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티오피아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티오피아의 행정 구역은 역사적으로 주(州)로 나뉘었으며, 1992년 에티오피아 과도 정부에 의해 현재의 체계가 도입되어 1995년 헌법으로 공식화되었다. 현재 12개의 주와 2개의 자치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는 민족별로 구성된 지역주로, 각 주 의회가 선출한 주지사가 통치한다. 아디스아바바와 디레다와는 자치구로, 민족 요소를 배제하고 정치적 중립성을 유지한다. 아비 아머드 총리 재임 기간 동안 행정 구역 재편이 이루어져 시다마주, 남서 에티오피아 민족 지역, 남부 에티오피아 지역 주, 중앙 에티오피아 지역 주 등이 신설되었다. 각 주는 여러 개의 존으로 나뉘며, 존 아래에는 구, 촌 등의 하위 행정 구역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티오피아의 행정 구역 - 카파주
  • 에티오피아의 행정 구역 - 하라르게주
    하라르게주는 과거 에티오피아에 존재했던 역사적인 행정 구역으로, 하라르 토후국 시대를 거쳐 여러 지역 통합 및 분할을 통해 현재는 소말리 지역, 오로미아 지역, 아파르 지역 등으로 나뉘었다.
에티오피아의 행정 구역
개요
에티오피아의 주
에티오피아의 주
관할 국가에티오피아
유형연방
통계
출범일1992년
현재 개수13개 주, 2개 특별시 (2023년 기준)
하위 행정 구역2단계: 구역 (Zone)
3단계: 지구 (Woreda)

2. 역사

에티오피아는 역사적으로 주(Province) 단위로 행정 구역이 나뉘어 있었다. 현재 사용되는 행정 구역 체계는 에티오피아 과도 정부 시기인 1992년에 처음 도입되었고, 1995년 에티오피아 헌법의 발효와 함께 1995년에 공식적으로 확립되었다.[2] 이 과정에서 기존의 주들이 통합되거나 새로운 행정 단위가 생겨나는 변화가 있었다.[3]

2. 1. 1995년 이전

에티오피아는 역사적으로 주(Province) 단위로 행정 구역이 나뉘어 있었다. 현재의 행정 구역 체계는 1995년 에티오피아 헌법 발효와 함께 공식화되었다.[2]

1993년까지의 에티오피아의 주


1987년~1991년의 행정 구역


1995년 이전 에티오피아는 13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에리트레아가 독립하기 전까지는 총 14개의 주가 존재했다. 이 과거의 주 구분은 현재 공식적인 행정 구역은 아니지만,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데 여전히 사용되기도 한다.

1995년 이전 에티오피아의 주 목록
번호주 이름 (원어)비고
1Arsi Province|아르시 주영어
2Bale Province|바레 주영어
3Begemder|베게메데르 주영어
4Gamu-Gofa|감 고파 주영어
5Gojjam|고잠 주영어
6Hararghe|하라르게 주영어
7Illubabor Province|일루바보르 주영어
8Kaffa Province|카파 주영어
9Shewa|쇼아 주영어
10Sidamo Province|시다모 주영어
11티그레이 주
12Welega Province|월레가 주영어
13Wollo Province|월로 주영어
14에리트레아 주1993년 에리트레아로 독립


2. 2. 1995년 헌법과 행정 구역 개편

에티오피아는 역사적으로 주로 나뉘어 있었다. 현재의 행정 구역 체계는 에티오피아 과도 정부에 의해 1992년에 도입되었으며, 현행 에티오피아 헌법이 발효된 1995년에 공식화되었다.[2] 처음에는 13개의 주가 있었으나, 1992년 6월 21일 주 의회 선거 이후 5개의 주가 합쳐져 다민족 남부 민족, 국적 및 인민 지역을 형성하기도 했다.[3]

현 체제는 1994년 12월에 승인되었고, 1995년 8월 21일에 시행된 1995년 헌법에 의해 성립되었다. 이 헌법은 에티오피아를 '''주'''(Region)와 '''자치구'''(Chartered city)로 나누는 행정 구역 체계를 확립했다.

