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칸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칸 천황은 6세기에 재위한 일본의 제27대 천황이다. 게이타이 천황의 장남으로, 휘는 마가리노오오에노미코이며, 시호는 히로쿠니오시타케카나히노스메라미코토이다. 66세에 즉위하여 전국에 대규모 국영 곡물 창고를 건설하는 등 야마토 조정의 발전에 기여했다. 안칸 천황의 능은 오사카부 하비키노시에 있는 고이치 타카야 언덕으로 추정되며, 535년에 붕어했다는 기록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이타이 천황의 자녀 - 긴메이 천황
긴메이 천황은 6세기에 즉위하여 백제와의 외교를 통해 불교를 수용했지만, 불교 숭배를 둘러싼 갈등 속에 571년까지 재위했다. - 게이타이 천황의 자녀 - 센카 천황
센카 천황은 게이타이 천황의 아들이자 안칸 천황의 동생으로 약 3년간 일본을 다스리며 쓰쿠시 관가 정비, 임나 원군 파견 등의 정책을 펼쳤고, 능은 황후와 함께 나라현 가시하라시에 있다. - 536년 사망 - 교황 아가피토 1세
아가피토 1세는 535년부터 536년까지 제57대 교황으로, 동고트 왕국의 요청으로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에게 파견되어 이탈리아 침공을 막으려 했으나 실패했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안티무스 1세의 단성설을 규탄하고 메나스를 새 총대주교로 임명하는 등 종교 문제 해결에 힘썼으며, 아리우스주의 배척과 교회법 준수를 강조한 그의 서신들은 로마 가톨릭교회와 정교회 모두에서 그를 성인으로 시성하게 했다. - 536년 사망 - 도홍경
도홍경은 남북조 시대 양나라의 유교, 불교, 도교 융합 사상가이자, 도교 상청파를 계승 발전시켜 모산파를 창시한 인물로, 의약학, 연금술, 서예 등 다방면에서 업적을 남겼다.
안칸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안칸 천황 |
다른 이름 | 히로쿠니 오시타케카나히노 스메라미코토 (広国押武金日天皇) |
휘 | 마가리 (勾) |
재위 기간 | 531년 3월 10일 - 536년 1월 25일 (계이타이 천황 25년 2월 7일 (구력) - 안칸 천황 2년 12월 17일) |
시대 | 고분 시대 |
즉위 | |
전임자 | 게이타이 천황 |
후임자 | 센카 천황 |
가족 관계 | |
아버지 | 게이타이 천황 |
어머니 | 오와리노 메노코히메 |
배우자 | 가스가노 야마다 황녀 (닌켄 천황의 황녀) |
자녀 | 아코 황자 키부 황자 긴메이 천황 |
출생 및 사망 | |
출생 | 466년 |
사망 | 536년 1월 25일 |
능묘 | |
위치 | 후루이치노타카야 능 (오사카) |
일본어 | 古市高屋丘陵 (Furuchi no Takaya no oka no misasagi) |
시호 | |
한풍 시호 | 안칸 천황 (安閑天皇) |
일본풍 시호 | 히로쿠니 오시타케카나히노 스메라미코토 (広国押武金日天皇) |
거주지 | |
궁궐 | 마가리노카나하시 궁 |
2. 휘 · 시호
『일본서기』에 따르면 휘는 '''마가리노오오에노미코'''(勾大兄皇子)이다.[4]
와풍시호는 『고사기』에 '''히로쿠니오시타케카나히노미코'''(広国押建金日命), 『일본서기』에 '''히로쿠니오시타케카나히노스메라미코토'''(広国押武金日天皇)로 기록되어 있다. 한풍시호인 "안칸 천황"(安閑天皇)은 오미노 미후네에 의해 명명되었다고 전해진다.[4]
3. 가계
관계 이름 조부 히코우시 왕(彦主人王) 조모 후리히메(振媛) 아버지 일본 제26대 게이타이 천황 어머니 오와리노메노코히메(尾張目子姫) 동생 일본 제28대 센카 천황 황후 가스가노야마다 황녀(春日山田皇女) (닌켄 천황의 딸) 왕비 사테히메(紗手媛) (코세노 오히토노 오오미의 딸) 왕비 가카리히메(香香有媛) (코세노 오히토노 오오미의 딸) 왕비 야카히메(宅媛) (모노노베노 이타비노 오오무라지의 딸)
3. 1. 자녀
《고지키》와 《니혼쇼키》에는 황자녀에 대한 기술이 없다. 《혼초코인쇼운로쿠》에 따르면 아들로 토요히코노미코(豊彦王)가 있다고 하나,[6] 다른 사료에서는 확인되지 않아 근거가 불분명하다.
4. 생애
勾大兄皇子|마가리노오에노미코일본어는 게이타이 천황의 장남으로, 6세기 초에 일본을 다스린 것으로 추정된다.[4] 게이타이 천황은 안칸 천황이 66세였을 때 양위했다.
