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덕봉서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성 덕봉서원은 조선 숙종 때 문신 오두인의 충절과 덕행을 기리고 지방 백성을 교육하기 위해 1695년에 건립되었다. 숙종에게 '덕봉'이라는 현판을 하사받아 공인되었으며,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헐리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 하나이다. 현재는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수행하고 있으며, 오두인의 저서 『양곡집』과 초상화 등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95년 개교 - 의정부 노강서원
의정부 노강서원은 박태보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1695년 건립되어 1701년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한국전쟁 이후 의정부로 이전, 복원되었고, 서원 철폐령에도 폐쇄되지 않은 서원이다. - 1695년 설립 - 의정부 노강서원
의정부 노강서원은 박태보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1695년 건립되어 1701년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한국전쟁 이후 의정부로 이전, 복원되었고, 서원 철폐령에도 폐쇄되지 않은 서원이다. - 안성시의 문화유산 - 죽주산성
죽주산성은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에 위치한 삼국시대 축성 추정 산성으로, 험준한 지형을 이용한 복곽식 형태로 내성, 중성, 외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려시대 몽골 침입과 임진왜란 시 군사적 거점으로서 국난 극복의 상징적,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 안성시의 문화유산 - 서운산성
서운산성은 차령산맥 서운산에 있는 삼국시대 토성으로, 해발 460m~536m 지점에 둘레 약 620m의 말안장 모양으로 축조되었으며, 임진왜란 당시에는 방어 거점으로 활용되었다.
안성 덕봉서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덕봉서원 |
한자 표기 | 德峰書院 |
![]() |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덕봉리 108번지 |
문화재 지정 정보 | |
유형 | 유형문화재 |
지정 번호 | 8 |
지정일 | 1972년 5월 4일 |
시대 | 조선시대 |
면적 | 1동 |
2. 건립 배경 및 역사
덕봉서원은 오두인의 충절과 덕행을 기리고, 지방 백성의 교육을 위해 지어졌다. 충정공 오두인(1624∼1689)은 조선 숙종(재위 1674∼1720) 때의 문신으로, 인현왕후의 폐위를 반대하다가 의주로 유배가는 도중에 죽었다.
이 서원은 숙종 21년(1695)에 지어진 후 숙종 23년에 임금이 ‘덕봉’이라는 현판을 하사하여 공인과 지원을 받게 되었다. 고종 8년(1871)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에도 헐리지 않고 존속한 전국 47개 서원 가운데 하나이다. 이는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 정책에도 불구하고, 오두인의 충절과 덕행이 높이 평가받았음을 보여준다.
마을입구 언덕에 남동쪽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아래쪽 낮은 곳에 공부하는 장소인 강당 정의당과 생활공간인 동재와 서재,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 그리고 외삼문·내삼문·홍살문 등이 있다. 소장 전적과 유물로는 오두인이 지은 『양곡집』과 숙종 7년(1681) 김창협이 그린 오두인의 초상화 1점 등이 있다.
덕봉서원은 큰 규모는 아니지만 건물도 훌륭하고 공간도 매우 짜임새 있게 구성되어 있다. 지금은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있다.
2. 1. 오두인
오두인(1624~1689)은 조선 숙종 때의 문신으로, 인현왕후 폐위에 반대하다 의주로 유배를 가던 도중에 사망하였다. 본관은 함양이며, 자는 사중(士重), 호는 양곡(陽谷)·서파(西坡)·만옹(晩翁)이다.오두인은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서인이 실각하고 남인이 집권하자 벼슬에서 물러났다가, 1694년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다시 집권하자 복직되었다. 인현왕후의 폐위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되었다. 유배지에서 함경도의 풍속과 민요 등을 채집하여 《북새기략》을 저술하였다. 그 후 유배에서 풀려나 복직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안성시 양성면 덕봉(德峰)으로 낙향하여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오두인이 지은 『양곡집』과 숙종 7년(1681) 김창협이 그린 오두인의 초상화 1점 등이 안성 덕봉서원에 소장되어 전해지고 있다.
2. 1. 1. 가계와 생애
오두인의 본관은 함양(咸陽)이며, 함양 오씨(咸陽 吳氏) 시조 오광휘(吳光輝)의 11세손으로, 아버지는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오숙(吳䎘)이며, 어머니는 전주 이씨(全州李氏)로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의 5대손인 이희종(李希宗)의 딸이다.오두인은 1624년(인조 2) 4월 12일 경기도 안성군(安城郡) 금곡(金谷)에서 태어났다. 1649년(인조 27)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다.
1654년(효종 5) 식년 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 여러 벼슬을 거쳐 1672년(현종 13) 6월에는 장령(掌令)에 제수되었다.
2. 1. 2. 정치 활동과 유배
오두인은 숙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서인이 실각하고 남인이 집권하자 벼슬에서 물러났다가, 1694년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다시 집권하자 복직되었다.오두인은 1694년(숙종 20) 장희빈의 아들을 세자로 책봉하는 것에 반대하였고, 인현왕후의 폐위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되었다. 유배지에서 함경도의 풍속과 민요 등을 채집하여 《북새기략》을 저술하였다.
1699년(숙종 25) 유배에서 풀려나 복직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안성시 양성면 덕봉(德峰)으로 낙향하여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2. 2. 건립과 사액
덕봉서원은 오두인의 충절과 덕행을 기리고, 지방 백성의 교육을 위해 지어졌다. 충정공 오두인(1624∼1689)은 숙종(재위 1674∼1720) 때의 문신으로, 인현왕후의 폐위를 반대하다가 의주로 유배가는 도중에 죽었다.이 서원은 숙종 21년(1695)에 지어진 후 숙종 23년에 임금이 ‘덕봉’이라는 현판을 하사하여 공인과 지원을 받게 되었다. 고종 8년(1871)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에도 헐리지 않고 존속한 전국 47개 서원 가운데 하나이다.
2. 3. 서원철폐령과 존속
덕봉서원은 조선 숙종 때 문신인 충정공 오두인(1624∼1689)의 충절과 덕행을 기리고 지방 백성의 교육을 위해 숙종 21년(1695)에 건립되었다. 숙종 23년(1697)에 ‘덕봉’이라는 사액을 받아 공인과 지원을 받게 되었다. 고종 8년(1871)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에도 헐리지 않고 존속한 전국 47개 서원 가운데 하나이다.서원은 마을 입구 언덕에 남동쪽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아래쪽에는 강학 공간인 정의당과 동재, 서재가 있고 위쪽에는 사당이 배치되어 있다. 외삼문·내삼문·홍살문 등이 남아있다.
오두인이 지은 『양곡집』과 숙종 7년(1681) 김창협이 그린 오두인의 초상화 1점 등의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
덕봉서원은 규모는 크지 않지만 건물이 훌륭하고 공간 구성이 짜임새 있다. 현재는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있다.
3. 건축 및 배치
3. 1. 공간 구성
3. 2. 주요 건물
4. 유물 및 전적
4. 1. 『양곡집』
4. 2. 오두인 초상화
5. 현대적 의의 및 기능
5. 1. 제향 기능
5. 2. 문화재적 가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