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디스는 아랍어로 '이야기', '보고', '기록'을 의미하며, 이슬람에서 무함마드의 언행, 승인, 묵인 등을 기록한 것을 뜻한다. 하디스는 내용인 '본문'과 전승자들의 이름을 열거한 '전승 경로'로 구성되며, 이슬람 율법과 신학의 중요한 근거가 된다. 수니파와 시아파는 하디스 집성에서 전승자의 신뢰성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며, 하디스학은 하디스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학문이다. 하디스의 신뢰성에 대한 비판과 논쟁은 역사적으로 지속되어 왔으며, 꾸란주의자들은 하디스의 권위를 부정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슬람교 - 무함마드
무함마드는 570년경 메카에서 태어나 이슬람교를 창시하고 최종 예언자로 여겨지며, 610년경 알라의 계시를 받아 이슬람을 전파하고 메디나로 이주하여 공동체를 건설, 아라비아 반도 통일에 기여했으나 그의 삶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논쟁이 존재한다. - 이슬람교 - 이슬람 철학
이슬람 철학은 이슬람 세계에서 그리스 철학, 이슬람 신학, 인도 및 페르시아 철학을 바탕으로 발전했으며, 칼람과 팔사파의 두 흐름 속에서 이븐 시나, 이븐 루시드 같은 철학자들을 배출하며 종교, 신비주의, 유럽 철학에 영향을 주었고 동서로 나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 이슬람교에 관한 - 무자헤딘
무자헤딘은 아랍어로 지하드를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초기에는 이슬람교 포교자를 지칭했으나 근대에는 침략에 저항하는 저항 운동을, 20세기에는 아프가니스탄 게릴라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지하디스트와 유사한 의미로 무장 단체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이슬람교에 관한 - 카바
카바는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에 있는 이슬람교의 가장 신성한 장소로, 이슬람 이전부터 아랍인들의 성역이었으며 무함마드에 의해 이슬람의 중심 성지가 되었고, 아브라함과 이스마엘이 건설했다는 기록이 있는 '검은 돌'을 포함한 여러 유물이 있는 곳이며, 하즈와 움라 순례의 중심지이다. - 종교 및 믿음에 관한 - 개종
개종은 한 종교에서 다른 종교로, 또는 무신론으로 신념을 바꾸는 행위이며, 종교에 따라 개종에 대한 입장이 다르고 개인의 신념 변화, 사회적 요인 등에 의해 발생하며 종교 간 갈등과 관련될 수 있다. - 종교 및 믿음에 관한 - 탕카
탕카는 티베트 불교 회화의 한 형태로, 불교 교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7세기경 인도에서 유래하여 만다라, 부처 등을 묘사하고, 천연 안료로 면이나 비단에 그림을 그리며, 채색 탕카, 자수 탕카 등으로 분류된다.
하디스 | |
---|---|
하디스 | |
![]() | |
개요 | |
로마자 표기법 | ḥadīth |
아랍어 | حديث |
복수형 아랍어 | أحاديث |
의미 | 이야기, 담화 |
분류 | |
쿠투브 알 시타 (주요 6권) | 사히흐 알부카리 사히흐 무슬림 수난 아비 다우드 수난 알티르미디 수난 알나사이 수난 이븐 마자 |
기타 하디스 | 알 아다브 알무프라드 알 자미 알카밀 칸즈 알움말 키타브 알아타르 마지마 알자와이드 알 무으잠 알 아우사트 알 무으잠 알 카비르 알 무으잠 알 사기르 무산나프 압드 알라자크 무산나프 이븐 아비 샤이바 무스나드 아부 아와나 무스나드 아부 하니파 무스나드 아부 야알라 무스나드 아흐마드 이븐 한발 무스나드 알바자르 무스나드 알샤피이 무스나드 알시라지 무스나드 알피르다우스 무스나드 알타얄리시 무스나드 후마이디 무스나드 이샤크 이븐 라하와이흐 알무스타드락 알라 알사히하인 무와타 이맘 말리크 사히흐 이븐 히반 사히흐 이븐 쿠자이마 사히파 함맘 이븐 문나비 샤마일 알무함마디야 수난 알쿠브라 바이하키 수난 알 우스타 바이하키 수난 알다라쿠트니 수난 알다리미 수난 나사이 알쿠브라 수난 사이드 이븐 만수르 슈압 알이만 타흐디브 알아타르 타르기브 왈 타르히브 |
알 쿠투브 알 아르바 (주요 4권, 시아파) | 키타브 알카피 만 라 야드후루후 알파키흐 타흐디브 알아캄 알 이스티브사르 |
시아파 기타 하디스 | 알 와피 와사일 알시아 무스타드락 알와사일 비하르 알아누아르 나흐 알발라가 술라이만 이븐 카이스의 책 알 사히파 알 사자디야 리살라 알후쿠크 알리다의 사히파 알 리살라 알다하비야 다아임 알이슬람 우윤 아크바르 알리다 하크 알야킨 아인 알하야트 알 가디르 |
추가 정보 | |
설명 | 무함마드의 말과 행동, 가르침을 담은 기록 |
중요성 | 이슬람교에서 코란 다음으로 중요한 권위 있는 자료 |
2. 정의 및 어원
하디스(حديث|ḥadīthar)는 아랍어로 '이야기', '보고'를 뜻하며, 이슬람에서는 무함마드의 언행, 승인, 묵인 등을 기록한 것을 의미한다.[25][26] 복수형은 아하디스(أحاديث|ʔæħæːˈdiːθar)이다.
하디스는 "본문"(متن|Matnar, 마톤)과 "전승 경로"(إسناد|isnādar, 이스나드)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스나드는 "무함마드가 ○○라고 말했다고 A가 말했고, B가 말했고, C가 말했고, D가 말했다"는 식으로 전승자들의 이름을 나열한다.
하디스 학자들은 하디스의 신빙성에 따라 사히흐(정통), 하산(양호), 다이프(취약)의 세 그룹으로 분류한다. 수니파에서는 부하리와 무슬림 이븐 핫자즈의 『정통집』(Jāmi‘ Ṣaḥīḥar)이 가장 권위 있는 하디스 집성으로 여겨진다.
하디스는 이교도의 개종 등 이슬람 정권하의 지역에서 종교적, 정치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간접적인 실마리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마태복음』에 나오는 예수의 포도원 일꾼의 비유와 비슷한 내용이나, 모세의 말씀으로 소개되며 무함마드와 겹쳐 보이는 내용이 하디스에 등장하기도 한다.[125]
2. 1. 순나와의 관계
무함마드의 언행에 관한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사항을 수집하고 전달하는 활동은 이슬람교 초기 100년 동안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 사업은 정치적 중심지가 아닌 학문의 중심지였던 메디나에서 자발적으로 발전하였다. 메디나는 무함마드와 교류했던 많은 '교우'들이 모여 살던 곳이어서, 1차 자료를 얻기에 매우 적합했다. 이슬람 이전 아랍족 사회에서는 '순나(전통)'가 규범적 가치를 지녔고, 각 종족은 조상의 순나를 자랑스럽게 여겼다. 이러한 관념에서 초기 이슬람은 교단 전체의 순나를 종교와 사회 규범으로 삼았다. 그러나 아랍족의 정복 사업으로 새로운 정복지마다 순나가 다르게 발전하면서, 하디스 학자들은 순나를 무함마드가 설정한 관례로 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 견해가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28]순나(Sunnah)ar는 무함마드 또는 초기 이슬람 공동체의 규범적인 관습을 의미한다.[28]
조셉 샤흐트(Joseph Schacht)는 하디스를 순나(Sunnah)ar의 "기록"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한다.[32]
다른 자료(조셉 A. 이슬람)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하디스는 예언자 또는 그의 가르침에서 유래한 구전 전달인 반면, 순나(Sunna)는 특정 공동체 또는 사람들의 일반적인 관습을 의미한다. ... 순나는 한 공동체가 여러 세대에 걸쳐 집단적으로 전승해 온 관행인 반면, 하디스는 후대 편집자들이 수집한 보고서로, 종종 원천으로부터 수 세기가 지난 것이다. ... 하디스에 포함된 관행은 순나로 간주될 수 있지만, 순나가 그것을 뒷받침하는 하디스를 반드시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33]
일부 자료(칼레드 아부 엘 파들(Khaled Abou El Fadl))는 하디스를 구두 보고서로 제한하고, 무함마드의 행위와 그의 동료들에 대한 보고서는 순나(Sunnah)ar의 일부이지만 하디스는 아니라고 한다.[34]
2. 2. 다른 이슬람 문헌과의 구분
하디스는 시라(sīratar)와 마가시(maghaziar)와는 구별된다. 시라는 8세기 중반 이후로 쓰여진 무함마드의 전기이며, 마가시는 무함마드의 군사 행동에 초점을 맞추면서도 그의 삶의 비군사적 측면도 포함한다.[35]하디스와 관련된 이슬람의 다른 전통에는 다음이 있다.
- 카바르(Khabarar)는 하디스의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일부 학자들은 무함마드의 동료와 다음 세대의 후계자들에 대한 전통을 가리키는 데 사용한다. 이븐 와락(Ibn Warraq)은 카바르를 "초기 이슬람의 개별적인 일화나 보고서"로 설명하며, 여기에는 "한 줄에서 여러 페이지에 이르기까지 길이가 다양한 단순한 진술, 권위 있는 학자, 성인 또는 정치가의 발언, 사건 보고서 및 역사적 사건에 대한 이야기"가 포함된다고 설명한다.[36]
- 아싸르(atharar)는 보통 동료와 후계자에 대한 전통을 가리키지만, 때로는 무함마드에 대한 전통을 의미하기도 한다.
