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나스르 (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 나스르는 이슬람교의 경전인 꾸란의 110번째 수라이다. 알라의 도움과 메카 정복, 그리고 사람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것을 묘사하며, 알라를 찬양하고 용서를 구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하디스에 따르면 이 수라는 무함마드의 죽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 수라는 무함마드가 메카를 정복한 사건을 배경으로 하며, 알라의 용서와 자비를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라 - 알이스라
    알-이스라는 꾸란의 17장으로, 무함마드의 야간 여행을 찬양하며 신앙, 실천, 개인과 사회의 책임, 내세에 대한 믿음, 윤리적 가르침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장이다.
  • 수라 - 알바카라
    알바카라는 쿠란에서 가장 긴 두 번째 수라로, 모세와 암소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으며 이슬람 교리, 율법, 역사적 이야기를 포괄하고 아담, 모세, 아브라함 등의 이야기와 이슬람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알나스르 (수라)
개요
수라 110
이름안-나스르 (An-Naṣr)
아랍어 이름النصر
의미도움, 승리
다른 이름도움
승리
신성한 지원
성격
분류메디나 계시
위치쿠란 제110장
주즈으30
이전 수라알 카피룬
다음 수라알마사드
통계
절의 수3
단어의 수19
글자의 수80
내용
주제신의 도움과 승리
사람들의 종교로의 대규모 유입
알라에게 영광을 돌리고 용서를 구해야 할 필요성
의미이 계시 후 80일에 알-마디나에서 성 예언자의 대망이 성취되어 전 아라비아가 교화된 것을 목격하고, 승리는 영년에 걸친 노력봉사의 결실로서, 알라로부터 내려온 것이다.

2. 내용

알라의 도움과 정복이 오고, 사람들이 떼를 지어 알라의 종교(이슬람)에 들어가는 것을 보게 될 때, 주님을 찬양하고 그분께 용서를 구하라는 명령을 담고 있다. 진실로, 그분은 회개를 받아들이시는 분이며 용서하시는 분이시다. 하디스에 따르면, "도움과 승리가 왔을 때"는 무함마드의 죽음을 나타내는 비유라고 한다.[10] 첫 구절에 나오는 "승리"는 무함마드가 이끄는 메디나 군이 메카 군에 대해 기적적인 승리를 거둔 바드르 전투를 가리킨다는 해석이 있다.[11] 이 계시를 받은 후, 무함마드는 알라의 명령에 따라 예배 시 항상 이 장의 제3절 말씀을 외웠다고 한다.[10]

3. 본문과 의미

알 나스르 (무자와드)


하프스는 아심 이븐 아비 알-나주드에서 유래했다.

Bismi l-lāhi r-raḥmāni r-raḥīm(i)/بِسْمِ ٱللَّهِ ٱلرَّحْمَٰنِ ٱلرَّحِيمِ ۝ar

’idhā jā’a naṣru l-lāhi walfatḥ(u)/إِذَا جَآءَ نَصْرُ ٱللَّهِ وَٱلْفَتْحُ ۝١ar

Wara’ayta n-nāsa yadkhulūna fī dīni l-lāhi ’afwājā(n)/وَرَأَيْتَ ٱلنَّاسَ يَدْخُلُونَ فِى دِينِ ٱللَّهِ أَفْوَاجًا ۝٢ar

Fasabbiḥ biḥamdi rabbika wastaghfirh(u), ’innahū kāna tawwābā(m)/فَسَبِّحْ بِحَمْدِ رَبِّكَ وَٱسْتَغْفِرْهُ ج إِنَّهُۥ كَانَ تَوَّابًۢا ۝٣ar

나피 알-마다니에서 유래한 와르쉬 판본은 다음과 같다.

Bismi l-lāhi r-raḥmāni r-raḥīm(i)/بِسۡمِ اِ۬للَّهِ اِ۬لرَّحۡمَٰنِ اِ۬لرَّحِيمِ ۝ar

’idhā jā’a naṣru l-lāhi walfatḥ(u)/إِذَا جَآءَ نَصۡرُ اَ۬للَّهِ وَالۡفَتۡحُ ۝١ar

Wara’ayta n-nāsa yadkhulūna fī dīni l-lāhi ’afwājā(n)/وَرَأَيۡتَ اَ۬لنَّاسَ يَدۡخُلُونَ فِے دِينِ اِ۬للَّهِ أَفۡوَاجًا ۝٢ar

Fasabbiḥ biḥamdi rabbika wastaghfirh(u), ’innahū kāna tawwābā(m)/فَسَبِّحۡ بِحَمۡدِ رَبِّكَ وَاسۡتَغۡفِرۡهُ ج إِنَّهُۥ كَانَ تَوَّابًۢا ۝٣ar

3. 1. 원문과 음역

하프스는 아심 이븐 아비 알-나주드에서 유래했다.