주는 공식적으로 '''지역주'''(Regional stateeng, ክልል|킬릴amh ''kilil'', 복수형: ክልሎች|킬릴로흐amh ''kililoch'', Naannooorm, 복수형: Naannoleeorm)라고 불린다. 이는 당시 총리 멜레스 제나위가 제창한 민족 연방주의에 따라 주요 민족 집단을 기반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각 주는 주 의회(Regional councileng, 주 평의회)가 선출한 주지사(Presidenteng, 대통령이라고도 함)가 통치한다. 다만, 암하라어의 ክልል|킬릴amh이라는 단어에는 "거류지"나 "보호 구역"이라는 의미도 내포되어 있어[15], 과거 남아프리카 공화국아파르트헤이트 정책 하에 원주민을 강제로 재편성했던 반투스탄을 연상시킨다는 비판이 반정부 세력으로부터 제기되기도 한다.[16]

자치구는 특정 민족 요소를 배제하고 해당 지역을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수도인 아디스아바바와 주요 도시인 디레다와가 이에 해당한다. 디레다와는 1993년부터 소말리주오로미아주 간의 영토 분쟁 대상이 되면서 처음에는 연방 직할지로 지정되었다.[17] 이후 2004년에 연방 정부로부터 자치권을 부여받아 자치구가 되었다.[17] 자치구는 대체로 하나의 도시와 비슷한 규모를 가지므로 특별시와 유사하게 여겨지기도 한다.[18] (단, 하라리주는 일부 자치구보다 면적이 작다.)

1995년 헌법 제정 이후 한동안 행정 구역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2004년 디레다와의 자치구 변경 정도), 2018년 총리로 취임한 아비 아흐메드는 민족 간의 조화와 국내 통합을 강조하며 행정 구역 재편을 추진했다. 이로 인해 여러 민족이 함께 거주하던 남부 지방 민족주는 2020년 6월 시다마주[19][20], 2021년 11월 남서 에티오피아 민족주[21]가 차례로 분리되었고, 남은 지역도 2023년 8월 남부 에티오피아주와 중부 에티오피아주로 분할되면서 최종적으로 소멸되었다.[22]

2. 3. 아비 아머드 총리 시대의 변화

아비 아머드 총리 재임 기간 동안 여러 개의 새로운 지역이 창설되었다.

2019년 11월, 당시 남부 민족, 국적 및 인민 지역(SNNPR)에 속했던 시라마 특별구에서 주민투표가 실시되었다. 투표 결과, 주민들은 시다마 특별구가 자체적인 지역이 되는 안을 압도적으로 지지했다.[4] 이에 따라 시다마 지역은 2020년 6월에 공식적으로 창설되었다.[5]

2021년에는 성공적인 주민투표를 거쳐 같은 해 11월 23일 남서 에티오피아 지역이 새롭게 창설되었다. 이 지역 역시 SNNPR에서 분리되었으며, 케파, 셰카, 벤치 셰코, 다와로, 서오모 등 5개의 특별구와 콘타 특별 워레다로 구성되었다.[6]

2023년 8월 19일에는 2023년 남부 에티오피아 지역 주민투표 결과에 따라 남부 에티오피아 지역 주가 창설되었다. 이와 동시에 기존 SNNPR의 나머지 지역은 중앙 에티오피아 지역 주로 재편되면서, 과거 여러 민족으로 구성되었던 SNNPR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7]

3. 행정 구역 목록 (2024년 기준)

2024년 기준으로 에티오피아는 12개의 (ክልል|킬릴am)와 2개의 자치시(astedader akababi|아스터다데르 아카바비am)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의 행정 구역 체제는 1994년 12월에 승인되고 1995년 8월 21일에 시행된 1995년 헌법에 의해 성립되었다.

