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파카 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파카 문자는 수리남의 은듀카어를 표기하기 위해 1910년경에 창안된 음절 문자이다. 이 문자는 성조, 종성 자음, 비음화 파열음 등을 제대로 표기하지 못하는 결함이 있다. 아파카 문자는 다양한 글자 형태를 가지며, 일부 글자는 기원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유니코드에 등재될 예정이며, 현재 U+16C80부터 U+16CCF까지의 코드 포인트가 잠정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절 문자 - 이두
    이두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한국어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신라 시대에 시작되어 한국어의 형태소와 문법 요소를 나타내는 데 활용되었으며 훈민정음 창제 이후 사용이 줄었지만 한국어 표기법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음절 문자 - 선형문자 B
    선형 문자 B는 미케네 그리스어 표기를 위한 문자 체계로, 음절 문자와 표의 문자로 구성된 약 200여 개의 기호로 이루어져 있으며, 1952년 마이클 벤트리스에 의해 해독되어 크노소스, 필로스 등지에서 발견된 점토판을 통해 전해진다.
  • 인공 문자 - 한글
    한글은 15세기 조선 시대에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국의 고유 문자로,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소리를 나타내는 음소 문자이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특징을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인공 문자 - 주음부호
    주음부호는 장빙린이 창안한 중국어 표음 문자 체계로, 고대 한자 형태에서 유래한 37개 자모로 구성되어 대만에서 한자 교육, 컴퓨터 입력, 그리고 대만어와 광둥어 표기에 사용되며, 국제적으로 '보포모포'로 불린다.
  • 유니코드 미수록 문자 - 금석문자경
    금석문자경은 1997년 발매된 한자 글꼴 및 데이터베이스로, 다양한 버전 업데이트와 웹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등을 제공하다가 2018년 사업이 종료되었다.
  • 유니코드 미수록 문자 - 약자
    약자는 한자를 간략하게 줄여 쓴 글자로, 초서 형태 반영, 일부 생략, 간단한 글자 대체 등의 방식으로 만들어지며, 한국에서는 과거 약자 제정 시도가 있었으나 사회적 공감대 부족 등으로 무산되었다.
아파카 문자
기본 정보
유형음절 문자
사용 언어Ndyuka(은주카어)
창시자아파카 아투미시
창작 시기1910년
ISO 15924Afak
방향다양함
아파카 문자

2. 역사

18자음과 5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아파카 문자표


아파카 문자는 네덜란드령 기아나(현재의 수리남)에 거주하던 마룬인 아파카 아투미시(Afaka Atumisi, ? ~ 1918년 사망)가 1910년 핼리 혜성 출현 직전에 꿈의 계시를 통해 창안했다고 전해진다[10]. 이 문자는 주카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주카어는 영어에 기반한 크리올 언어로 수리남 지역에서 사용된다[8][9].

초기에는 극소수의 사람들만이 이 문자를 사용했으며[8], 이후 가톨릭 선교사들이 선교 목적으로 활용하기도 했다[11].

현대에 들어서는 수리남 내전을 피해 1987년 네덜란드로 이주한 주카어 사용자 안드레 파코시에(André Pakosie) 등이 마룬 문화 진흥을 위한 활동의 일환으로 아파카 문자를 보급하고 있다[12][13]. 이 과정에서 몇몇 새로운 문자가 추가되기도 했으며[14], 2012년 기준으로 사용자는 20명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14].

2. 1. 창안 배경

주카어는 영어에 기반한 크리올 언어로, 1667년 브레다 조약에 따라 수리남영국에서 네덜란드로 넘어간 이후에도 계속 사용되었다[8]. 당시 수리남의 크리올 언어들은 고유한 문자 체계가 없어 구전으로만 전승되고 있었다.

네덜란드령 기아나(현재의 수리남)에 거주하던 마룬인 아파카 아투미시(Afaka Atumisi, ? ~ 1918년 사망)가 아파카 문자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전승에 따르면, 그는 1910년 핼리 혜성이 나타나기 직전에 꿈에서 계시를 받아 이 문자를 만들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한다[10]. 아파카는 자신의 모국어인 주카어를 기록하고, 이를 통해 주카어 사용자들이 지식과 문화를 보존하고 발전시키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문자를 창안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 가톨릭 선교사들이 선교 목적으로 이 문자를 사용하기도 했으나[11], 실제 사용자 수는 매우 적었다[8].