Bismi l-lāhi r-raḥmāni r-raḥīm(i)/بِسْمِ ٱللَّهِ ٱلرَّحْمَٰنِ ٱلرَّحِيمِ ۝ar

’idhā jā’a naṣru l-lāhi walfatḥ(u)/إِذَا جَآءَ نَصْرُ ٱللَّهِ وَٱلْفَتْحُ ۝١ar

Wara’ayta n-nāsa yadkhulūna fī dīni l-lāhi ’afwājā(n)/وَرَأَيْتَ ٱلنَّاسَ يَدْخُلُونَ فِى دِينِ ٱللَّهِ أَفْوَاجًا ۝٢ar

Fasabbiḥ biḥamdi rabbika wastaghfirh(u), ’innahū kāna tawwābā(m)/فَسَبِّحْ بِحَمْدِ رَبِّكَ وَٱسْتَغْفِرْهُ ج إِنَّهُۥ كَانَ تَوَّابًۢا ۝٣ar

나피 알-마다니에서 유래한 와르쉬 판본은 다음과 같다.

Bismi l-lāhi r-raḥmāni r-raḥīm(i)/بِسۡمِ اِ۬للَّهِ اِ۬لرَّحۡمَٰنِ اِ۬لرَّحِيمِ ۝ar

’idhā jā’a naṣru l-lāhi walfatḥ(u)/إِذَا جَآءَ نَصۡرُ اَ۬للَّهِ وَالۡفَتۡحُ ۝١ar

Wara’ayta n-nāsa yadkhulūna fī dīni l-lāhi ’afwājā(n)/وَرَأَيۡتَ اَ۬لنَّاسَ يَدۡخُلُونَ فِے دِينِ اِ۬للَّهِ أَفۡوَاجًا ۝٢ar

Fasabbiḥ biḥamdi rabbika wastaghfirh(u), ’innahū kāna tawwābā(m)/فَسَبِّحۡ بِحَمۡدِ رَبِّكَ وَاسۡتَغۡفِرۡهُ ج إِنَّهُۥ كَانَ تَوَّابًۢا ۝٣ar

3. 1. 1. 하프스 판본

하프스는 아심 이븐 아비 알-나주드에서 유래했다.

Bismi l-lāhi r-raḥmāni r-raḥīm(i)/بِسْمِ ٱللَّهِ ٱلرَّحْمَٰنِ ٱلرَّحِيمِ ۝ar

’idhā jā’a naṣru l-lāhi walfatḥ(u)/إِذَا جَآءَ نَصْرُ ٱللَّهِ وَٱلْفَتْحُ ۝١ar

Wara’ayta n-nāsa yadkhulūna fī dīni l-lāhi ’afwājā(n)/وَرَأَيْتَ ٱلنَّاسَ يَدْخُلُونَ فِى دِينِ ٱللَّهِ أَفْوَاجًا ۝٢ar

Fasabbiḥ biḥamdi rabbika wastaghfirh(u), ’innahū kāna tawwābā(m)/فَسَبِّحْ بِحَمْدِ رَبِّكَ وَٱسْتَغْفِرْهُ ج إِنَّهُۥ كَانَ تَوَّابًۢا ۝٣ar

3. 1. 2. 와르쉬 판본

나피 알-마다니에서 유래한 와르쉬 판본은 다음과 같다.

Bismi l-lāhi r-raḥmāni r-raḥīm(i)/بِسۡمِ اِ۬للَّهِ اِ۬لرَّحۡمَٰنِ اِ۬لرَّحِيمِ ۝ar

’idhā jā’a naṣru l-lāhi walfatḥ(u)/إِذَا جَآءَ نَصۡرُ اَ۬للَّهِ وَالۡفَتۡحُ ۝١ar

Wara’ayta n-nāsa yadkhulūna fī dīni l-lāhi ’afwājā(n)/وَرَأَيۡتَ اَ۬لنَّاسَ يَدۡخُلُونَ فِے دِينِ اِ۬للَّهِ أَفۡوَاجًا ۝٢ar

Fasabbiḥ biḥamdi rabbika wastaghfirh(u), ’innahū kāna tawwābā(m)/فَسَبِّحۡ بِحَمۡدِ رَبِّكَ وَاسۡتَغۡفِرۡهُ ج إِنَّهُۥ كَانَ تَوَّابًۢا ۝٣ar

3. 2. 의미

알라의 도움과 정복이 오고, 사람들이 떼를 지어 알라의 종교(이슬람)에 들어가는 것을 보게 될 때, 주님을 찬양하고 그분께 용서를 구하라. 진실로, 그분은 회개를 받아들이시는 분이며 용서하시는 분이시다.