3. 역사
하디스는 본래 구전으로 전승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문제가 발생하여 기록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무함마드의 언행이 구전으로 전해졌지만, 각 분파와 정치적 당파가 자신들에게 유리하도록 하디스를 만들어내면서 위조 하디스가 등장하게 되었다.[82] 심지어 유대교, 그리스도교의 가르침, 그리스 철학의 잠언까지도 무함마드가 말한 것처럼 꾸며졌다.
이에 대응하여 하디스 학자들은 전달자의 세대적 연속성을 검토하는 방법인 이스나드(isnad)를 개발하여 순수한 하디스를 엄선하고자 했다. 이 하디스 비판 방법은 이슬람력 2, 3세기, 즉 샤리아(율법) 형성기에 나타났다. 하디스 집대성은 법학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이슬람력 3세기 초(서기 9세기 초)에는 법학에서 독립된 학문 체계로 발전했다. 3세기 중엽(서기 9세기 중엽)에는 법학과 교차하여 비판적 집대성이 확립되었고, '사히하(확실한 것)'라고 불리는 하디스 정전이 권위를 인정받았다.
칼리프 우쓰만 이븐 아판은 하디스 기록을 촉구했지만,[66][67] 656년 암살당하면서 중단되었다. 알샤피이는 무함마드의 하디스의 최종 권위를 강조하며, 심지어 꾸란도 하디스의 관점에서 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75][76] 851년 합리주의 무타질라 사상이 압바스 칼리파에서 쇠퇴하면서, 꾸란과 하디스의 문자적 의미를 중시하는 전통주의자들이 득세했다.
이후 하디스의 수는 급증했고, 압바스 시대 이슬람 학자들은 하디스 학문을 통해 진위 여부를 판별하고자 노력했다.[85] 그러나 수니파와 시아파는 서로 다른 하디스 전승자를 신뢰하여, 결국 서로 다른 하디스 집성을 갖게 되었다.[62]
3. 1. 초기 발전과 구전 전승
이슬람교 초기 백 년 동안, 무함마드의 언행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을 수집하고 전달하는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 활동은 정치적 중심지가 아닌 학문의 중심지였던 메디나에서 자발적으로 발전했다. 메디나는 무함마드와 직접 교류했던 많은 '교우'들이 모여 살던 곳이었기 때문에, 1차 자료를 얻기에 매우 적합한 장소였다. 이슬람 이전 아랍 사회에서는 '순나(전통)'가 규범적 가치를 지녔고, 각 부족은 조상의 순나를 자랑스럽게 여겼다. 이러한 관념에서 초기 이슬람 공동체는 전체의 순나를 종교와 사회 규범으로 삼게 되었다. 그러나 아랍 부족의 정복 사업으로 인해 새로운 정복지마다 순나가 다르게 발전했고, 하디스 학자들은 순나를 무함마드가 설정한 관례로 한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이 견해가 확정되었다.본래 계시만이 문자로 기록되었기 때문에, 초기 하디스는 구전으로 전승되었다. 그러나 이후 율법과 교리를 무함마드의 언행과 연관시키기 위해 많은 하디스가 유포되었고, 각 분파와 정치적 당파는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하디스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유대교, 그리스도교의 가르침, 그리스 철학의 잠언까지도 무함마드가 말한 것처럼 꾸며졌다. 이에 순수한 하디스를 엄선하기 위해 하디스 학자들은 전달자의 세대적 연속성을 검토하는 방법인 이스나드(isnad)를 개발했다. 이 하디스 비판 방법은 이슬람력 2, 3세기에 형성되었으며, 이는 샤리아(율법) 형성기에 해당한다. 율법의 필요에 따라 하디스가 규범으로 요구되었기 때문이다.
하디스 집대성은 법학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이슬람력 3세기 초(서기 9세기 초)에는 법학에서 독립된 학문 체계로 발전했다. 3세기 중엽(서기 9세기 중엽)에는 법학과 교차하여 비판적 집대성이 확립되었고, '사히하(확실한 것)'라고 불리는 하디스 정전이 권위를 인정받았다. 이 정전은 법학자와 신학자를 위해 신앙과 실천 등 모든 사항을 즉석에서 참조할 수 있도록 배열되었다. 그 후에도 하디스 편찬 사업은 계속 발전하여, 동시대의 여러 문제 해결에 권위를 부여하기 위해 새로운 하디스가 편찬되었다.
오늘날 사용되는 하디스 문헌은 무함마드 사후 유통되던 구전 보고서를 기반으로 한다. 하디스는 무함마드 생전이나 사후 즉시 기록되지 않았다.[37] 하디스는 평가되어 구전에서 문자로 기록되었고, 무함마드 사후 여러 세대가 지난 8세기와 9세기에 걸쳐, 라쉬둔 칼리파 시대 종식 이후, 무함마드가 살았던 곳에서 100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 방대한 자료집으로 수집되었다.
쿠란의 구절보다 "수천 배"나 더 많은[37] 하디스는 이슬람 신앙의 "핵심"(쿠란)을 둘러싼 여러 층으로 묘사되어 왔다. 잘 알려지고 널리 받아들여지는 하디스는 좁은 안쪽 층을 이루며, 하디스는 바깥쪽으로 층이 넓어질수록 신뢰성과 수용도가 낮아진다.[14]
하디스 편찬자들이 수집한 무함마드(그리고 때로는 그의 동료들)의 행동에 대한 보고서에는 쿠란에는 나와 있지 않은 5번의 صلاة|살라트ar(이슬람의 의무적인 기도)와 같은 의례적 종교 행위의 세부 사항뿐만 아니라 식사 예절,[38] 의복,[39] 자세[40]와 같은 일상적인 행동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하디스는 무슬림들에게 쿠란에 언급되었지만 설명되지 않은 것들을 이해하는 중요한 도구이자 تفسير|타프시르ar(쿠란에 대한 주석)의 원천으로 여겨진다.
오늘날 이슬람 관습과 신앙의 오랜 부분으로 여겨지는 일부 중요한 요소들은 쿠란에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하디스에 보고되어 있다.[10] 따라서 무슬림들은 일반적으로 하디스가 쿠란이 침묵하는 영역에서 이슬람 관행과 신앙의 미묘한 세부 사항을 제시하기 때문에 이슬람을 진정하고 적절하게 실천하는 데 필요한 요구 사항이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쿠란에는 의무적인 기도가 명령되어 있지만, 하디스에서 설명되어 있다.
기도의 규정된 동작과 말(ركعة|라카아ar로 알려짐)과 몇 번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세부 사항은 하디스에 나와 있다. 그러나 하디스는 이러한 세부 사항에 대해 다르게 언급하며, 결과적으로 صلاة|살라트ar는 서로 다른 하디스파 이슬람 종파에 따라 다르게 행해진다.
요셉 샤흐트는 이슬람 법에서 종교적 권위자로 무함마드의 동료들(사하바, sahabah)을 언급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는 무함마드의 하디스를 인용한다. "나의 동료들은 마치 북극성과 같다."([44][45][46])
샤흐트(그리고 다른 학자들)([47][48])에 따르면, 무함마드 사후 초기 세대에서는 사하바(무함마드의 동료들, Sahabah)와 타비운(동료들의 후계자들, Tabi'un)의 하디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무슬림들이 무함마드 자신의 하디스를 사용하는 것은 예외적인 경우였다.[32] 샤흐트는 샤피이 학파(Shafi'i)의 피크흐(fiqh) 또는 마드하브(madh'hab) 창시자인 알샤피이(Al-Shafi'i)가 이슬람 법에 무함마드의 하디스를 사용하는 원칙을 확립하고 다른 사람들의 하디스의 열등성을 강조하면서 하디스를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고 말한다.
"... 다른 사람들의 하디스는 예언자의 전승 앞에서는 아무런 가치가 없다. 그것이 예언자의 전승을 확인하든 반박하든 관계없이; 다른 사람들이 예언자의 전승을 알았다면, 그들은 그것을 따랐을 것이다." [49][50]
이는 동료들과 다른 사람들의 전승을 거의 완전히 무시하게 되었다.[51]
하디스집에는 때때로 무함마드의 하디스와 다른 사람들의 보고서가 섞여 있다. 이맘 말릭의 무왓타(Muwatta Imam Malik)는 일반적으로 "가장 오래된 하디스집"으로 묘사되지만, 무함마드의 말씀은 "동료들의 말씀과 혼합되어 있다."([52]) (한 판본의 계산에 따르면 무함마드의 하디스 822개와 다른 사람들의 하디스 898개).[53][54]
압드 알-하디 알-파들리(Abd al-Hadi al-Fadli)의 "하디스 소개(Introduction to Hadith)"에서 키타브 알리(Kitab Ali)는 "예언자의 권위에 따라 쓰여진 아흘 알-바이트(무함마드의 가족, Ahl al-Bayt)의 첫 번째 하디스 책"으로 언급된다.[55] 그러나 무함마드의 행위, 진술 또는 승인은 마르푸 하디스(Marfu hadith)라고 불리며, 동료들의 것은 마우쿠프(mawquf) 하디스(hadith) (موقوف)ar라고 불리고, 타비운의 것은 마크투(maqtu') 하디스(hadith) (مقطوع)ar라고 불린다.