2. 2. 초기 발전과 사용

네덜란드령 기아나마룬이었던 아파카 아투미시(Afaka Atumisi, 1918년 사망)가 1910년 핼리 혜성 출현 직전에 꿈에서 계시를 받아 이 문자를 만들었다고 전해진다.[10] 아파카 문자가 사용되는 은듀카어(Ndyuka, 또는 주카어)는 영어 계열의 크리올어로, 1667년 브레다 조약으로 수리남영국에서 네덜란드로 넘어간 이후에도 계속 사용되었다.[8] 은듀카어는 음절 구조가 비교적 단순한 CV형(자음+모음) 개음절 언어이다.[9]

초기에 아파카 문자는 극소수의 사람들만이 사용했다.[8] 이후 가톨릭 선교사들이 이 문자를 알게 되어 선교 활동에 활용하면서 외부로 알려지기 시작했다.[11]

그러나 아파카 문자는 총 56개의 글자로 이루어진 음절 문자임에도 불구하고, 은듀카어를 완벽하게 표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모음 'e'와 'i', 'o'와 'u'는 종종 구별되지 않으며, 음절 끝에 오는 비음(콧소리)이나 비모음은 표기되지 않는다. 또한 유성 자음과 선비음화 자음도 구분하지 못한다. 다만, 장모음의 경우 'kō'와 같은 소리를 ‹ko-o›처럼 모음을 반복하여 표기하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했다.[14] 이러한 문자 자체의 한계 때문에 아파카 문자는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2. 3. 현대의 노력과 과제

1955년생 주카어 사용자인 안드레 파코시에는 아파카 문자를 배운 후, 수리남 내전으로 인해 1987년 네덜란드로 피난했다[12]。 그는 네덜란드에서 마룬 문화 진흥을 위한 사바나페티 재단을 설립하여 아파카 문자를 보급하는 데 힘쓰고 있다[13]。 현대의 아파카 문자 사용자들은 몇몇 새로운 문자를 추가하는 등 문자 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14]

2012년 기준으로 아파카 문자 사용자는 20명 이상으로 추산되지만[14], 여전히 소수에 불과하여 문자의 존속과 발전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또한 아파카 문자는 56개의 문자로 이루어진 CV형 음절 문자이지만, 주카어를 완전히 표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모음 e와 i, o와 u는 종종 구별되지 않으며, 음절 끝의 비음과 비모음은 표기되지 않는다. 유성 자음과 선비음화 자음도 구별되지 않는다. 장모음의 경우, 예를 들어 'kō'는 ‹ko-o›와 같이 모음을 덧붙여 표기하기도 한다[14]

3. 특징

아파카 문자는 수리남의 주카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진 음절 문자이다. 1910년 핼리 혜성이 나타나기 직전, 마룬이었던 아파카 아투미시(Afáka Atumisi, 1918년 사망)가 꿈에서 계시를 받아 이 문자를 창제했다고 전해진다.[10]

이 문자는 가톨릭 선교사들에 의해 선교 활동에 사용되기도 했으나[11], 실제 사용자 수는 매우 적었다.[8] 2012년 조사에 따르면 사용자는 20명 이상으로 추정된다.[14] 1955년생 주카어 사용자인 안드레 파코시에(André Pakosie)는 이 문자를 배운 후, 수리남 내전으로 인해 1987년 네덜란드로 이주했다.[12] 그는 네덜란드에서 마룬 문화 진흥을 위한 '사바나페티 재단'(Sabana-penti Foundation)을 설립하고 아파카 문자 보급에 힘쓰고 있다.[13] 현대에 들어서는 일부 새로운 문자가 추가되는 등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4]

아파카 문자는 주카어의 모든 음운 특징을 완벽하게 반영하지는 못하는 결함 문자 체계이다. 예를 들어, 의미 구별에 중요한 성조나 음절 끝의 비음 등은 표기되지 않으며, 일부 모음과 자음 소리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문자 체계 및 음운론적 특징 반영의 한계 섹션 참고)

구두점으로는 쉼표마침표의 기능을 하는 수직선(|) 하나만이 사용된다. 초기에 일부 필사본에서는 단어 사이에 공백을 사용하기도 했지만, 모든 사용자가 이를 일관되게 지키지는 않았다.