이는 무신 칸(Muhsin Khan)의 번역이다. 사히 인터내셔널(Sahih International)은 "알라의 승리와 정복이 왔을 때, 그리고 사람들이 떼를 지어 알라의 종교에 들어가는 것을 볼 때, 그러면 주님을 찬양하며 그분께 용서를 구하라. 진실로, 그분은 항상 회개를 받아들이시는 분이시다."라고 번역했다. 유수프 알리(Yusuf Ali)는 "알라의 도움과 승리가 올 때, 그리고 사람들이 떼를 지어 알라의 종교에 들어가는 것을 보게 될 때, 주님을 찬양하고 그분께 용서를 구하라. 그분은 은혜와 자비로 자주 돌아오시는 분이시다."라고 번역했다. 픽탈(Pickthall)은 "알라의 도움과 승리가 올 때, 그리고 당신은 인류가 떼를 지어 알라의 종교에 들어가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러면 주님을 찬양하고 그분께 용서를 구하라. 보라! 그분은 항상 자비를 베풀 준비가 되어 있다."라고 번역했다.

4. 해설


  • '''1-3''' 이슬람의 승리에 대한 하나님의 찬양을 명하는 구절 [5]


수라는 수많은 사람들을 이슬람으로 인도하신 알라를 찬양한다. 이 수라는 또한 이슬람의 승리를 의미하는 "승리"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무슬림이 이슬람의 적들을 물리친 메카 정복을 언급하기 때문이다.

이 수라는 바로 그 전투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전투 이후 사람들은 알라가 그들과 함께 하였기에 무슬림이 결코 패배하지 않았다는 것을 깨닫고 많은 사람들이 이슬람에 귀의했다고 한다. [6]

타프시르 이븐 카티르에 따르면, 이 수라는 꾸란의 1/4에 해당한다. 이는 무함마드의 죽음 몇 달 전에 계시된 마지막 수라였다. [7]

첫 번째 구절은 하나님의 도움으로 무슬림이 승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 구절은 전투 이후 많은 사람들이 이슬람을 받아들이기 위해 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 번째 구절은 하나님이 사람들에게 이슬람에 귀의할 수 있도록 허락하시고 그들의 범죄가 아무리 심각하더라도 두 번째 기회를 주셨다는 것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인류에게 모든 것을 용서하시는 분이기 때문이다. [7]

4. 1. 알라의 도움과 승리

알라의 도움으로 무슬림이 승리했음을 나타낸다. 무함마드의 적에 대한 평화와 메카 정복이 올 때, 사람들이 떼를 지어 알라의 종교(이슬람)에 들어가는 것을 보게 될 때, 주님을 찬양하고 그분께 용서를 구하라. 진실로, 그분은 회개를 받아들이시는 분이며 용서하시는 분이시다.

4. 2. 이슬람으로의 개종

알라의 도움과 정복이 오고, 사람들이 떼를 지어 알라의 종교(이슬람)에 들어가는 것을 보게 될 때, 주님을 찬양하고 그분께 용서를 구하라. 진실로, 그분은 회개를 받아들이시는 분이며 용서하시는 분이시다. 이러한 두 번째 구절은 전투 이후 많은 사람들이 이슬람을 받아들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4. 3. 알라의 용서와 자비

알라의 도움과 승리가 오고 사람들이 떼를 지어 알라의 종교에 들어가는 것을 볼 때, 주님을 찬양하고 그분께 용서를 구하라. 알라는 회개를 받아들이시는 분이며, 은혜와 자비로 자주 돌아오시는 분이기 때문이다. 알라는 사람들에게 이슬람으로 개종할 기회를 주고, 그들의 죄를 용서한다.

4. 4. 무함마드의 죽음 암시 (일부 견해)

일부 하디스에서는 이 수라의 내용이 무함마드의 죽음을 암시한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알라의 도움과 정복이 오고 사람들이 떼를 지어 이슬람에 들어가는 것을 보게 될 때, 주님을 찬양하고 용서를 구하라는 내용은 무함마드의 임무 완수와 죽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참조

[1] 문서 Gerrans translation
[2] 문서 Sahih International translation
[3] 문서 Arabic script in Unicode symbol for a Quran verse, U+06DD, page 3 http://www.evertype.[...]
[4] 문서 George Sale's translation
[5] 서적 A Complete Index to [[Sale's Text]], Preliminary Discourse, and Notes Kegan Paul, Trench, Trubner, and Co 1896
[6] 웹사이트 Surah Nasr with Urdu Translation https://surahyasin.o[...] 2024-11-09
[7] 웹사이트 Surat al Nasr https://seekingthedi[...] 2015-10-06
[8] 웹사이트 日本ムスリム情報事務所 聖クルアーン日本語訳 http://www.krn.org/j[...]
[9] 문서 井筒 (1958)
[10] 문서 牧野 (2001)
[11] 문서 ベル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