 신성한 언어로 여겨진다.
아파르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아파르어
사용 민족아파르족
사용 지역지부티,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사용 지역아프리카의 뿔
화자 수260만 명 (2019–2022년)
어족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어파쿠시어족
어군저지 동부 쿠시어군
하위 어군사호-아파르어군
문자라틴 문자
방언아우사
바두
중앙 아파르어
북부 아파르어
소수 언어
ISO 639-1aa
ISO 639-2aar
ISO 639-3aar
Glottologafar1241
Glottolog 이름아파르어
지도 정보

2. 분류

아파르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의 쿠시어파에 속한다. 저지 동쿠시어군에 속하며, 사호어와 소말리어와 함께 분류된다.[1] 가장 가까운 친족어는 사호어이다.

3. 공식적인 지위

지부티에서 아파르어는 국어로 인식된다.[12] 또, 지부티 라디오 방송 공용망의 방송 언어들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에리트레아에서도 9개의 국어들 가운데 하나로 인식된다. 에리트레아 국영 라디오에서는 매일 아파르어 방송이 나오며, 에리트레아 헌법 번역본도 있다. 그러나 교육에서는 아파르어 사용자들이 제2언어로 사용하는 아랍어를 교육 언어로 선호한다.[3]

에티오피아 아파르 주에서는 아파르어가 공식 업무 언어로 인정받는다.[13] 2020년부터 아파르어는 에티오피아의 5개 공식 업무 언어 중 하나이다.[5]

4. 사용 지역

아파르어는 지부티,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의 아파르 주에 거주하는 아파르족이 모어로 사용한다.

Ethnologue에 따르면, 아파르어 화자는 총 2,563,800명이다. 이 중 1,280,000명은 2007년 에티오피아 인구조사에서 기록되었으며, 1994년 인구조사에서는 906,000명의 아파르어 모국어 사용자가 등록되었다.

5. 음운

아파르어의 음운은 다음과 같다.



rowspan="2"|전설중설후설
짧은소리긴소리짧은소리긴소리
고모음iii(/iː/)uuu(/uː/)
중모음eee(/eː/)ooo(/oː/)
저모음aa(/aː/)a(/ʌ/)


5. 1. 닿소리 (자음)



표준 표기법에서 아파르어 자음은 다음과 같이 각괄호 안에 (IPA 표기 앞에) 나열되어 있다.

colspan="2" |입술소리치경음권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인두음성문음
파열음무성음tk
유성음bdg
마찰음무성음fsch
유성음q
비음mn
유사음wly
탄음rx[6]



음절을 끝맺는 무성 파열음은 방출된다. 예: .

5. 2. 홀소리 (모음)

rowspan="2"|전설중설후설
짧은소리긴소리짧은소리긴소리
고모음iii(/iː/)uuu(/uː/)
중모음eee(/eː/)ooo(/oː/)
저모음aa(/aː/)a(/ʌ/)


  • 긍정문의 어말 모음은 기음이 강하게 되고 강세를 받는다. (예: '''abeh''' = '그는 했다.')
  • 부정문의 어말 모음은 기음이 강하지 않고 강세를 받지 않는다. (예: '''maabinna''' = '그는 하지 않았다.')
  • 의문문의 어말 모음은 길어지고 강세를 받는다. (예: '''abee?''' = '그는 했는가?')


그 외에는 단어 끝에 강세가 온다.

5. 3. 음운 규칙

가능한 음절 형태는 V, VV, VC, VVC, CV, CVV, CVVC이다.[7]

6. 문자 체계

에티오피아에서는 아파르어가 예전에 게에즈 문자(에티오피아 문자)로 쓰였다. 1849년경부터는 다른 지역에서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이 언어를 표기하기 시작했다. 또한 아파르어는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되기도 한다.[8]

1970년대 초, 디미스와 레도라는 두 명의 아파르 지식인이자 민족주의자들이 아파르 알파벳을 공식화했다. 'Qafar Feera'로 알려진 이 표기법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다.[9]

이후 지부티 언어 연구소, 에리트레아 교육부, 그리고 에티오피아 아파르어 연구 및 풍부화 센터의 관계자들은 아파르 언어학자, 저술가, 그리고 지역 사회 대표들과 협력하여 아파르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기존 문자 체계 중에서 표준 표기법을 선정해왔다.[8]

ABCDEFGHIJKLMNOPQRSTUVWXYZ
abacadaefagahaijakalamanaopaqarasatauvawaxayaza

[10]

ABTSECKXIDQRFGOLMNUWHY
abatasaecakaxaidaqarafagaolamanauwahaya

[11]

7. 방언

아파르어에는 다음과 같은 방언들이 존재한다.

방언 이름기타 명칭ISO 639-3 코드
북부 아파르 방언aar-nor
바두 방언aar-baa
아우사 방언aar-aus
중부 아파르 방언aar-cen
아달어
다나킬어
아파르어다나칼리어(Danakäli)
아파르어
덴켈어
아파라프어
카파르어


8. 어순

대부분의 다른 쿠시어와 마찬가지로 아파르어의 기본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이다.

참조

[1] 서적 Peoples of the Horn of Africa: Somali, Afar and Saho Red Sea Press
[2] 웹사이트 Djibouti https://www.cia.gov/[...] CIA 2014-08-31
[3] 웹사이트 Les langues en Erythrée http://cy.revues.org[...] Cy.revues.org 2010-04-06
[4] 서적 Language, literature, and identity https://books.google[...] Cuvillier 2015-10-14
[5] 웹사이트 Ethiopia is adding four more official languages to Amharic as political instability mounts https://qz.com/afric[...] 2022-04-12
[6] 학술지 How do voiced retroflex stops evolve? Evidence from typology and an articulatory study. 2010-06
[7] 논문 Afar : grammatical description of a Cuchitic Language (Djibouti, Eritrea and Ethiopia ) https://tel.archives[...] Université Sorbonne Paris Cité 2015
[8] 웹사이트 Development of the Afar Language https://web.archive.[...] Afar Friends 2013-08-23
[9] 웹사이트 Afar (ʿAfár af) http://www.omniglot.[...] Omniglot 2013-08-23
[10] 웹사이트 Berraka https://web.archive.[...] Qafaraf 2015-08-23
[11] 웹사이트 Afar language, alphabet and pronunciation https://omniglot.com[...] Omniglot 2021-09-29
[12] 웹인용 Djibouti https://web.archive.[...] CIA 2014-08-31
[13] 서적 Language, literature, and identity https://books.google[...] Cuvilli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