3. 1. 문자 체계

아파카 문자는 주카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진 음절 문자로, 총 56개의 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각 문자는 기본적으로 자음 하나와 모음 하나가 결합된 CV(자음+모음) 형태의 음절을 나타낸다. 주카어는 영어에 기반한 크리올이며, 음절 구조가 CV 형태로 단순한 개음절 언어이다.[9]

하지만 아파카 문자는 주카어의 모든 소리를 정확하게 표기하지 못하는 결함 문자 체계이다. 주요 특징 및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 성조 미표기: 주카어에서 의미 구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조가 표기되지 않는다.[8]
  • 종성 자음 미표기: 음절 끝에 오는 자음, 특히 비음 [n]을 표기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n'은 'a'로, 'ban'은 'ba'로 표기될 수 있다.
  • 모음 구별의 한계: 모음 [o]와 [u]를 포함하는 음절이 대부분 구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음 [b, d, dy, f, g, l, m, n, s, y] 뒤에 오는 [o]와 [u]는 같은 문자로 표기된다. 마찬가지로, 특정 자음([l, m, s, w]) 뒤에서는 모음 [e]와 [i]가 구별되지 않는다. 다만, [o]/[u], [po]/[pu], [to]/[tu]는 예외적으로 별도의 문자가 존재한다.
  • 자음 구별의 한계: 선비음화 파열음과 일반 유성 자음이 구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Ndyuka'([ndyuka])를 아파카 문자로 쓰면 'Dyoka'([dyoka])로 읽힐 수 있다. 또한, [ba]와 [pa]는 하나의 문자로 표기되며, [u]와 [ku]도 마찬가지이다.
  • 제한된 글리프: 일부 자음은 특정 모음과 결합된 형태의 글리프만 존재한다. 예를 들어, 자음 [ty]는 [tya]에 해당하는 글리프만 있고, [kw](또는 [kp])는 [kwa](또는 [kpa])만, [ny]는 [nya]만, [dy]는 [dyu/dyo]에 해당하는 글리프만 있다. 자음 [gw](또는 [gb])에 해당하는 글리프는 아예 없다.
  • 장모음 표기: 장모음은 해당 모음 문자를 반복해서 쓰는 방식으로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 o 소리는 ‹ko-o›와 같이 표기한다.[14]


이러한 제약 때문에 성조를 제외하더라도, 아파카 문자로 표기했을 때 의미가 명확하게 구별되는 음절은 자음 [t]로 시작하는 음절뿐이다.

구두점으로는 쉼표마침표 역할을 하는 수직선(|) 하나가 사용된다. 초기에는 단어 사이에 공백을 두었으나, 모든 사용자가 이를 일관되게 지키지는 않는다.

3. 2. 음운론적 특징 반영의 한계

아파카 문자는 은듀카어의 모든 음소를 구별하여 표기하지 못하는 결함 문자이다.[14]

'''성조'''

은듀카어는 성조 언어이지만, 아파카 문자에는 성조가 표기되지 않는다.

'''자음'''

  • 음절 끝에 오는 자음, 특히 비음 [n]은 표기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는 'an'을, 'ba'는 'ban'을 나타낼 수 있다.
  • 유성 자음과 선비음화 자음(비음화 파열음)이 구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b', 'd', 'dy', 'g' 행의 문자는 각각 'mb', 'nd', 'ndy', 'ng'를 나타낼 수도 있다.
  • 일부 자음-모음 조합은 같은 문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ba]와 [pa]는 하나의 문자로 표기되며, [u]와 [ku]도 마찬가지이다.
  • 특정 자음은 제한된 모음 조합의 글리프만 가지고 있다.
  • * [ty]는 [tya]에 해당하는 글리프만 존재한다.
  • * [kw](또는 [kp])는 [kwa](또는 [kpa])에 해당하는 글리프만 존재한다.
  • * [ny]는 [nya]에 해당하는 글리프만 존재한다. (과거 기록에는 [nyu]에도 사용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 * [dy]는 [dyu] 또는 [dyo]에 해당하는 글리프만 존재한다.
  • 자음 [gw](또는 [gb])에 해당하는 글리프는 없다.