무함마드의 삶과 초기 이슬람 역사에 대한 전승은 무함마드 사후 632년 이후 100년 이상 대부분 구전으로 전해졌다. 무슬림 역사가들은 칼리프 우쓰만 이븐 아판(무함마드의 서기관이었던 칼리프(칼리파)이자 라시둔 칼리파의 세 번째 후계자)이 무함마드가 그의 추종자들에게 그의 말과 행동을 기록하라고 제안했던 것처럼 하디스를 기록하도록 촉구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겨진다고 말한다.[66][67]
우쓰만의 노력은 656년 분개한 병사들에 의해 암살당하면서 중단되었다. 이 시대의 직접적인 자료는 남아있지 않으므로 우리는 후대의 저술가들이 이 시대에 대해 알려주는 내용에 의존한다.[68]
아랍 세계의 영국 역사가 알프레드 기욤에 따르면,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 여러 소규모 하디스 모음집이 편찬되었다는 것은 "확실하다".[69]
이슬람 법에서 오늘날 이해하는 하디스(문서, 이스나드 등을 갖춘 무함마드의 하디스)의 사용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요셉 샤흐트, 이그나츠 골드치허, 대니얼 W. 브라운과 같은 학자들에 따르면, 초기 이슬람 법학파[70]는 예언자의 동료들의 판결, 칼리프들의 판결, 그리고 그 학파의 법학자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 관행을 사용했다. 칼리프 우마르는 임종 직전 무슬림들에게 꾸란, 메디나로 이주한 초기 무슬림들(''무하지룬''), ''무하지룬''을 환영하고 지원한 메디나 주민들(''안사르''), 그리고 사막 사람들에게서 지침을 구하라고 지시했다.[71]
하랄드 모츠키와 대니얼 W. 브라운 학자들에 따르면, 우리에게 전해진 가장 초기의 이슬람 법적 추론은 "사실상 하디스가 없었지만", 2세기 A.H. 동안 "이슬람 법학에 예언자 하디스의 유입과 통합"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72][73]
알샤피이로 알려진 아부 압둘라 무함마드 이븐 이드리스 알샤피이(150-204 AH)[74][48]는 무함마드의 하디스의 최종 권위를 강조하여 꾸란조차도 "전승(즉, 하디스)의 관점에서 해석되어야지 그 반대가 아니었다".[75][76] 전통적으로 꾸란은 순나보다 권위가 우월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지만, 알샤피이는 (학자 대니얼 브라운에 따르면) 순나가 "꾸란과 동등한 위치에 있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는데", (알샤피이의 말처럼) "예언자의 명령은 신의 명령이다"는 것이다.[77][78]
851년 합리주의 무타질라 사상은 압바스 칼리파에서 쇠퇴했다. "진리의 판단자…는 인간의 이성"이었던[81] 무타질라는 꾸란과 하디스의 문자적 의미를 진리로 여기는 전통주의자들과 충돌했다. 꾸란은 공식적으로 편찬되고 승인되었지만, 하디스는 그렇지 않았다.
그 결과 하디스의 수가 하디스를 인용하는 사람에게 유용성과 "의심스러울 정도로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며 증가하기 시작했다.(전통주의자들은 샤리아 대신 인간의 의견을 듣는 것을 경고하는 하디스를 인용했고; 하나피들은 "나의 공동체에는 아부 하니파(하나피 창시자)라는 사람이 일어나 그것의 길잡이가 될 것이다"라고 말하는 하디스를 인용했다. 사실, 합의된 하디스 하나는 "너희도 너희 조상도 들어본 적 없는 하디스를 가져올 위조자, 거짓말쟁이들이 있을 것이다. 그들을 조심하라"고 경고했다.[82] 게다가 하디스의 수는 엄청나게 증가했다. 말릭 이븐 아나스는 무함마드의 말이나 행동을 단 1720개만 기록했지만, 수백 배나 많은 하디스를 수집한 사람들을 찾는 것은 더 이상 드문 일이 아니었다.
수많은 논쟁적인 문제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지지하는 여러 가지 전승들—그중 일부는 서로 완전히 모순되는—의 방대한 자료에 직면하여, 압바스 시대의 이슬람 학자들은 하디스를 인증하려고 했다. 학자들은 어떤 하디스가 진정한 것으로 신뢰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하디스가 정치적 또는 신학적 목적으로 날조되었는지 결정해야 했다. 이를 위해 그들은 무슬림들이 현재 하디스 학문이라고 부르는 여러 가지 기술을 사용했다.[85]
가장 오래된 하디스 사본은 파피루스에 복사되었다. 긴 두루마리는 학자이자 카디 압드 알라 이븐 라히아(790년 사망)가 전한 전승을 모아 놓은 것이다.[86] 와브 이븐 무나비에게 돌려지는 ''하디스 다우드''(''다윗의 역사'')는 844년에 작성된 사본으로 전해진다.[87] 특정 칼리드 이븐 야지드에게 돌려지는 신에게 기도하는 것을 전문으로 하는 하디스 모음집은 880~881년에 작성된 것이다.[88] 이집트 말리키 법학자 압드 알라 이븐 와브(813년 사망)의 ''자미''의 일관된 단편은 마지막으로 889년에 작성된 것이다.[89]
3. 2. 하디스 기록의 시작과 배경
이슬람교 초기 백 년 동안, 무함마드의 말과 행동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전달하는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 활동은 정치 중심지가 아닌 학문 중심지였던 메디나에서 자발적으로 발전했다. 메디나는 무함마드와 교류했던 많은 '교우'들이 살던 곳이었기 때문에, 무함마드에 대한 직접적인 자료를 얻기에 적합한 장소였다.[69]이슬람 이전 아랍 사회에서는 '순나(전통)'가 규범적 가치를 지녔고, 각 부족은 조상의 순나를 자랑스럽게 여겼다. 이러한 관념에서 초기 이슬람 공동체는 전체의 순나를 종교와 사회 규범으로 삼았다. 그러나 아랍 부족이 정복 활동을 통해 새로운 지역에 주둔하면서 순나가 각 지역마다 다르게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하디스 학자들은 순나를 무함마드가 정한 관례로 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 견해가 결국 확정되었다.
원래 꾸란만이 문자로 기록되었기 때문에, 초기 하디스는 구전으로 전승되었다. 그러나 이후 율법과 교리를 무함마드의 언행과 연결시키기 위해 많은 하디스가 유포되었고, 각 분파와 정치적 당파는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하디스를 만들기도 했다. 유대교, 그리스도교의 가르침, 그리스 철학의 잠언까지도 무함마드가 말한 것처럼 꾸며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순수한 하디스를 엄선하는 방법이 하디스 학자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방법은 전달자들의 세대적 연속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이스나드(isnad)라고 불린다. 이 하디스 비판 방법은 이슬람력 2, 3세기에 형성되었으며, 이는 샤리아(율법) 형성기에 해당한다. 율법의 필요에 의해 하디스가 규범으로 요구되었던 것이다.
하디스 집대성은 법학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이슬람력 3세기 초(서기 9세기 초)에는 법학에서 독립된 학문 체계로 발전했다. 그러나 3세기 중엽(서기 9세기 중엽)에는 법학과 교차하여 비판적 집대성이 확립되었고, '사히하(확실한 것)'라고 불리는 하디스 정전이 권위를 인정받게 되었다. 이 정전은 법학자와 신학자를 위해 신앙과 실천 등 모든 사항을 즉시 참조할 수 있도록 배열되었다. 그 후에도 하디스 편찬 사업은 계속 발전하여, 동시대의 여러 문제 해결에 권위를 부여하기 위해 새로운 하디스가 편찬되었다.
오늘날 사용되는 하디스 문헌은 무함마드 사후 유통되던 구전 보고서를 기반으로 한다. 하디스는 무함마드 생전이나 사후 즉시 기록되지 않았다. 하디스는 평가되어 구전에서 문자로 기록되었고, 무함마드 사후 여러 세대가 지난 8세기와 9세기에 걸쳐, 라쉬둔 칼리파 시대 종식 이후, 무함마드가 살았던 곳에서 100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 방대한 자료집으로 수집되었다.
무슬림 역사가들은 칼리프 우쓰만 이븐 아판(무함마드의 서기관이었던 칼리프이자 라시둔 칼리파의 세 번째 후계자)이 무함마드가 그의 추종자들에게 그의 말과 행동을 기록하라고 제안했던 것처럼 하디스를 기록하도록 촉구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겨진다고 말한다.[66][67]
우쓰만의 노력은 656년 분개한 병사들에 의해 암살당하면서 중단되었다. 이 시대의 직접적인 자료는 남아있지 않으므로 우리는 후대의 저술가들이 이 시대에 대해 알려주는 내용에 의존한다.[68]
3. 3. 하디스 위조 문제와 비판 학문의 등장
하디스는 처음에는 문자가 아닌 말로 전해졌다. 그러나 율법과 교리를 무함마드의 말과 행동에 연결하기 위해 많은 하디스가 퍼져나갔고, 각 분파와 정치적 당파는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하디스를 만들기 시작했다. 후세의 교리적, 율법적 필요에 따라 하디스가 대량으로 만들어졌으며, 심지어 유대교, 그리스도교의 가르침이나 그리스 철학의 격언까지도 무함마드가 말한 것처럼 꾸며졌다.[82]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순수한 하디스를 가려내는 방법이 하디스 학자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방법은 전달자들의 세대적 연속성을 검토하는 것으로, 이스나드(isnad)라고 불린다. 하디스 비판 방법은 이슬람력 2, 3세기에 형성되었으며, 이는 샤리아(율법) 형성 시기와 일치한다. 율법의 필요에 의해 하디스가 규범으로 요구되었기 때문이다.
하디스 집대성은 법학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이슬람력 3세기 초(서기 9세기 초)에는 법학에서 독립된 학문 체계로 발전했다. 그러나 3세기 중엽(서기 9세기 중엽)에는 다시 법학과 결합하여 비판적 집대성이 확립되었고, '사히하(확실한 것)'라고 불리는 정전(正典)으로 권위를 인정받았다. 이 정전은 신앙과 실천 등 모든 사항에 대해 즉시 참조할 수 있도록 배열되었다. 그 후에도 하디스 편찬 사업은 계속되었고, 당대의 여러 문제 해결에 권위를 부여하기 위해 새로운 하디스가 편찬되었다.
