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527년은 동로마 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즉위하고, 고구려가 평양으로 천도한 해이다. 신라에서는 이차돈의 순교로 법흥왕이 불교를 공인했으며, 백제 혜왕이 즉위했다. 또한, 남조 양 무제가 사신을 파견하고 동태사를 명명했으며, 일본에서는 오우미노 케노가 임나 회복을 위해 파견되고, 지쿠시 국조 이와이가 반란을 일으켰다. 유럽에서는 유스티누스 1세가 사망하고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단독 황제가 되었으며, 웨섹스, 에식스 왕국이 건국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527년 | |
---|---|
527년 | |
지도 | |
주요 사건 | |
사건 | 527년 -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비잔티움 제국의 단독 통치자가 되다. 동위 효명제가 사망하고, 효장제가 즉위하다. 신라에서 이차돈의 순교가 일어났다. (추정) 신라에서 건원이라는 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추정) |
탄생 | |
인물 | 고선지 (추정) |
사망 | |
인물 | 효명제 케르디치 |
2. 주요 사건
동로마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즉위하였다.
고구려에서 평양으로 천도하였다.
9월 15일(음력 8월 5일) - 이차돈의 순교로 법흥왕이 불교를 공인하였다. 이차돈은 죽으면서 목에서 흰 피가 났으며, 꽃 비가 내렸다고 전해진다.
남조 양의 무제 소연이 제1차 사신을 행하고, 사신을 행한 사찰을 동태사로 명명했다.
오우미노 케노가 군대를 이끌고 신라에 공격받은 임나의 실지 회복을 위해 향한다 (후술하는 이와이의 난의 시작).
지쿠시 국조 이와이가 반란을 일으켰다.
2. 1. 동아시아
9월 15일(음력 8월 5일) - 이차돈의 순교로 법흥왕이 불교를 공인하였다. 이차돈은 죽으면서 목에서 흰 피가 났으며, 꽃 비가 내렸다고 전해진다. 신라는 한국의 삼국 시대 중 하나로, 불교를 국교로 공식적으로 채택한다. 금관가야의 후손이자 신라의 명장 김무력이 활동하였다. 백제 28대 국왕으로 혜왕이 즉위하였다. 오우미노 케노가 군대를 이끌고 신라에 공격받은 임나의 실지 회복을 위해 향한다. 이는 이와이의 난의 시작으로 이어진다. 지쿠시 국조 이와이가 반란을 일으켰다.남조 양의 무제 소연이 제1차 사신을 행하고, 사신을 행한 사찰을 동태사로 명명했다.
527년 게이타이 천황 21년: 오우미노 케노가 신라에 공격받은 임나의 회복을 위해 파견되었다. 지쿠시 국조 이와이가 반란을 일으켰다. (야마토 시대) 이는 일본서기에 기록되어 있다.
2. 1. 1. 한국
9월 15일(음력 8월 5일) - 이차돈의 순교로 법흥왕이 불교를 공인하였다. 이차돈은 죽으면서 목에서 흰 피가 났으며, 꽃 비가 내렸다고 전해진다.신라는 한국의 삼국 시대 중 하나로, 불교를 국교로 공식적으로 채택한다.
금관가야의 후손이자 신라의 명장 김무력이 활동하였다.
백제 28대 국왕으로 혜왕이 즉위하였다.
오우미노 케노가 군대를 이끌고 신라에 공격받은 임나의 실지 회복을 위해 향한다. 이는 이와이의 난의 시작으로 이어진다.
지쿠시 국조 이와이가 반란을 일으켰다.
2. 1. 2. 중국
남조 양의 무제 소연이 제1차 사신을 행하고, 사신을 행한 사찰을 동태사로 명명했다.2. 1. 3. 일본
- 527년 게이타이 천황 21년: 오우미노 케노가 신라에 공격받은 임나의 회복을 위해 파견되었다.