'''모음'''

  • 모음 [o]와 [u]를 가진 음절은 대부분의 자음 뒤에서 구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음 [b, d, dy, f, g, l, m, n, s, y] 뒤에서는 [o]와 [u]의 구별이 없다. 다만, 자음이 없거나([o]/[u]), 자음 [p]([po]/[pu]), [t]([to]/[tu]) 뒤에서는 별도의 문자가 존재한다.
  • 모음 [e]와 [i] 역시 특정 자음([l, m, s, w]) 뒤에서는 구별되지 않는다.
  • 장모음은 해당 모음 문자를 반복하여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모음 kō는 'ko-o'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14]


이러한 여러 한계 때문에 성조를 제외하더라도, 자음 [t]로 시작하는 음절 외에는 의미가 모호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Ndyuka'라는 단어를 아파카 문자로 쓰면 'Dyoka'로 읽힐 수도 있다.

아파카 문자에는 쉼표마침표 역할을 하는 수직선(|) 구두점이 하나 있다. 초기에는 단어 사이에 공백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모든 사용자가 일관되게 사용하지는 않았다.

3. 3. 글자 형태 및 변형

아파카 문자는 필기체에서 글자 모양이 상당히 다양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be'', ''di'', ''dyo'', ''fi'', ''ga'', ''ge'', ''ye'', ''ni'', ''nya'', ''pu'', ''se'', ''so'', ''te'', ''tu'' 등 많은 글자들이 90도 회전되거나 때로는 상하 또는 좌우로 뒤집힌 형태로 쓰이기도 한다. ''lo'', ''ba''/''pa'', ''wa''는 좌우가 바뀐 거울상 형태로, ''sa'', ''to''는 상하가 뒤집힌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do'', ''fa'', ''ge'', ''go'', ''ko'', ''kwa'' 같은 글자들은 곡선 형태와 각진 형태가 혼용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형태 변화 중 일부는 글자를 쓰는 순서(획순)의 차이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통적인 글자 기억 순서는 일부 기호의 기원을 부분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u''와 ''fo''("둘"과 "넷"), ''yu''와 ''mi''("너"와 "나"), 그리고 ''ko''와 ''go''("오다"와 "가다")처럼 의미적으로 연관된 글자들이 서로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다른 음절들은 특정 단어나 구절을 형성하기 위해 모여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futu''("발"), ''odi''("안녕"), ''ati''("심장") 같은 단어나, ''a moke un taki''("그것은 우리에게 말을 준다"), ''masa gado te baka ben ye''("주 하나님, 그 백인/흑인(?)이 들었다") 같은 구절을 이루는 글자들이 가깝게 배열된 경우가 있다.

4. 문자의 기원

네덜란드령 기아나의 마룬이었던 아파카 아투미시(1918년 사망)가 1910년 핼리 혜성 출현 직전에 꿈의 계시를 통해 이 문자를 만들도록 명령받았다고 전해진다.[10]

대부분의 문자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일부는 두음 수수께끼 방식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이들 중 다수는 아프리카의 전통적인 기호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1]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다:


  • Ndyuka어에서 '뱃속의 아기'를 뜻하는 'a abi beli'("그녀는 배를 가지고 있다", 즉 "임신했다")를 나타내는 점이 있는 곱슬머리 모양은 음절 [be]를 나타낸다.
  • '주다'를 뜻하는 'gi'를 나타내는 뻗은 두 손 모양은 [gi]를 나타낸다.
  • '오다'('kon')와 '가다'를 나타내는 상징적인 기호는 각각 [ko] 또는 [kon], 그리고 [go]를 나타낸다.
  • '우리'를 뜻하는 'wi'를 나타내는 두 개의 연결된 원은 [wi]를 나타낸다.
  • [yu]는 '당신'('you')과 '나'('me')에 해당하는 [mi]의 모양을 뒤집은 것이다.
  • 로마 숫자 '2'와 '4'와 비슷한 모양의 문자는 각각 [tu]와 [fo]를 나타낸다. (이는 영어에서 'to forget'을 "2 4get"으로 쓰는 것과 유사하다.)
  • [ka]와 [pi]는 각각 배설물('kaka')과 소변('pisi')을 나타내는 기호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 '+' 모양 기호는 Ndyuka어 'nen'(이름)에서 유래하여 [ne] 또는 [nen]을 나타내며, 자신의 이름 대신 X 표시로 서명하던 관습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 [u]와 [ku]의 독특한 조합은 Ndyuka어에서 'uku'(갈고리)를 나타내는 두 개의 갈고리 모양 글자에서 비롯되었다.[2]


라틴 문자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문자는 모음 'a', 'o', 그리고 아마도 'e' 정도뿐이다. 특히 'o'는 발음할 때의 입 모양을 본뜬 것으로 설명된다.[3]

5. 유니코드 등재 노력

아파카 문자는 유니코드 표준에 포함되도록 제안되었다.[4] 이에 따라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 U+16C80부터 U+16CCF까지의 범위가 잠정적으로 이 문자에 할당되었다.[5] 또한, 유니코드의 추가 다국어 평면에 아파카 문자를 수록하기 위한 제안도 제출되었다.[14]

6. 샘플 텍스트

다음은 아파카가 쓴 최초의 편지로 보이는 것으로, 1917년경 ''파틸리 몰로시 부쿠''에 복사되었다.

--kee mi gadu. mi masaa. mi bigin na ini a wowtu ulotu.
fu a pampila di yu be gi afaka. ma mi de
anga siki fu dede. fa mi sa du. oli wowtu. mi go
na pamalibo na lanti ati oso. tu boo bolo. di mi ná abi
moni. den yaki mi. den taki mi mu oloko moni fosi.
mi sa go na ati osu. da(n) na dati mi e begi. masaa
gadu fu a sa gi mi ana. fu mi deesi. a
siki fu mi. ma mi sa taki abena. a sa kon tyai tyali
paati patili go na ndyuka. e(n)ke fa paati taki a bun
gi wi. ma mi de anga pen na mi ede. ala
mi nosu poli na ini. da(n) mi ná abi
losutu ye.



오, 나의 하나님, 나의 주여, 당신이 아파카에게 준 종이 위에 적힌 말로 시작합니다. 하지만 저는 죽을 병에 걸렸습니다. 어떻게 말해야 할까요? 저는 파라마리보, 란티 병원에 두 번 갔습니다. 돈이 없어서 쫓겨났습니다. 병원에 가기 전에 먼저 돈을 벌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러므로 저는 주 하나님께 제 병의 약을 주시기를 기도합니다. 하지만 저는 아베나에게 말할 것입니다. 그는 이것을 은두야카의 사제에게 가져갈 것입니다. 아버지께서 우리에게 좋다고 말씀하셨습니다. 하지만 머리가 아픕니다. 제 코 전체가 안에서 썩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휴식을 취할 수 없습니다, 당신께 말씀드립니다.

참조

[1] 서적 The Middle Passage Penguin ed. 1962
[2] 문서 André Pakosie
[3] 문서 M
[4] 웹사이트 N4292: Revised proposal for encoding the Afáka script in the SMP of the UCS https://www.unicode.[...] Working Group Document, ISO/IEC JTC1/SC2/WG2 and UTC 2012-07-17
[5] 웹사이트 Roadmap to the SMP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2021-11-05
[6] 문서 古いオランダ式の表記
[7] 문서 言語学大辞典
[7] 서적 世界文字辞典 2001
[8] 문서 1996
[9] 문서 1993
[10] 문서 1971
[11] 문서 1988
[12] 문서 1988
[13] 간행물 Interview with Andre Pakosie, Kabiten of the Ndyuka in the Netherlands https://abengcentral[...]
[14] 간행물 N4292 Revised proposal for encoding the Afáka script in the SMP of the UCS https://www.unicode.[...] 2012-07-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