오늘날 사용되는 하디스 문헌은 무함마드 사후 유통되던 구전 보고서를 기반으로 한다. 하디스는 무함마드 생전이나 사후 즉시 기록되지 않았다. 평가를 거쳐 구전에서 문자로 기록되었고, 무함마드 사후 여러 세대가 지난 8세기와 9세기에 걸쳐, 라쉬둔 칼리파 시대 종식 이후, 무함마드가 살았던 곳에서 100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 방대한 자료집으로 수집되었다.
칼리프 우쓰만 이븐 아판(칼리파)은 무함마드의 서기관이자 라시둔 칼리파의 세 번째 후계자로, 무함마드가 그의 추종자들에게 그의 말과 행동을 기록하라고 제안했던 것처럼 하디스를 기록하도록 촉구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겨진다.[66][67] 그러나 우쓰만의 노력은 656년 분개한 병사들에 의해 암살당하면서 중단되었다.
알샤피이는 무함마드의 하디스의 최종 권위를 강조하여 꾸란조차도 "전승(즉, 하디스)의 관점에서 해석되어야지 그 반대가 아니었다".[75][76]
851년 합리주의 무타질라 사상은 압바스 칼리파에서 쇠퇴했다. "진리의 판단자…는 인간의 이성"이었던[81] 무타질라는 꾸란과 하디스의 문자적 의미를 진리로 여기는 전통주의자들과 충돌했다.
그 결과 하디스의 수가 하디스를 인용하는 사람에게 유용성과 "의심스러울 정도로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며 증가하기 시작했다.
수많은 논쟁적인 문제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지지하는 여러 가지 전승들—그중 일부는 서로 완전히 모순되는—의 방대한 자료에 직면하여, 압바스 시대의 이슬람 학자들은 하디스를 인증하려고 했다. 학자들은 어떤 하디스가 진정한 것으로 신뢰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하디스가 정치적 또는 신학적 목적으로 날조되었는지 결정해야 했다. 이를 위해 그들은 무슬림들이 현재 하디스 학문이라고 부르는 여러 가지 기술을 사용했다.[85]
3. 4. 수니파와 시아파의 하디스 수집
수니파와 시아파는 하디스 전승자에 대한 신뢰성 평가 기준이 달라 서로 다른 하디스 집성을 갖게 되었다. 무함마드 사후 지도권 분쟁에서 아부 바크르와 우마르를 지지하고 알리를 지지하지 않은 전승자들은 시아파에게 신뢰받지 못했다. 반면, 알리와 무함마드의 가족, 그리고 그들의 지지자들에게서 전해지는 이야기들이 시아파에게 선호되었다. 수니파 학자들은 시아파가 배척하는 아이샤와 같은 전승자들을 신뢰하였다. 이러한 하디스 집성의 차이는 예배 관행과 샤리아 법의 차이에 영향을 주었고, 이는 두 종파 사이의 분열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62]4. 구성 요소
하디스는 크게 내용(متن|Matn|마톤ar)과 전달 경로('''إسناد'''|isnād|이스나드ar)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28] 무함마드의 언행이 초기에는 구전(口傳)으로 전승되었으나, 이후 율법과 교리를 무함마드의 언행과 연관시키기 위해 많은 하디스가 만들어졌다. 각 분파와 정치 당파는 자신에게 유리하게 하디스를 조작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순수한 하디스를 엄선하기 위해 하디스 학자들은 전달자의 세대 연속성을 검토하는 이스나드를 개발했다. 이슬람력 2, 3세기(서기 8, 9세기)에 율법(샤리아) 형성과 함께 발전한 이스나드 비평 방법은, 이슬람력 3세기 초(서기 9세기 초)에 법학에서 독립된 학문으로 발전했다. 이후 법학과 교차하며 비판적 집대성이 확립되었고, '사히하(확실한 것)'라 불리는 정전(正典)이 권위를 얻었다.[63]
4. 1. 내용 (마트)
하디스는 각 전승의 내용인 "본문"(متن|Matn|마톤ar)과 그에 수반하여 전승자들의 이름을 열거한 "전승 경로"('''إسناد'''|isnād|이스나드ar)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무함마드가 ○○라고 말했다고 A가 말했고, B가 말했고, C가 말했고, D가 말했다"는 식(실제로는 훨씬 길고 복잡하지만)으로 전해진다.[125] 정보가 항상 출처와 함께 전달되므로, 그 신뢰성을 쉽게 검증할 수 있다. 같은 내용으로 다른 경로를 가진 하디스가 존재하는데, 이것이 신뢰성 측면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125]4. 2. 전승 경로 (이스나드)
하디스는 "본문"(متنar Matnar, 마톤)과 "전승 경로"('''إسناد'''ar isnādar, 이스나드)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스나드는 무함마드로부터 하디스를 전해 들은 사람들의 이름이 나열된 것으로, 하디스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28]이스나드는 문자 그대로 "지지"를 의미하며, 하디스 전문가들은 이스나드를 통해 하디스의 신빙성 또는 약점을 판단한다.[63] 이스나드는 본문의 기원을 언급할 때까지, 하디스를 들은 사람을 언급하는 전승자들의 연대순 목록으로 본문(matn)과 함께 구성된다.
예를 들어, "무함마드가 ○○라고 말했다고 A가 말했고, B가 말했고, C가 말했고, D가 말했다"는 형태로 전해진다. 이 "" 안의 모든 것이 "하디스"가 된다. 정보가 항상 출처와 함께 전달되므로, 그 신뢰성을 쉽게 검증할 수 있다. 같은 내용으로 다른 경로를 가진 하디스가 존재하기도 하는데, 이는 신뢰성 측면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하디스를 처음 들은 사람들은 그것을 보존하고 후대에 전달한 동료들이었다. 그 후 그들을 따르는 세대가 그것을 받아 후대에 전달하는 식으로 이어졌다. 예를 들어 한 동료는 "내가 예언자께서 이러이러하다고 말씀하시는 것을 들었다"고 말할 것이다. 그 후계자는 "내가 한 동료가 '내가 예언자께서…'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고 말할 것이다. 그 다음 사람은 "내가 누군가가 '내가 한 동료가 '내가 예언자께서…'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고 말하는 식이다.[64]
8세기부터 현재까지 무슬림 학자들은 "이스나드는 종교의 일부이다. 이스나드가 없다면 누구든 원하는 것을 말할 수 있다"는 말을 반복해 왔다.[28]
5. 하디스학
이슬람교 초기, 무함마드의 언행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을 수집하고 전달하는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활동은 정치적 중심지가 아닌 학문의 중심지였던 메디나에서 자발적으로 발전했다. 메디나는 무함마드와 직접 교류했던 많은 '교우'들이 살던 곳이었기 때문에, 1차 자료를 얻기에 매우 적합한 장소였다.
이슬람 이전 아랍 사회에서는 각 종족의 조상으로부터 내려오는 '순나(전통)'가 규범적 가치를 지녔다. 초기 이슬람에서는 교단 전체의 순나를 종교와 사회 규범으로 삼았다. 그러나 아랍족의 정복 사업으로 인해 새로운 정복지마다 순나가 다르게 발전하게 되었고, 하디스 학자들은 순나를 무함마드가 설정한 관례에 한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이 견해가 확정되었다.
처음에는 계시만이 문자로 기록되었기 때문에 하디스는 구전으로 전승되었다. 그러나 이후 율법과 교리를 무함마드의 언행과 연결시키기 위해 많은 하디스가 유포되었고, 각 분파와 정치적 당파는 자신들에게 유리하도록 하디스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유대교, 그리스도교의 가르침, 그리스 철학의 잠언까지도 무함마드의 말처럼 꾸며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순수한 하디스를 엄선하는 방법으로 하디스 학자들이 고안한 것이 전달자의 세대적 연속성을 따지는 이스나드(isnad)이다. 이 하디스 비판 방법은 이슬람력 2, 3세기(서기 8-9세기)에 형성되었으며, 샤리아(율법) 형성기에 율법의 필요에 의해 하디스가 규범으로 요구되면서 발전하였다. 하디스 집대성은 법학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이슬람력 3세기 초(서기 9세기 초)에는 법학에서 독립된 학문 체계로 발전했다. 그러나 3세기 중엽(서기 9세기 중엽)에는 다시 법학과 결합하여 비판적 집대성이 확립되었고, '사히하(확실한 것)'라고 불리는 정전(正典)으로 권위를 인정받게 되었다. 이 정전은 신앙과 실천 등 모든 사항에 대해 즉시 참조할 수 있도록 배열되었다. 그 후에도 하디스 편찬 사업은 계속되었고, 동시대의 여러 문제 해결에 권위를 부여하기 위해 새로운 하디스가 편찬되었다.
