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구 (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구는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1417년 과거에 급제하여 공조 정랑, 사헌부 감찰, 동첨지돈녕부사 등을 역임했다. 세종 대에는 저화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곡물 매매를 관리하고, 토목 공사를 감독했다. 1441년에 사망했으며, 묘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41년 사망 - 현덕왕후
    현덕왕후 권씨는 문종의 후궁이자 단종의 어머니로, 왕세자빈으로 책봉되었으나 단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사망 후 왕후로 추존, 세조 즉위 후 폐위되었다가 중종 때 복위되어 명예를 회복한 인물이다.
  • 1441년 사망 - 얀 판 에이크
    얀 판 에이크는 초기 네덜란드 미술의 대표 화가로서, 정교한 사실주의와 혁신적인 유화 기법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궁정 화가로 활동하며 초상화와 종교화를 통해 이름을 알렸고, 《겐트 제단화》는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 순흥 안씨 - 안귀령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인 안귀령은 한국낚시채널, 광주방송, YTN 앵커를 거쳐, 제20대 대통령 선거 이재명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을 시작으로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 서울특별시당 도봉구 갑 지역위원장, 당 대변인 등을 역임하고 있다.
  • 순흥 안씨 - 안희정
    안희정은 1965년생으로 고려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노무현 전 대통령 측근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충청남도지사를 두 차례 역임했으나, 성폭력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아 정치적 논쟁의 중심에 선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조선의 왕족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조선의 왕족 - 흥선대원군
    조선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은 안동 김씨 세도정치 종식 후 권력을 장악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쇄국정책과 독재적 통치로 비판받았고, 실각 후 재집권을 시도하다 톈진으로 압송, 명성황후 암살 의혹 등 격변기 조선의 대표적 인물로 긍정·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안구 (조선)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안구
한자 표기安玖
초명안치(安致)
국적조선
본관순흥 안씨
출생일생년 미상
사망일1441년
배우자전주이씨, 완천군 이숙의 딸
자녀아들 안지귀(安知歸)
경력
주요 직위동첨지돈녕부사(同僉知敦寧府事)
사헌부 감찰(監察)
공조 정랑(工曹正郞)
활동 시기세종 때의 문신
추증 및 증직
증직이조판서에 증직(贈職)
추증의정부좌참찬으로 추증(追增)

2. 생애

안구는 1417년 태종 17년에 과거에 급제하여[2] 공조 정랑[3][4], 사헌부 감찰[5], 동첨지돈녕부사[6] 등의 벼슬을 거쳤다. 1427년 세종이 저화(楮貨)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국가에서 곡식을 화매(和賣)하도록 했을 때 군자 부정(軍資副正)[7]으로 각사의 관리들과 함께 이 일을 맡았다.[8] 1430년에는 소윤(少尹)으로서 호군(護軍) 지유용(池有容)과 함께 대탄(大灘)의 돌을 깨부수는 토목공사를 감독하였다.[9] 1441년에 사망하였으며,[10][11] 묘소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 산56에 있다.[12]

2. 1. 관직 생활

1417년(태종 17년) 과거에 급제하였다.[2] 공조 정랑[3][4], 사헌부 감찰[5], 동첨지돈녕부사[6] 등의 벼슬을 역임하였다.

1427년 세종이 저화(楮貨) 사용을 장려하기 위하여 국가에서 곡식을 화매(和賣)하도록 하였는데, 안구는 군자 부정(軍資副正)[7]으로서 각사의 관리들과 함께 이 일을 맡았다.[8]

1430년 소윤(少尹)이던 안구는 호군(護軍) 지유용(池有容)과 함께 대탄(大灘)의 돌을 깨부수는 토목공사를 감독하였다.[9]

2. 2. 사망

1441년(세종 23년)에 사망하였다.[10][11] 묘소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 산56에 있다.[12]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아버지안종약
부인전주 이씨 (완천군 이숙의 딸)
장남안지귀[13]
장녀순흥 안씨 (이수형의 어머니)


참조

[1] 웹인용 안구 http://seongnam.gran[...] 2018-02-05
[2] 웹인용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http://223.194.62.34[...]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8-02-05
[3] 웹인용 세종실록 29권, 세종 7년 윤7월 18일 을묘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2018-02-05
[4] 웹인용 세종실록 29권, 세종 7년 9월 27일 계해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2018-02-05
[5] 웹인용 세종실록 37권, 세종 9년 9월 5일 경인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2018-02-05
[6] 웹인용 세종실록 64권, 세종 16년 6월 29일 갑술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2018-02-05
[7] 웹인용 부정(副正(조선시대)) - 고문헌용어용례사전 http://kostma.aks.ac[...] 2018-02-05
[8] 웹인용 세종실록 38권, 세종 9년 10월 12일 병인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2018-02-05
[9] 웹인용 세종실록 48권, 세종 12년 5월 23일 임술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2018-02-05
[10] 웹인용 안구(安玖) - 과거 및 취재 https://web.archive.[...] 2018-02-05
[11] 서적 『급우재속집(及愚齋續集)』 권6 묘갈명(墓碣銘) 권6, 묘갈명墓碣銘, 판군자감사 안공묘갈명(判軍資監事安公墓碣銘) 국립중앙도서관
[12] 웹인용 안구묘및묘갈[安玖墓-墓碣] http://www.doopedia.[...] 2018-02-05
[13] 웹인용 세종실록 56권, 세종 14년 4월 24일 임자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2018-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