주는 공식적으로 지역주(Regional state영어, ክልል|킬릴am, 복수형: ክልሎች|킬릴로치am; Naannoo|나노om, 복수형: Naannolee|나놀레om)라고 불린다. 당시 총리였던 멜레스 제나위가 제창한 민족 연방주의 원칙에 따라 주로 민족 구성을 기반으로 설정된 것이 특징이다. 각 주는 주 의회(Regional council영어)가 선출한 주지사(President영어)가 통치한다. 암하라어로 'ክልል'(킬릴)은 "거류지"나 "보호 구역"이라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어[15], 과거 남아프리카 공화국아파르트헤이트 정책 하에 원주민을 강제로 재편성했던 반투스탄을 연상시킨다는 비판이 반정부 세력으로부터 제기되기도 했다[16].

자치시는 특정 민족적 요소를 배제하고 해당 지역을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지위로 만들기 위해 설치되었다. 수도인 아디스아바바와, 과거 소말리주오로미아주 간 영토 분쟁이 있었던 디레다와가 이에 해당한다. 디레다와는 1993년부터 시작된 영토 문제로 인해 처음에는 연방 직할지로 지정되었다가[17], 2004년 연방 정부로부터 자치권을 부여받아 자치시가 되었다[17]. 이들 자치시는 규모가 하나의 도시와 비슷하여 특별시와 유사한 개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8] (단, 하라리주는 일부 자치시보다 면적이 작다).

헌법 제정 이후 큰 변화가 없었으나, 2018년 총리로 취임한 아비 아흐메드는 민족 간 화합과 국내 통합을 강조하며 행정 구역 재편을 추진했다. 여러 민족이 함께 거주하던 남부국민민족인민주는 2020년 6월 시다마주[19][20], 2021년 11월 남서 에티오피아 민족주[21]가 분리되었고, 남은 지역도 2023년 8월 남부에티오피아주와 중앙에티오피아주로 분할되면서 최종적으로 해체되었다[22].

12개 주 및 2개 자치시 (2024년 기준)
깃발이름인구 (2024년)[8]면적 (km2)[9]수도지도
아디스아바바 (자치시)5,704,000527아디스아바바
아파르주3,350,00072,051세메라
암하라주32,456,300154,709바히르다르
베니샹굴구무즈주1,251,00050,699아소사
중앙에티오피아주정보 없음[10]15,098.97호사이나
디레다와 (자치시)551,0001,559디레다와
감벨라주525,00029,783감벨라
하라리주283,000334하라르
오로미아주40,884,000284,538아디스아바바[11]
시다마주5,301,86812,000아와사
소말리주6,657,000279,525[12]지지가
남부에티오피아주7,584,741[13]45,209.26월라이타 소도
남서 에티오피아 민족주4,197,16439,400본가
티그레주6,838,00050,079메켈레



'''비고'''


  • 인구 조사에서 특별 대우를 받는 군(Special Census Wereda)의 인구는 어떤 행정 구역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이들 군의 총 인구는 약 142,000명이다.
  • 에티오피아가 영유권을 주장하거나 국경이 확정되지 않은 지역이 있어, 관련 주의 면적은 변동될 수 있다.
  • * 알파샤가 삼각지(2020-2021년 수단-에티오피아 국경 분쟁): 에티오피아가 영유권을 주장하며, 암하라주와 티그레주에 인접해 있다.
  • * 일레미 삼각지: 케냐남수단과 걸쳐 있는 지역으로, 과거 남부국민민족인민주(현재는 남서 에티오피아 민족주 등)에 인접해 있었다.
  • * 소말리아 국경(오가덴): 소말리주에 포함된 지역으로, 과거 소말리아가 영유권을 주장했다. 소말리아 내전 이후 소말리아 측의 별다른 움직임은 없으나, 일부 지도에서는 국경 미정으로 표시되기도 한다.
  • * 에리트레아 국경(바드메, Bure (disputed zone)|부레영어 등): 과거 영유권 분쟁이 있었으나, 2018년 평화 조약 체결로 해결되었다.

4. 하위 행정 구역

에티오피아의 행정 구역은 주 아래 단계로 나뉜다. 각 주(州)는 여러 '''존'''(Zone)으로 구성된다. 존은 다시 '''워레다'''(Woreda)로 나뉘며, 가장 작은 행정 단위는 '''케벨레'''(Kebele)이다.