하디스는 코란 주석(타프시르)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븐 압바스의 주석으로 알려진 초기 코란 주석은 때때로 사하바 이븐 압바스에게 기인하기도 한다. 또한, 하디스는 이슬람 전통의 일부인 종교 법 체계 샤리아와 이슬람 법학 피크흐의 기초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단일 피크흐 체계가 아닌 여러 평행 체계가 존재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오늘날 이용 가능한 초기 이슬람 역사의 상당 부분은 하디스를 기반으로 하지만, 1차 자료 부족과 2차 자료의 내부 모순으로 인해 그 신뢰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56] 미국의 수니파 학자 조나단 브라운은 하디스를 이슬람 문명의 "척추"라고 부르기도 했다.[57]
무함마드의 삶과 초기 이슬람 역사에 대한 전승은 무함마드 사후 100년 이상 구전으로 전해졌다. 무슬림 역사가들은 칼리프 우쓰만 이븐 아판이 무함마드의 추종자들에게 그의 말과 행동을 기록하라고 제안했던 것처럼 하디스를 기록하도록 촉구했다고 전한다.[66][67] 그러나 우쓰만의 노력은 656년 그의 암살로 중단되었고, 이 시대의 직접적인 자료는 남아있지 않아 후대 저술가들의 기록에 의존해야 한다.[68]
5. 1. 하디스 비평 방법론
하디스 학자들은 하디스의 진위를 판별하기 위해 여러 방법론을 사용했다. 이 방법들은 전승자(라위)의 신뢰성, 전승 경로(이스나드)의 연결성, 그리고 하디스 본문(마트)의 합리성 등을 기준으로 삼았다.[109] 하디스 비판 방법은 이슬람력 2, 3세기에 형성되었는데, 이는 샤리아(율법) 형성기에 해당하며, 율법의 필요에 따라 하디스가 규범으로 요구되었기 때문이다.하디스의 진위 여부는 주로 전승 계열(이스나드)을 통해 검증되었다. 전승 계열은 위조될 수 있으므로, 무슬림 학자들이 제시하는 진위 여부는 동양학자나 역사학자들에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들은 대체로 하디스를 검증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102][103][104]
하디스학은 초기 무슬림 학자들이 무함마드에게 귀속된 보고서의 진실성을 판단하기 위해 개발한 여러 평가 방법을 사용한다. 이는 다음을 통해 달성된다.
- 전승에 관여한 개별 전승자
- 보고서 전승의 규모
- 보고서 텍스트 분석
- 보고서가 전달된 경로
이러한 기준에 따라 하디스의 다양한 분류가 개발되었다.
인물 평가 (‘ilm al-rijāl)인물 분석은 전달자에 대한 세부 사항을 면밀히 조사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출생 연도와 장소, 가족 관계, 스승과 제자, 종교성, 도덕적 행동, 문학적 산출물, 여행, 사망 연도 분석이 포함된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전달자의 신뢰성(''thiqāt'')이 평가된다. 또한 개인이 실제로 보고서를 전달할 수 있었는지 여부가 결정되는데, 이는 연대기적 동시대성과 다른 전달자와의 지리적 근접성으로부터 추론된다.[108][109]
전승 규모중요한 사안에 대한 하디스는 여러 개의 독립적인 전승 경로를 통해 전해져야 했는데, 이를 전승 규모라고 한다. 많은 신뢰할 만한 전달자들을 거쳐 여러 이스나드(isnad)를 통해 수집 및 기록된 보고서는 무타와티르(mutawātir)로 알려져 있으며, 가장 권위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보고서는 아하드(aahad)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28]
본문(matn) 검토무함마드 샤피에 따르면, 이스나드(전승 경로)가 면밀히 조사된 하디스는 다음 기준에 따라 본문(matn)이 검토된다.
- 꾸란과의 모순[109]
- 신뢰할 수 있는 다른 하디스와의 모순[109]
- 이치에 맞고 논리적인지 여부[109]
- 특정 개인(들)의 중요성에 대한 보고서로서, 그들의 지지자나 가족을 통해서만 전해지고 다른 독립적인 경로의 보고서로 뒷받침되지 않는 경우[109]
하디스는 각 전승의 내용인 "본문"(متنar Matnar, 마톤)과 그에 수반하여 전승자들의 이름을 열거한 "전승 경로"('''إسناد'''ar isnādar, 이스나드)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하디스는 그 신빙성에 따라 사히흐(정통), 하산(양호), 다이프(취약)의 세 그룹으로 크게 나뉜다. 특히 하디스 학자들에 의해 "정통"으로 판별된 하디스는 『정통집』(Jāmi‘ Ṣaḥīḥar)으로 편찬되었다.
5. 2. 하디스 분류
하디스는 그 신뢰도에 따라 여러 등급으로 분류된다. 이슬람 학자들은 하디스 학문(مصطلح الحديث|무스타라 알 하디스ar)이라는 방법론을 통해 하디스의 진위를 평가한다. 이 평가는 주로 하디스의 전달 경로인 이스나드(إسناد|이스나드ar)를 분석하여 이루어진다.하디스는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시아파에서는 하디스에 대해 우스룰리와 악바리 두 가지 관점이 존재한다. 우스룰리는 이지티하드를 통해 하디스 검토를 중시하고, 악바리는 시아파 경전의 모든 하디스를 진실된 것으로 여긴다.[62]
하디스 학자들은 이러한 분류 외에도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하디스의 신뢰도를 평가한다. 예를 들어, 문카르(منكر|문카르ar)는 신뢰할 수 없는 전달자가 다른 신뢰할 만한 전달자와 모순되는 내용을 전하는 경우를 말한다.[111]
이러한 하디스 분류 체계는 이슬람 율법(샤리아)과 신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수니파에서는 부하리와 무슬림이 편찬한 '정통집'(Jāmi‘ Ṣaḥīḥ|자미 사히흐ar)이 가장 권위 있는 하디스 집성으로 인정받고 있다.
하디스는 실증주의적인 역사학의 원류 중 하나라고도 불린다.
6. 주요 하디스 집성서
이슬람의 여러 분파는 각기 다른 하디스 집성서를 중요하게 여기는데, 이는 시아파와 수니파의 구분을 통해 알 수 있다. 시아파는 무함마드의 가족과 가까운 동료들(아흘 알-바이트)에게서 전해지는 하디스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반면, 수니파는 무함마드의 1만 2천 명의 동료 중 누구에게서 전해진 하디스인지를 크게 구분하지 않는다.[65]
무함마드의 삶과 초기 이슬람 역사에 대한 전승은 무함마드 사후 632년 이후 100년 이상 대부분 구전으로 전해졌다. 무슬림 역사가들은 칼리프 우쓰만 이븐 아판(라시둔 칼리파의 세 번째 후계자)이 하디스를 기록하도록 촉구한 것으로 여긴다.[66][67] 그러나 우쓰만의 노력은 656년 그의 암살로 중단되었고, 이 시대의 직접적인 자료는 남아있지 않아 후대의 저술가들에게 의존해야 한다.[68]
알샤피이는 무함마드 하디스의 권위를 강조하며, 꾸란도 하디스의 관점에서 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순나가 "꾸란과 동등한 위치에 있다"고 강조했는데, "예언자의 명령은 신의 명령이다"라는 것이다.[77][78]
851년 합리주의 무타질라 사상은 압바스 칼리파에서 쇠퇴했다. 무타질라는 꾸란과 하디스의 문자적 의미를 진리로 여기는 전통주의자들과 충돌했다. 꾸란은 공식적으로 편찬되고 승인되었지만, 하디스는 그렇지 않았다. 그 결과 하디스의 수가 급증했고, 압바스 시대의 이슬람 학자들은 하디스를 인증하려고 했다.
가장 오래된 하디스 사본은 파피루스에 복사되었다. 와브 이븐 무나비에게 돌려지는 ''하디스 다우드''(''다윗의 역사'')는 844년에 작성된 사본으로 전해진다.[87]
수니파와 시아파는 각각 6대 하디스 집성서와 4대 하디스 집성서를 중요하게 여긴다.
- 수니파의 주요 하디스 집성서: 무함마드 알부하리의 『사히흐 알부하리』, 무슬림 이븐 하자주의 『사히흐 무슬림』, 아부 다우드의 『수난 아부 다우드』, 알티르미지의 『수난 알티르미지』, 이븐 마자의 『수난 이븐 마자』, 알나사이의 『수난 알나사이』 등이 있다.
- 시아파의 주요 하디스 집성서: 알클라이니의 『카피의 서』, 이븐 바바와이히의 『법학자 부재의 때』, 알투시의 『율법 규정의 수정』과 『이론 전승에 관한 고찰』 등이 있다.
- 기타 하디스 집성서: 이븐 험발의 『무스나드(al-Musnad)』가 있다.
6. 1. 수니파의 하디스 집성서
수니파에서는 6대 하디스집을 중요하게 여기며, 그중에서도 무함마드 알부하리의 『사히흐 알부하리』와 무슬림 이븐 하자주의 『사히흐 무슬림』을 가장 권위 있는 하디스집으로 인정한다. 이 두 하디스집은 수집된 하디스의 정확성에 대해 후대 학자들의 검증과 동의를 받았기 때문에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하디스 모음으로 여겨진다.[91]하디스는 전승 경로(이스나드, isnad)에 따라 여러 개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명의 사하바(동료)가 무함마드의 생애에서 한 가지 사건을 기록했다면, 하디스 학자들은 이를 10개의 하디스로 계산한다. 이슬람 제2세기(히즈라력) 동안 하디스 전문가들은 다양한 문헌의 전승자를 식별하고, 동일한 문헌에 대한 그들의 전승을 비교하여 가장 정확한 문헌 보고와 보고자를 식별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이슬람 제3세기(히즈라력 225/840년부터 약 275/889년까지)에는 약 2천에서 5천 개의 문헌을 선별하여 간결한 저술을 만들었는데, 이들은 가장 정확하게 기록되었거나 무슬림 학계에서 가장 널리 인용된 문헌으로 평가받았다.