안칸 천황 시대의 칭호는 덴무 천황과 지토 천황 시대까지는 도입되지 않았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천황(Tennō)'이 아니었을 것이다. 대신 '천하를 다스리는 대왕'을 의미하는 ''스메라미코토'' 또는 ''아메노시타시로시메스오키미''|일본어나 야마토노오키미/오키미|일본어("야마토의 대왕")로 불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안칸 천황의 재위 기간 동안 기록된 주목할 만한 사건은 일본 전역에 대규모 국영 곡물 창고를 건설한 것이다. 이는 당시 제국의 광범위한 영향력을 보여준다.[5]
안칸 천황의 무덤은 오사카부 하비키노시에 있는 다카야쓰키야마 고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4. 1. 즉위 전
勾大兄皇子|마가리노오에노미코일본어는 게이타이 천황의 장남으로, 513년에 48세의 나이로 황태자에 책봉되었다.[4]4. 2. 즉위와 치세
게이타이 천황의 뒤를 이어 66세에 즉위했지만, 불과 4년 만에 붕어했다. 『고지키』에서는 을묘년(535년) 3월 13일에 붕어했다고 기록되어 있다.[4]안칸 천황의 치세에 일어난 일로 『안칸기』에는 간토에서 규슈까지 둔전을 대량 설치하고 41개소의 둔전 이름을 열거했으며, 이에 따른 견양부 설치가 기록되어 있다.[5]
또한, 『일본서기』에 인용된 "백제본기"에 따르면, 531년경에 천황과 태자·황자가 함께 훙거했다는 전승이 있다고 한다. 이로 인해, 게이타이 천황의 붕어 후, 안칸 천황·센카 천황의 조정과 긴메이 천황의 조정이 병립하여, 두 조정 사이에 내란이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설도 있다("신해의 변"설).
4. 3. 사망
『고지키』에는 을묘년(535년) 3월 13일에 붕어했다고 기록되어 있다.[4] 『일본서기』에 인용된 "백제본기"에 따르면, 531년경에 천황과 태자·황자가 함께 훙거했다는 전승이 있다고 한다. 이로 인해, 게이타이 천황의 붕어 후, 안칸 천황·센카 천황의 조정과 긴메이 천황의 조정이 병립하여, 두 조정 사이에 내란이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설도 있다("신해의 변"설).[5]5. 능묘
안칸 천황의 능은 오사카부 하비키노시 고이치 5초메에 있는 '''고이치 타카야 언덕'''(고이치 타카야 언덕)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궁내청 상의 형식은 전방후원분이다.[7] 유적명은 "고야 츠키야마 고분"이며, 분구 길이는 122m이다.
한편, 최근 연구에서는 하비키노시와 마츠바라시의 경계에 있는 "카와치 오쓰카야마 고분"이 안칸 천황의 실제 능묘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7][8] 이 고분은 일본 전국에서 5번째로 큰 규모임에도 불구하고, 성토가 낮고, 주호(垓子, 고분 주위를 둘러싼 못)가 얕으며, 하니와가 설치되지 않는 등 미완성된 특징을 보인다.[7][8] 이러한 특징은 피장자가 완성 전에 사망하여 그대로 매장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재위 기간이 짧았던 안칸 천황의 능묘로 추정되고 있다.[7][8]
6. 현대의 평가 및 계승
안칸 천황은 야마토 조정(大和朝廷)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중앙 집권화를 추진하고 국가 재정을 확충하는 등의 업적이 있다.[4][5]
신불습합(神仏習合)의 영향으로 자오곤겐(蔵王権現)과 동일시되었으며, 메이지 시대 신불분리(神仏分離) 이후에는 자오곤겐을 모시던 신사에서 안칸 천황을 제신으로 모시는 경우가 많다.
황거(皇居) 내 황령전(皇霊殿)에서는 다른 역대 천황, 황족들과 함께 안칸 천황의 영(霊)이 모셔져 있다.
7. 연호
안칸 천황의 재위 기간에는 일본 고유의 연호가 사용되지 않았다. 일본서기에 기록된 안칸 천황의 재위 연도는 부자연스러운 점이 있으며, 여러 이설이 존재한다.[4] 자세한 내용은 '게이타이·킨메이 조정의 내란' 항목을 참조할 수 있다.
일본서기(본문)[11]에 기록된 기년은 다음과 같다.
일본서기 혹본[12]에 기록된 이 시기의 기년(게이타이 천황은 안칸 천황의 선대 천황)은 다음과 같다.
고지키에는 게이타이 천황이 527년에 붕어했고, 안칸 천황은 일본서기와 마찬가지로 535년에 붕어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mperial Household Agency
http://www.kunaicho.[...]
[2]
서적
Jinnō Shōtōki
1980
[3]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1959
[4]
웹사이트
Kofun Culture
http://www.t-net.ne.[...]
2009-04-27
[5]
서적
The Meaning of Shinto
2002
[6]
문서
[7]
논문
日置荘西町窯系埴輪と河内大塚山古墳
2007
[8]
서적
倭王権と前方後円墳
塙書房
2020
[9]
논문
河内大塚山古墳を考える
和泉書店
2016
[10]
논문
前方後円墳の社会的機能に関する一考察
八木書店
2022
[11]
일본서기
[12]
일본서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