하위 행정 구역 단위의 한국어 번역어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사용된다.[25]


  • '''존'''(Zone): 지방 또는 현
  • '''워레다'''(Woreda): 현 또는 구
  • '''케벨레'''(Kebele): 촌 또는 기초 자치체


이 단위들을 조합한 번역 예시는 다음과 같다.

  • 현(Zone) - 구(Woreda) - 촌(Kebele)[25]
  • 현(Zone) - 구(Woreda) - 기초 자치체(Kebele)
  • 지방(Zone) - 현(Woreda) - 촌(Kebele)


'''관련 문서'''

  • 에티오피아의 현 (존 목록)
  • 에티오피아의 구 (워레다 목록)

참조

[1] 서적 Local Government Discretion and Accountability in Ethiopia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Studies Program, Andrew Young School of Policy Studies, Georgia State University 2013-06-22
[2] 간행물 Ethnic Identity Politics and the Restructuring of Administrative Units in Ethiopia https://www.jstor.or[...]
[3] 간행물 Closing the Transition: The May 1995 Elections in Ethiopia 1996
[4] 웹사이트 The Sidama have voted for their own state. So what next? https://www.theafric[...] 2019-12-04
[5] 뉴스 Sidama embarks on statehood https://www.therepor[...] 2020-11-22
[6] 뉴스 South West Ethiopia Peoples Region Officially Established https://www.msn.com/[...] 2021-11-28
[7] 웹사이트 Ethiopia's two new regional states formed : Central Ethiopia, South Ethiopia https://borkena.com/[...] 2023-08-20
[8] 웹사이트 Population Size by Sex Zone and Wereda July 2023 http://www.statsethi[...] 2023-08-19
[9] 웹사이트 2011 National Statistics https://web.archive.[...] Central Statistical Agency 2014-12-10
[10] 보고서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tlas of Ethiopia 2007 http://dx.doi.org/10[...] International Food Policy Research Institute 2008
[11] 웹사이트 Oromia Regional State https://web.archive.[...] Ethiopian Government Portal 2020-05-06
[12] 서적 Britannica Book of the Year https://books.google[...] Encyclopaedia Britannica, Inc. 2014
[13] 웹사이트 Population Size by Sex, Region, Zone and Wereda: July 2023 http://www.statsethi[...]
[14] 웹사이트 National Statistics: Section-B Population https://web.archive.[...] Central Statistical Agency 2006
[15] 웹사이트 AmharicDictionary.com https://amharicdicti[...] 2021-11-27
[16] 웹사이트 '"They knew I would rather die than give up the fight" Interview with Taye Woldesmiate (Ethiopia)' https://web.archive.[...] 2021-11-27
[17] 간행물 Ethnic decentralization and the challenges of inclusive governance in multiethnic cities: The case of Dire Dawa, Ethiopia 2014
[18] 웹사이트 エチオピアで選挙実施、暫定結果発表後の混乱に警戒を https://www.jetro.go[...] 日本貿易振興機構 2021-11-27
[19] 웹사이트 Council ratify Ethiopia’s new ethnic-Sidama statehood https://borkena.com/[...] borkena.com 2020-11-06
[20] 웹사이트 Sidama embarks on statehood https://www.therepor[...] The Reporter Ethiopia 2020-11-06
[21] Facebook post AddisstandardEng 4559786817402611
[22] 웹사이트 Ethiopia’s two new regional states formed : Central Ethiopia, South Ethiopia https://borkena.com/[...] Borkena 2023-09-03
[23] 웹사이트 Population Size by Sex Zone and Wereda July 2023 http://www.statsethi[...] エチオピア統計局 2023-09-03
[24] 웹사이트 Ethiopia: administrative units, extended http://www.geohive.c[...] GeoHive.com 2021-11-27
[25] 문서 独立行政法人国際協力機構 サイト内 http://www2.jica.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