6. 1. 1. 6대 하디스집
수니파 이슬람의 정경 하디스 모음집은 '6대 서적'으로 불리며, 이 중에서도 『사히흐 알부하리』와 『사히흐 무슬림』이 가장 높은 지위를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91] 말리키파를 제외한 다른 학파에서는 『수난 아부 다우드』, 『자미 알티르미지』, 『알수난 알수그라』, 『수난 이븐 마자』도 6대 하디스집에 포함된다. 말리키파는 『수난 이븐 마자』 대신 『무와타 이맘 말릭』을 정경으로 인정한다.5세기 말, 이븐 알-카이사라니(Ibn al-Qaisarani)는 수니파 정경을 6대 주요 저서로 공식화했으며, 이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92][93][94]
6대 하디스집은 다음과 같다.
저자 | 사망 년도 | 저서 |
---|---|---|
무함마드 알부하리 | 870년 | 『사히흐 알부하리』 |
무슬림 이븐 하자주 | 875년 | 『사히흐 무슬림』 |
아부 다우드 | 888년 | 『수난 아부 다우드』 |
알티르미지 | 892년 | 『수난 알티르미지』 |
이븐 마자 | 896년 | 『수난 이븐 마자』 |
알나사이 | 915년 | 『수난 알나사이』 |
6. 2. 시아파의 하디스 집성서
시아파는 수니파의 6대 하디스 총서 대신 고유한 하디스 문헌을 사용하며, 그중 '4대 서적'이라 불리는 네 권의 책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96] 이 책들은 '삼대 무함마드'라 불리는 세 명의 저자가 편찬했다.저자 | 책 제목 | 원제 | 번역 | 비고 |
---|---|---|---|---|
쿨라이니 | 알카피 | كتاب الكافي|Kitab al-Kafiar | 카피의 서 | |
이븐 바바와이히 | 만 라 야흐두루후 알 파키흐 | من لا يحضره الفقيه|Man la yahduruhu al-Faqihar | 법학자가 없을 때 | |
알투시 | 타흐디브 알아흐캄 | تهذيب الأحكام|Tahdhib al-Ahkamar | 율법 규정의 수정 | |
알 이스티브사르 | الاستبصار|Al-Istibsarar | 이론 전승에 관한 고찰 |
시아파는 아부 바크르, 우마르를 지지하고 알리를 지지하지 않은 수니파 전승자들을 신뢰하지 않아 6대 하디스 총서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알리와 무함마드의 가족 및 그 지지자들의 전승을 선호한다.[96]
대부분의 시아파는 하디스 총서 전체가 완벽히 정확하다고 보지 않고, 각 하디스의 진위를 개별 조사해야 한다고 여기지만, 아크바리파는 4대 서적의 모든 하디스를 정확하다고 믿는다.[97]
무함마드 알바키르는 "의심스러운 문제에는 침묵이 파멸보다 낫고, 철저히 연구 안 된 하디스 전파보다 침묵이 낫다"라며 하디스 기록의 정확성을 강조했다.[98]
6. 2. 1. 4대 하디스집
시아파 이슬람의 4대 하디스집은 '4대 서적'이라고도 불리며, 다음 네 권의 책을 말한다.[96]- 쿨라이니 (329년 AH, 941년 사망)의 『알카피(كتاب الكافي, Kitab al-Kafi)』
- 이븐 바바와이히 (991년 사망)의 『만 라 야흐두루후 알 파키흐(من لا يحضره الفقيه, Man la yahduruhu al-Faqih)』
- 알투시 (1067년 사망)의 『타흐디브 알아흐캄(تهذيب الأحكام, Tahdhib al-Ahkam)』와 『알 이스티브사르(الاستبصار, Al-Istibsar)』
이 하디스집들은 '삼대 무함마드'로 알려진 세 명의 저자에 의해 편찬되었다.[96] 시아파 성직자들은 이 외에도 후대 저자들의 방대한 하디스 총서와 주석도 활용한다.
시아파는 수니파의 6대 하디스 총서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데, 이는 아부 바크르, 우마르를 지지하고 알리를 지지하지 않은 수니파 전승자와 전달자들을 신뢰하지 않기 때문이다. 시아파는 알리와 무함마드의 가족, 그리고 그들의 지지자들에게서 전해지는 이야기를 선호한다.[96]
대다수의 시아파는 어떤 하디스 총서도 전체적으로 완벽하게 정확하다고 보지 않는다. 따라서 각 하디스의 진위 여부는 개별적으로 조사해야 한다. 그러나 아크바리 학파는 4대 서적의 모든 하디스를 정확하다고 여긴다.[97]
6. 3. 이바디파의 하디스 집성서
이바디파 이슬람의 주요 정전(正典)은 《타르티브 알 무스나드》이다. 이것은 이전의 《자미 사히흐》 모음집을 확장한 것으로, 《자미 사히흐》 자체도 정전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6. 4. 기타 하디스 집성서
- 이븐 험발의 『무스나드(al-Musnad)』
7. 현대적 의의 및 영향
주류 종파들은 하디스가 이슬람 경전 꾸란을 보완하고 명확하게 해주는 필수적인 부분이며, 이슬람 법학 관련 문제를 명확히 하는 데에도 중요하다고 여긴다. 하디스 전문가 이븐 알-살라흐는 하디스가 종교의 다른 분야, 특히 법학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학문이라고 설명했다.[100] 이븐 하자르 알-아스칼라니는 종교 관련 학문(꾸란 주석, 하디스, 법학)에서 하디스 학문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며, 꾸란 주석에서 무함마드의 말씀을 사용하는 것이 신의 말씀을 설명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했다.[101]
7. 1. 이슬람 율법(샤리아) 및 신학에서의 역할
이슬람교 최초 백 년간의 특징은 무함마드의 말과 행동에 관한 자세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모으고 전달하는 활동이었다. 이 활동은 자발적인 것으로, 정치 중심지가 아닌 학문 중심지였던 메디나에서 발전하였다. 메디나는 무함마드와 교류했던 많은 '교우'들이 모여 살던 곳이어서, 가장 중요한 자료를 얻기에 매우 적합한 곳이었다. 이슬람 이전의 아랍 부족 사회에서는 '순나(전통)'가 규범적 가치를 지녔고, 각 부족은 조상의 순나를 자랑스럽게 여겼다. 이러한 관념에서 초기 이슬람에서는 교단 전체의 순나를 종교와 사회 규범으로 삼게 되었다. 그러나 아랍 부족의 정복 사업으로 아랍 부족이 주둔하게 된 새로운 정복지마다 순나가 각기 다른 방향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하디스 학자들은 순나를 무함마드가 설정한 관례에 한정할 것을 주장하여 이 견해가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하디스는 꾸란을 보완하고 명확하게 해주는 필수적인 부분이며, 이슬람 법학과 관련된 문제를 명확히 하는 데에도 중요하다. 하디스 전문가인 이븐 알-살라흐는 하디스와 종교의 다른 측면과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그것은 다른 학문의 여러 분야, 특히 그중 가장 중요한 법학에 관해서 가장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학문입니다."[100] 이븐 하자르 알-아스칼라니는 "여기서 말하는 '다른 학문'이란 종교와 관련된 것, 즉 꾸란 주석, 하디스, 법학을 의미합니다. 하디스 학문은 이 세 가지 학문 각각이 보여주는 필요성 때문에 가장 광범위하게 퍼져 나갔습니다. 하디스가 자신의 학문을 필요로 하는 것은 명백합니다. 꾸란 주석에 관해서는, 신의 말씀을 설명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함마드의 말씀으로 받아들여진 것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를 찾는 사람은 받아들일 수 있는 것과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을 구별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법학에 관해서는, 법학자는 나중 것의 예외를 제외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을 증거로 인용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것은 하디스 학문을 이용해야만 가능합니다."라고 설명했다.[101]
7. 2. 꾸란 해석(타프시르)과의 관계
الحديثar는 이슬람 경전 꾸란을 보완하고 명확하게 해주며, 이슬람 법학 관련 문제를 명확히 하는 데에도 중요하다고 여겨진다.[99] 하디스 전문가 이븐 알-살라흐(Ibn al-Salah)는 하디스와 종교의 다른 측면과의 관계를 "다른 학문의 여러 분야, 특히 그중 가장 중요한 법학에 관해서 가장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학문"이라고 설명했다.[100] 이븐 하자르 알-아스칼라니(Ibn Hajar al-Asqalani)는 "'다른 학문'이란 종교와 관련된 것, 즉 꾸란 주석, 하디스, 법학을 의미합니다. 하디스 학문(hadith sciences)은 이 세 가지 학문 각각이 보여주는 필요성 때문에 가장 광범위하게 퍼져 나갔습니다. 하디스가 자신의 학문을 필요로 하는 것은 명백합니다. 꾸란 주석에 관해서는, 신의 말씀을 설명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함마드의 말씀으로 받아들여진 것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를 찾는 사람은 받아들일 수 있는 것과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을 구별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법학에 관해서는, 법학자는 나중 것의 예외를 제외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을 증거로 인용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것은 하디스 학문을 이용해야만 가능합니다."라고 설명했다.[101]8. 비판과 논쟁
하디스의 신뢰성과 진위 여부는 역사적으로, 그리고 현대에도 꾸준히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하디스는 각 전승의 내용인 "본문"(متن|Matn|마톤ar)과 전승자들의 이름을 열거한 "전승 경로"('''إسناد'''|isnād|이스나드ar)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무함마드가 ○○라고 말했다고 A가 말했고, B가 말했고, C가 말했고, D가 말했다"는 형태로 전해진다.
이러한 하디스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을 하디스학이라고 하며, 실증주의적인 역사학의 원류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 하디스학에서는 하디스의 신빙성에 따라 사히흐(정통), 하산(양호), 다이프(취약)의 세 그룹으로 크게 나눈다. 특히 하디스 학자들에 의해 "정통"으로 판별된 하디스는 『정통집』(Jāmi‘ Ṣaḥīḥar)으로 편찬되었다. 수니파에서는 부하리와 무슬림 이븐 핫자즈의 『정통집』이 가장 권위 있는 하디스 집성으로 인정받는다.