- 지쿠시 국조 이와이가 반란을 일으켰다. (야마토 시대) 이는 일본서기에 기록되어 있다.
2. 2. 유럽
4월 1일 – 황제 유스티누스 1세는 불치병으로 힘이 쇠약해지자 조카 유스티니아누스 1세를 공동 통치자로 임명한다.8월 1일 – 77세의 유스티누스 1세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사망하고,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그의 뒤를 이어 단독 황제가 된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비잔틴 제국군의 지휘 체계를 재편하고, 소규모이지만 고도로 훈련된 군대를 투입한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아르메니아와 비잔틴-페르시아 국경에서 동방 군대를 지휘하도록 벨리사리우스를 임명한다.
- 웨섹스의 왕 체르딕과 그의 아들 킨릭은 ''체르디체슬레아''(오늘날의 치어슬리)에서 로마 시대 브리튼을 격파한다.
- 에식스 왕국은 색슨족에 의해 건국되었으며, 그들은 템스강 북쪽에 상륙했다. 그들은 현재 런던과 세인트앨번스 사이의 땅을 장악했으며, 켄트 왕국으로부터 분리되었다.
- 에식스의 첫 번째 왕이 된 에식스의 에스윈은 (대략적인 연도) 리 강 서쪽 해크니 전투에서 켄트의 옥타를 격파했다.
2. 2. 1. 동로마 제국
4월 1일 – 황제 유스티누스 1세는 불치병으로 힘이 쇠약해지자 조카 유스티니아누스 1세를 공동 통치자로 임명한다.8월 1일 – 77세의 유스티누스 1세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사망하고,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그의 뒤를 이어 단독 황제가 된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비잔틴 제국군의 지휘 체계를 재편하고, 소규모이지만 고도로 훈련된 군대를 투입한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아르메니아와 비잔틴-페르시아 국경에서 동방 군대를 지휘하도록 벨리사리우스를 임명한다.
2. 2. 2. 브리타니아
- 웨섹스의 왕 체르딕과 그의 아들 킨릭은 ''체르디체슬레아''(오늘날의 치어슬리)에서 로마 시대 브리튼을 격파한다.
- 에식스 왕국은 색슨족에 의해 건국되었으며, 그들은 템스강 북쪽에 상륙했다. 그들은 현재 런던과 세인트앨번스 사이의 땅을 장악했으며, 켄트 왕국으로부터 분리되었다.
- 에식스의 첫 번째 왕이 된 에식스의 에스윈은 (대략적인 연도) 리 강 서쪽 해크니 전투에서 켄트의 옥타를 격파했다.
3. 문화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이집트에서 이교 종교 관습을 금지하고, 남부 지역에 비잔틴 선교사를 파견했다. 베들레헴의 예수 탄생 교회가 565년까지 재건되어 바실리카의 건축 양식을 복원했다.
4. 인물
금관가야의 후손이자 신라의 명장 김무력이 태어났다. 백제 28대 국왕 혜왕이 태어났다.
== 사망 ==
- 8월 1일 - 유스티누스 1세, 동로마 제국 유스티니아누스 왕조의 초대 황제(435년 출생)[1]
- 보리유지, 북인도 출신의 승려
- 일란 막 둔랭게, 레인스터 (아일랜드 공화국)의 왕[1]
4. 1. 탄생
금관가야의 후손이자 신라의 명장 김무력이 태어났다. 백제 28대 국왕 혜왕이 태어났다.4. 2. 사망
5. 연호 및 기년
- 남량(南梁) 보통(普通) 8년 / 대통(大通) 원년
- 북위(北魏) 효창(孝昌) 3년
- 신라(新羅) 법흥왕(法興王) 14년
- 고구려(高句麗) 안장왕(安臧王) 9년
- 백제(百濟) 성왕(聖王) 5년
- 일본 게이타이 천황 21년
- 황기 1187년
- 육십간지: 정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