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동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동댐은 경상북도 안동시에 위치한 사력 댐으로, 낙동강 유역의 홍수 조절과 용수 공급을 위해 건설되었다. 본댐은 길이 612m, 높이 83m이며, 총저수용량 1,248백만m³의 저수지를 가지고 있다. 안동댐 건설로 인해 주변 지역의 수몰과 기온 변화, 안개 일수 증가 등의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했으며, 대구광역시의 물 공급 계획과 관련하여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동시의 관광지 - 임하댐
    임하댐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7월 기준 저수율 변동을 보이며, 2016년 47.6%로 최고, 2014년 27.6%로 최저 저수율을 기록했고 2018년 1월 13일 기준 40.4%의 저수율을 나타낸다.
  • 낙동강의 댐 - 밀양댐
    밀양댐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단장천에 위치하며 낙동강 및 밀양강 수계에 속하는 높이 89m, 길이 535m의 댐이다.
  • 낙동강의 댐 - 임하댐
    임하댐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7월 기준 저수율 변동을 보이며, 2016년 47.6%로 최고, 2014년 27.6%로 최저 저수율을 기록했고 2018년 1월 13일 기준 40.4%의 저수율을 나타낸다.
  • 1976년 완공된 건축물 - CN 타워
    CN 타워는 캐나다 토론토에 위치한 553.33m 높이의 통신탑이자 관광 명소로, 4개의 전망대와 엣지워크 등의 시설을 갖춘 토론토의 랜드마크이며 다양한 방송사의 송신탑으로 활용된다.
  • 1976년 완공된 건축물 - 국립항공우주박물관
    국립항공우주박물관은 미국 스미스소니언 협회 산하의 항공 및 우주 관련 박물관으로, 워싱턴 D.C.에 본관을 두고 라이트 플라이어, 아폴로 11호 사령선 등 역사적인 항공기와 우주선을 전시하며, 연구 및 교육 활동을 지원한다.
안동댐
개요
하류에서 바라본 모습
하류에서 바라본 모습
공식 명칭안동댐 (安東댐)
위치대한민국 안동시
하천낙동강
용도다목적댐 (홍수 조절, 용수 공급, 발전)
댐 정보
상태운영 중
댐 형식흙댐, 석괴댐
높이83m
길이612m
상단 폭8m
하단 폭200m
착공1971년
준공1976년
사업 주체한국수자원공사
저수지 정보
총 저수 용량12억 4800만m3
유효 저수 용량10억m3
표면적60km2
발전 정보
발전 설비 용량90MW
발전 터빈2 x 45 MW 가역식
발전소 가동1976년
기타
웹사이트한국수자원공사 웹사이트
지도 정보

2. 댐 제원

2. 1. 본댐

wikitable

구분내용
형식사력
길이612m
높이EL 83m
체적4,015천m3
표고EL 166.00m


2. 2. 저수지

안동댐 저수지의 계획홍수위는 EL 161.70m, 상시만수위는 EL 160.00m이다. 저수위는 EL 110.00m이다. 총저수용량은 1,248백만m3이며, 유효저수용량은 1,000백만m3이다. 저수면적은 51.5km2이고, 홍수조절용량은 110백만m3이다.

2. 3. 조정지댐

안동댐의 조정지댐은 콘크리트 중력식 댐으로, 높이 20m, 길이 218m이다. 유효저수량은 3백만m3이며, 시설용량은 45천㎾ 2대이다. 수차발전기는 DERIAZ 사류형이며, 정격낙차는 57m이다.

3. 건설 영향

3. 1. 긍정적 영향

3. 2. 부정적 영향

안동댐이 건설되면서 안동군 월곡면이 폐지되었으며 예안면, 도산면, 와룡면 일대의 수많은 자연마을들이 수몰되었다. 그에 따라 집과 땅을 잃은 주민들이 안동시 지역을 비롯해 타지역으로 이주해야 했다. 또한 안동의 평균 기온을 떨어뜨리고 평균 안개 일수를 크게 늘림으로서 자연 환경과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안동댐 건설 이후 안동에는 대규모 공장 설립이 법으로 금지되었다. 지금까지도 낙동강 상류 지역의 개발 사업이 식수 오염으로 연결될 것을 두려워 하는 하류 지역의 도시들과 마찰이 일어나고 있다.

4. 대구광역시 물 공급 논란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의 취수원 이전 공약에 따라 안동댐의 물을 대구광역시에 조달하는 계획이 추진됐다. 2022년 11월 2일 '맑은물 공급과 상생발전 업무협약식'을 통해 공식화됐다.[8]

5. 여담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의 취수원 이전 공약에 따라 안동댐의 물을 대구광역시에 조달하는 계획이 추진되어, 2022년 11월 2일 '맑은물 공급과 상생발전 업무협약식'을 통해 공식화됐다.[8]

참조

[1] 웹사이트 Andong Dam Multi-Purpose Development Project https://web.archive.[...] SMEC Holdings 2011-08-04
[2] 웹사이트 Andong Dam (안동댐) http://english.visit[...] 2019-05-27
[3] 웹사이트 Dam-Break Flood Risk Management: Nakdong River Case Studies http://www.icharm.pw[...] 2011-08-04
[4] 웹사이트 Andong Multipurpose Dam http://nongae.gsnu.a[...]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1-08-04
[5] 웹사이트 Andong PS Hydroelectric Power Plant South Korea - GEO http://globalenergyo[...] 2019-05-27
[6] 웹사이트 Destinations by Region : VisitKorea Destinations by Region Andong Dam (안동댐) Official Korea Tourism Organization https://english.visi[...] 2022-05-29
[7] 웹사이트 한국수자원공사 http://www.kwater.or[...]
[8] 뉴스 대구시-안동시 '물 동맹' 맺었다…상수원 제공 및 지역발전 협력 약속 https://n.news.naver[...] 2022-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