하디스는 지배 지역의 종교와 신앙 내용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마태복음에 수록된 예수의 포도원 일꾼의 비유와 매우 비슷한 내용을 무함마드가 설교하는 부분이 하디스에 있다. 또한 예수의 십자가상 말씀 역시 모세의 말씀으로 하디스에 등장하며, 그 모습이 무함마드와 겹쳐 보인다는 내용도 있다.
특히, 다이프(취약) 이하의 "위하디스"는 유포되는 지역의 정치적, 종교적 문제를 정당화하거나 반발하는 데 이용되기도 했으며, 최근 이러한 "위하디스"의 사상적, 사회적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하디스는 매우 길고 원칙적으로 구전이었기 때문에, 뛰어난 신자, 율마, 연구자가 되려면 높은 암기력이 요구되었다. 이는 이슬람권에서 암기력이 존중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125]
8. 1. 하디스 비판론
하디스는 본래 구전으로 전승되었으나, 이후 율법과 교리를 무함마드의 언행과 연관시키기 위해 많은 하디스가 유포되었다. 각 분파와 정치적 당파는 자신들에게 유리하도록 하디스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대교, 그리스도교의 훈화, 그리스 철학의 잠언까지도 무함마드의 말처럼 꾸며졌다.[24]이에 순수한 하디스를 엄선하기 위해 하디스 학자들이 이스나드(isnad)라는 전달자의 세대적 연속성을 따지는 방법을 고안했다. 이 하디스 비판 방법은 이슬람력 2, 3세기에 형성되었으며, 샤리아(율법) 형성기에 율법의 필요에 따라 하디스가 규범으로 요청되면서 이루어졌다. 하디스 집대성은 법학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이슬람력 3세기 초엽에는 법학에서 독립된 학문 체계로 발전했다. 3세기 중엽에는 법학과 교차하며 비판적 집대성이 확립되어 '사히하(확실한 것)'라고 불리는 정전(正典)으로 권위를 인정받았다. 이후에도 하디스 편찬 사업은 계속 발전하여, 당대의 문제 해결에 권위를 부여하기 위해 새로운 하디스가 편찬되었다.
서구 학계의 하디스 비판은 19세기 중반 식민지 시대 인도에서 알로이스 슈프렌거와 윌리엄 뮤어의 연구로 시작되었다. 이들은 하디스의 신뢰성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며, 전통적인 무슬림 학자들이 하디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없었고, 하디스 전승이 광범위한 허위 하디스 제작으로 왜곡되었다고 주장했다. 이그나츠 골치허는 저서 ''Muhammedanische Studien''(''이슬람 연구'')에서 많은 하디스가 시대착오적 요소를 보여 진정성이 없으며, 상반되는 하디스들이 많아 자료의 가치를 의심스럽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조셉 샤흐트는 특정 하디스의 전승 연쇄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시도하며, "공통 연결 고리"를 통해 하디스가 유통되기 시작한 시기를 추정했다. 그러나 일부 현대 학자들은 샤흐트의 "공통 연결 고리"가 하디스를 위조한 사람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며 이의를 제기했다.
무슬림 내부에서도 하디스 문헌의 신빙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112] 일부 하와리지파는 하디스를 거부했고, 무아티질라파는 이슬람 법의 근거로 하디스를 거부하며 코란과 달리 개인에 의한 전승은 확실한 지식을 얻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18]
알리 알-리다는 하디스에 불분명한 것과 명확한 것이 있으므로, 불분명한 것은 명확한 것에 비추어 해석해야 한다고 전했다.[98]
일부 무슬림 비평가들은 코란주의 운동을 통해 하디스를 완전히 거부하고 코란만을 따르기도 한다. 이들은 코란에 하디스를 따르라는 권유가 없으며, "하나님과 사자에게 복종하라"는 표현은 코란을 따르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한다.[114][115] 근대주의 무슬림과 코란주의자들은 이슬람 세계의 문제가 하디스의 전통적 요소에서 비롯된다고 믿고 이를 거부하려 한다.[116]
현대의 하디스 비평가로는 라샤드 칼리파, 카심 아흐마드, 에딥 위크셀 등이 있다.[117]
서구 학자들은 전통적인 하디스학이 전승자의 연쇄(''isnad'')에만 집중하고 실제 내용(''matn'')을 조사하지 않아 하디스의 신빙성을 결정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118][24][119] 이들은 이슬람 초기 몇 세기 동안 특정 신학적, 법적 입장을 지지하기 위해 하디스가 광범위하게 날조되었을 것이라고 의심한다.[24] 날조 외에도 전승 연쇄가 진짜라 하더라도, 다양한 전승자들의 해석과 편견으로 하디스의 의미가 원래 이야기에서 벗어났을 가능성이 있다.[120][121]
하디스는 "본문"(متن|Matn|마톤ar)과 "전승 경로"('''إسناد'''|isnād|이스나드ar)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하디스학은 실증주의적인 역사학의 원류 중 하나로 불리며, 하디스는 신빙성에 따라 사히흐(정통), 하산(양호), 다이프(취약)의 세 그룹으로 나뉜다. 수니파에서는 부하리와 무슬림 이븐 핫자즈의 『정통집』이 가장 권위 있는 하디스 집성으로 인정받는다.
하디스는 지배 지역의 종교와 신앙 내용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마태복음』의 포도원 일꾼의 비유와 비슷한 내용을 무함마드가 설교하는 부분이 하디스에 있으며, 예수의 십자가상 말씀도 모세의 말씀으로 하디스에 등장한다.
특히, 다이프(취약) 이하의 "위하디스"는 유포되는 지역의 정치적, 종교적 문제를 정당화하거나 반발하는 데 이용되기도 했으며, 최근 이러한 "위하디스"의 사상적, 사회적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하디스는 매우 길고 원칙적으로 구전이었기 때문에, 뛰어난 신자, 율마, 연구자가 되려면 높은 암기력이 요구되었다. 이는 이슬람권에서 암기력이 존중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125]
8. 2. 꾸란주의
꾸란주의자들은 하디스의 권위를 부정하고 코란만을 유일한 권위로 인정한다.[15][16] 이들은 코란 자체에 코란과 함께 하디스를 받아들이라는 내용이 없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3:132 또는 4:69에 나오는 "하나님과 사자에게 복종하라"는 표현은 오직 코란을 따름으로써 코란을 전달하는 임무를 맡았던 사자를 따르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한다.[114][115]8. 3. 서구 학계의 연구
알로이스 슈프렌거와 윌리엄 뮤어의 연구를 통해 시작된 서구 학계의 하디스 비판은 하디스의 신뢰성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전통적인 무슬림 학자들이 하디스의 진위 여부를 제대로 판단하지 못했고, 하디스 전승 과정에서 많은 허위 하디스가 만들어져 내용이 왜곡되었다고 보았다.[24]19세기 후반, 이그나츠 골치허는 ''Muhammedanische Studien''(이슬람 연구)를 통해 서구 하디스 연구에 큰 영향을 주었다. 골치허는 많은 하디스가 시대착오적인 요소를 담고 있어 진정성이 의심되며, 서로 상반되는 하디스들이 많아 전체 자료의 가치를 신뢰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24]
1950년대 조셉 샤흐트는 하디스 전승 연쇄에서 "공통 연결 고리"를 찾아 하디스의 유통 시기를 추정하려 했다. 그는 이 "공통 연결 고리"를 하디스의 실제 저자로 보았지만, 이 방법은 다른 학자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일부 현대 학자들은 샤흐트의 "공통 연결 고리"가 하디스를 위조한 사람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24]
서구 학자들은 전통적인 하디스학이 전승자 연쇄(''isnad'')에만 집중하고 하디스 내용(''matn'')에 대한 분석은 부족하다고 비판한다. 이들은 ''isnad'' 조사만으로는 하디스의 신빙성을 판단하기 어렵다고 본다.[118][24][119] 또한, 이슬람 초기 몇 세기 동안 특정 신학적, 법적 입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많은 하디스가 만들어졌을 가능성을 제기한다.[24] 전승 연쇄가 진짜라고 해도, 전승자들의 해석과 편견 때문에 하디스의 의미가 왜곡되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120][121]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서구 학자들은 어떤 하디스가 역사적 무함마드를 정확하게 반영하는지 판단하는 것은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하다고 본다.[121] 한편, 하디스 학자 무함마드 무스타파 아즈미는 전통적인 하디스 비판의 신뢰성에 대한 서구 학자들의 주장에 반박했다.[122]
참조
[1]
OED
hadith
[2]
dictionary.com
Hadith
2011-08-13
[3]
웹사이트
Hans Wehr English&Arabic Dictionary
https://archive.org/[...]
[4]
서적
The Laws of Islam
http://almodarresi.c[...]
Enlight Press
2017-12-22
[5]
웹사이트
Hadith
https://www.britanni[...]
2020-07-31
[6]
간행물
Riyadh As-Salihin
1975
[7]
간행물
Riyadh As-Salihin
1975
[8]
간행물
Riyadh As-Salihin
1975
[9]
논문
Islamic Law; the impact of Joseph Schacht
http://www.soerenker[...]
2018-04-19
[10]
간행물
Misquoting Muhammad
2014
[11]
서적
Encyclopedia of Islam and Muslim World.1
Thmpson Gale
2004
[12]
서적
Moral Teachings of Islam: Prophetic Traditions from Al-Adab Al-mufrad By Muḥammad ibn Ismāʻīl Bukhārī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13]
서적
Introduction to Hadith
https://books.google[...]
ICAS Press
2011
[14]
간행물
Misquoting Muhammad
2014
[15]
웹사이트
The Qur’anists
2013-05-22
[16]
서적
Islam: A Concise Introduction
Routledge
2013
[17]
서적
Major Issues in Islam: The Challenges within and Withou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7-11-02
[18]
서적
Science Under Islam: Rise, Decline and Revival
https://books.google[...]
Lulu.com
[19]
서적
Islam and the Wes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3-28
[20]
웹사이트
Surah Al-Jumu'a, Word by word translation of verse number 2-3 (Tafsir included) الجمعة - Quran O
https://qurano.com/e[...]
2021-01-31
[21]
서적
Mabadi Tadabbur-i-Hadith (translated as: "Fundamentals of Hadith Interpretation")
http://www.monthly-r[...]
Al-Mawrid
2011-06-02
[22]
서적
The Future of Muslim Civilisation
1979
[23]
논문
Even If It's Not True It's True: Using Unreliable Hadīths in Sunni Islam
http://dx.doi.org/10[...]
2011
[24]
서적
Western Hadith Studies
https://onlinelibrar[...]
Wiley
2024-06-26
[25]
웹사이트
Mawrid Reader
http://ejtaal.net/aa[...]
[26]
서적
al-Kuliyat
Mu'assasah l-Risalah
[27]
서적
Lisan al-Arab
Dar al-Hadith
[28]
서적
Encyclopedia of Islam
Infobase
[29]
서적
Fath al-Bari
al-Matba'ah al-Salafiyyah
[30]
웹사이트
What do we actually know about Muhammad?
https://www.opendemo[...]
2008-06-10
[31]
웹사이트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Shi'a and the Sunni
https://www.al-islam[...]
2013-11-12
[32]
서적
The Origins of Muhammadan Jurisprudence
Oxford University Press
[33]
웹사이트
THE DIFFERENCE BETWEEN HADITH AND SUNNA
http://quransmessage[...]
2018-03-26
[34]
논문
What is Shari'a?
http://www.abc.net.a[...]
2015-06-20
[35]
서적
Twelve Infallible Me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9-10-26
[36]
서적
Studies on Muhammad and the Rise of Islam
2000
[37]
서적
Misquoting Muhammad
2014
[38]
서적
Riyadh As-Salihin
1975
[39]
서적
Riyadh As-Salihin
1975
[40]
서적
Riyadh As-Salihin
1975
[41]
서적
Misquoting Muhammad
2014
[42]
웹사이트
Shaikh Shah Waliullahs Dehlawi's (1176H) Inclination in Fiqh and his Hanafiyyah – al-Allamah Shaikh Muhammad Ismaeel Salafi (1378H)
https://ahlulhadeeth[...]
2015-05-28
[43]
서적
Muslim Women's Quest for Justice: Gender, Law and Activism in Ind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2-26
[44]
서적
The Origins of Muhammadan Jurisprudence
Oxford University Press
[45]
서적
Kitab al-Umm vol. vii
[46]
웹사이트
The Hadith: "My Companions Are Like The Stars"
http://www.livingisl[...]
[47]
서적
The Zahiris: Their Doctrine and their History
1971
[48]
서적
Rethinking tradition in modern Islamic thought
1996
[49]
서적
The Origins of Muhammadan Jurisprudence
Oxford University Press
[50]
서적
Kitab al-Umm vol. vii
[51]
서적
The Origins of Muhammadan Jurisprudence
Oxford University Press
[52]
서적
Introduction to Hadith
https://books.google[...]
ICAS Press
2024-04-01 #Dead link date
[53]
서적
The Origins of Muhammadan Jurisprudence
Oxford University Press
[54]
서적
Commentary on Malik's Muwatta', 4 vols
1310
[55]
서적
Introduction to Hadith
https://books.google[...]
ICAS Press
2024-04-01 #Dead link date
[56]
백과사전
Hadith
https://www.britanni[...]
2023-10-20
[57]
서적
Misquoting Muhammad
2014
[58]
서적
Divine Word and Prophetic Word in Early Islam: A Reconsideration of the Sourc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ivine Saying or Hadith Qudsi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77
[59]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Islam
Altamira
2001
[60]
웹사이트
Qu'est-ce que le hadith Qudsi ?
http://www.aslamna.i[...]
[61]
기타
Related Hadith
[62]
서적
Al-Kafi
Islamic Seminary Incorporated
2015
[63]
서적
Tadrib al-Rawi
[64]
서적
Ilm al-Rijal wa Ahimiyatih
Dar al-Rayah
[65]
웹사이트
Religions. Sunni and Shi'a
http://www.bbc.co.uk[...]
2018-03-28
[66]
기타
‘Ilm
[67]
기타
Collected Hadith
[68]
서적
Roman, provincial and Islamic law
[69]
서적
Islam
Penguin
1954
[70]
서적
Rethinking tradition in modern Islamic thought
1996
[71]
서적
Tabaqat
2018-05-10
[72]
논문
The Musannaf of Abd al-Razzaq al-San'ani as a Source of Authentic Ahadith of the First Century A.H.
[73]
서적
Rethinking tradition in modern Islamic thought
[74]
서적
The Origins of Muhammadan Jurisprudence
Oxford University Press
[75]
서적
An Introduction to Islamic Law
[76]
논문
Islamic Law; the impact of Joseph Schacht
http://www.soerenker[...]
2018-04-19
[77]
서적
Kitab al-Risala
Cairo
[78]
서적
Rethinking tradition in modern Islamic thought
[79]
서적
Studies In Arabic Literary Papyri: Qur'anic Commentary And Tradi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0]
웹사이트
PERF No. 731: The Earliest Manuscript Of Malik's Muwatta' Dated To His Own Time
https://www.islamic-[...]
2022-06-27
[81]
웹사이트
Mu'tazila - use of reason in Islamic theology
http://www.mutazila.[...]
Amazon
2015-09-08
[82]
서적
Muslim Studies, Vol. 1
SUNY Press
[83]
웹사이트
PERF No. 665: The Earliest Extant Manuscript Of The Sirah Of Prophet Muhammad By Ibn Hisham
https://www.islamic-[...]
2022-06-27
[84]
서적
Studies In Arabic Literary Papyri: Historical Text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5]
서적
Islam – the Straight Path
[86]
서적
'Abd Allah ibn Lahi'a (97-174/715-790)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87]
서적
Wahb b. Munabbih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88]
서적
Supplier Dieu dans l'Égypte toulounide : Le florilège de l'invocation d'après Ḫālid b. Yazīd (IIIe/IXe siècle)
https://www.worldcat[...]
[89]
서적
Le Djâmiʻ dʹIbn Wahb
Institut français d'archéologie orientale
[90]
서적
Hady al-Sari
[91]
서적
Muqaddimah Ibn al-Salah
Dar al-Ma’aarif
[92]
서적
Muslim Studies
[93]
서적
Constructive Critics, Ḥadīth Literature, and the Articulation of Sunnī Islam
Brill Publishers
[94]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riental Translation Fund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95]
서적
Hadith Literature
Islamic Texts Society
[96]
서적
Introduction to Shi'i Islam
Yale University Press
[97]
서적
Shi'i Islam: Origins, Faith and Practices
ICAS Press
[98]
서적
Kitab al-Kafi
The Islamic Seminary Inc.
[99]
웹사이트
Surah Al-Qiyamah
https://qurano.com/e[...]
2022-09-16
[100]
서적
Ulum al-Hadith
Dar al-Fikr
[101]
서적
al-Nukat ala Kitab ibn al-Salah
Maktabah al-Furqan
[102]
서적
Problems of Modern Islamic Legislation
Brill
[103]
서적
Muhammedanische studien
https://real.mtak.hu[...]
[104]
서적
The Impact of Western Criticisms of Hadith on Muslim Scholarship
https://www.academia[...]
[105]
서적
Islamische Theologie
Facultas Verlags- und Buchhandels AG
[106]
서적
The End of Modern History in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Hoover Institution Press
2018-03-28
[107]
서적
Ideals and Realities of Islam
1966
[108]
서적
2000
[109]
웹사이트
The HADITH - How it was Collected and Compiled
http://www.daralisla[...]
2019-10-26
[110]
서적
[111]
백과사전
Hadith
[112]
학술지
The Authenticity of Prophetic Ḥadîth: A Pseudo-Problem
1999
[113]
웹사이트
Criticism of hadith
[114]
웹사이트
DeRudKR - Kap. 27: Was bedeutet 'Gehorcht dem Gesandten'?
https://www.alrahman[...]
2006-03-06
[115]
서적
Quran, Hadith and Islam
https://books.google[...]
Dr. Rashad Khalifa Ph.D.
2021-06-12
[116]
웹사이트
10 Forgotten Sects of Major Religions
https://listverse.co[...]
2016-04-08
[117]
서적
Ḥadīth as scripture
2008
[118]
서적
European Criticism of Hadith Literature, in Cambridge History of Arabic Literature: Arabic Literature to the End of the Umayyad Period
Cambridge
1983
[119]
서적
The Origins of Muhammadan Jurisprudence
Clarendon
1950
[120]
학술지
Writing the Biography of the Prophet Muhammad: Problems and Solutions
https://compass.onli[...]
2007-03
[121]
서적
Muhammad
https://onlinelibrar[...]
Wiley
2024-06-29
[122]
서적
On Schacht's Origins of Muhammadan Jurisprudence
Islamic Texts Society
1996
[123]
백과사전
ハディース
https://kotobank.jp/[...]
小学館
[124]
백과사전
ジハード
[125]
서적
これだけは知っておきたいコーラン入門
洋泉社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